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폴란드 국경

Germany–Poland border
현대 폴란드-독일 국경 (1945년 이후)
독일어 및 폴란드어 경계 표지

독일-폴란드 국경(독일어: Grenze zwischen Deutschland und Polen, 폴란드어: Granica polsko-niemieecka)은 폴란드독일의 주 경계선으로서 현재 오데르-네이세 선이다.총길이 467km(290mi)[1]로 1945년부터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북쪽의 발트해에서 남쪽의 체코까지 뻗어 있다.

역사

독일-폴란드 국경의 변화를 보여주는 폴란드의 국경 변화 역사
현대의 국경선은 대부분 오데르 강과 루사티아누스 강을 따른다.

독일-폴란드 국경은 폴란드 국가의 시초까지 그 기원을 추적하는데, 오데르(오드라)와 루사티아 니세(니사) 강(오데르-네이세 선)은 독일과 슬라브 부족 사이의 초기 자연 경계 중 하나이다.[2][3][4][5][6]수세기에 걸쳐 동쪽으로 이동하여 14세기에 안정을 찾았으며,[7] 18세기 후반에 프로이센 왕국을 비롯한 폴란드의 주변국들이 영토를 모두 합병한 폴란드의 분할과 함께 사라졌다.[3][8][9]1871년 프로이센은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폴란드제1차 세계 대전과 123년의 칸막이에 이어 독립을 되찾은 후, 길이가 1,912km(1,188mi)나 되는 긴 독일-폴란드 국경이 동프로이센과의 국경 607km(377mi)를 포함하여 정착되었다.[8][10]국경선은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었고, 부분적으로 국민투표(동 프러시아 국민투표실레시아 국민투표, 전자도 실레시아 국민투표의 영향을 받았다)[9][10][11][12]에 의해 형성되었다.그 국경의 모양은 대략 분단 전 폴란드를 닮았다.[13]

제2차 세계 대전남하한 발트해의 북쪽의 win위노우즈시에(스위네무엔데)에서 지타우 근처의 폴란드, 독일과의 국경(당시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까지 국경선이 그어졌다.오데르 강(오드라)과 니세 강(니사)의 오데르-나이세 선을 따라 대부분의 항로를 거친다.[14][15][dubious ]는 소련, 미국, 영국 등 제2차 세계대전의 주요 동맹국들소련측의 주장으로, 폴란드(또는 독일)와 별다른 협의 없이 얄타 회의포츠담 회의에서 합의한 사항이다.[15][16][17]비야체슬라프 몰로토프 소련 외무장관은 폴란드 서쪽 국경에 대한 미코와이츠지크의 질문에 "오데르 강에 근거해야 한다"고 답했다.얄타에서 열린 정상회의에서 열강 지도자들은 올즈티넨엘블레그, 그다ń스크스츠크제킨이 있는 포메라니아, 오폴레브록와 글리비체스가 있는 로어·상부 실레시아, 루부스 땅으로 넘겨주기로 했다.역사상 유일한 시기였던 7월 24일, 공산주의자인 비에루트와 반대파인 스타니스와프 미코와지치크는 한목소리로 오데르서방의 니세 선을 위해 싸웠다.처칠은 동방의 니세(East Neisse)를 고집했는데, 이는 그 지역인 와브르지치와 젤레니아 고라가 독일인으로 남게 된다는 것을 의미했다.최종 의정서가 서명되기 직전, 소련 외교관들은 국경선이 "오위누우지 서"를 운영하는 것에 따라 한 가지 더 수정안을 만들었다.사소한 일처럼, 하지만 이 스츠친 덕분에 발트해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었다.[18]

국경선은 화염병-리벤트로프 조약의 결과로 소련에 빼앗긴 영토에 대한 폴란드에 대한 보상이었고, 소위 "수복된 영토"[3][16][19]로부터 독일 인구의 상당한 서쪽으로 이주를 초래했다.몇 개의 강 도시를 괴를리츠/즈고르젤레크, 구벤/구빈, 프랑크푸르트(오데르)/스워비체, 배드 무스카우/우브니카 등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20]

서부의 시급한 문제는 지형에 있는 에위노우치에서 그리피노에 이르는 국경 구간의 묘사였다.1945년 가을까지 이들 지역은 스츠체친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아직 폴란드 행정부에 포함되지 않았다.국경의 이 부분은 1945년 9월과 10월에 폴란드-소비에트 혼합 위원회에 의해 묘사되었다.서명한 협약에 따라 폴란드 정부는 1945년 10월 4일 이들을 인수했다.서부 국경의 세부적인 경계선으로, 많은 곳에서 그것은 불합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국경선이 우위노우치 서쪽을 "직접"해야 한다는 포츠담 회의의 성명은 말 그대로 우위노우치 시의 취수구조차 해외에 남겨둘 정도로 실행되었다.이러한 상황은 수년 동안 이전에 설정된 국경 통로를 수정했다는 것을 의미했다.폴란드가 스르텍, , 보볼린, 바니스와프, 로소웨크, 파르고우, 스토브노-코와스코바스코우 도로와 교환하여 독일측인 르스[de; pl]알트워프에서 출발한다는 것은 1945년 9월에 이미 확립되었다.그러나 1949년, 교차로와 링크스-뉴 리엔켄-북도로의 절정에서 국경이 조정되었다.노웨 린키에서 북으로 가는 길의 서쪽에 바로 놓여 있는 좁은 땅덩어리를 대가로 노웨 린키에 있는 교차로 전체가 독일민주공화국의 한쪽으로 가도록 합의되었다.1951년 1월, 폴란드 인민 공화국과 독일 민주 공화국의 국경을 기술하는 법안이 마련되어 그리피노 남부 서오데르와 레갈리카(미즈드조드르제) 사이의 섬들에 대한 폴란드 행정부를 확정하였다.1950년 11월, 독일 민주 공화국 정부는 월가스트제 호수에 위치한 폴란드로 취수구를 이전하는 데 동의했다.이듬해 6월에는 76.5 ha(수처리장과 함께)의 면적이 폴란드에 편입되어 독일 지역에 돌출된 특징적인 홍보물을 만들었다.그 대가로 독일은 취수구와 포메라니안 만 사이에 비슷한 면적을 부여받았다.[21]

1950년 6월 6일 폴란드 인민 공화국 정부와 독일 민주 공화국 사이에 오데르-네이세 선에 있는 기존의 폴란드-독일 국경의 분리에 관한 선언문이 서명되었다.초기의 합의 이후, 양국은 즈고르젤레크 조약을 체결했다.국경선은 1970년 바르샤바 조약에서 서독에 의해 인정되었고, 1990년 독일-폴란드 국경 조약에서 독일 통일로 인정되었다.[22][23][24][25]1951년 경미한 수정(토지 스와프)을 받았다.[25]국경을 부분적으로 개방한 것은 1971년부터 1980년까지 폴란드와 동독인들이 여권이나 비자 없이 그것을 건널 수 있었던 시기였다. 그러나 폴란드 쇼핑객들로부터 동독 경제에 대한 경제적 압박과 폴란드 연대 운동의 영향력을 축소하려는 동독 정부의 바람 때문에 몇 년 후 다시 폐쇄되었다.동독.[26][27][28]

폴란드와 독일의 공산주의가 몰락하고 독일 통일 이후, 국경선은 유럽 경제 공동체의 동부 국경, 그 후 유럽연합의 국경의 일부가 되었다.한 기간 동안, 그것은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치안유지군"이었다.[29]폴란드가 2004년 유럽연합(EU)에 가입한 뒤 2007년까지 여권 통제를 없애기로 한 첸겐 협약과 합의해 국경 통제가 완화됐다.[30][31]폴란드와 독일의 현대 국경지대는 양쪽에 있는 카운티 내에 약 100만 명의 시민들이 거주하고 있다.[26]

참고 항목

참조

  1. ^ "WARUNKI NATURALNE I OCHRONA ŚRODOWISKA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MAŁY ROCZNIK STATYSTYCZNY POLSKI 2013 (CONCISE STATISTICAL YEARBOOK OF POLAND 2013). Mały Rocznik Statystyczny (in Polish and English). GŁÓWNY URZĄD STATYSTYCZNY. 2013. p. 26. ISSN 1640-3630. (다운로드 가능한 PDF 파일)
  2. ^ Phillip A. Bühler (1990). The Oder-Neisse Line: a reappraisal under international law. East European Monographs. p. 6. ISBN 978-0-88033-174-6.
  3. ^ a b c R. F. Leslie (1980). The History of Poland Since 1863.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85. ISBN 978-0-521-27501-9.
  4. ^ Piotr Wróbel (27 January 2014). Historical Dictionary of Poland 1945-1996. Routledge. p. 214. ISBN 978-1-135-92694-6.
  5. ^ Wim Blockmans; Peter Hoppenbrouwers (3 February 2014). Introduction to Medieval Europe 300–1500. Routledge. p. 166. ISBN 978-1-317-93425-7.
  6. ^ "Historical Text Archive: Electronic History Resources, online since 1990".
  7. ^ Knoll, Paul W. (1967). "The stabilization of the Polish Western frontier under Casimir the Great, 1333-1370". The Polish Review. 12 (4): 3–29. JSTOR 25776735.
  8. ^ a b Norman Davies (31 May 2001). Heart of Europe: The Past in Poland's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p. 216. ISBN 978-0-19-164713-0.
  9. ^ a b Jerzy Jan Lerski (1996). Historical Dictionary of Poland, 966-1945. Greenwood Publishing Group. pp. 419–421. ISBN 978-0-313-26007-0.
  10. ^ a b Yohanan Cohen (1 February 2012). Small Nations in Times of Crisis and Confrontation. SUNY Press. pp. 61–62. ISBN 978-0-7914-9938-2.
  11. ^ Nicholas A. Robins; Adam Jones (2009). Genocides by the Oppressed: Subaltern Genocide in Theory and Practice. Indiana University Press. p. 75. ISBN 978-0-253-22077-6.
  12. ^ Eastern Europe. ABC-CLIO. 2005. p. 25. ISBN 978-1-57607-800-6.
  13. ^ Manfred F. Boemeke; Gerald D. Feldman; Elisabeth Gläser (13 September 1998). The Treaty of Versailles: A Reassessment After 75 Yea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34. ISBN 978-0-521-62132-8.
  14. ^ Richard Felix Staar. Communist Regimes in Eastern Europe: Fourth Edition. Hoover Press. p. 185. ISBN 978-0-8179-7693-4.
  15. ^ a b John E. Jessup (1 January 1998). An Encyclopedic Dictionary of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1945-1996.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543. ISBN 978-0-313-28112-9.
  16. ^ a b Jerzy Jan Lerski (1996). Historical Dictionary of Poland, 966-1945. Greenwood Publishing Group. pp. 398–399. ISBN 978-0-313-26007-0.
  17. ^ Reuben Wong; Christopher Hill (27 April 2012). National and European Foreign Policies: Towards Europeanization. Taylor & Francis. p. 323. ISBN 978-1-136-71925-7.
  18. ^ "Historia linii Curzona: Jak Stalin został obrońcą sprawy polskiej?". FOCUS.pl. 27 July 2013. Retrieved 6 April 2020.
  19. ^ Lynn Tesser (14 May 2013). Ethnic Cleansing and the European Union: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Security, Memory and Ethnography. Palgrave Macmillan. p. 47. ISBN 978-1-137-30877-1.
  20. ^ Kimmo Katajala; Maria Lähteenmäki (2012). Imagined, Negotiated, Remembered: Constructing European Borders and Borderlands. LIT Verlag Münster. p. 204. ISBN 978-3-643-90257-3.
  21. ^ 그라니카 자코디니아 1945-1990
  22. ^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1 June 2013). Estonia, Latvia, Lithuania, and Poland. Britanncia Educational Publishing. p. 193. ISBN 978-1-61530-991-7.
  23. ^ Joseph A. Biesinger (1 January 2006). Germany: A Reference Guide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Infobase Publishing. p. 615. ISBN 978-0-8160-7471-6.
  24. ^ Paul B. Stares (1992). The New Germany and the New Europ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p. 147. ISBN 0-8157-2099-8.
  25. ^ a b Godfrey Baldacchino (21 February 2013). The Political Economy of Divided Islands: Unified Geographies, Multiple Polities. Palgrave Macmillan. pp. 142–143. ISBN 978-1-137-02313-1.
  26. ^ a b Paul Ganster (1 January 1997). Borders and Border Region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SCERP and IRSC publications. p. 178. ISBN 978-0-925613-23-3.
  27. ^ Sven Tägil (1 January 1999). Regions in Central Europe: The Legacy of History. C. Hurst & Co. Publishers. p. 244. ISBN 978-1-85065-552-7.
  28. ^ Paulina Bren; Mary Neuburger (8 August 2012). Communism Unwrapped: Consumption in Cold War Easter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pp. 377–385. ISBN 978-0-19-982766-4.
  29. ^ Torin Monahan (2006). Surveillance and Security: Technological Politics and Power in Everyday Life. Taylor & Francis. p. 193. ISBN 978-0-415-95393-1.
  30. ^ Fred M. Shelley (23 April 2013). Nation Shapes: The Story Behind the World's Borders. ABC-CLIO. pp. 104–. ISBN 978-1-61069-106-2.
  31. ^ http://www.presseurop.eu/en/content/article/234841-schengen-real-europe

추가 읽기

  • Bjork, Jim (2014). "Church Fights: Nationality, Class, and the Politics of Church-Building in a German-Polish Borderland, 1890–1914". Borderlands in World History, 1700–1914. Palgrave Macmillan UK. pp. 192–213. ISBN 978-1-137-32058-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