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울 윈스타인
Saul Winstein사울 윈스타인 | |
---|---|
태어난 | |
죽은 | 1969년 11월 23일 | (57세)
국적 | 캐나다인 |
로 알려져 있다. | 윈슈타인 반응 그룬발트-윈슈타인 방정식 비분류 계량 고정 보조 장치 |
수상 | 순수화학 ACS상(1948) 국립과학훈장 (1970년) |
과학 경력 | |
필드 | 물리유기화학 |
기관 | UCLA |
사울 윈슈타인(Saul Winstein, 1912년 10월 8일 ~ 1969년 11월 23일)은 윈스타인 반응을 발견한 유대계 캐나다인 화학자였다. 그는 노르보닐 양이온의 안정성을 설명하기 위해 비범용 양이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1] 이것은 Herbert C와의 논쟁에 불을 붙였다. σ-질소화탄소의 존재에 갈색. 윈슈타인은 또한 친밀한 이온쌍의 개념을 처음 제안했다.[2] 그는 독분해율에 관한 그룬발트-윈스타인 방정식의 공동저자였다.[3]
리처드 F. 일찍이 윈슈타인과 함께 대학원 공부를 했던 헥은 201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4]
참조
- ^ Young, W. G.; Cram, D. J. (May 1970). "Professor Saul Winstein October 8, 1912-November 23, 1969". International Journal of Chemical Kinetics. 2 (3): 167–173. doi:10.1002/kin.550020302.
- ^ Winstein, S.; Clippinger, E.; Fainberg, A. H.; Heck, R.; Robinson, G. C. (January 1956). "Salt Effects and Ion Pairs in Solvolysis and Related Reactions. III.1 Common Ion Rate Depression and Exchange of Anions during Aceto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78 (2): 328–335. doi:10.1021/ja01583a022.
- ^ W. G. Young, D. J. Cram (1951). "The Correlation of Solvolysis Rates and the Classification of Solvolysis Reactions Into Mechanistic Categorie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73 (6): 2700–2707. doi:10.1021/ja01150a078.
- ^ "The problem of the non-classical ion". Nobel Media. Retrieved 14 July 201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