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실험 목록
List of cosmic microwave background experiments과학 논문은 리뷰 , 등 |
이 목록은 1964년 펜지아스와 윌슨이 CMB를 처음 검출한 이후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 방사선 음이소트로피와 양극화를 측정하는 실험을 집대성한 것이다.CMB 음이소트로피와 양극화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이 1964년 펜지아스와 윌슨이 처음 관찰한 이래 있어 왔다.여기에는 지상, 풍선 및 우주 기반 수신기가 혼합되어 있다.[2][3]목록에서 일부 주목할 만한 실험이 COBE 처음고 검은 몸 스펙트럼 있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우주 배경 복사파의 온도 anisotropies를 감지했습니다;DASI, 맨 먼저 전투 의무 휘장에서는 양극화 현상 신호를 감지했습니다;[4]영국 산업 연맹하고 그 첫번째 E-mode 양극화 주파수 얻은 고해상도 관찰했다;[5]WMAP.;그리고 플랑크 공간이다.공예온도 음이소트로피와 양극화 신호 중 가장 높은 해상도의 올스카이 지도를 제작했다.[6]현재 CMB 관측을 위한 과학적 목표에는 중성미자의 질량을 구속할 수 있는 중력렌즈의 정확한 측정과 우주 인플레이션의 가능한 증거로 B-모드 양극화의 측정이 포함된다.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실험의[2][3][4][7][8] 디자인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가장 큰 문제는 수신기, 망원경 광학 그리고 대기다.많은 개선된 마이크로파 증폭기 기술은 마이크로파 배경 응용을 위해 설계되었다.사용되는 기술로는 HEMT, MMIC, SIS 및 볼로미터 등이 있다.[8]실험에서는 일반적으로 정교한 극저온 시스템을 사용하여 증폭기를 냉각시킨다.종종 실험은 하늘의 신호의 공간적 변동만을 측정하는 간섭계로서 평균 2.7K배경에 둔감하다.[4]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망원경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또 다른 문제는 모든 검출기에 내재된 1/f 소음이다.일반적으로 실험 스캔 전략은 그러한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다.[7]측면 로브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광학 장치는 정교한 렌즈와 피드 경적을 사용한다.마지막으로, 지상 기반(및 어느 정도까지 풍선 기반) 계기에서는 대기의 물과 산소가 마이크로파 방사선을 방출하고 흡수한다.대기 전송이 높은 주파수에서도 대기 방출은 실험의 민감도를 제한하는 광자 노이즈를 유발한다.따라서 CMB 연구는 칠레 안데스 산맥과 남극과 같은 건조하고 높은 고도 위치뿐만 아니라 공기와 우주에 의한 실험을 사용한다.[9]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실험
아래 목록은 과거, 현재 및 계획된 CMB 실험의 일부 목록으로 구성된다.각 실험의 이름, 시작 연도와 종료 연도가 제시되며, 그 다음에 실험의 기초(공간, 풍선 또는 지면 기반)와 해당 장소(적절한 경우)사용된 주파수 및 증폭기 기술은 실험의 주요 표적과 마찬가지로 주어진다.[10]
이미지 | 이름 | 시작 | 끝 | 기본 | 위치 | 주파수(GHz) | 검출기 기술 | 대상 | 참조 |
---|---|---|---|---|---|---|---|---|---|
ACME(Advanced Cosmic 마이크로파 탐색기) HACME: HEMT+ACME | 1988 | 1996 | 그라운드 | 남극 | 26–35; 38–45 | HEMT | 온도 음이소트로피 | [10][11] | |
남극고원 Anisotropy 추적 실험(APACHE) | 1995 | 1996 | 그라운드 | 남극 | 100, 150, 250 | 볼로미터 | 온도 음이소트로피 | [10] | |
우주론, 천체물리학 및 확산방출을 위한 절대 방사선계(ARCADE) | 2001 | 2006 | 풍선 | 3, 5, 7, 10, 30, 90 | HEMT | CMB 스펙트럼 | [10] | ||
아코프스 | 1999 | 2002 | 풍선 | 143, 217, 353, 545 | 볼로미터 | 큰 저울에서 정밀도를 개선하여 큰 저울과 중간 저울로 측정. | [10] | ||
아크미닛 우주 전압계 어레이 수신기(ACB)AR) | 2001 | 2008 | 그라운드 | 남극 | 150, 219, 274 | 볼로미터 | 온도 음이소트로피 | [10] | |
아크미닛 마이크로켈빈 이미저(AMI) | 2005 | — | 그라운드 | 영국: 멀러드 전파천문관측소 | 12-18 | 간섭계 | SZ 효과, 온도 음이소트로피 | [10] | |
Q U I JOint Tenerife (QUIZOTE) | 2012 | — | 그라운드 | 테네리페 | 11, 13, 17, 19, 30, 40 | 편광기 / OMT | 각도 척도에서의 양극화 | [10] | |
ARGO | 1988, 1990, 1993 | 1993 | 풍선 | 150-600 | 볼로미터 | [10] | |||
마이크로파 배경 음이소트로피(AMiBA) 배열 | 2007 | — | 그라운드 | 하와이: 마우나 로아 | 86-102 | 간섭계/MMIC | SZ 효과; 양극화 | [10][12][13] | |
Atacama B-Mode 검색(ABS) | 2012 | — | 그라운드 | 칠레: 아타카마 사막 | 145 | 볼로미터 | 양극화 | [10][14] | |
아타카마 우주 망원경(ACT) | 2008 | — | 그라운드 | 칠레: 아타카마 사막 | 148, 218, 277 | 볼로미터 | 소규모 온도 및 양극화 방지제 | [10] | |
아타카마 경로파인더 실험(APEX) | 2007 | — | 그라운드 | 칠레: 아타카마 사막 | 150, 217 | 볼로미터 | 온도 음이소트로피; SZ 효과 | [10] | |
오스트레일리아 망원경 콤팩트 어레이(ATCA) | 1991 | 1997 | 그라운드 |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의 폴 와일드 천문대 | 8.7 | HEMT | [10] | ||
배경 방출 비소트로피 스캐닝 망원경(BEAST) | 2000 | — | 풍선, 접지 | 25-35; 38-45 | HEMT | 캘리포니아 대학의 화이트 마운틴 피크 연구 스테이션에 있는 접지된 단일 요리 CMB 전망대. | [10] | ||
BICEP1 우주외극화의 배경 이미지 | 2006 | 2008 | 그라운드 | 남극 | 100, 150, 220 | 볼로미터 | 측정된 정도 척도 양극화 및 정밀도 향상 | [10][15] | |
BICEP2 | 2009 | 2012 | 그라운드 | 남극 | 150 | 볼로미터 | 도 척도 B-모드 양극화. | [10][16] | |
케크 배열 | 2010 | 그라운드 | 남극 | 95, 150, 220 | 볼로미터 | 도 척도 B-모드 양극화. | [10] | ||
BAM(Balloon-boret-Anisotropy Measurement) | 1995 | 1998 | 풍선 |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풍선 실험 | 110-250 | 분광계 | 차동 푸리에 변환 분광계를 사용하여 도 척도 비등도 측정 | [10][17] | |
하늘 극성 관측을 위한 풍선 전달 방사선계(BaR-SPoRT) | 취소된 | — | 풍선 | 32, 90 | 편광기 / OMT | [10] | |||
버클리-일리노이-메리랜드 협회(BIMA) | 1986 | 2004 | 그라운드 | 미국 캘리포니아 주, Hat Creek 라디오 전망대 | 70-116; 210-270 | 시스 | [10] | ||
BUMUMANG 실험 | 1997 | 2003 | 풍선 | 남극 상공의 장수풍선 | 90-420 | 볼로미터 | 중간척도변동 | [10] | |
B-모드 RADIION INterferometer(BRINE) | 결코 하지 않다 | — | 그라운드 | 돔-C, 남극 대륙 | [18] | ||||
클로버 | 취소된 | — | 그라운드 | 97, 150, 230 | 볼로미터 | 소규모 변동을 측정하고 B-모드 양극화를 검색하기 위한 취소된 실험. | [10] | ||
코브라 | 1982 | 1990 | 사운딩 로켓 |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 27-900 | 볼로미터/FTS | CMB 주파수 스펙트럼 | [19][20] | |
우주 양극화 매퍼(CAPMAP) | 2002 | 2008 | 그라운드 | 뉴저지 주 크로퍼드 힐 망원경 | 40, 90 | MMIC/HEMT | [10] | ||
우주 음이소트로피 망원경(CAT) | 1994 | 1997 | 그라운드 | 멀러드 전파천문관측소 | 13-17 | 간섭계 / HEMT | 하늘의 작은 지역에서 매우 작은 규모의 변동. | [10] | |
우주 배경 이미저(CBI) | 2000 | 2008 | 그라운드 | 칠레 차잔토르 천문대 | 26-36 | HEMT | 아주 작은 규모의 온도와 양극화는 작은 하늘의 한 구획에 있다. | [10][21] | |
CLASS(Cosmology Large Angular Scale Survey) | 2015 | — | 그라운드 | 칠레 차잔토르 천문대 | 40, 90, 150, 220 | TES 볼로미터 | 2 ~ 100의 다중 홀에서 B 모드 양극화 신호 | [10][22] | |
원시 인플레이션 양극화 탐색기(PIPER) | 미래 | — | 풍선 | 200, 270, 350, 800 | 테스 눈금계 | B 모드 양극화 신호 | [10][23] | ||
코스모소마스 | 1998 | 2007 | 그라운드 | 스페인 테네리페의 타이데 천문대 | 10-18 | HEMT | CMB 및 전경에 대한 원형 스캔 실험 | [10][24] | |
우주 배경 탐색기(COBE) | 1989 | 1993 | 공간 | 지구 궤도 | 31.5, 53, 90(DMR) | 온도 음이소트로피, 주파수 전력 스펙트럼, 태양계 및 은하 먼지 전경. | [10][25] | ||
우주 배경 탐색기(COBE) | 1989 | 1990 | 공간 | 지구 궤도 | 68-3000 200 주파수(FIRAS) | 눈금계 | CMB 스펙트럼, CMB 온도, CIB 스펙트럼,온도 음이소트로피, 주파수 전력 스펙트럼, 태양계 및 은하 먼지 전경. | [10][25] | |
트리스 | 1994 | 2001 | 그라운드 | 캄포 임페라토레 | 0.6, 0.82, 2.5 | CMB 주파수 전력 스펙트럼 | [10][26] | ||
나침반 | 2001 | 2001 | 그라운드 | 위스콘신 주 파인 블러프 | 26대 36 | HEMT | 각도 척도에서의 양극화 | [27] | |
우주유전자(CG) | 1999 | 2009 | 그라운드 | 러시아 코카서스 라탄-600 | 0.6에서 32까지 | HEMT | [10][28] | ||
도 각도 척도 간섭계(DASI) | 1999 | 2003 | 그라운드 | 남극 | 26-36 | HEMT | 각도 척도의 온도 및 편광 비등분율 | [10] | |
E 및 B 실험(EBEX) | 2012 | 2013 | 풍선 | 남극 | 150-450 | 볼로미터 | B-모드 양극화에서 IGB(인플레 중력파 배경) 신호 | [10][29] | |
극한 적외선 조사(FIRS) | 1989 | 1989 | 풍선 | 뉴멕시코 포트 섬너 국립과학풍선시설 | 170-680 | 볼로미터 | 큰 각도의 온도 비늘에 이등분한다. | [10][30] | |
KU-밴드 양극화 IDentifier(KUPID) | 2003 | — | 그라운드 | 뉴저지 주 크로퍼드 힐 망원경 | 12-18 | HEMT | [10][31] | ||
중규모 비등도 측정(MSAM) | 1992 | 1997 | 풍선 | 150-650 | 볼로미터 | [10] | |||
밀리미터 Anisotropy eXperiment IMAGE 어레이(MAXIMA) | 1995, 1998, 1999 | 1999 | 풍선 | 텍사스, 팔레스타인 근처 | 150-420 | 볼로미터 | 중간 규모 온도 변동. | [10] | |
밀리미터 간섭계(MINT) | 2001 | 2002 | 그라운드 | 칠레 세로 토코 | 145 | 시스 | 멀티폴 1500 주위의 온도 음이소트로피 | [10][32] | |
밀리미터-파형 볼로미터 간섭계(MBI-B) | 미래 | — | 그라운드 | 90 | 볼로미터 | [10] | |||
모바일 애니소트로피 망원경(MAT) | 1997, 1998 | 1998 | 그라운드 | 칠레 세로 토코 | 30-140 | HEMT / SIS | [10][33] | ||
대각영역(POLAR)의 편광관측 | 2000 | 2000 | 그라운드 | 미국 위스콘신 주 파인 블러프 | 26-46 | HEMT | 큰 각도 눈금에서의 양극화 | [10][34] | |
북극곰 | 2012 | — | 그라운드 | 차잔토르 고원(칠레) | 150 | 안테나 결합 TES | CMB 양극화.원시 및 렌즈 B-모드. | [10] | |
폴라트론 | 결코 하지 않다 | — | 그라운드 | 100 | 볼로미터 | [10] | |||
Princeton I, Q 및 U 실험(PIQ)UE) | 2002 | 2002 | 그라운드 | 프린스턴 대학교 | 90 | 볼로미터 | [10] | ||
파이톤 | 1992 | 1997 | 그라운드 | 남극 | 30-90 | HEMT/볼로미터 | 중간 각도 척도에서의 온도 비등분 | [10][35] | |
QMAP | 1996 | 1996 | 풍선 | 30-140 | HEMT / SIS | [10][36] | |||
쿼드 | 2005 | 2007 | 그라운드 | 남극 | 100, 150 | 볼로미터 | 중간 각도 척도에서의 양극화 | [10] | |
큐빅 | 미래 | — | 그라운드 | 150, 220 | 볼로미터 | 중간 각도 척도의 B-모드 양극화 | [필요하다] | ||
Q/U 영상 실험(QUIET) | 2008 | 2010 | 그라운드 | 칠레 차잔토르 천문대 | 40, 90 | HEMT | [10][37] | ||
RELITKT-1 | 1983 | 1984 | 공간 | 지구 궤도 | 37 | 온도 음이소트로피 | [10] | ||
사스카툰 실험 | 1993 | 1995 | 그라운드 | 서스캐처원 | 26-46 | HEMT | [10] | ||
시몬스 천문대 | 2021 | - | 그라운드 | 아타카마 | 27/39, 93/145, 225/280GHz | 눈금계 | B-모드 양극화, SZE 은하단, 출처 | [38] | |
하늘 양극화 전망대(SPort) | 취소된 | — | 공간 | 국제우주정거장 | 22-90 | 양극화 | [10] | ||
남극 망원경 | 2006 | 그라운드 | 남극 | 소규모 온도 및 양극화. | [10] | ||||
스파이더 | 2015 | 풍선 | 남극 | 90, 150, 220 | 볼로미터 | 대규모 양극화. | [10] | ||
선예프 젤도비치 어레이(SZA) | 2004 | 2008 | 그라운드 | 오웬스 계곡 전파 전망대 | 26-36; 85-115 | 간섭계 | l ~ 4000에서 민감한 CMB 음이소트로피 제약조건을 생성하여 수백 개의 은하단에서 SZ 효과를 측정하였다.이제 CARMA의 일부 | [10] | |
90기가헤르츠용 MULTxed Squid/Tes 배열(MUSTANG/MUSTANG2) | 2007 | — | 그라운드 | 그린 뱅크 망원경(미국 웨스트버지니아 주) | 90 | 테스 눈금계 | 선예프 젤도비치 효과(비CMB 작업에도 사용) | [10] | |
선예프 젤도비치 적외선 실험(SuZ)IE) | 1996 | — | 그라운드 | 하와이 마우나케아 칼텍 서브밀리미터 전망대 | 150, 220, 350 | 볼로미터 | SZ 효과 | [10] | |
테네리페 실험 | 1984 | 2000 | 그라운드 | 테네리페 | 10, 15, 33 | HEMT | 온도 음이소트로피 도에서 아크 분 단위의 각도 척도 | [10] | |
톱햇 | 2001 | 2001 | 풍선 | 남극 | 150-720 | 볼로미터 | [10][39][40] | ||
초소형 배열 | 2002 | 2008 | 그라운드 | 테네리페 | 26-36 | 간섭계 / HEMT | 하늘 작은 지역의 중·소규모 변동. | [10][41] | |
WMAP(Wilkinson Micropean Anisotropy Probe) | 2001 | 2010 | 공간 | 라그랑주 2 | 23-94 | HEMT | 온도 음이소트로피; 양극화 | [10] | |
플랑크 | 2009 | 2013 | 공간 | 라그랑주 2 | 30-857 | HEMT/볼로미터 | 온도 및 양극화 음이소트로피; 전경 | [10] |
참조
- ^ "A Brief History of Background Radiation". WMAP image gallery. Nasa GSFC. Retrieved 26 July 2015.
- ^ a b Galli, Silvia; Melchiorri, Alessandro; Pagano, Luca; Sherwin, Blake D.; Spergel, David N. (December 2010). "Constraining fundamental physics with future CMB experiments". Phys. Rev. D. 82 (12): 123504. arXiv:1005.3808. Bibcode:2010PhRvD..82l3504G. doi:10.1103/PhysRevD.82.123504. S2CID 118531614.
- ^ a b Lawrence, Charles (April 2006). Ongoing and future ground-based and balloon-borne CMB temperature and polarization experiments. CMB and Physics of the Early Universe (CMB2006). Ischia, Italy: Proceedings of Science. p. 12. Bibcode:2006cmb..confE..12L.
- ^ a b c Hanany, Shaul; Niemack, Michael D.; Page, Lyman (2013). "CMB Telescopes and Optical Systems". Planets, Stars and Stellar Systems. pp. 431–480. arXiv:1206.2402. Bibcode:2013pss1.book..431H. doi:10.1007/978-94-007-5621-2_10. ISBN 978-94-007-5620-5. S2CID 119280576.
- ^ Readhead, A (2004). "Polarization Observations with the Cosmic Background Imager". Science. 306 (5697): 836–844. arXiv:astro-ph/0409569. Bibcode:2004Sci...306..836R. doi:10.1126/science.1105598. PMID 15472038. S2CID 9234000.
- ^ Olive, K.A. (2014). "Review of Particle Physics". Chinese Physics C. 38 (9): 090001. arXiv:1412.1408. Bibcode:2014ChPhC..38i0001O. doi:10.1088/1674-1137/38/9/090001. ISSN 1674-1137.
- ^ a b Tegmark, Max (1997). "CMB mapping experiments: A designer's guide". Physical Review D. 56 (8): 4514–4529. arXiv:astro-ph/9705188. Bibcode:1997PhRvD..56.4514T. doi:10.1103/PhysRevD.56.4514. ISSN 0556-2821. S2CID 31148200.
- ^ a b Smoot, George F. (2000). "CMB anisotropy experiments". Physics Reports. 333–334: 269–308. Bibcode:2000PhR...333..269S. doi:10.1016/S0370-1573(00)00026-0. ISSN 0370-1573.
- ^ Errard, J; et al. (10 August 2015). "Modeling atmospheric emission for CMB ground-based observations". Astrophysical Journal. 809 (1): 63. arXiv:1501.07911. Bibcode:2015ApJ...809...63E. doi:10.1088/0004-637X/809/1/63. S2CID 118428880.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ar as at au av aw ax ay az ba bb bc bd be bf bg bh bi bj bk "LAMBDA — CMB Experiments". 2012-12-07. Retrieved 2015-07-21.
- ^ Schuster, Jeffrey; Gaier, Todd; Gundersen, Joshua; Meinhold, Peter; Hoch, Timothy; Seiffert, Michael; Wuensche, Carlos A.; Lubin, Philip (1993). "Cosmic background radiation anisotropy at degree angular scales - Further results from the South Pole".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412: L47–L50. Bibcode:1993ApJ...412L..47S. doi:10.1086/186937. ISSN 0004-637X.
- ^ Ho, Paul; et al. (2009). "The Yuan-Tseh Lee Array for Microwave Background Anisotropy". The Astrophysical Journal. 694 (2): 1610–1618. arXiv:0810.1871. Bibcode:2009ApJ...694.1610H. doi:10.1088/0004-637X/694/2/1610. S2CID 118574112.
- ^ Wu, Jiun-Huei Proty; et al. (2008). "AMiBA Observations, Data Analysis and Results for Sunyaev-Zel'dovich Effects". arXiv:0810.1015 [astro-ph].
- ^ Simon, S.M.; et al. (ABS collaboration) (June 2013). Early Results from the First Year of Observations by the Atacama B-mode Search (ABS). AAS Meeting #222, #119.06.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Bibcode:2013AAS...22211906S.
- ^ Barkats, Denis; Aikin, R.; Bischoff, C.; Buder, I.; Kaufman, J. P.; Keating, B. G.; Kovac, J. M.; Su, M.; Ade, P. A. R.; Battle, J. O.; Bierman, E. M.; Bock, J. J.; Chiang, H. C.; Dowell, C. D.; Duband, L.; Filippini, J.; Hivon, E. F.; Holzapfel, W. L.; Hristov, V. V.; Jones, W. C.; Kuo, C. L.; Leitch, E. M.; Mason, P. V.; Matsumura, T.; Nguyen, H. T.; Ponthieu, N.; Pryke, C.; Richter, S.; Rocha, G.; Sheehy, C.; Kernasovskiy, S. S.; Takahashi, Y. D.; Tolan, J. E.; Yoon, K. W.; et al. (BICEP1 collaboration) (March 2014). "Degree-scal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Polarization Measurements from Three Years of BICEP1 Data". Astrophysical Journal. 783 (2): 67. arXiv:1310.1422. Bibcode:2014ApJ...783...67B. doi:10.1088/0004-637X/783/2/67. S2CID 18249581.
- ^ Ade, P. A. R.; Aikin, R. W.; Amiri, M.; Barkats, D.; Benton, S. J.; Bischoff, C. A.; Bock, J. J.; Brevik, J. A.; Buder, I.; Bullock, E.; Davis, G.; Day, P. K.; Dowell, C. D.; Duband, L.; Filippini, J. P.; Fliescher, S.; Golwala, S. R.; Halpern, M.; Hasselfield, M.; Hildebrandt, S. R.; Hilton, G. C.; Irwin, K. D.; Karkare, K. S.; Kaufman, J. P.; Keating, B. G.; Kernasovskiy, S. A.; Kovac, J. M.; Kuo, C. L.; Leitch, E. M.; Llombart, N.; Lueker, M.; Netterfield, C. B.; Nguyen, H. T.; O'Brient, R.; Ogburn, R. W.; Orlando, A.; Pryke, C.; Reintsema, C. D.; Richter, S.; Schwarz, R.; Sheehy, C. D.; Staniszewski, Z. K.; Story, K. T.; Sudiwala, R. V.; Teply, G. P.; Tolan, J. E.; Turner, A. D.; Vieregg, A. G.; Wilson, P.; Wong, C. L.; Yoon, K. W.; et al. (BICEP1 collaboration) (2014). "BICEP2. II. Experiment and three-year data set". The Astrophysical Journal. 792 (1): 62. arXiv:1403.4302. Bibcode:2014ApJ...792...62B. doi:10.1088/0004-637X/792/1/62. ISSN 1538-4357. S2CID 18486247.
- ^ "Balloon-Borne Anisotropy Measurement (BAM)". Brown University. 2002. Retrieved 22 July 2015.
- ^ Polenta, G.; P. A. R., Ade; J., Bartlett; E., Bréelle; L., Conversi; P., de Bernardis; C., Dufour; M., Gervasi; M., Giard; C., Giordano; Y., Giraud-Heraud; B., Maffei; S., Masi; F., Nati; A., Orlando; S., Peterzen; F., Piacentini; M., Piat; L., Piccirillo; G., Pisano; R., Pons; C., Rosset; G., Savini; G., Sironi; A., Tartari; M., Veneziani; M., Zannoni (March 2007). "The BRAIN CMB polarization experiment" (PDF). New Astronomy Reviews. 51 (3–4): 256. Bibcode:2007NewAR..51..256P. doi:10.1016/j.newar.2006.11.065. hdl:10281/3018.
- ^ Gush, H.P.; Halpern, M. (1992). "Cooled submillimeter Fourier transform spectrometer flown on a rocket". Rev. Sci. Instrum. 63 (6): 3249. Bibcode:1992RScI...63.3249G. doi:10.1063/1.1142534.
- ^ Gush, H.P.; Halpern, M.; Wishnow, E.H. (July 1990). "Rocket measurement of the cosmic-background-radiation mm-wave spectrum". Phys. Rev. Lett. 65 (5): 537–540. Bibcode:1990PhRvL..65..537G. doi:10.1103/PhysRevLett.65.537. PMID 10042948.
- ^ Taylor, Angela C.; Jones, Michael E.; Allison, James R.; Angelakis, Emmanouil; Bond, J. Richard; Bronfman, Leonardo; Bustos, Ricardo; Davis, Richard J.; Dickinson, Clive; Leech, Jamie; Mason, Brian S.; Myers, Steven T.; Pearson, Timothy J.; Readhead, Anthony C. S.; Reeves, Rodrigo; Shepherd, Martin C.; Sievers, Jonathan L. (2011). "The Cosmic Background Imager 2".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8 (4): 2720–2729. arXiv:1108.3950. Bibcode:2011MNRAS.418.2720T. doi:10.1111/j.1365-2966.2011.19661.x. ISSN 0035-8711. S2CID 2703946.
- ^ Essinger-Hileman, Thomas; Ali, Aamir; Amiri, Mandana; Appel, John W.; Araujo, Derek; Bennett, Charles L.; Boone, Fletcher; Chan, Manwei; Cho, Hsiao-Mei; Chuss, David T.; Colazo, Felipe; Crowe, Erik; Denis, Kevin; Dünner, Rolando; Eimer, Joseph; Gothe, Dominik; Halpern, Mark; Harrington, Kathleen; Hilton, Gene; Hinshaw, Gary F.; Huang, Caroline; Irwin, Kent; Jones, Glenn; Karakla, John; Kogut, Alan J.; Larson, David; Limon, Michele; Lowry, Lindsay; Marriage, Tobias; Mehrle, Nicholas; Miller, Amber D.; Miller, Nathan; Moseley, Samuel H.; Novak, Giles; Reintsema, Carl; Rostem, Karwan; Stevenson, Thomas; Towner, Deborah; U-Yen, Kongpop; Wagner, Emily; Watts, Duncan; Wollack, Edward; Xu, Zhilei; Zeng, Lingzhen; et al. (CLASS Collaboration) (23 July 2014). Holland, Wayne S; Zmuidzinas, Jonas (eds.). "CLASS: the cosmology large angular scale surveyor". Proc. SPIE 9153, Millimeter, Submillimeter, and Far-Infrared Detectors and Instrumentation for Astronomy VII. Millimeter, Submillimeter, and Far-Infrared Detectors and Instrumentation for Astronomy VII. 9153: 91531I. arXiv:1408.4788. Bibcode:2014SPIE.9153E..1IE. doi:10.1117/12.2056701. S2CID 13691600.
- ^ Lazear, Justin; Ade, Peter A. R.; Benford, Dominic; Bennett, Charles L.; Chuss, David T.; Dotson, Jessie L.; Eimer, Joseph R.; Fixsen, Dale J.; Halpern, Mark; Hilton, Gene; Hinderks, James; Hinshaw, Gary F.; Irwin, Kent; Jhabvala, Christine; Johnson, Bradley; Kogut, Alan; Lowe, Luke; McMahon, Jeff J.; Miller, Timothy M.; Mirel, Paul; Moseley, S. Harvey; Rodriguez, Samelys; Sharp, Elmer; Staguhn, Johannes G.; Switzer, Eric R.; Tucker, Carole E.; Weston, Amy; Wollack, Edward J. (2014). "The Primordial Inflation Polarization Explorer (PIPER)". In Holland, Wayne S; Zmuidzinas, Jonas (eds.). Millimeter, Submillimeter, and Far-Infrared Detectors and Instrumentation for Astronomy VII. Vol. 9153. pp. 91531L. arXiv:1407.2584. doi:10.1117/12.2056806. S2CID 2510422.
- ^ "The COSMOSOMAS Experiment (1998-2007)". Instituto de Astrofísica de Canarias. Retrieved 24 July 2015.
- ^ a b "Cosmic Background Explorer". LAMBDA. Goddard Spaceflight Center.
- ^ Zannoni, M.; Tartari, A.; Gervasi, M.; Boella, G.; Sironi, G.; De Lucia, A.; Passerini, A.; Cavaliere, F. (2008). "TRIS. I. Absolute Measurements of the Sky Brightness Temperature at 0.6, 0.82, and 2.5 GHz". The Astrophysical Journal. 688 (1): 12–23. arXiv:0806.1415. Bibcode:2008ApJ...688...12Z. doi:10.1086/592133. S2CID 55948501.
- ^ Farese, Philip C.; Dall’Oglio, Giorgio; Gundersen, Joshua O.; Keating, Brian G.; Klawikowski, Slade; Knox, Lloyd; Levy, Alan; Lubin, Philip M.; O’Dell, Chris W.; Peel, Alan; Piccirillo, Lucio; Ruhl, John; Timbie, Peter T. (2004). "COMPASS: An Upper Limit on Cosmic Microwave Background Polarization at an Angular Scale of 20′". The Astrophysical Journal. 610 (2): 625–634. arXiv:astro-ph/0308309. Bibcode:2004ApJ...610..625F. doi:10.1086/421837. ISSN 0004-637X.
- ^ Parijskij, Yu. N.; Mingaliev, M. G.; Nizhel’skii, N. A.; Bursov, N. N.; Berlin, A. B.; Grechkin, A. A.; Zharov, V. I.; Zhekanis, G. V.; Majorova, E. K.; Semenova, T. A.; Stolyarov, V. A.; Tsybulev, P. G.; Kratov, D. V.; Udovitskii, R. Yu.; Khaikin, V. B. (2011). "Multi-frequency survey of background radiations of the Universe. The "Cosmological Gene" project. First results". Astrophysical Bulletin. 66 (4): 424–435. Bibcode:2011AstBu..66..424P. doi:10.1134/S1990341311040043. ISSN 1990-3413. S2CID 123152017.
- ^ MacDermid, Kevin; EBEX Collaboration (2014-07-23). Holland, Wayne S.; Zmuidzinas, Jonas (eds.). "The performance of the bolometer array and readout system during the 2012/2013 flight of the E and B experiment (EBEX)". Proc. SPIE 9153, Millimeter, Submillimeter, and Far-Infrared Detectors and Instrumentation for Astronomy VII. Millimeter, Submillimeter, and Far-Infrared Detectors and Instrumentation for Astronomy VII. 9153: 915311. arXiv:1407.6894. Bibcode:2014SPIE.9153E..11M. doi:10.1117/12.2056267. S2CID 118399923.
- ^ Meyer, Stephan S.; Cheng, Edward S.; Page, Lyman A. (1991). "A measurement of the large-scal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anisotropy at 1.8 millimeter wavelength". The Astrophysical Journal. 371: L7. Bibcode:1991ApJ...371L...7M. doi:10.1086/185989. ISSN 0004-637X.
- ^ "Ku-band Polarization Identifier at the University of Miami". University of Miami.
- ^ Fowler, J. W.; Doriese, W. B.; Marriage, T. A.; Tran, H. T.; Aboobaker, A. M.; Dumont, C.; Halpern, M.; Kermish, Z. D.; Loh, Y.-S.; Page, L. A.; Staggs, S. T.; Wesley, D. H. (2005). "CMB Observations with a Compact Heterogeneous 150 GHz Interferometer in Chile".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156 (1): 1–11. arXiv:astro-ph/0403137. Bibcode:2005ApJS..156....1F. doi:10.1086/426393. S2CID 10422803.
- ^ "The MAT Experiment". Archived at NASA GSFC.
- ^ O'Dell, Chris. "POLAR: Polarization Observations of Large Angular Regions". Archived at NASA GSFC. Retrieved 25 July 2015.
- ^ "CARA Science: Python". University of Chicago.
- ^ Page, Lyman; de Oliveira-Costa, Angelica. "QMAP". Princeton University. Retrieved 25 July 2015.
- ^ "QUIET: Site". QUIET collaboration. 27 January 2008. Retrieved 2015-07-23.
- ^ "Hunt for Big Bang Gravitational Waves Gets $40-Million Boost". Scientific American. Retrieved 5 March 2017.
- ^ Silverberg, Robert F.; Aguirre, James; Bezaire, Jeff; Cheng, Edward S.; Christensen, Per Rex; Cordone, Shawn; Cottingham, David A.; Crawford, Thomas; Fixsen, Dale J.; Kenny, P.; Knox, Lloyd; Kristensen, Rene Engel; Meyer, Stephan; Noergaard-Nielsen, Hans Ulrich; Timbie, Peter T.; Wilson, Grant W.; et al. (TopHat Collaboration) (2003). Melugin, Ramsey K; Roeser, Hans-Peter (eds.). "The long duration flight of the TopHat experiment". Proc. SPIE 4857, Airborne Telescope Systems II. Airborne Telescope Systems II. 4857: 195–204. Bibcode:2003SPIE.4857..195S. doi:10.1117/12.458649. S2CID 6509369.
- ^ Silverberg, R.F.; E. S., Cheng; J. E., Aguirre; J. J., Bezaire; T. M., Crawford; S. S., Meyer; A., Bier; B., Campano; T. C., Chen; D. A., Cottingham; E. H., Sharp; P. R., Christensen; S., Cordone; P. T., Timbie; R. E., Dame; D. J., Fixsen; R. J. K., Kristensen; H. U., Nørgaard-Nielsen; G. W., Wilson; et al. (TopHat Collaboration) (September 2005). "The TopHat Experiment: A Balloon-borne Instrument for Mapping Millimeter and Submillimeter Emiss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160 (1): 59–75. Bibcode:2005ApJS..160...59S. doi:10.1086/432117.
- ^ Tibbs, Christopher T.; Watson, Robert A.; Dickinson, Clive; Davies, Rodney D.; Davis, Richard J.; del Burgo, Carlos; Franzen, Thomas M. O.; Genova-Santos, Ricardo; Grainge, Keith; Hobson, Michael P. (2010). "VSA Observations of the Anomalous Microwave Emission in the Perseus Region". Mon. Not. R. Astron. Soc. 402 (3): 1969–1979. arXiv:0909.4682. Bibcode:2010MNRAS.402.1969T. doi:10.1111/j.1365-2966.2009.16023.x. S2CID 18987830.
추가 읽기
- NASA, 2015, "LAMBDA: CMB 실험에 대한 호스트 데이터" 참조 [1], 2015년 3월 27일에 액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