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트라신

Intracrine
내분비, 파라신, 자동분비 및 내분비 그림

인트라신(Intracrine)은 세포 내에서 작용하는 호르몬을 말하며 세포내 사건을 조절한다. 간단히 말해서 그것은 세포 내에서 작용하는 인자의 세포 생산에 의해 세포가 스스로 자극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세포내(대부분 핵)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므로 세포내 호르몬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펩타이드나 단백질 호르몬은 일반적으로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엔도크라인, 독재자, 파라크라인의 역할을 한다. 여러 가지 펩타이드/단백질 호르몬이나 그 등소 형태도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세포 내부에서 작용한다. 세포내 기능이 있는 이러한 펩타이드/단백 호르몬은 또한 세포내 호르몬이라고도 불린다. '인트라크린'이라는 용어는 세포내 작용도 있는 펩타이드/단백 호르몬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인트라신 내부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파라신, 오토크린, 내분비 등에 비유할 수 있다. 자분비계는 같은 세포에서 분비된 호르몬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세포의 자분비 수용체를 다룬다. 파라시린 체계는 가까운 세포가 세포로부터 호르몬을 얻고, 가까운 세포들의 기능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내분비계는 세포에서 나온 호르몬이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과 매우 거리가 먼 다른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말한다.

파라크린 생리학은 수십 년 전부터 이해되어 왔으며 예를 들어 비만 관련 종양이 우려되는 지방 패드와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국소 아디프세포의 영향에 직면하게 될 때 파라크린 호르몬의 영향이 관찰되어 왔다.[1] 반면에 내분비생리는 성장하는 분야로, 내분비학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영역을 탐구해왔다. 내과학에서, 국소적으로 생산된 성 스테로이드는 그들이 생산되는 같은 세포에서 그들의 작용을 발휘한다.[2]

세포내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생물학적 효과는 세포내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효과를 말하는 반면, 세포 표면 수용체에 결합하여 생성되는 것을 호르몬의 기원에 따라 내분비, 자분비 또는 파라신 효과라고 한다. 일부 펩타이드/단백질 호르몬의 내분비드 효과는 내분비, 자분비 또는 파라신 효과와 유사하지만, 이러한 효과는 일부 다른 호르몬의 경우 다르다.

인타크린은 또한 그것을 합성하는 세포 내에서 작용하는 호르몬을 가리킬 수도 있다.

체내 펩타이드 호르몬의 예: 단백질/펩타이드 호르몬도 여러 가지 있는데, 이 호르몬은 또한 체내 호르몬이다. 참고문헌에 기술된 주목할 만한 예는 다음과 같다.

참고 항목

참조

  1. 박지영 유후스 데이비드 M; 스크리어 필립 E.(2011년 8월) "아디포스 조직의 파라크린과 내분비 효과가 암 발생과 진행에 미치는 영향" 내분비 검토. 32(4): 550–570. doi:10.12010/er.2010-0030.
  2. 페르난드의 라브리, 루 더, 밴, 라브리, 클로드, 벨랑거, 알랭, 시마르, 자크, 린, 헝샹, 펠레티에, 조르주(2003년 4월) "여성 안드로겐의 엔도크린과 인트라클린 공급원: 유방암 억제와 안드로겐의 다른 역할 및 그 전구자 디트로피안드로스테론" 내분비 검토. 24 (2): 152–182. doi:10.1210/er.2001-0031.
  3. Re, RN (Apr 2003). "The intracrine hypothesis and intracellular peptide hormone action". BioEssays. 25 (4): 401–9. doi:10.1002/bies.10248. PMID 12655647.
  4. Re RN (Jan 2002). "The origins of intracrine hormone action". American Journal of the Medical Sciences. 323 (1): 43–8. doi:10.1097/00000441-200201000-00008. PMID 11814142.
  5. Kumar R, Singh VP, Baker KM (July 2007). "The intracellular renin–angiotensin system: a new paradigm". Trends in Endocrinology & Metabolism. 18 (5): 208–214. doi:10.1016/j.tem.2007.05.001. PMID 17509892.
  6. Fiaschi-Taesch NM, Stewart AF (Feb 2003). "Minireview: parathyroid hormone-related protein as an intracrine factor–trafficking mechanisms and functional consequences". Endocrinology. 144 (2): 407–11. doi:10.1210/en.2002-220818. PMID 12538599.
  7. Sorensen V, Nilsen T, Wiedlocha A (May 2006). "Functional diversity of FGF-2 isoforms by intracellular sorting". BioEssays. 28 (5): 504–14. doi:10.1002/bies.20405. PMID 16615083.Singh VP, Baker KM, Kumar R (Apr 2008). "Activation of the intracellular renin–angiotensin system in cardiac fibroblasts by high glucose: role in extracellular matrix productio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Heart and Circulatory Physiology. 294 (4): 1675–84. doi:10.1152/ajpheart.91493.2007. PMID 18296558.
특정
  1. ^ Park, Jiyoung; Euhus, David M.; Scherer, Philipp E. (August 2011). "Paracrine and Endocrine Effects of Adipose Tissue on Cance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Endocrine Reviews. 32 (4): 550–570. doi:10.1210/er.2010-0030. PMC 3369575. PMID 21642230.
  2. ^ Labrie, Fernand; Luu-The, Van; Labrie, Claude; Bélanger, Alain; Simard, Jacques; Lin, Sheng-Xiang; Pelletier, Georges (April 2003). "Endocrine and Intracrine Sources of Androgens in Women: Inhibition of Breast Cancer and Other Roles of Androgens and Their Precursor Dehydroepiandrosterone". Endocrine Reviews. 24 (2): 152–182. doi:10.1210/er.2001-0031. PMID 12700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