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콘위엄 리
Håkon Wium Lie호콘위엄 리 | |
---|---|
![]() 호콘위엄 리, 2009년 3월 | |
태어난 | 할든, 노르웨이 | 1965년 7월 26일
국적. | 노르웨이어 |
고용주 | 예스로직 |
유명한 | 계단식 스타일 시트 |
웹사이트 | 호콘위리 개인 홈페이지 |
호콘 위움 리(Hókon Wium Lie, 1965년 7월 26일 ~ )는 노르웨이의 웹 개척자이자 표준 활동가이며 Prince CSS 기반 PDF 렌더링 소프트웨어 개발자인 예스로직의 회장입니다.[1][2] 그는 1998년부터 2016년 새로운 소유자에게 브라우저가 판매될 때까지 오페라 소프트웨어의 최고 기술 책임자였습니다.[3][2] 1994년 CERN에서 Tim Berners-Lee 및 Robert Cailliau와 함께 작업하면서 Cascading Style Sheets(CSS)를 개발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교육과 경력
호콘 위움 리는 외스트폴드 대학교, 웨스트 조지아 대학교, MIT 미디어 연구소를 거쳐 1991년 시각학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4]
2006년 2월 17일, 그는 성공적으로 오슬로 대학에서 박사학위 논문을 변호했습니다. 그의 박사학위 논문은 CSS의 기원에 대한 배경이며, 특히 CSS가 DSSSL이 되는 것을 기피하는 이유에 대한 설계 결정의 일부에 대한 근거입니다.[5][6]
그는 W3C, INRIA, CERN, MIT Media Lab 및 Televerket의 노르웨이 통신 연구소에서 일해 왔습니다.
웹 표준
1994년 CERN에서 Tim Berners-Lee, Robert Cailliau와 함께 일하면서 Cascading Style Sheets(CSS) 개념을 제안했습니다.[7] 쇼케이스 및 테스트베드로서, 그는 CSS를 아레나 웹 브라우저에 통합하였고, 이것은 최초의 CSS 구현이 되었습니다.[8]
1995년 W3C에 입사한 후 CSS1,[9] CSS2,[9] RFC 2318을 포함한 CSS 사양을 작성했습니다(1998년 3월). 이러한 사양의 대부분은 CSS의 공동 제작자로 여겨지는 Bert Bos와 함께 개발되었습니다.[10] 이후 10년 동안 CSS는 웹 상의 타이포그래피, 미학 및 접근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기본적인 웹 표준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습니다.[11]
위엄 리는 CSS 규격에 대한 연구와 함께 일반적인 표준을 위한 활동을 해왔습니다.
2005년, 그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에게 왜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일반적인 웹 표준을 지원하지 않는지 묻는 공개 편지를 썼습니다.[12] 며칠 후 빌 게이츠가 인터넷 익스플로러 7이 출시될 것이라고 발표했을 때, 위엄 리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 Acid2 챌린지를 시작하며 대응했습니다.[13] 주로 마이크로소프트를 대상으로 했지만, Acid2 테스트는 다른 브라우저들에게도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이후 Acid2와 후속 Acid3는 모든 브라우저가 상대적으로 측정되는 벤치마크 테스트로 자리매김했습니다.[14]
2006년, Wium Lie는 일반적인 글꼴 형식을 사용하여 다운로드 가능한 웹 글꼴을 지원하기 위해 브라우저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15][16][17] 2011년[update] 현재 모든 주요 브라우저 공급업체는 이러한 방식으로 웹 폰트를 구현했습니다.[18]
2007년, Wium Lie는 웹에 비디오를 더 쉽게 게시하기 위해 비디오 요소에 대한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19] 2011년 구글 I/O에서 Wium Lie는 구글이 오픈 소스로 사용하던 WebM 포맷과 함께 비디오 요소를 선보였습니다.[20][21]
2008년, 그는 기술 위원 그룹의 대변인을 지냈는데, 그는 Standards Norway가 OOOXML 승인에 투표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사임했습니다.[22]
Wium Lie는 웹에서 인쇄하는 개념을 홍보하기도 했습니다.[23] Bert Bos와 공동 집필한 CSS에 관한 그의 책의 세 번째 판은 HTML과 CSS 파일로 제작되었습니다.[24][25] 그런 다음 Prince XML + CSS 포맷터에 의해 이 파일들은 PDF로 변환되었습니다. 2005년, 그는 Prince for matter를 만드는 회사인 YesLogic의 이사회에 합류했습니다.
웹 인쇄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2011년 Wium Lie는 CSS를 확장하여 화면의 페이지화를 지원할 것을 제안했습니다.[26]
그는 웹에서 객체와 CSS 영역을 포맷하는 것을 반대합니다.[27][28]
운영 소프트웨어의 CTO
1999년 4월, Wium Lie는 노르웨이 오슬로의 오페라 소프트웨어에 CTO로 입사했습니다. 그의 움직임은 오페라 프로그래머들이 3개월 만에 넷스케이프와 마이크로소프트가 3년 만에 달성한 것보다 CSS를 구현하는 데 더 많은 진전을 이루는 것을 보고 동기를 부여했습니다.[29]
오페라에서 그는 모바일 브라우저, 특히 웹 페이지의 작은 화면 렌더링 개발을 주도했습니다. 작은 화면 렌더링을 통해 Opera는 Opera Mini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피처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화면에 일반적인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30]
2007년 오페라 소프트웨어가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통해 EU의 마이크로소프트를 제소했을 때, 위엄 리 대변인은 마이크로소프트가 브라우저에 웹 표준을 완전히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31] 오페라의 불만으로 인해 마이크로소프트는 유럽의 윈도우 사용자들에게 브라우저 선택 화면에서 경쟁 브라우저를 제공하기 시작했고, 위엄 리는 이것이 웹의 승리라고 선언했습니다.[32]
2013년, 오페라는 자체 제작한 프레스토 웹 엔진에서 사파리와 구글 크롬에서도 사용하는 웹킷 엔진으로 점진적인 전환을 시작했습니다. Wium Lie는 자체 엔진을 계속 개발하는 것보다 오픈 소스 커뮤니티와 협력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말했습니다.[33]
YesLogic 회장
Wium Lie는 2004년부터 [34][2]Prince의 개발자인 YesLogic의 회장을 맡고 있습니다.[35] Prince는 CSS를 사용하여 HTML을 복잡한 레이아웃의 고급 PDF로 렌더링합니다.[36]
정치 및 시민활동
2005년, 정치인들이 오슬로의 공공 포장도로의 광고탑들을 상대로 패배를 선언했을 때, Wium Lie는 Stans.no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 2009년, Stans!no는 공공장소에 광고탑을 세우는 것을 허용한 것에 대해 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고, 시는 그 후 광고탑을 사들여 해체했습니다.[40] 광고탑이 철거된 후에도 Stans.no 은 공공 공간에서 다른 종류의 광고를 막기 위해 계속 노력해왔습니다.
후원자들이 OLPC 프로젝트를 지원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2008년에 [42]그는 100대의 노트북을 주문하고 오슬로의 집을 임시 OLPC 마을로 만들었습니다.
2012년 노르웨이 해적당(Norway Pirate Party of Norway)을 공동 창당했으며, 2013년 선거와 2019년 선거에 후보로 출마했습니다.[44]
2014년 그는 사용하지 않는 노르웨이 TLD 2개(.sj 및 .bv)를 사용하여 개인 정보 보호 강화 영역을 만들 것을 제안했습니다.[45][46]
Wium Lie는 자칭 사회 민주주의자이며, 그는 문화적, 정치적 대의에 경제적으로 기여했습니다. 2007년에 그는 새로운 오슬로 오페라 하우스에 상당한 기여를 했습니다.[47]
2017년 노르웨이 온라인 대체 신문인 Resett의 초기 투자자로, 아프가니스탄과 리비아의 나토 캠페인을 비판하는 Helge Lurås와 Utøya 학살의 생존자 Bjørn Ihler에게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위엄 리는 노르웨이의 EEA 가입에 반대하고 있으며 2017년 알리안센이 반 EEA 정당으로 결성되었을 때 아케르스후스 국회의원 선거 명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53][54] 그러나 위엄 리는 당의 변화하는 강령 때문에 선거 전에 당을 비난했습니다.[55]
2018년, Wium Lie는 자원봉사 웹사이트인 rettspraksis.no 에 노르웨이 법원의 판결을 게재한 혐의로 Lovdata로부터 고소를 당했습니다. 24시간도 안 되어 오슬로 법원은 웹사이트를 폐쇄했고, 위움 리는 로브다타의 법적 청구서를 지불하라는 판결을 받았습니다. 노르웨이 법에 따르면, 법원 결정은 저작권이 면제되지만, Wium Lie는 법정에 출석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결정을 계기로 노르웨이 의회 의원들은 Lovdata 구성 방식의 변화를 요청했습니다.[56] 이 사건은 항소되었으며 노르웨이 대법원에서 결정될 것입니다.
개인생활
Wium Lie는 노르웨이 오슬로에 삽니다. 그곳에서 그는 고층 건물과[57] 공공 공간의 광고에 반대하는 웹 기반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58] 위엄리에서도 목공 작업실을 유지하고 유기농 농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59]
수상 및 인지도
1999년, 그는 35세 이하의 세계 100대 혁신가 중 한 명으로 MIT Technology Review TR100에 선정되었습니다.[60]
2001년, 그는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 경제 포럼의 기술 선구자였습니다.
2017년, Wium Lie는 WeAre Developers Conference 2017에서 기조 강연을 개최하여 CSS의 창설과 함께 오늘날 웹에 대한 그의 기여와 웹 자체와 함께 현재의 상태까지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61]
참고 항목
서지학
Lie와 Bert Bos는 CSS에 관한 책을 현재 세 번째 판에서 썼습니다.
- Cascading Style Sheets: Designing for the Web (1st ed.). 1997. ISBN 0-201-41998-X.
- Lie, Håkon Wium; Bos, Bert (1999). Cascading Style Sheets: Designing for the Web (2nd ed.). Addison-Wesley. ISBN 0-201-59625-3.
- Lie, Håkon Wium; Bos, Bert (2005). Cascading Style Sheets: Designing for the Web (3rd ed.). Addison Wesley. ISBN 0-321-19312-1.
- Lie, Håkon Wium (February 17, 2006). "Cascading Style Sheets: PhD thesis". Series of Dissertations Submitted to the Faculty of Mathematics and Natural Sciences, University of Oslo. Oslo, Norway: University of Oslo. ISSN 1501-77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4, 2014. Retrieved May 1, 2006.
참고문헌
- ^ "Håkon Wium Lie". Retrieved 29 November 2023.
- ^ a b c "Håkon Wium Lie". www.wiumlie.no. Retrieved 2022-02-23.
- ^ Bos, Bert (17 December 2016). "A brief history of CSS until 2016". www.w3.org. Retrieved 2022-02-23.
- ^ "Curriculum Vitae: Håkon Wium Lie". www.w3.org. Retrieved 2022-02-23.
- ^ "Disputas: Doktorand Håkon Wium Li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2-23. Retrieved 2019-05-20.
- ^ Lie, Håkon Wium. "Phd. Thesis: Cascading Style Sheets".
- ^ 계단식 HTML 스타일 시트
- ^ Håkon Wium Lie; Bert Bos. "Chapter 20 - The CSS saga". World Wide Web Consortium. Retrieved 23 June 2010.
- ^ a b "Cascading Style Sheets, level 1". World Wide Web Consortium. 1996-12-17.
- ^ Bos, Bert (14 April 1995). "Simple style sheets for SGML & HTML on the web". World Wide Web Consortium. Retrieved 20 June 2010.
- ^ Shankland, Stephen (2010-11-08). "Browser underdog Opera fights for its survival". Cnet.com.
And its chief technology officer, Håkon Wium Lie, worked with Web founder Tim Berners-Lee and founded the Web formatting technology called Cascading Style Sheets (CSS) that's now one of the hottest areas of Web design.
- ^ "Opera to MS: Get real about interoperability, Mr Gates". The Register. 2005-02-11.
So, Mr. Gates, writes Hakon Lie, you say you believe in interoperability. Then why, pray tell, doesn't the web page of your interoperability communiqué conform to the HTML4 standard as it claims to?
- ^ Lie, Håkon Wium (16 March 2005). "The Acid2 challenge to Microsoft". C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ne 2011. Retrieved 12 January 2008.
To ensure that IE 7 does not become another failed promise, the Web community will issue a challenge to Microsoft. We will produce a test page, code-named Acid2, that will actively use features Web designers crave, such as fixed positioning of elements.
- ^ "Acid2: The Guided Tour". The Web Standards Project. Retrieved 24 December 2007.
- ^ 잊혀진 마이크로소프트의 독점.
- ^ "Web fonts: the view from the free wor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3. Retrieved 2009-03-25.
- ^ CSS @ 10: 더 넥스트 빅 씽
- ^ 샘플 위치: 웹 폰트 데모 및 테스트 페이지. Prince, Safari, Opera 10 alpha, 그리고 Firefox의 특별한 빌드를 위한 것입니다. 02-Aug-2009 검색
- ^ "A call for video on the we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4-26. Retrieved 2009-03-25.
- ^ Metz, Cade. "Opera CTO still sour on Google native code plugin". The Register.
This morning, at Google I/O in downtown San Francisco, Wium Lie delivered a presentation on Opera's use of WebP, a new "lossy" image compression format open sourced by Google last fall.
- ^ 호콘위엄 거짓말 구글 테크 토크 <영상>
- ^ "Norwegian standards body implodes over OOXML controversy". 3 October 2008.
Opera CTO Håkon Wium Lie is among the technical committee members who are resigning over the OOXML decision. In the letter, he stresses the importance of open standards and the need for formats that are universally accessible to everyone.
- ^ Håkon Wium Lie와 Michael Day는 YouTube의 웹에서 인쇄하는 것에 대해 Google Tech Talk를 합니다.
- ^ CSS로 책을 인쇄하기: 쾅!
- ^ HTML과 CSS에서 PDF로 CSS 북을 제작한 방법에 대한 설명
- ^ 오페라는 보그 표준 웹에 fondles lab 방식의 읽기를 제공합니다.
- ^ "Formatting Objects considered harmfu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4-03. Retrieved 2009-03-25.
- ^ "CSS Regions Considered Harmfu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5-25. Retrieved 2017-02-25.
- ^ McAllister, Neil (2006-10-30). "Why Opera isn't planning to go open source". Computerwor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11-09.
I joined Opera when I saw that Opera was able to implement as much of CSS in three months as Netscape and Microsoft could in three years
- ^ "A quart into a pint pot". The Economist. 2002-12-14.
Thank goodness, then, for Opera, a Norwegian software firm. It has devised a clever new way to squeeze grown-up web pages on to diminutiv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so that they both look good and are easy to navigate. The trick is to reformat the web page in an intelligent way—by working out which parts are important and which not, says Hakon Lie, Opera's chief technology officer.
- ^ Dignan, Larry. "Opera files complaint against Microsoft in the EU over IE, Windows bundle; CTO makes Web standards case". ZDNet.
- ^ Meller, Paul. "EC, Microsoft Settlement Broadly Welcomed".
The legally binding commitments Microsoft made in the browser case mark "a victory for the future of the Web and its users," Hakon Wium Lie, the chief technology officer at Opera said at a press conference.
- ^ Clarke, Gavin. "Opera joins Google/Apple in-crowd with shift to WebKit and Chromium". The Register.
Opera chief technology officer Håkon Wium Lie said in a statement: "It makes more sense to have our experts working with the open source communities to further improve WebKit and Chromium, rather than developing our own rendering engine further."
- ^ 오류 인용: 명명된 참조
howcom
호출되었지만 정의되지 않았습니다(도움말 페이지 참조). - ^ "About us". Retrieved 29 November 2023.
- ^ "Prince". Retrieved 29 November 2023.
- ^ Pedersen, Ole (5 April 2005). "Gir opp kampen mot gigareklame" [Gives up fight against giga-advertising]. KommunalRapport. Oslo.
Leder av byutviklingskomiteen i Oslo, Ola Elvestuen (V), har gitt opp kampen mot reklametårene som firmaet JCDecaux skal sette opp i hovedstaden
- ^ Grenne, Harald (18 November 2005). "Mobiliserer til reklametårn-protest" [Mobilizing protest against advertising towers]. Kreativt For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November 2005. Retrieved 30 June 2019.
Nå maner grupperingen «Stans!», bestående av folk som beskriver seg selv som Oslo-entusiaster, til aksjon mot det reklamekjøret mange Oslo-borgere nå føler de får tredd nedover ørene. På nettsiden www.stans.no har de laget et opprop som folk kan skrive under, og i tillegg har de samlet all mulig relevant informasjon om den betente saken ... Gruppen er partipolitisk uavhengig og får ikke støtte av kommersielle aktører. Håkon Wium Lie, som til daglig er Chief Technology Officer i landets mest offensive teknologibedrift, Opera Software, fungerer som kontaktperson.
- ^ Sandve, Gerd (21 January 2014). "Tordner mot lystårn - Håkon Wium Lie er leder i stans.no og kjemper for å fjerne reklametårn i Oslo" [Thunders against advertising towers - Håkon wium Lie is the leader of stans.no and works to remove advertising towers from Oslo].
- ^ "Kostbare reklametårn" [Dear-bought advertising towers]. Aftenposten. Oslo. 8 October 2009.
Mange naboer har protestert mot den politisk omstridte reklamen. Protestgruppen «Stans!no» varslet tidligere i år søksmål mot kommunen. Nå er leder av gruppen, Håkon Wium Lie, som fikk støtte av flertallet i bystyret, lettet.
- ^ Halvorsen, Bjørn Egil (9 March 2006). "Her skal reklamen flomme" [Advertising will be flooding in these areas]. Aftenposten. Oslo.
Vi frykter dette vil føre til større og mer reklame, sier Håkon Wium Lie i stans!no. Aksjonsgruppen har markert seg som en kraftig opponent mot reklametårnene. Men selv om planforslaget fraråder flere slike tårn og andre såkalte reklamefinansierte gatemøbler, er ikke Wium Lie fornøyd. - Reklamen flytter nå fra tårn til vegg. Oslos innbyggere trenger en plan som er grunnleggende restriktiv til reklame.
- ^ Brenna, Anders. "OLPC village in Osl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2-03.
- ^ Brombach, Harald (May 8, 2008). "OLPC-landsby".
- ^ "Valglistens navn: Piratpartiet" (PDF).
- ^ 2014년 7월 31일 안전한 피난처를 위한 호콘위움 리넷 이름, 2017년 2월 25일 가져오기
- ^ 스티그 외이반 두 개의 북극 외딴 영토가 어떻게 인터넷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전투의 최전방이 되었는지, 2014년 10월 1일 2017년 2월 25일 검색
- ^ "Ga kvart million til Operaen". 2007-11-23.
Vi er jo alle sosialdemokrater, og ønsker fortsette med det ... Jeg er ikke en superrik person. Noen bruker penger på dyre biler, men mitt store innkjøp i år var en brukt elbil. Bare der sparte jeg nok en halv million
- ^ 로이터 인스티튜트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18
- ^ Lurås, Helge; Ulriksen, Ståle; Valther, Vegard (2010). "The Strategic Significance of Afghanistan. A Note of Caution to the NATO Summit". NUPI Policy Brief. 9–2010.
- ^ "Libya ble en rent sinnelagsetisk operasjon, som etterlot seg kaos". 29 September 2015.
Libya ble en rent sinnelagsetisk operasjon, som forutsigbart nok etterlot seg kaos. Noen av oss advarte mot dette da operasjonen tok til.
- ^ "A Norway massacre survivor explains how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adicalization of white men". 2017-10-07.
Should the world be concerned about the radicalization of white men? "Yes," says Bjørn Ihler, "I almost got killed by one."
- ^ "Ønsker konfrontasjon med Støre og Solberg". 2017-08-24.
Jeg synes det er meningfylt å bidra til at nye stemmer som Helge Lurås og Bjørn Ihler får en plattform. Jeg har ingen rolle i redaksjonen, men jeg synes det Helge sier om trusselvurderingen av Russland virker fornuftig. Jeg synes ofte at norske medier demoniserer et naboland vi burde kunne ha gode relasjoner til, sier Håkon Wium Lie
- ^ Nyt politicalisk partivil ha Norgeut av EØS
- ^ "NSDs valglistearki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10-13. Retrieved 2019-04-21.
- ^ "Historien om milliardærenes nye nettavis" (in Norwegian). 1 September 2017. Retrieved 23 April 2019.
Det må her skytes inn at Håkon Wium Lie ikke lenger vil la seg assosiere med partiet. I en epost skriver han: Jeg tror det hadde vært fint å få en gründer på Stortinget, og det er slik jeg kjenner Hans Jørgen. At han til og med startet et firma som tilbyr sikker epost, er et ekstra pluss. Alliansens fanesak var kampen mot EØS-avtalen, som er et åk for Norge, og jeg sa derfor ja til å bli listeført. Så ser jeg også at valgkampen handler om andre temaer enn EØS, og jeg har måttet distansere meg fra uttalelser. Det er leit, og jeg regner meg ikke som kandidat, selv om jeg fortsatt står på listene.
- ^ 고소당하는 중
- ^ 스톱블록 캠페인
- ^ 스탠스! 오슬로에서 광고 반대 운동을 하지 않음
- ^ "Håkon Wium Le", The Setup, October 7, 2014
- ^ "1999 Young Innovators Under 35". Technology Review. 19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6, 2021. Retrieved August 15, 2011.
- ^ "The World & CSS - Hakon Wium Lie @ WeAreDevelopers Conference 2017". YouTube.
- ^ Nielsen, Henrik Frystyk (7 June 2002). "Libwww Hackers". World Wide Web Consortium. Retrieved 2 June 2010.
외부 링크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en/thumb/4/4a/Commons-logo.svg/30px-Commons-logo.svg.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