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리 타라스콘
Jean-Marie Tarascon장마리 타라스콘 | |
---|---|
![]() 2014년 장마리 타라스콘, 왕립학회를 거쳐 초상화 | |
태어난 | 1953년 (68~69세)[1] |
국적 | 프랑스어 |
모교 |
|
수상 | |
과학 경력 | |
필드 | |
기관 | |
웹사이트 | www |
Jean-Marie Tarascon FRSC는 파리의 Collége de France에서 화학 교수로, 프랑스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 연구 네트워크(RS2E)의 이사다.[14][15][16][17]
교육
타라스콘은 보르도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981년 물리학 및 화학 분야의 제네랄, 화학 공학 석사, 고체 화학 분야의 박사 학위를 받았다.[1][2]
경력
그의 박사학위에 이어 타라스콘은 코넬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를 했다.[13]그는 1982년부터 1994년까지 벨 연구소와[10][11] 벨코어에서[12] 일하다가 1994년 피카르디 쥘 베른 대학교로 옮겼다.그는 2010년부터 프랑스 대학에 다니고 있다.그는 또한 UPJV, Amiens가 전 세계 7개 대학과 연합하여 주최하는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에너지 저장 및 변환을 위한 재료"에서 명망 있는 에라스무스 문두스 석사 과정의 기초를 다진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리서치
타라스콘의 연구는[18] 초전도체, 페로 전기, 불소 유리, 충전식 배터리[19], 거대한 자기저항과 같은 새로운 전자 현상과 물질의 합성을 조사한다.[20]그는 초전도성에 많은 기여를 했으며 얇고 유연한 플라스틱 리튬 이온 배터리의 원래 지지자였다.[21][22][23]
수상 및 명예
타라스콘은 2014년 영국 왕립학회(ForMemRS)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그의 지명은 다음과 같다.[3]
장마리 타라스콘은 에너지 변환과 저장 장치의 재료 화학에서 뛰어난 리더십과 고온 초전도체에 대한 정석적 연구로 유명하다.기존의 리튬이온전지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전극 반응 프로세스에 대한 그의 선구적 연구, 분자 전극에 대한 연구, 플라스틱 배터리의 실현 등은 현장에서 사고방식을 바꿔놓았다.
타라스콘은 2002년 뉴저지 발명가 명예의 전당으로부터 영예를 안았다.[24]2005년 아카데미에 데스 사이언스 후보에 올랐고, 2008년 피카르디 쥘 베른(UPJV) 대학 금메달리스트를 지냈다.[25]2011년 ENI 환경 보호상을 수상하였다.[2]2015년에 그는 왕립 화학 협회 백주년 상을 받았다.[26]2017년에는 에릭과 쉴라 샘슨 교통 대체연료 혁신상 수상자 2명 중 한 명이었다.[27]그는 CNRS 혁신 메달 후보 5명 중 한 명이었다.[28]2020년에 그는 환경 도전으로 발잔 상을 받았다.재생 에너지 재료 과학.[29]
참조
- ^ a b 장마리 타라스콘 CV, 프랑스 아카데미 데 사이언스 연구소
- ^ a b c 장 마리 타라스콘, 피카르디 줄스 베르네 대학, eni.com
- ^ a b "Professor Jean-Marie Tarascon ForMemRS". London: The Roy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5-02.
- ^ "Fellows (FRSC)". The Times. 27 October 2015. p. 57.
- ^ Dunn, B; Kamath, H; Tarascon, J. M. (2011). "Electrical energy storage for the grid: A battery of choices". Science. 334 (6058): 928–35. doi:10.1126/science.1212741. PMID 22096188. S2CID 206536979.
- ^ Taberna, P. L.; Mitra, S.; Poizot, P.; Simon, P.; Tarascon, J. -M. (2006). "High rate capabilities Fe3O4-based Cu nano-architectured electrodes for lithium-ion battery applications". Nature Materials. 5 (7): 567–573. Bibcode:2006NatMa...5..567T. doi:10.1038/nmat1672. PMID 16783360. S2CID 10596277.
- ^ Bruce, P. G.; Freunberger, S. A.; Hardwick, L. J.; Tarascon, J. M. (2011). "Li–O2 and Li–S batteries with high energy storage". Nature Materials. 11 (1): 19–29. Bibcode:2012NatMa..11...19B. doi:10.1038/nmat3191. PMID 22169914.
- ^ 장마리 타라스콘: 콜레지 드 프랑스 치미 뒤 솔라이드 외 르네르기
- ^ 장마리 타라스콘 부교수
- ^ a b Tarascon, J.; Disalvo, F.; Eibschutz, M.; Murphy, D.; Waszczak, J. (1983). "Preparation and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new layered phases LixTi1−yMyS2 with M=V,Cr,or Fe". Physical Review B. 28 (11): 6397. doi:10.1103/PhysRevB.28.6397.
- ^ a b Tarascon, J.; Disalvo, F.; Murphy, D.; Hull, G.; Waszczak, J. (1984). "New superconducting ternary molybdenum chalcogenides InMo6Se8,T1Mo6S8, and T1Mo6Se8". Physical Review B. 29: 172–180. doi:10.1103/PhysRevB.29.172.
- ^ a b 고온 초전도체: 성질, 구조, 고체 화학 ISBN 9781107410374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 ^ a b Tarascon, J. M.; Johnson, D. C.; Sienko, M. J. (1982). "Ambivalent behavior of ytterbium in the ytterbium molybdenum sulfide YbMo6S8-ytterbium molybdenum selenide YbMo6Se8 pseudobinary system". Inorganic Chemistry. 21 (4): 1505. doi:10.1021/ic00134a047.
- ^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용 RS2E Research 네트워크, energie-rs2e.com
- ^ Microsoft Academy가 색인화한 Jean-Marie Tarascon 출판물
- ^ 장마리 타라스콘 출판물 구글 스콜라 지수
- ^ 장마리 타라스콘의 출판물은 스코푸스 도서목록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색인화되었다.(필요한 경우)
- ^ 장마리 타라스콘: 홍콩과학기술대학교 유튜브의 전기화학적 에너지 전환 및 저장
- ^ Tarascon, J.M.; Armand, M. (2001). "Issues and challenges facing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Nature. 414 (6861): 359–67. Bibcode:2001Natur.414..359T. doi:10.1038/35104644. PMID 11713543. S2CID 2468398.
- ^ Tarascon, J. M.; Chaudhari, P. (1999). "Electronic materials". Current Opinion in Solid State and Materials Science. 4 (1): 3–4. Bibcode:1999COSSM...4....3T. doi:10.1016/S1359-0286(99)80003-5.
- ^ Tarascon, J. M.; Poizot, P.; Laruelle, S.; Grugeon, S.; Dupont, L. (2000). "Nano-sized transition-metal oxides as negative-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Nature. 407 (6803): 496–9. Bibcode:2000Natur.407..496P. doi:10.1038/35035045. PMID 11028997. S2CID 205009092.
- ^ Bruce, P. G.; Scrosati, B; Tarascon, J. M. (2008). "Nanomaterials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47 (16): 2930–46. doi:10.1002/anie.200702505. PMID 18338357.
- ^ 지속 가능한 에너지 ISBN 9814317640 재료
- ^ 뉴저지 발명가 2002년 수상자 명예의 전당, 뉴저지 발명가
- ^ 저명한 강연 시리즈: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의 웨이백 머신에 2014-12-19년 보관된 장 마리 타라스콘
- ^ "Royal Society of Chemistry Prizes and Awards 2015". Royal Society of Chemistry. Retrieved 7 May 2015.
- ^ Summit, Fuel Choices and Smart Mobiity. "Fuel Choices and Smart Mobiity Summit > Award". fuelchoicessummit.com. Retrieved 2018-03-16.
- ^ CNRS. "CNRS - CNRS Innovation medalists". www.cnrs.fr (in French). Retrieved 2018-03-16.
- ^ 발잔상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