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스 요한 베를린

Nils Johan Berlin
닐스 요한 베를린
Berlin, Nils Johan ur jubileumscollage 1868.jpg
태어난(1812-02-18)1812년 2월 18일
스웨덴 벵거만랜드 헤른외모드
죽은1891년 12월 27일(1891-12-27) (79세)
스웨덴 스톡홀름
모교웁살라 대학교
과학 경력
필드화학 약품
기관룬드 대학교
박사학위 자문위원욘스 야콥 베르젤리우스

닐스 요한 베를린(Nils Johan Berlin, 1812년 2월 18일 ~ 1891년 12월 27일)은 스웨덴화학자 겸 의사로, 1843년부터 1864년까지 룬드 대학에서 다양한 교수직을 역임했다. 베를린은 최초의 화학자로서 초등 과학에 관한 교과서 집필에 앞장섰는데, 이는 일반 대중을 위한 기초 과학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그의 화학 연구는 광물, 특히 새로 발견된 희토류들에 대한 연구를 강조했는데, 이티움에르비움을 분리하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미네랄 베를린라이트(알루미늄 인산염의 일종)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2] 베를린은 1844년에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3]

교육

베를린은 1833년 웁살라 대학철학박사와 함께 졸업했으며, 욘스 야콥 베르젤리우스의 지도하에 공부했다. 그는 1837년 웁살라 대학에서 의학박사 과정을 마쳤다.[4]: 159

학력

베를린은 1843년 약학 교수로 시작하여 룬드 대학에서 많은 교수직을 맡았다. 그 후 그는 또한 1847년에 화학과 광물학 교수,[5] 그리고 1854년-1855년 이 대학의 교장이 되었고,[4]: 51 마지막으로 1862년에 의학 및 생리 화학 교수가 되었다. 1864년부터 국립위생원(순데츠콜레지엣) 국장을 지냈다.[5][3]

초등 과학 교과서

베를린은 일반인들을 위해 초등과학 교과서를 쓴 최초의 화학자였다.[3] 베를린은 두 개의 인기 있는 교과서를 출판했는데, 이 교과서는 (당시에는 상대적으로 거의 없었던) 이론보다 서술과 실제 지식을 강조했다. 벡스트케미엔아이삼만드라가 1835년에 출판되었고, 엘레로복아이오오르가니스크케미가 1857년에 처음 등장했다. 15판을 거치면서 45만 부 이상이 팔렸다.[5][3] 그의 교과서는 초등학교에서 과학 수업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들은 스웨덴 의회로부터 찬사와 상을 받았고, 독일어와 핀란드어로 번역되었다.[3] 1870년에 등장한 베를린의 교과서 제3판은 기독교인 빌헬름 블롬스트란드에 의해 크게 개정되었는데, 는 이 원소들에 대한 자신의 체계화를 추가하였다.[6]

베를린의 아버지는 대리인이었습니다. 베를린 자신도 유서에서 "과학과 그 문제와 결과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종교의 진실을 의심할 근거를 준 적이 없다"고 밝혔다. 과학자로서, 그리고 과학의 대중화자로서, 베를린은 종교적인 기반 위에서 과학적 지식을 안전하게 위치시켰다. 이는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판매할 때 목회자들이 자신의 학교에 교과서를 선정하는 지역 교육위원회를 이끄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장점이 됐을 수 있다.[3]

희토류 원소에 관한 연구

1787년 칼 악셀 아르헤니우스스웨덴 이테르비 마을의 장석 광산에서 어두운 광물을 발견했다. 그는 추가 분석을 위해 요한 가돌린에게 이 염증 샘플을 보냈다. 많은 연구자들이 광석을 구성하는 원소들을 확인하려고 노력했는데, 이 원소들은 화학적 특성이 비슷해서 특히 분리하기가 어려웠다.[7][8][9] 단체로 오노머 희토류 원소를 부여받았다.(사실 드물지 않고 추출하기 어렵다)[10] 개별적으로는 다양한 과학자들에 의해 발견되고 이름이 붙여졌는데, 종종 "Ytterby"[9]라는 단어에 기초한 변형을 사용하기도 했다.

처음 파생된 두 개의 광석은 ceriayttria라고 불렸다. 1830년대와 40년대에 칼 구스타프 모산더는 이 알려진 광석에서 몇 가지 물질을 추출했다. 1843년 모산데르는 이테리아에서 3개의 금속 산화물을 추출할 수 있었고, 그가 순수한 이테리아라고 부르는 희끄무레한 '지구', 그가 테르비아라고 부르는 분홍색이나 장미색 산화물과 에르비아라고 부르는 황색 과산화물을 추출할 수 있었다. Mosander는 그들의 순수성에 대해 당연히 불확실했다; 그러나 그들은 이트리움, 에르비움, 그리고 터비움 원소를 포함하고 있었다.[11][9]: 5–7 [12]

모산데르나 아르헤니우스와 같은 그 이전의 과학자들처럼, 베를린도 이테리아 광석을 성분 화합물로 분리하는 작업을 했다. 1860년에 베를린은 성공적으로 두 가지 물질인 이트륨과 에르비움이라는 이름의 분홍색 소금의 식별을 보고했다. 후속 화학자들은 모산더의 지정보다는 베를린의 지정을 따랐다.[12] 이테리아의 성분의 명칭은 1862년 마르크 들라폰테인(Mark Delafontainee)이 이티움(yttrium)과 황색 과산화물로 분리되었다고 보고하면서 더욱 복잡해졌는데, 그는 이것을 처음에는 모산드럼(모산데르 다음), 나중에는 테르비움이라고 불렀다. 이렇게 하여 원래 에르비움과 터비움에게 붙여진 이름들이 바뀌게 되었다.[12]

참조

  1. ^ Senning, Alexander (2007). Elsevier's dictionary of chemoetymology : the whies and whences of chemical nomenclature and terminology (1st ed.). Amsterdam, Netherlands: Elsevier. p. 45. ISBN 978-0080488813. Retrieved 22 February 2019.
  2. ^ "Berlinite" (PDF). 2001-2005 Mineral Data Publishing. Retrieved 22 February 2019.
  3. ^ a b c d e f Hultén, Magnus (24 July 2015). "Scientists, teachers and the 'scientific' textbook: interprofessional relations and the modernisation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nineteenth-century Sweden". History of Education. 45 (2): 143–168. doi:10.1080/0046760X.2015.1060542. S2CID 146292430.
  4. ^ a b Weibull, Martin (1868). Lunds universitets historia: 1668-1868. Vol. 1. Lund: Gleerup. pp. 51, 159–160, 417–318. Retrieved 22 February 2019.
  5. ^ a b c Lundgren, Anders; Bensaude-Vincent, Bernadette (2000). Communicating chemistry : textbooks and their audiences, 1789-1939. Canton, MA: Science History Publications. p. 97. ISBN 9780881352740. Retrieved 22 February 2019.
  6. ^ Kaji, Masanori; Kragh, Helge; Palló, Gábor (2015). Early responses to the periodic system.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p. 156. ISBN 9780190200077. Retrieved 22 February 2019. Wilhelm Blomstrand (1826–97), presented a system of the elements in 1870 in his heavily revised third edition of the much used textbook by Nils Johan Berlin... he also discussed this system in his own textbook from 1873 and ... 1875.
  7. ^ Marshall, James L.; Marshall, Virginia R. (2008). "Rediscovery of the Elements: Yttrium and Johan Gadolin" (PDF). The Hexagon (Spring): 8–11.
  8. ^ Weeks, Mary Elvira (1956).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6th ed.). Easton, PA: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 ^ a b c Gschneidner, Karl A.; Bunzli, Jean-Claude; Pecharsky, Vitalij (October 27, 2010). Handbook on the Physics and Chemistry of Rare Earths. Vol. 41. Elsevier. pp. 4–10. ISBN 9780444535917. Retrieved 22 February 2019.
  10. ^ Klinger, Julie Michelle (2017). "From Terrestrial Subsoils to Lunar Landscapes". Rare earth frontiers : from terrestrial subsoils to lunar landscapes.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978-1501714603. JSTOR 10.7591/j.ctt1w0dd6d.
  11. ^ Cobb, Cathy; Goldwhite, Harold (1995). Creations of Fire: Chemistry's Lively History from Alchemy to the Atomic Age. New York: Plenum. p. 261. ISBN 9781489927705. Retrieved 22 February 2019.
  12. ^ a b c Holden, Norman E. (2001-06-29). "History of the Origin of the Chemical Elements and Their Discoverers". Upton, New York: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BNL).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