통라우
Tong lau통라우 | |||||||||
---|---|---|---|---|---|---|---|---|---|
![]() 앞 차선에 걸려 있는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통나무의 구조도.오로 도해한채드윅, 1882년 | |||||||||
중국어 번체 | 唐樓 | ||||||||
| |||||||||
케라우 | |||||||||
중국어 번체 | 騎樓 | ||||||||
|
통라우(通 l) 또는 케라우( ke l)는 19세기 말에서 1960년대까지 홍콩, 대만, 중국 남부, 동남아시아에 지어진 연립 건물이다.주거용과 상업용으로 모두 설계돼 동남아 5피트(민난중국어: 땡아카) 규모의 상점과 스타일과 기능이 유사하다.수년간, 통 라우 건설은 에드워드 양식의 건축과 후에 바우하우스 운동의 영향을 보아왔다.
어원
통라우(광동어) 또는 탕루(만다린)는 '중국식 건물'을 의미하며, 통 또는 탕(唐)은 당나라를 가리키며 중국어를 뜻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라우(樓)는 1층 이상의 건물이다.이것은 마카오와 광저우(칸톤)에서도 남중국 전통 타운하우스에서 발전한 홍콩에서 발견되는 건축물의 한 종류를 총칭하는 말이다.
건축
초기 건물들은 일반적으로 길고 폭이 좁았으며, 나무 기둥의 길이에 따라 12피트에서 15피트의 너비가 결정되었다.[1]홍콩의 건축규정에서는 1인 이상의 세입자를 대상으로 하는 생활공간이 있는 건물을 말한다.[2]그것은 본질적으로 주거용과 상업용 건물이다.1층은 주로 소매점이나 식품판매점 같은 소규모 사업장이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상층부는 주거용이었고 홍콩 거주 중국인들에게 제공되었다.초기 통나무는 건물 규제로 인해 대부분 2~4층 높이로 건물 높이를 최대 높이 35피트의 가로폭 1.25배로 제한했다.그러나 1950년대 중국 본토에서 홍콩으로 이주민이 유입되면서 1955년 건물의 높이 조절이 완화되었고, 그 이후에 지어진 일부 통나무는 9층 이상이며 승강기 없이 지어질 수도 있다.[3]통라우의 전성기는 1960년대 인구압박으로 인해 많은 통루들이 철거되어 고층건물이 들어설 수 있게 되었고, 그러한 고층건물이 들어설 수 있도록 건축 조례가 변경되면서 막을 내렸다.[4]
케라우(Ke lau) 또는 퀼루(중국어: 騎樓. 騎樓. meaning樓. ), building. tong building. pedestrian arcade)는 보행자용 도로를 따라 아케이드가 달린 통라우의 일종이다.이 용어는 원래 "발 달린 퀼루"(중국어: 有騎樓;; pinyin: youjiaoqilou)로 1912년 광저우 건축규제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위에서 "사이드"로 돌출된 바닥을 지탱하는 기둥을 형성하는 기둥을 가리켰다.광저우에서 개발된 퀼루 건물은 19세기 초 식민지가 건설된 직후 그의 마을 계획에 제시된 스탬포드 라플스의 지시에 따라 처음 지어진 싱가포르의 5피트 길이 상점들과 지역 전통의 영향을 받았다.질루스는 20세기 초부터 중국 남부(광시 관동, 푸젠성)에 건설되었다.광저우에 있는 대부분의 질루들은 청일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지 1930년대에 지어졌고, 그 이후로는 거의 지어지지 않았다.[5]
역사
조기통라우
초기 홍콩 통로는 주로 타이핑 샨과 같은 지역에서 앞뒤로 지어진 2층 또는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19세기 통라우는 중국과 유럽의 건축적 특징을 종합했다.중국 구성요소는 주로 광둥성의 건물 디자인에 기반을 둔 반면, 유럽의 영향력은 대개 신고전주의적이었다.통라우 지붕은 나무와/또는 시딩 타일과 철을 발코니에 사용했다.발코니의 디자인은 광동풍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윈도우는 프랑스식 스타일링을 사용했으며 나무와 유리로 만들어졌다.위층은 벽돌 기둥으로 받쳐져 길가 가장자리까지 돌출되어 있었다.[citation needed]
내부에는 마루가 나무 계단으로 연결되어 있었다.대부분의 층은 450 평방 피트에서 700 평방 피트에 천장이 매우 높았다.꼭대기 층은 종종 가게 주인들과 그들의 가족들을 위한 숙소였다.
초기 통 laus의 다른 건축적 특징:[citation needed]
1903년, 부보닉 페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홍콩 정부는 이 건물들의 생활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통 라우를 위한 일련의 새로운 규정을 발표했다.새 통로 건물은 빛 우물, 창문이 더 크고 4층으로 제한돼 주민들이 충분한 빛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앞부분은 15피트에 맞춰져 있었고, 뒤쪽에는 앞뒤로 건축물을 제거하기 위해 6피트의 레인이 필요했다.기와도 평평한 콘크리트 지붕으로 대체되었다.[6]
1920년대 들어 철근 콘크리트가 주 구조 요소로 도입되기 시작했는데, 이를 통해 베란다뿐 아니라 캔틸레버나 움푹 들어간 발코니도 추가 빛을 낼 수 있게 되었다.[6]초기 통라우나 키라우의 예로 1931년 홍콩에 지어진 철근콘크리트 건물인 루이셍춘이 있다.[7]
제2차 세계 대전 후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a/HK_Sai_Ying_Pun_Centre_Street_Chinese_Building_01.jpg/220px-HK_Sai_Ying_Pun_Centre_Street_Chinese_Building_01.jpg)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지어진 통라우는 디자인이 더 단순했다.
철제 발코니는 콘크리트 발코니로 교체되고 나중에 창문으로 밀폐되었다.지붕은 종종 열린 테라스로 평평하게 되어있었고 나중에 추가적인 주거공간이 가능하도록 개조되었다.나무로 된 창문이 스테인리스로 된 창문으로 바뀌었다.에어컨 유닛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창문에 추가되었다.종종 창문 아래에 옷걸이를 붙여 보도나 아래 거리 위에 걸기도 했다.외벽에는 표지판이 걸려 있고 아래 거리에는 돌출되어 있었다.[citation needed]
새로운 통라우의 다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citation needed]
- 모자이크 바닥 타일
- 테라조 계단
전후의 붐과 이민자들의 유입은 홍콩에 주택 부족을 초래했다.많은 통 라우가 임대 단위가 되도록 개조되었다.넓은 공간이 되기 위해 각 유닛은 벽돌 파티 벽을 통해 인접 유닛과 분리되었으며, 넓이는 13~16피트(약 4~5m)이다.[8]
통라우의 1층은 가게 공간으로 사용되었으나, 부엌 칸막이 벽 앞 윗 공간에는 콕로프트가 세워지거나 작업공간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위층에 있는 방은 작은 방으로 나뉘어져서 주인들에 의해 단위로 전대되었다; 방들은 2층 침대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만 컸다고 말했다.바닥의 중간은 세입자들이 먹고 사용할 수 있는 흔한 공간이었다.욕실과 부엌도 각 층의 입주자들 사이에 공유되었다.세입자들은 전기와 수도를 월 단위로 지불했다.[8]
통나무 층의 전대는 홍콩 주택 규제에 변화를 가져왔다.
1960년대 이후, 많은 통나무들이 더 큰 아파트와 상업용 건물, 특히 신도시나 개인 아파트에 자리를 내주기 위해 철거되었다.오늘날 홍콩에서는 상대적으로 통 라우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9]
2010년 1월 29일, 5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5층 높이의 통로인 마 타우웨이(Ma Tau Wai)가 오후 1시 43분쯤 갑자기 무너졌다.4명이 사망했다.홍콩에서의 이러한 자발적, 폭포적, 완전한 건물 붕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매우 드물게 발생했으며, 이 사건으로 홍콩 정부와 홍콩 대중들은 특히 50년 이상 전에 비슷한 규격으로 지어진 통들의 안전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10]
위치
중국 본토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2/Chaozhou_tonglau.jpg/220px-Chaozhou_tonglau.jp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5/Guangzhou-shopping-street-0539.jpg/220px-Guangzhou-shopping-street-0539.jp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b/Streets_of_Xiamen%2C_Peoples_Republic_of_China%2C_East_Asia-2.jpg/220px-Streets_of_Xiamen%2C_Peoples_Republic_of_China%2C_East_Asia-2.jpg)
Qilou 스타일은 중국식부터 유럽식까지 다양했다.[citation needed]
- 고딕 스타일
- 난양(동남아시아) 스타일
- 고대 로마 갤러리 스타일
- 모조 바로크 스타일
- 모더니즘
- 중국 전통건축양식
광둥 시
중국 남부, 즉 광둥 성의 도시들은 통 라우와 퀼루의 발상지다.그들은 광저우와 같은 도시에 있는 부유한 중국 상인에 의해 지어졌고, 해외 중국인들의 도움으로, 치칸, 카이핑과 같은 이주한 시장 도시에 지어졌다.[11]
광저우에 Qilou가 있는 위치:
- 런민중로
- 런민난로
- 다이시푸 도로를 포함한 샹샤지우 보행자 거리
- 특히 성심석가옥 대성당 주변 이데길
- 완푸로1번길
- 태강로
- 베이징로 과학 기술 신화서점
- 옌장시로의 오이관호텔
- 원밍로186번길
- 더정난로139번길
하이난과 광시
하이난 섬과 광시 성의 동부 모두 언어학적으로 문화적 영향력의 광둥어 영역에 있고 역사적으로 광둥성의 일부였기 때문에, 몇몇 도시와 마을들 또한 이런 종류의 건축물을 가지고 있다.
베이하이 시
베이하이 시는 광시 해안에 있다.구성평거리(舊城平街)에는 퀼루 건축물이 줄지어 있다.19세기에 이곳에서는 생활과 무역이 번창했다.오늘날에는 식당, 기념품 가게, 그리고 지역 문화에 대한 정보가 담긴 조각품과 판자로 장식되어 있다.
하이커우
역사적으로 보아이 로드 지역은 하이난 수도 하이커우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이곳의 거의 모든 건물들은 통 라우 스타일이다.2012년부터 전 지역이 복구 작업을 벌이고 있다.중산도로부터 시작되어 현재는 완공되어 보행자 구역으로 전환되었다.복원은 현재 전면이 재포장되고 페인팅되면서 바깥쪽으로 확장되고 있다.밤에 불을 밝히기 위해 전면 쪽을 향한 조명은 현재 많은 건물들에 설치되어 있다.도로 수리가 진행 중이고, 낡은 상점을 대체하는 새로운 관광 관련 사업들이 생겨나면서 전 지역이 방문객 명소로 개발되고 있다.[citation needed]
청마이
하이난성 청마이 현에 위치한 청마이 시 남부는 난두 강과 인접한 지역으로 수많은 노후된 통루 건물들로 이루어져 있다.[citation needed]
원창
원창의 '웨난 옛길'에 있는 통루 건물은 완전히 복원되었다.하이커우의 보아이 로드 지역과 달리 정면은 도색되지 않고 외관이 회색이다.그 지역은 시내에 위치해 있고 방문객들의 명소다.[citation needed]
푸첸 시
푸치안 시내의 한 구역은 대부분 단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통 라우 건물들이 늘어서 있다.이 거리는 항구에서 도심으로 가는 주요 통로다.그러나 이곳의 통루 건물은 심각한 황폐화 상태에 있다.사실, 그들 중 다수는 구조적으로 안전하지 않다.[citation needed]
마카오
통라우는 라르고도 세나도 근처의 아베니다 데 알메이다 리베이로에 있는 마카오에서도 발견된다.그들은 새로운 건물들에 양보하지 않았던 마카오에서 더 잘 보존되어 있다.위층은 더 이상 사람들을 수용하지 않고 종종 상업적인 용도로 재사용된다. 이곳의 통라우는 종종 포르투갈의 식민주의적 건축적 영향을 받는다.[citation needed]
홍콩
통 라오스의 존재는 홍콩의 경제발전과 제2차 세계대전, 그리고 중국 이주민의 홍콩 유입으로 인한 일련의 역사적 세력이 절정에 달한 것이었다.[12]
1898년 정부는 통 로를 포함한 모든 건물을 규정하는 건물과 공중보건 조례를 도입했다.1903년 정부는 층당 최대 높이 9피트(2.7m)는 물론 4층 한도를 도입했다.이것은 통 로스의 일반적인 외모를 설명한다.그러나 1962년 조례가 개정되어 1966년 전면 시행되었으며 이후 통 라우는 만들어지지 않았다.[13]
통 라우는 주로 홍콩에서 다음 지역에 분포한다.CheungChau,[14]케네디 Town,[15]Shek 동양 Tsui,[16]사이 잉 Pun,[17]Sheung Wan,[18]Central,[19]WanChai,[20]CausewayBay,[21]해피 Valley,[22]타이 Hang,[23]북한 Point,[24]채석장 Bay,[25]사이 WanHo,[26]Shau 경 Wan,[27]최는, 더한, Aberdeen,[28]주석 Wan,[29]Ap 레이 Chau,[30]Stanley,[31일]나를 그녀 Tsui,[32]유 교수는 마 Tei,[33]몽 Kok,[34]T.아이 웨이 웨이를 콕 Tsui,[35]샴 Shui Po,[36]청 그녀 Wan,[37]Shek 킵 Mei,[38]헝 Hom,[39]콰어의 Wan,[40]엄마려면 T.au Wai,[41] Ho Man Tin,[42] Kowloon City,[43] Wong Tai Sin,[44] San Po Kong,[45] Lok Fu,[46] Tsz Wan Shan,[47] Ngau Chi Wan,[48] Kwun Tong,[49] Ngau Tau Kok,[50] Cha Kwo Ling,[51] Kwai Chung,[52] Tsuen Wan,[53] Tuen Mun,[54] Yuen Long,[55] Tai Wai,[56] Tai Po,[57] Luen Wo Hui,[51] Sheung Shui,[58] Sha Tau Kok,[51] Sai Kung Town,[59] and Tai O.[60]
홍콩에는 현존하는 많은 통 라우가 있다.
홍콩 섬
이미지 | 주소 | 면적 | 등급 | 메모들 |
---|---|---|---|---|
145, 147, 149, 151, 153번가 | 삭통추이 | 닐 | [61] | |
제1호 퀸즈 로드 웨스트 | 성완 | 3등급 | [62] | |
172, 174, 176 퀸즈 로드 센트럴 / 123, 125, 127 웰링턴 가 | 중앙 | 1등급 | [62] | |
퀸즈 로드 센트럴 306 | 중앙 | 나열되지 않음 | ||
신궁로19번길 | 중앙 | 나열되지 않음 | ||
1-12번 윙 리 스트리트 | 중앙 | 나열되지 않음 | [63] | |
헤이븐 가 23-33번지 | 코즈웨이 만 | 나열되지 않음 | ||
2번, 4번, 6번, 8번 힝완 스트리트 aka.옐로 하우스 | 완차이 | 3등급[62] | ||
존스턴로6066번길 | 완차이 | 2등급 | [62] | |
8번 킹싱 스트리트 | 완차이 | 닐 | [62] | |
1-11번 말로리 스트리트 및 6-12번 버로우스 스트리트(그린 하우스) | 완차이 | 2등급[62] | ||
퀸즈 로드 동부 186-190번 | 완차이 | 3등급[62][64] | ||
스튜어트길6번길 | 완차이 | 3등급 | [62] | |
72-74A 스톤 누라 레인 (청와대) | 완차이 | 1등급[62] | ||
선박로18번길 | 완차이 | 2등급[62] | ||
록하트길109번과111번안길 | 완차이 | 3등급 | ||
전기로89번길 | 노스 포인트 | 닐 | [62] | |
서부로207번길 | 사이잉펀 | 2등급 |
카우룽
이미지 | 주소 | 면적 | 등급 | 메모들 |
---|---|---|---|---|
119번라이치콕길(루이셍천) | 몽콕 | 1등급[62] | ||
나단로729번길 | 몽콕 | 3등급 | [62] | |
1번, 3번 운동장길 | 몽콕 | 3등급 | [65] | |
177-179, 190-204, 210–212 프린스 에드워드 로드 웨스트 | 몽콕 | 2등급 | [62][66] | |
상해로600~606번, 612번, 614번, 620~626번가길 | 몽콕 | 1등급[62][66] | ||
광둥로1166번과 1168번길 | 몽콕 | 3등급 | ||
아르기일 가 23번지 | 몽콕 | 닐 | ||
마타우웨이로45번길 | 호위엔 | 나열되지 않음 | ||
하오왕로1번3번길 | 구룡시 | 3등급 | ||
압류로189번길 | 샴수이 포 | 2등급 (제189호) | [62] | |
광턴로1235번길 | 샴수이 포 | 3등급 | [62] | |
기폐로132번길 | 샴수이 포 | 3등급 | [62] | |
남청로117번, 119번, 121번, 123번, 125번, 남청로125번가길 | 샴수이 포 | 3등급[62] | ||
페이로58번길 | 샴수이 포 | 2등급 | [62] | |
운차우로75번길 | 샴수이 포 | 3등급 | ||
운차우로142번길 | 샴수이 포 | 나열되지 않음 | [62] | |
예국로170번길 | 샴수이 포 | 2등급 | [62] | |
51번지, 53엔차오거리 | 샴수이 포 | 1등급 | [62] | |
유초대로261번길 | 샴수이 포 | 3등급[62] | ||
압류로96번길 | 샴수이 포 | 2등급 | ||
후쿠윙로62번길 | 샴수이 포 | 3등급 | ||
성봉로301 & 303번길 | 청사완 | 2등급 | ||
남청로14번길 | 샴수이 포 |
신영토
이미지 | 주소 | 면적 | 등급 | 메모들 |
---|---|---|---|---|
46번, 타이오 48 캣힌지 거리 | 타이오 | 3등급 | [62] | |
31번 이익거리, 위엔롱카우후이 | 윈롱 | 2등급 | 철거됨 | |
제33-35호 남문하우, 위엔롱카우후이 | 윈롱 | 3등급 | [62] | |
산라우1-22번가길 | 사타우콕 | 2등급 | [62] | |
233번, 234번, 타이산백로242번가길 | 청초 | 3등급 | [62] |
참고 항목
참조
- ^ Cecilia Chu (2012). "Between Typologies and Representation: The Tong Lau and the Discourse of the "Chinese House" in Colonial Hong Kong". Colonial Frames, Nationalist Histories: Imperial Legacies, Architecture, and Modernity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21. Retrieved 18 October 2019.
- ^ Chan, C. (2005). 空間之旅: 香港建築百年. p. 50–57. ISBN 9620424956.
- ^ Charlie Q. L. Xue (13 June 2016). Hong Kong Architecture 1945-2015: From Colonial to Global. Springer. p. 99. ISBN 978981101004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21. Retrieved 18 October 2019.
- ^ Wong Wah Sang (2014). "Architectural Phenomena Following Law—Review of Residential Buildings in Hong Kong's Colonial Era" (PDF).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al Research. 1 (4): 215–229. S2CID 5499505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 October 2019.
- ^ Jun Zhang (2015). "Rise and Fall of the Qilou: Metamorphosis of Forms and Meanings in the Built Environment of Guangzhou" (PDF). Traditional Dwellings and Settlements Review. 26 (2): 26–4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8 October 2015.
- ^ a b Katy Chey (6 November 2017). Multi-Unit Housing in Urban Cities: From 1800 to Present Day. Routledge. ISBN 978131727975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21. Retrieved 18 October 2019.
- ^ 고대 유물 기념물 보관소 – Lui Seng Chon 2008년 5월 22일 웨이백 기계에 보관
- ^ a b Lee Ho Yin and Lynne DiStefano. "Tong Lau / 唐樓, the Hong Kong shophouse". Gwulo: Old Hong Ko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21. Retrieved 1 March 2019.
{{cite web}}
: 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A Nostalgic Photo Trip of Tong Lau in Sheung W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21. Retrieved 1 March 2019.
- ^ "Report on the Collapse of the Building at 45J Ma Tau Wai Road, To Kwa Wan, Kowloon. Buildings Department, April 2010"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2. Retrieved 3 February 2012.
- ^ Woon, Yuen-fong (1984). Social Organization in South China, 1911-1949. Ann Arbor, MI: Center for Chinese Studies, University of Michigan. pp. 49–57. ISBN 0892640510.
- ^ "Urban Renewal Authority : 60 -66, Johnston Road". Ura.org.h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ugust 2011. Retrieved 3 February 2012.
- ^ 보존에는 장기적인 시력이 부족하다.(2008년 11월 26일).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5페이지.
- ^ "長洲舊樓石屎剝落飛墮行人路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영구적 데드링크]
- ^ "Hello!KTown: 堅尼地城唐樓集結(1)". 8 April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21. Retrieved 8 April 2021.
- ^ "400萬以下有貨西環細價樓回報逾3.5厘 西港島綫年底竣工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rch 2017.
- ^ "西營盤唐樓變太空艙 月租4000元包家電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pril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唐樓癡公開投資秘笈 翻新吸豪客 回報17厘". www.yinfat32.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October 2017. Retrieved 18 March 2017.
- ^ "百年唐樓遺蹟隱身中環鬧市 團體斥古蹟辦忽視歷史價值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rch 2017. Retrieved 18 March 2017.
- ^ "灣仔87年轉角唐樓面臨清拆 街坊感可惜:呢類唐樓買少見少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8 April 2021.
- ^ "銅鑼灣唐樓劏房 呎租58逼新盤價 170呎月租9800 外籍客承租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rch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跑馬地唐樓高價落釘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영구적 데드링크]
- ^ "【專題籽】戰前唐樓拒重建 大坑兩家人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8 April 2021.
- ^ "回流香港客815萬購北角唐樓 (Chinese)".[영구적 데드링크]
- ^ "太古洽購鰂魚涌三唐樓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8 April 2021.
- ^ "長綫放租博收購 西灣河唐樓300多萬有貨 重建掀尋寶熱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rch 2017.
- ^ "筲箕灣唐樓升值百五倍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pril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港島唐樓價 跌破200萬元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rch 2017. Retrieved 18 March 2017.
- ^ "田灣街唐樓劏房失火母抱子危坐外牆獲救".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pril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鴨脷洲大街單幢樓執平貨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8 April 2021.
- ^ "離島去到悶 轉場赤柱獨享天台BBQ嘆海景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March 2017.
- ^ "尖沙咀唐樓叫價6億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May 2011. Retrieved 18 March 2017.
- ^ "區內多戰前唐樓 議員料研究有助保育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uly 2018. Retrieved 18 March 2017.
- ^ "旺角唐樓水表離奇被盜 警拘39歲無業漢". hk.news.yahoo.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市建局收大角咀唐樓 呎價$13,614史上最高". on.cc東網. 5 August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pril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250呎深水埗唐樓大改造屏風加強空間感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December 2016. Retrieved 18 March 2017.
- ^ "舊商號消失 頂層圍欄被拆 轉角唐樓 翻新失特色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영구적 데드링크]
- ^ "【蘋果早晨】石硤尾唐樓起火 男住客吸入濃煙不適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8 April 2021.
- ^ "收購值四百億紅磡唐樓 離奇火燭兼漏水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March 2017. Retrieved 18 March 2017.
- ^ "重建土瓜灣唐樓戶主歡迎冀102歲母不用行樓梯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rch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市建局重建馬頭圍唐樓 供逾400單位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8 April 2021.
- ^ "今日信報-- 何文田唐樓 強拍底價4.13億". 今日信報.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21. Retrieved 8 April 2021.
- ^ "九龍城400萬上車盤絕少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21. Retrieved 8 April 2021.
- ^ "黃大仙唐樓賣200萬 - 東方日報". orientaldaily.on.c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炒家掃新蒲崗唐樓 - 東方日報". orientaldaily.on.c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September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樂富唐樓回報38厘". 太陽報.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September 2020. Retrieved 19 March 2017.
- ^ "慈雲山唐樓售215萬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8 April 2021.
- ^ "牛池灣村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pril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一樓一古:觀塘月華街 180級富貴樓梯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21. Retrieved 8 April 2021.
- ^ "唐樓遇竊 失平板電腦及現金". on.cc東網. 6 February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a b c "Headlife 頭條日報". 頭條日報 Headline Dail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September 2016. Retrieved 23 June 2021.
- ^ "葵涌唐樓劏房疑遭縱火 住客抱B疏散". on.cc東網. 13 January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荃灣市區(唐樓)環境研究及展望 (Chinese)"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焦點故事:屯門私樓 170萬上車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8 April 2021.
- ^ "元朗盤大賤賣33萬平過深圳樓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8 April 2021.
- ^ "大圍唐樓套房租七千五 - 東方日報". orientaldaily.on.c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阿婆也劏房 收租2.8萬 | 蘋果日報". Apple Daily 蘋果日報.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8 April 2021.
- ^ "上水唐樓兩年冧價30% - 東方日報". orientaldaily.on.c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20. Retrieved 18 March 2017.
- ^ "西貢唐樓 賣本地好土產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rch 2017. Retrieved 18 March 2017.
- ^ "大澳被評級的歷史建築物 (Chi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ly 2019. Retrieved 23 June 2021.
- ^ "Antiquities and Monuments Office – Introduction to 1444 Historic Buildings (Items #1159-1163)"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4 March 2016. Retrieved 29 August 2013.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ntiquities and Monuments Office – Introduction to 1444 Historic Buildings"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4 March 2016. Retrieved 29 August 2013.
- ^ "Urban Renewal Authority : 10–12 Wing Lee Street". Ura.org.h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August 2011. Retrieved 3 February 2012.
- ^ "Urban Renewal Authority – 186–190, Queen's Road East". Ura.org.h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rch 2012. Retrieved 22 February 2012.
- ^ "Brief Information on Proposed Grade III Items. See pp 214–215"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September 2013. Retrieved 3 February 2012.
- ^ a b "news.gov.hk – "20 pre-war shophouses to be preserved" (19 September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October 2008.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통라우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Lee Ho Yin (19 April 2010). "Pre-war tong lau: A Hong Kong Shophouse Typology" (PDF). Heritage World M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0 April 2016.
- 홍콩 문화유산 보존 및 활성화
- 말로리 스트리트/버로우 스트리트 프로젝트
- 헤리티지 애호가들은 난파선의 공과 싸운다.
- 이전 Qilou 빌딩:광저우의 역사적 건축 (제1부)
- 이전 Qilou 빌딩:광저우의 역사적 건축 (제2부)
- Tong Lau: A Hong Kong Shophouse Typeology
- 스테판 어바인의 홍콩 사라진 통 라우(2017년)
- 캐논의 성완판권 통라우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사진여행(201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