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숨
Hassum하숨(Kashshum, ḫashsum, Hassu, Hassuwa 또는 Hazuwan으로도 주어짐)[2]은 후리아 도시국가로서,[1] 아마도 카르케미시 북쪽 유프라테스 강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역사
얼리 브론즈
이 도시는 에블라의 신하로서, 에블라 타블렛에서 하수완으로 언급되어, 자신의 왕에 의해 통치되었다.[3] 그것은 기원전 24세기 에블라의 이르캅-다무가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회복하기 전까지 짧은 기간 동안 마리의 영향을 받았으며,[4][5] 기원전 2240년 아카드인들의 정복에서 살아남아 기원전 2천년대의 전반기에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다.[6]
미들 브론즈
기원전 18세기 초 하숨은 야둔-림 마리에 대항하여 야하드와 동맹을 맺었으며,[7] 이후 야하드가 잘마쿰(유프라테스 강과 발리크 강 하류 사이의 습지 지역)에 있는 왕국에 대항하여 야하드를 도왔으나,[8] 마리를 합병한 후 앗시리아의 샴시-아닷 1세로 동맹을 전환하였다. 성읍은 그에게 1000명의 병력을 보내 야하드의 스스무에푸를 공격하게 했다.[9][10] 이후 야림림림 1세는 하숨의 패권을 장악하고, 도시는 히타이트 정복 때까지 야하드에 예속되었다.[11]
히타이트 정복
야마드와의 전쟁 과정에서 알랄락과 우르슈를 멸망시킨 히타이트족의 하투실리 1세는 6년(기원전 1644년경, 중간 연대기)에 하숨 쪽으로 향했다. 야림림림 3세는 중무장한 군단장 주크라시 장군 휘하에서 만다군 사령관 자루디스 장군과 함께 군대를 보냈다. 그들은 하스숨의 군대와 연합한 [12]뒤 아탈루르산 전투가 이어졌다(아탈루르는 아마누스 산맥에서 그리 멀지 않은 알레포 북쪽에 위치해 쿠르드-다그 산맥과 동일시할 수 있다).[13][14] 하투실리는 적을 멸망시키고, 나아가 화형하여 하섬을 약탈하였다. 시민들은 히타이트족에 맞서 세 번이나 병력을 집결시켰으나 [15]하투실리는 도시를 약탈하고 테슈브 신과 그의 아내 헤밧, 그리고 테슈브의 황소인 은황소 한 쌍의 지위를 빼앗은 [16]뒤 하투사로 끌고 가서 아리나 신전에 보관되어 있었다.[17][18] 하숨 왕은 사로잡혀 굴욕을 당하여, 자기 성읍의 약탈물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마차 중 하나에 매여 히타이트 수도로 끌려갔다.[19]
후기 브론즈
그로부터 한 세기 후, 히타이트 왕 텔리피누(기원전 1500년)는 하섬을 주적으로 언급하고 도시를 파괴한다.[2][20][21]
참고 항목
참조
인용하다.
- ^ Roland de Vaux (1978). The early history of Israel, Volume 2. p. 65. ISBN 9780232512427.
- ^ a b Trevor Bryce (10 September 2009). The Routledge Handbook of the Peoples and Places of Ancient Western Asia. p. 295. ISBN 9781134159086.
- ^ Pelio Fronzaroli (1984). Lingua di Ebla e la linguistica semitica. p. 237.
- ^ Mario Liverani (4 December 2013). The Ancient Near East: History, Society and Economy. p. 202. ISBN 9781134750917.
- ^ Horst Klengel (20 March 1992). Syria, 3000 to 300 B.C.: a handbook of political history. p. 28. ISBN 9783050018201.
- ^ E. J. Peltenburg (2007). Euphrates River Valley Settlement: The Carchemish Sector in the Third Millennium Bc. p. 157. ISBN 9781842172728.
- ^ Yuhong Wu (1994). A Political History of Eshnunna, Mari and Assyria During the Early Old Babylonian Period: From the End of Ur III to the Death of Šamši-Adad. p. 131.
- ^ Sidney Smith (1956). Anatolian Studies: Journal of the British Institute of Archaeology at Ankara. Special number in honour and in memory of John Garstang, 5th May, 1876 - 12th September, 1956, Volume 6. p. 38.
- ^ J. R. Kupper.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Northern Mesopotamia and Syria. p. 19.
- ^ Jack M. Sasson (1969). The Military Establishments at Mari. p. 44.
- ^ Gordon Douglas Young (1981). Ugarit in Retrospect: Fifty Years of Ugarit and Ugaritic. p. 7. ISBN 9780931464072.
- ^ Robert Drews (1993). The End of the Bronze Age: Changes in Warfare and the Catastrophe Ca. 1200 B.C. p. 106. ISBN 0691025916.
- ^ Shigeo Yamada (January 2000). The Construction of the Assyrian Empire. p. 105. ISBN 9004117725.
- ^ Michael C. Astour (1967). Hellenosemitica: an ethnic and cultural study in west Semitic impact on Mycenaean Greece. p. 388.
- ^ Trevor Bryce (21 August 2007). Hittite Warrior. p. 43. ISBN 9781846030819.
- ^ Roland de Vaux (1978). The early history of Israel, Volume 2. p. 66. ISBN 9780232512427.
- ^ J. R. Kupper.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Northern Mesopotamia and Syria. p. 38.
- ^ William J. Hamblin (27 September 2006). Warfare in the Ancient Near East to 1600 BC. p. 287. ISBN 9781134520626.
- ^ Trevor Bryce (1999). The Kingdom of the Hittites. p. 83. ISBN 9780199240104.
- ^ Harry A. Hoffner; Gary M. Beckman; Richard Henry Beal; John Gregory McMahon (January 2003). Hittite Studies in Honor of Harry A. Hoffner Jr. p. 10. ISBN 9781575060798.
- ^ Albrecht Götze (1980). Kizzuwatna and the problem of Hittite geography. p. 72. ISBN 9780404603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