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헤넌
John Hennon![]() |
존(Johannes) 헤논(Hennon, 1484년 이후 사망)은 후기 스콜라스틱 전통의 네덜란드의 중세 철학자였다. 니즈메겐 출신으로 파리 대학에서 공부했는데, 그곳에서 사크라 파기나 (1463년)의 마그스터 아르티움과 바칼로레우스 포마투스를 받았다.
파리의 학생으로서 헤논은 오캄의 윌리엄과 로저 베이컨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 리브로스의 코멘타리인 아리스토텔레스 리브로스 피르토룸에 있는 코멘타리(Commitari)에 대한 라틴어 논평을 썼는데, 17세기 출처가 믿어진다면 1473년 10월 1일에 완성되었다.[1] 중세 말기의 과학의 상태를 살펴보면, 르시스테메 뒤 몽데에서 물리학자, 역사학자, 철학자 피에르 듀헴은 허논의 진공과 다원적 세계관을 고립시킨다.
헤논은 자연이 진공을 싫어하고 따라서 신이 진공을 창조할 수는 있지만 자연적인 공허는 불가능하다고 믿었다. 그러나 공백은 아무것도 없는 표면 사이의 양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차 있을 때 있는 것과 동일한 두 표면 사이에 신체가 삽입될 수 있는 용량(잠재성)으로 정의된다. Hennon은 얼음이 액체 물보다 밀도가 높고, 자연이 진공을 싫어하기 때문에 물이 담긴 밀봉된 꽃병이 얼 때 부서질 것이라고 단언한다. 그는 더 나아가 두 개의 매끄러운 판을 분리할 수 없을 것이라고 믿는다. 두 판 사이에 약간의 공기가 남아 있지 않는 한, 그 사이에 충분한 힘으로 판이 분리될 수 있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헤논은 다수의 세계에서 덜 독창적인데, 여기서 그는 리브로스 데 카엘로 에 문도(Libros de Caelo et Mundo)에서 작센의 퀴스티네스 알베르트에서 문자 그대로 빌린다. 그는 알베르트와 존 부리단의 뒤를 따르며, 세계의 다양성은 모순되지 않으며 따라서 신의 전지전능을 통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사실, 헤논은 무한과 크기 사이의 모순을 발견하지 못하기 때문에 신은 무한한 수의 존재를 창조할 수 있다. 듀헴은 헤논의 지장 드 카엘로 엣 문도를 분석한 결과 헤논이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을 공격하기 위해 스테판 템피어의 1277년의 비난에 의존했고, 따라서 지구가 움직일 수 없는 위치에 있다고 주장한다.[2]
메모들
- ^ 이 원고는 프랑스 국립 비블리오테크 국립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라틴어, 6529호. 논평은 17세기에 누군가가 다음과 같이 쓴 엽서 4r에 시작한다. 아리스토텔리스 리브로스의 Magistri Johannis Hennon Commentarii, parva naturalis et meteyisicam, endti die prima optobris anno 1473, ut ut habet uita pagina hjus libri.
- ^ Hennon은 Quod Deus non posset movere Caelum motus corto, error: "그 신은 직선으로 하늘을 움직일 수 없었다, 오류"라는 구체적인 비난 기사를 말한다.
원천
- 듀헴, 피에르, 로저 아리우, 에드, 트랜스 1985. 중세 우주론: 인피니티, 장소, 시간, 보이드 및 다원성의 이론. 시카고: 시카고 대학 출판부. .mw-parser-output cite.citation{font-style:상속}.mw-parser-output .citation q{인용:")"""\"""'""'"}.mw-parser-output.id-lock-freea,.mw-parser-output .citation.cs1-lock-free a{배경: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5/Lock-green.svg")right 0.1emcenter/9pxno-repeat}.mw-parser-outpu.a,.mw-parser-output .citation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registration a{배경: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6/Lock-gray-alt-2.svg")right 0.1emcenter/9pxno-repeat}.mw-parser-output .id-lock-su .cs1-lock-limited Ta,.mw-parser-output .id-lock-registration .id-lock-limited.Bscription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subscription a{배경: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a/Lock-red-alt-2.svg")right 0.1emcenter/9pxno-repeat}.mw-parser-output.cs1-subscription,.mw-parser-output .cs1-registration{색:#555}.mw-parser-output .cs1-subscription span,.mw-.Parser-output .cs1-registration span{border-bottom:1px에 떠다녀;커서: 도와 주}.mw-parser-output .cs1-ws-icon a{배경: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c/Wikisource-logo.svg")right 0.1emcenter/12pxno-repeat}.mw-parser-output code.cs1-code{.색상:상속을 하다;배경:상속을 하다;국경 아무 것도 없고 패딩:상속을 하다}.mw-parser-output .cs1-hidden-error{디스플레이:아무도, font-size:100%}.mw-parser-output .cs1-visible-error{:100%font-size}.mw-parser-output .cs1-maint{디스플레이:아무도, 색:#33aa33, margin-left:0.3em}.mw-parser-output .cs1-format{:95%font-size}.mw-parser-output .cs1-kern-left,.mw-parser-output .cs1.0-226-16922-7 .mw-selflink{font-weight:상속}ISBN -kern-wl-left{padding-left:0.2em}.mw-parser-output.cs1-kern-right,.mw-parser-output .cs1-kern-wl-right{padding-right:0.2em}.mw-parser-output .citation.
추가 읽기
- Bakker, Paul J. J. M. 2005. "15세기 말 파리의 자연철학과 형이상학. 나: 요하네스 헤논의 아리스토텔레스 논평." Bulletin de Velicie Médiévale, 47:125–155.
- 플루타, 올라프 2003. "존 헤논의 질문 Utrum anima rialis는 불멸의 존재다." 비율 및 미신: 그라지야 페데리시 베스코비니의 명예를 위한 에세이 지안카를로 마르체티, 오르솔라 리냐니, 발레리아 소르게, edd. Textes et Etudes du Moyen Ege, 24세 루바인-라-뉴브: 국제박람회 국제학술원, 197–219. 데투데스 메디아발레스.
- 플루타, 올라프 2007. "마음이 되는 방법: 중세 후기 출현 이론" 마음 형성: 아비센나에서 의학 계몽에 이르기까지 내적 감각과 마음/신체 문제에 관한 에세이 헨리크 라거룬드, 에드 마음의 철학사 연구, 5. 스프링거 네덜란드, ISBN 978-1-4020-6084-7, 149–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