팸틱 1세

Psamtik I

Wahibre Psamtik I (Ancient Egyptian: wꜣḥ-jb-rꜥ psmṯk, known by the Greeks as Psammeticus or Psammetichus (Latinization of Ancient Greek: Ψαμμήτιχος, romanized: Psammḗtikhos)), who ruled 664–610 BC, was the first of three kings of that name of the Saite, or Twenty-sixth Dynasty of Egypt.

배경

그리스인들이 도데카제라 불렀던 역사적 언급, 전통적 유목민에 바탕을 둔 12개 이집트 영토의 느슨한 연합, 그리고 사이티크 왕조를 수립한 팸티크 1세의 권력 상승은 헤로도토스역사책 2권 151–157에 기록되어 있다. 구레나룻 서적에서 에사르하돈에 의해 20명의 지방 왕자가 임명되었고 아슈르바니팔에 의해 이집트를 통치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왕비 이스테마베트가 핍틱을 낳은 네초 1세는 이 왕족들의 우두머리였지만, 그들은 더 동정심이 많은 누비아인들을 상대로 미움받는 아시리아인 밑에서 이집트인들을 꽤 이끌지 못한 것 같다. 이집트 제12왕조아메넴하트 3세가 지은 미로는 헤로도토스가 도데카제라 칭하고 있는데, 이 미로는 반드시 이 통치자의 조합을 나타내야 한다.

네초 1세는 기원전 664년 쿠시테탄타마니가 아시리아 제국으로부터 하층 이집트를 장악하려다 실패하면서 사망했다. 아버지가 죽은 후, 그의 통치 후 처음 10년 안에 팸틱은 이집트를 통째로 통합하여 아시리아의 지배로부터 해방시켰다.

군사 캠페인

팸틱은 기원전 656년 3월 강력한 해군 함대를 테베에 파견하고 옛 쿠시테 파라오 피예의 딸인 세페누펫 2세 테베에서 기존의 아문 신의 부인을 강요하여 소위 채택 Stela에 딸 니토크라시스 1세를 상속녀로 입양시키면서 9년 만에 이집트를 통일했다.

팸틱의 승리는 테베가 이제 그의 권위를 받아들인 이후 탄타마니 휘하의 상이집트 지배에 대한 누비아 25왕조의 마지막 잔재를 무너뜨렸다. 니토크라시스는 기원전 656년부터 기원전 585년에 사망할 때까지 70년간 재임할 것이다. 그 후, 팸틱은 그의 이집트 통일에 반대하는 지역 왕자들을 상대로 맹렬히 캠페인을 벌였다. 그가 리비아의 특정 약탈자들에 대한 승리 중 하나는 다클라 오아시스에서 온 10년과 11년에 언급된다.

팸틱은 앗시리아 제국으로부터 이집트의 독립을 쟁취하고 54년 재위 기간 동안 이집트의 번영을 회복했다. 파라오는 고대 그리스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또한 많은 그리스 정착민들에게 이집트에 식민지를 건설하고 이집트 군대에서 복무할 것을 권장하였다. 특히 그는 몇몇 그리스인들을 타흐파네스에 정착시켰다.[5]

언어의 유래에 대한 조사

케일에게서 발견된 7세기 동상은 팸틱을 언급하고 있다. 이오니아 그리스 비문에는 "암피메오스의 아들 페돈이 나를 이집트에서 데려와 봉헌자로 바쳤으며, 이집트의 왕 뽕메티초스는 그에게 그의 덕을 위하여 성읍을 주었고, 그의 덕을 위하여 금색 디아뎀을 주었음"[6][5]이라고 적혀 있다.

그리스 역사학자 헤로도토스는 그의 역사 제2권(2.2권)에서 팸틱에 대한 일화를 전했다. 헤로도토스는 이집트를 방문하던 중 팸메티쿠스(이하 팸메티쿠스)가 두 아이와 함께 실험을 언어의 기원을 발견하려 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는 갓 태어난 아기 두 명을 목동에게 맡겼는데, 아무도 말을 해서는 안 되지만, 목동이 첫마디를 결정하는 것을 들으면서 먹이고 보살펴야 한다는 지시를 받았다고 한다. 그 가설은 첫마디가 모든 사람의 근본 언어로 표현될 것이라는 것이었다. 아이들 중 한 명이 팔을 뻗어 "ββόός"(베코스)를 부르짖자, 양치기는 뽕메티쿠스에게 이렇게 보고했는데, 뽕메티쿠스는 "빵"이라는 뜻의 프리지아 단어의 소리였기 때문에 그 단어가 프리지아어라고 결론지었다. 이리하여 그들은 프리지아인들이 이집트인들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며, 프리지아인들이 남성의 원어라고 결론지었다. 이 이야기를 증명할 다른 현존하는 출처는 없다.[7]

와이프즈

핍틱의 수석 부인은 헬리오폴리스의 북쪽의 비지어이자 르의 최고제사장 하르시제의 딸인 메히텐베스케트였다. 핍틱과 메히텐베스케트는 네초 2세와 메르니트, 신 아도라트리스 니토크라티스 1세의 부모였다.[8]

핍틱의 장인, 앞서 말한 하르시제(Harsiese)는 두 번 결혼했는데, 셰타에게는 나네페레슈라는 딸이 있었고, 무명의 여자에게는 북부의 비지어로 그의 뒤를 이은 데드카레와 메히텐베스케트가 있었다.[9]


동상 발견

동상의 몸통

이집트인과 독일의 고고학자들은 2017년 3월 9일 카이로헬리오폴리스 유적지에서 높이 약 7.9m(26ft)의 거대한 조각상을 발견했다. 석영석으로 만들어진 이 조각상은 흉상, 머리 아랫부분, 왕관이 지하수에 잠기는 등 단편적인 상태로 발견되었다.[10]

동상 밑면에 파라오의 이름 중 하나를 언급한 판화가 발견되어 팸틱 1세임이 확인되었다.[11][12][13][14][15]

당시 대변인은 "만약 그것이 이 왕의 것이라면, 그것은 이집트에서 발견된 후기의 가장 큰 조각상"[16][17]이라고 논평했다. 머리와 몸통은 그랜드 이집트 박물관으로 옮겨질 것으로 예상된다.[10]

이 조각상은 기원전 2000년 고대 고전 양식으로 조각되어, 옛 고전 시대의 위대함과 번영을 되찾았다. 그러나 석영석 채집된 많은 파편들(현재의 6,400여 점)으로부터, 어느 사이엔가 고의적으로 파괴된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 변색되고 금이 간 어떤 암석 파편들은 고대의 콜로시를 파괴하는 전형적인 방법인 높은 온도로 가열되었다가 (냉수로) 산산조각이 났다는 증거를 보여준다.[citation needed]

갤러리

참조

  1. ^ "Psamtek I Wahibre". Digitalegypt.ucl.ac.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December 2011. Retrieved 20 November 2011.
  2. ^ 피터 클레이튼, 1994년 테임즈와 허드슨, 파라오의 연대기. 페이지195
  3. ^ Eichler, Ernst (1995). Namenforschung / Name Studies / Les noms propres. 1. Halbband. Walter de Gruyter. p. 847. ISBN 3110203421.
  4. ^ "Psamtik I". Touregypt.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11. Retrieved 20 November 2011.
  5. ^ Jump up to: a b Smith, Tyler Jo; Plantzos, Dimitris (2018). A Companion to Greek Art. John Wiley & Sons. p. 294. ISBN 978-1-119-26681-5.
  6. ^ Keesling, Catherine M. (2017). Early Greek Portrai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16. ISBN 978-1-107-16223-5.
  7. ^ Herodotus, "2.2.3", Histories, Internet Classics Archive, retrieved 18 March 2017.
  8. ^ 도슨, 에이단, 힐튼, 다이앤. 고대 이집트의 완전한 왕족. 템즈 앤 허드슨. 2004. ISBN 0-500-05128-3
  9. ^ 페이로도 F. 하시에시, 운비지르 오블리예 드 라에포크 리비엔. 이집트 고고학 저널. 2003;89(1):199-199. doi:10.1177/0307513308900110
  10. ^ Jump up to: a b "Massive Statue of Ancient Egyptian Pharaoh Found in City Slum". National Geographic. 10 March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March 2017. Retrieved 12 March 2017.
  11. ^ Youssef, Nour (17 March 2017). "So Many Pharaohs: A Possible Case of Mistaken Identity in Cairo".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rch 2017. Retrieved 18 March 2017.
  12. ^ Thompson, Ben (18 March 2017). "Two pharaohs, one statue: A tale of mistaken identity?". Christian Science Monito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rch 2017. Retrieved 18 March 2017.
  13. ^ "Egypt Pharaoh statue 'not Ramses II but different ruler'". BBC News. 16 March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rch 2017. Retrieved 18 March 2017.
  14. ^ "Inscription reveals colossus unearthed in Cairo slum not of Ramses II, more likely Pharaoh Psamtek I".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16 March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rch 2017. Retrieved 18 March 2017.
  15. ^ Bel Trew (17 March 2017). "Statue found in Cairo may be biggest ever from the Late Period". The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March 2017. Retrieved 18 March 2017.
  16. ^ "Egypt Pharaoh statue 'not Ramses II but different ruler". BBC News. 16 March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rch 2017. Retrieved 16 March 2017.
  17. ^ Hendawi, Hamza. "Recently discovered Egyptian statue is not Ramses II". CTV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rch 2017. Retrieved 17 March 2017.

참고 문헌 목록

  • 이 글에는 현재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통합되어 있다.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