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노산
Imino acid![](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2/Delta-1-pyrroline-5-carboxylic_acid.svg/150px-Delta-1-pyrroline-5-carboxylic_acid.svg.png)
1-피롤린-5-카르본산, N-치환 이미노산
유기화학에서 이미노산(imino acid)은 이미인을 모두 포함하는 분자(>C=)이다.NH) 및 카르복실기(-C(=O)-OH) 관능기.[1]
탄소에 부착된 이미노기
함께 이미노산을 정의하는 두 개의 관능기
이미노산은 구조적으로 아미노산과 관련이 있으며, 아미노산은 아미노산 대신 질소와 탄소 사이의 단일 결합 대 이중 결합의 차이입니다.가장 간단한 예는 데히드로글리신이다.
D-아미노산산화효소는 아미노산을 이미노산으로 변환할 수 있는 효소이다.아미노산 프롤린에 대한 직접생합성 전구체는 이미노산(S)-δ-피롤린-5-카르본산1(P5C)이다.
관련 용어
2차 아미노산, 2차 아민기를 포함하는 아미노산은 때때로 이미노산이라고 불리지만,[1] 이러한 사용은 사춘기이다.[2][3]관련된 비단백 아미노산 히드록시프롤린과[4][5][6] 파이프콜산은[7] 종종 이 종류의 화합물에 대한 연구에 포함되었지만, 이 유형의 유일한 단백질 생성 아미노산은 프롤린이다.
이미노산(imino acid)이라는 용어는 -C(=NH)-OH기를 포함하는 구조인 이미드산의 옛 용어이며,[1] 이미노산(imino acids)에 대해서는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
레퍼런스
- ^ a b c IUPAC, 화학 용어집, 제2판('골드북') (1997).온라인 수정판: (2006–) "이미노산" doi: 10.1351/goldbook.I02959
- ^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MeSH)의 프롤린
- ^ "III. Amino Acids". Oklahoma State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1-18. Retrieved 2015-01-03.
- ^ Myhill, D.; Jackson, D.S. (1963). "Separation of proline and hydroxyproline using thin-layer chromatography". Analytical Biochemistry. 6 (2): 193–198. doi:10.1016/0003-2697(63)90110-6. PMID 14061301.
- ^ Stout, E.R.; Fritz, G.J. (1966). "Role of Oxygen Fixation in Hydroxyproline Biosynthesis by Etiolated Seedlings". Plant Physiology. 41 (2): 197–202. doi:10.1104/pp.41.2.197. PMID 16656240.
- ^ Blumenkrantz, N.; Asboe-Hansen, G. (1975). "An assay for hydroxyproline and proline on one sample and a simplified method for hydroxyproline". Analytical Biochemistry. 63 (2): 331–340. doi:10.1016/0003-2697(75)90354-1. PMID 1122021.
- ^ Maruyama, S; Miyoshi, S; Nomura, G; Suzuki, M; Tanaka, H; Maeda, H (1993). "Specificity for various imino-acid-residues of a proline-specific dipeptidylcarboxypeptidase from a Streptomyces species". Biochim Biophys Acta. 1162 (1–2): 72–76. doi:10.1016/0167-4838(93)90129-f. PMID 8448197.
외부 링크
-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 의학 주제 제목(MeSH)의 imino+ac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