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네시리투스
Onesicritus알렉산더 대왕의 아시아 유세에 동행한 그리스의 역사 작가 겸 키닉 철학자 오네시크리투스(그리스어: ὀνη bcκ the), campaigns the; c. 360 BC – c. 290 BC)이다. 그는 알렉산더 함대의 지휘관이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조타수일 뿐이었다. 아리안이나 네아르쿠스는 종종 이런 일로 그를 비난한다. 그가 집에 돌아왔을 때, 그는 알렉산더의 선거 운동 기록을 썼다. 그는 종종 후대의 작가들에 의해 인용되는데, 그는 또한 그의 부정확함을 비판하기도 한다.
인생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0/MacedonEmpire.jpg/330px-MacedonEmpire.jpg)
그는 아스티팔라이아 출신이었고,[1] 아마도 이 섬 출신에게 이토록 유리하게 증명될 항해술의 덕을 본 것이리라. 그는 시니크 철학자 시노페의 디오게네스의 제자였다.[2]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는 또한 그를 "애기나의 오네시크리투스"[3]라고 부르면서, 그의 두 성인 아들 안드로스테네스와 필리스쿠스가 키닉의 디오게네스의 철학에 이끌려 아테네에 왔다고 말하는데, 이때 오네시크리투스도 열렬한 제자가 되었다. 그렇다면 그는 알렉산더 원정에 합류한 지 이미 몇 년이 지났음에 틀림없었다.[4]
우리는 그가 알렉산더와 동행하게 된 정황과 그가 정복자에게 어떤 자격으로 참석했는지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한다. 그러나 그는 인도 원정 중에 왕으로부터 인도 철학자나 지모소피스트들과 회의를 갖도록 보내졌다. 그 세부사항들은 그 사이에 대한 그의 설명에서 우리에게 전달되었다.알렉산더가 단다미스를 법정에 소환하기 위해 처음 보낸 것은 오네시리투스였다.[5] 후에 오네시리투스가 단다미스의 대답으로 빈손으로 돌아왔을 때, 왕은 단다미스를 방문하기 위해 숲으로 갔다.[6] When Alexander constructed his fleet on the Hydaspes, he appointed Onesicritus to the important position of pilot of the king's ship, or chief pilot of the fleet (Greek: ἀρχικυβερνήτης). 오네시크리투스는 인더스 강 하류 동안뿐만 아니라 강에서 페르시아 만으로 가는 길고 위험한 항해 내내 이 입장을 고수했다. 알렉산더는 자신의 일에 너무 만족하여 수사에 도착하자 네아르쿠스와 동시에 오네시리투스는 금관상을 받았다.[7] 그러나 아리안은 판단력이 부족하다고 그를 비난하고, 한 번은 분명히 선단의 안전을 그의 충고를 무시하는 네아르쿠스의 확고함 탓으로 돌린다.[8] 우리는 하지만 일화가 플루타르크에 의해 관련된 그가 뤼시 마코스:마케도니아의 장군이며, 그것이 아마도 그는 그의 역사적 work,[9] 하지만, 반면에, Lucian[10]의 한 구절은 이 알렉산더의 수명 기간 동안 시작된 있다는 걸 암시할 수가 작곡했다 그 군주의 궁정에 입당해 실형을 선고 그 이후 재산이 아무 것도 모른다. himself
글
We learn from Diogenes Laërtius[11] that Onesicritus wrote a work about Alexander called How Alexander was Educated (Greek: Πῶς Ἀλέξανδρος Ἤχθη), imitating the style of Xenophon, though he fell short of him as a copy does of the original.[12] 그것은 아시아에서의 알렉산더의 캠페인과 관련하여, 그리고 그가 방문한 나라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자주 인용된다. 그가 묘사한 많은 것을 목격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많은 우화와 거짓을 그의 이야기와 섞어서 일찍이 권위자로서의 불명예에 빠졌던 것으로 보인다. 스트라보는 특히 그에게 엄격하다.[13] 플루타르크는 그를 알렉산더에 대한 아마조네들의 방문의 우화와 관련된 사람 중 한 명으로 인용하고 있는데, 그 때문에 그는 당연히 리시마코스에게 조롱을 당했고,[9] 아리안은 그가 사실 조종사만 있을 때 함대의 지휘관으로서 자신을 거짓으로 대변했다고 비난한다.[14] Aulus Gellius는[15] 심지어 그를 프로콘네소스의 Aristease와 다른 순전히 멋진 작가들과도 연관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비난이 과대포장된 것은 분명하다. 그리고 그로부터 인용된 진술들 중 일부는 분명 엄청난 과장된 것이기는 하지만,[16] 그의 작품은 알렉산더 원정에 의해 처음으로 공개된 먼 나라들에 관한 많은 귀중한 정보를 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는 오늘날 스리랑카로 알려진 [17]타프로반 섬을 언급한 최초의 작가였다.
메모들
-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 vi. 84; 아리안, 18; 아엘리안, H.N. 16. 39.
-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 vi. 75, 플루타르크, 알렉산더, 65, 스트라보, xv.
-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 vi. 75; cf. vi. 84
- ^ 알렉산더와 함께 선거운동을 했던 아스티팔라이아 출신과 아테네에 살았던 아이기나의 나이든 오네시리투스라는 두 사람이 있었다는 것은 상상할 수 있지만, 이렇게 되면 두 사람 모두 오네시리투스로 불리는 디오게네스의 제자가 따로 생겨날 것이다.
- ^ 스트라보, 65세, 플루타르코 알렉스, 65세
- ^ Stoneman, Richard (2012). The Legends of Alexander the Great By Richard Stoneman. pp. 43–47. ISBN 9781848857858.
- ^ 아리안, 아나브. vi. § 6, 7 5. §9, Ind. 18, Curt. ix. 10. § 3, x. 1. § 10; 플루타르크, 알렉스 66, 데 포트. 알렉스
- ^ 아리안, 아납. 7시 20분, 인디 32분.
- ^ Jump up to: a b 플루타르크, 알렉스 46
- ^ Quomodo history, 양심자 c. 40
-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 vi. 84
-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 vi. 84; 수다, 오네시리토스.
- ^ 스트라보, xv, comp. ii..
- ^ 아리안, 아나브. vi. 2. § 6
- ^ 오울러스 겔리우스, ix. 4
- ^ 예를 들어 Strabo, xv. 페이지 698; Aelian을 보라. H.N. 16. 39, 16. 6
- ^ 스트라보, xv. 페이지 691; 플리니, H. N. vi. 24.
참조
Laërtius, Diogenes (1925). . Lives of the Eminent Philosophers. 2:6. Translated by Hicks, Robert Drew (Two volume ed.). Loeb Classical Library.
귀인
이 글에는 현재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통합되어 있다. Smith, William, ed. (1870).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누락 또는 비어 있음(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