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꼬리핀치
Long-tailed finch긴꼬리핀치 | |
---|---|
![]() | |
과학적 분류 ![]() |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챠다타 |
클래스: | 아베스 |
주문: | 참새목 |
패밀리: | 에스트릴드과 |
속: | 포에필라 |
종류: | 아쿠티카우다 |
이항명 | |
포에필라 아쿠티카우다 | |
![]() | |
분배 |
긴꼬리핀치(Poephila acuticauda)는 킴벌리 지역에서 카펜타리아 만까지 호주 북부에서 발견되는 에스트릴드핀치의 일반적인 종이다.옅은 회색 머리와 눈에 띄는 검은 턱받이와 눈을 가진 주로 황갈색 새입니다.호주의 건조한 사바나 서식지에서 서식하며, 조류 재배에 쉽게 적응한다.
분류법
포에필라 아쿠티쿠다 종은 조류학자 존 굴드에 의해 1840년에 처음 기술되었고, 새로운 분류군은 아마디나 아쿠티카우다로 지정되었다.이 표본은 호주 [3][4]북서부 해안의 더비에서 HMS 비글에 탑승한 외과의사 벤자민 바이노에 의해 수집되었다.그것은 포에필라속에 속하는 3종 중 하나이다.오스트레일리아 파푸아 핀치과에 속하지만, 이전에는 참새과에 [5]속했다.
지리적으로 다른 형태학이 20세기 [4]후반에 인정되긴 했지만, 다양한 아특이적 배열은 동쪽에서 서쪽의 클라인에 걸친 색상 변화로 간주되어 왔다.2005년에 발표된 유전자 연구에서 긴꼬리핀치의 두 아종이 약 34만 년 전 킴벌리 고원-아르헴 랜드 배리어에 의해 서로 분리되었고 그들의 조상은 60만 년 전 [6]까펜타리안 배리어 너머 검은목핀치(P. cincta)에서 갈라졌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호주 Faunal Directory는 3종의 포에필라를 2종의 아속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개체군도 [7]2종의 아종으로 분류하고 있다.이 처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포에필라속
- 포에필라(Neopoephila) 마튜스, 1913년
- 포에필라(포에필라) 굴드 아속, 1842
- 포에필라(Poephila) 깅크타(Gould, 1837년)
- Poephila (Poephila) acuticauda (Gould, 1840)종
- 아종 포에필라(Poephila) 아쿠티카다 아쿠티카다
- 1900년 아종 포에필라(포에필라) 아쿠티카다 헤키 하인로스
이 종의 일반적인 이름은 긴꼬리핀치 또는 긴꼬리핀치, 검은머리핀치, 축꼬리핀치, 오렌지부리핀치 또는 풀핀치를 포함한다.붉은 부리를 가진 동부 아종 Poephila acuticauda hecki에 적용되며 주황색 또는 노란색 부리를 가진 지명 아종은 이 [8]종의 통칭으로 불린다.
묘사
다 자란 긴꼬리 핀치의 길이는 약 160mm이고, 수컷의 몸무게 범위는 13.5~16.2g, 암컷은 11.4~[4]17.6g이다.목과 가슴 윗부분에 눈에 띄는 둥근 모양의 검은 턱받이와 길고 뾰족한 검은 [9]꼬리를 가지고 있다.윗부분은 분홍빛을 띤 갈색이며, 아랫가슴과 복부 위 턱받이 아래 깃털이 더 옅은 색을 띤다.그것은 회색 머리, 하얀 귀마개, 그리고 검은 광맥을 가지고 있다.윗면에 검은 반점이 있고, 엉덩이와 꼬리 아래 덮개는 [10]흰색이다.다 자란 긴꼬리핀치의 부리 색깔은 빨간색에서 주황색, 노란색까지 다양합니다.암컷이 약간 둔하고 턱받이가 [8]약간 작을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수컷과 암컷은 비슷하다.암컷은 평균적으로 수컷보다 날개와 꼬리가 짧지만, 목 턱받이 크기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수컷의 측정 범위 내에 있다.또한 자외선과 가시광선에서는 수컷과 암컷의 깃털이 구별되지 않는다.1999년에 발표된 한 연구는 수컷 긴꼬리지느러미가 노래로 [11]성별을 선언하지 않는 한 낯선 종의 암컷의 성별을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어린 것들은 검은 부리와 짧은 꼬리 [9]깃털을 가지고 있다.
아종은 부리 색깔로 구분되며, 서부 지명 집단은 노란색을 나타내고 동부 아쿠티카우다 헤키는 [4]빨간색이다.
행동
이 종은 단순한 한 쌍의 유대를 유지하며, 일부 대가족 집단이나 작은 무리들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이 두 종은 활동할 때 가까운 거리에 있다.개인은 파트너와 자신을 동일시하기 위해 노래를 사용하고, 새로운 사람과 짝짓기를 시도하기 전에 '시외 통화'[4] 수컷 P. 아쿠티카다와 연락을 유지하고, 자신을 똑바로 세운 자세로 노래하며 구애 표시를 한다.새로 온 남성들은 때때로 새떼와 마주쳤을 때 성별을 밝히지 않을 것이다.이 연구의 저자들은 이것이 괴롭힘을 줄이고, 그룹에 수용될 가능성을 증가시키며, 따라서 미래 [11]번식의 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한 생존 메커니즘이라고 제안한다.
이 종은 나무의 천연 움푹 들어간 곳이나 풀이나 관목의 송곳니 같은 낮은 초목에서 번식한다.나무가 있을 경우 둥지 부지는 지면에서 4m 이상, 아마도 18m까지 올라갈 수 있다.유칼피트는 선호되는 나무 종이며 판다누스 또한 선택된다.브레딩 둥지는 잔디, 150~200mm 길이의 더 넓은 날개로 구성된 외층, 그리고 미세한 줄기와 씨앗-머리로 짜여진 둥지 컵으로 구성된 내실로 조심스럽게 건설된다. 양털 식물 섬유와 때때로 깃털이 내실을 덮는 데 사용된다.전체 길이는 180~230mm이며, 입구가 50~100mm인 병 또는 깔때기 형태로 구성된 최대 500개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번식기를 벗어나 둥지를 틀기 위해 사용되는 둥지는 보다 단순한[4] 디자인이다.
한 쌍은 먹이를 주는 책임을 공유하며, 나이든 수컷의 새들이 그들의 부모를 도와 다음 새끼를 키운다는 보고가 한 건 있는데, 이것은 호주의 에스트릴드 [12]핀치에서 협동 번식이 기록된 첫 사례이다.클러치는 17 x 12 [13]mm 크기의 칙칙한 흰색 타원형 달걀 4개에서 6개로 구성됩니다.킴벌리의 한 조사에 따르면 클러치 크기는 10 × 4, 10 × 5, 3 둥지 × 6 알로 기록되었습니다.잠복기는 13~17일이다.
분포 및 서식
긴꼬리핀치는 북서쪽 킴벌리 지역의 더비부터 동쪽을 가로질러 [10][4]퀸즐랜드 북서쪽의 라이하르트 강까지 호주 북부 전역의 탁 트인 삼림에서 서식한다.
전지구적 발생 범위는 1,000,000 ~ 1,000,000,000km이다2.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이 종의 개체수에 대한 위협을 가장 [1]우려할 만한 것으로 분류했다.
조류 사육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8/Long-tailed_Finch_RWD1.jpg/220px-Long-tailed_Finch_RWD1.jpg)
긴꼬리핀치는 번식하기 위해서는 새장이 아닌 새장이 필요하고 [14]습한 환경을 피해야 하지만 포획에 쉽게 적응한다.호주에서는 이 종의 수출이 금지되었고,[8] 영국에서는 다소 비싸졌다.우리에 갇힌 [8]한 쌍은 다른 작은 핀치에게 공격적이 되기 때문에 번식기에 혼자 두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사육 상태에서 쉽게 번식하며, 1년에 두 마리의 새끼를 낳기도 하며, 수명은 약 5~8년이다.사육 상태에서, 헥의 풀 핀치 한 쌍은 알을 낳은 후 계속 새끼를 기르는데, 일년 내내 적절한 [8]식단을 섭취하지 않으면 그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또,[8] 겨울 동안 성별을 분리할 수도 있습니다.
이 종은 1930년대에 조류에 잘 정착했고 흥미로운 행동과 매력적인 외모를 가진 튼튼한 표본으로 간주되었다.노란부리 아종의 번식에 성공한 최초의 기록은 1897년이었고, 붉은부리 초지느러미는 약 10년 후 영국의 조류에서 번식하고 있었고, 호주 박물관에서 열린 쌍을 포함하여 이 기간 동안 모국에서 번식하고 있었다.21세기까지 이 핀치들은 유럽, 아시아, 북미 국가들의 애호가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고, 남아프리카에서는 이 종이 기록되지만 뉴질랜드에서는 드물다.이 핀치들은 굴드 핀치 클로이비아 [4]굴디아 다음으로 영국에서 두 번째로 흔한 종이다.
기원.
Antonio Arnaiz-Villena [15]등에 의해 기원과 계통 발생이 확인되었다.Estrildinae는 인도에서 유래하여 그 후(아프리카와 태평양 서식지를 향해) 분산되었을 수 있습니다.
레퍼런스
- ^ a b BirdLife International (2016). "Poephila acuticauda".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22719688A94639419. doi:10.2305/IUCN.UK.2016-3.RLTS.T22719688A94639419.en. Retrieved 12 November 2021.
- ^ Gould, J. (1839). "Letter from Van Diemen's Land, accompanied with descriptions of some new Australian Birds".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Academic Press, [etc.] 7 (1839): 139–145.
- ^ Gould, John (1865) [1865]. Handbook to the Birds of Australia. BiblioBazaar. pp. 242–43. ISBN 978-1-116-37820-7. Retrieved 29 January 2011.
- ^ a b c d e f g h Shephard, M.; Pridham, A.; Forshaw, J.M. (2012). Grassfinches in Australia. Csiro Publishing. pp. 11, 158–172. ISBN 9780643107885.
- ^ Christidis L, Boles WE (2008). Systematics and Taxonomy of Australian Birds. Canberra: CSIRO Publishing. p. 177. ISBN 978-0-643-06511-6.
- ^ Jennings, W. Bryan; Edwards, Scott V. (2005). "Speciational history of Australian grass finches ( Poephila ) inferred from 30 gene trees" (PDF). Evolution. 59 (9): 2033–47. doi:10.1554/05-280.1. PMID 16261740. S2CID 1866543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1 July 2010. Retrieved 29 January 2011.
- ^ "Poephila;Poephilinae". biodiversity.org.au. Australian Faunal Directory. Retrieved 2 March 2019.
- ^ a b c d e f Rutgers, A (1981). The Handbook of Foreign Birds. English translation by Norris, K.A. (4th ed.). Poole, Dorset: Blandford Press. pp. 167–168. ISBN 0-7137-0815-8.
- ^ a b Pizzey, Graham (1980). "675 Long-tailed Finch".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Australia. Illustrated by Doyle, Roy. Collins. p. 373. ISBN 0-00-217282-8.
- ^ a b Slater, Peter (1978) [1974]. A field guide to Australian birds: passerines. [Adelaide]: Rigby. p. 261. ISBN 0-85179-813-6.
- ^ a b Langmore, N.E., N. E.; Bennett, A.T.D. (1999). "Strategic concealment of sexual identity in an estrilid finch".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266 (1419): 543–50. doi:10.1098/rspb.1999.0670. PMC 1689814.
- ^ van Rooij, Erica; Simon C. Griffith (2009). "First record of cooperative breeding in an Australian estrildid, the Long-tailed Finch (Poephila acuticauda)". Emu. 109 (1): 63–65. doi:10.1071/MU08061. S2CID 84468208.
- ^ Beruldsen, Gordon (2003). Australian Birds: Their Nests and Eggs. Kenmore Hills, Qld: self. p. 405. ISBN 0-646-42798-9.
- ^ Shephard, Mark (1989). Aviculture in Australia: Keeping and Breeding Aviary Birds. Prahran, Victoria: Black Cockatoo Press. pp. 195–196. ISBN 978-0-9588106-0-9.
- ^ Arnaiz-Villena, A; Ruiz-del-Valle V; Gomez-Prieto P; Reguera R; Parga-Lozano C; Serrano-Vela I (2009). "Estrildinae Finches (Aves, Passeriformes) from Africa, South Asia and Australia: a Molecular Phylogeographic Study". The Open Ornithology Journal. 2: 29–36. doi:10.2174/1874453200902010029.
외부 링크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en/thumb/4/4a/Commons-logo.svg/30px-Commons-logo.svg.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