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메론

Pomeron

물리학에서 포메론은 높은 [1]에너지에서 강입자 충돌의 천천히 상승하는 단면을 설명하기 위해 1961년에 가정된 레지 궤적입니다.그것은 이사악 포메란추크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개요

다른 궤적이 단면을 하강시키는 반면, 포메론은 단면을 로그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는 실험적으로 거의 일정한 단면이다.포메론의 확인과 그 성질의 예측은 강한 상호작용 현상학레지 이론의 주요한 성공이었다.이후 몇 년 동안, BFKL[1] 포메론은 QCD의 섭동 계산으로부터 추가적인 운동학적 영역에서 도출되었지만, 연하고 높은 에너지 산란에서 보이는 포메론과의 관계는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다.

포메론 가설의 결과 중 하나는 양성자-양성자 및 양성자-반양성자 산란의 단면이 충분히 높은 에너지에서 동일해야 한다는 것이다.이는 소련의 물리학자 이사크 포메란추크에 의해 단면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가정한 분석 연속에 의해 입증되었다.포메론 자체는 블라디미르 그리보프에 의해 소개되었고, 그것은 이 정리를 레지 이론에 통합시켰다.Geoffrey Chu와 Steven Frautschi는 서양에 포메론을 도입했다.포메란추크의 정리에 대한 현대적 해석은 포메론이 보존된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 이 궤적 위의 입자들은 진공양자수를 가지고 있다.

1960년대에 사용 가능한 에너지에서 측정된 양성자-양성자-양성자-반양성자 산란 단면이 동일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포메론은 잘 받아들여졌다.

포메론은 전하를 띠지 않는다.전하의 부재는 포메론 교환이 체렌코프 방사선의 일반적인 샤워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색전하의 부재는 그러한 이벤트가 파이온을 방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실험적인 관찰과 일치한다.포메론이 교환되었다고 생각되는 고에너지 양성자-양성자 및 양성자-반양성자 충돌에서 종종 속도 차이가 관찰된다.이것은 나가는 입자가 검출되지 않는 큰 각도 영역입니다.

오데론

홀수 전하 패리티를 갖는 포메론의 대응물인 오데론은 1973년 레제크 우카주크와 바사랍 니콜레스쿠에 [2]의해 도입되었다.Oderon은 QCD에 3개의 regegeized 글루온의 [3]복합 상태로 존재합니다.2015년에 [4]이론화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2017년 [3]LHCTOTEM 실험에 의해서만 잠재적으로 관측되었다.이 관측은 이후 테바트론에서의 Dö 실험과의 공동 분석에서 확인되었으며 2021년 [5][6][7][8][9][10]3월 이 입자의 발견으로 언론에 나타났다.

끈 이론

초기 입자 물리학에서, '포메론 섹터'는 현재 '닫힌 끈 섹터'라고 불리는 반면, '등록 섹터'라고 불리는 것은 현재 '열린 끈 이론'이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Levin, E. (1997). "Everything about reggeons. Part I: Reggeons in "soft" interaction". arXiv:hep-ph/9710546.
  2. ^ Łukaszuk, Leszek; Nicolescu, Basarab (1973). "A possible interpretation of pp rising total cross-sections". Lettere al Nuovo Cimento. 8 (7): 405–413. doi:10.1007/bf02824484. S2CID 122981407.
  3. ^ a b Martynov, Evgenij; Nicolescu, Basarab (March 2018). "Did TOTEM experiment discover the Odderon?". Physics Letters B. 778: 414–418. arXiv:1711.03288. Bibcode:2018PhLB..778..414M. doi:10.1016/j.physletb.2018.01.054. S2CID 56064476.
  4. ^ https://indico.cern.ch/event/464154/contributions/1137913/attachments/1204865/1755264/zimanyi_ster_2015_2_odd.pdf[베어 URL PDF]
  5. ^ Matthew Chalmers, ed. (9 March 2021). "Odderon discovered". CERN Courier. Retrieved 18 March 2021.
  6. ^ Abazov, V. M.; et al. (2021). "Odderon Exchange from Elastic Scattering Differences between pp and pp¯ Data at 1.96 TeV and from pp Forward Scattering Measurements". Physical Review Letters. 127 (6): 062003. arXiv:2012.03981. Bibcode:2021PhRvL.127f2003A. doi:10.1103/PhysRevLett.127.062003. PMID 34420329. S2CID 227737845.
  7. ^ Pastore, Rose (19 March 2021). "Physicists Discover the Elusive Odderon, First Predicted 50 Years Ago". Gizmodo. Retrieved 19 March 2021.
  8. ^ Csörgő, T.; Novák, T.; Pasechnik, R.; Ster, A.; Szanyi, I. (2021). "Evidence of Odderon-exchange from scaling properties of elastic scattering at TeV energies". The European Physical Journal C. 81 (2): 180. arXiv:1912.11968. Bibcode:2021EPJC...81..180C. doi:10.1140/epjc/s10052-021-08867-6. S2CID 209500465.
  9. ^ "Researchers find evidence of elusive Odderon particle". Lund University. 18 March 2021.
  10. ^ Csörgö, T.; Novák, T.; Pasechnik, R.; Ster, A.; Szanyi, I. (2020). "Proton Holography Discovering Odderon from Scaling Properties of Elastic Scattering". EPJ Web of Conferences. 235: 06002. arXiv:2004.07095. Bibcode:2020EPJWC.23506002C. doi:10.1051/epjconf/202023506002. S2CID 215768713.

추가 정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