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쿠스 베시쿨로수스

Fucus vesiculosus
푸쿠스 베시쿨로수스
Bladder wrack in Sämstad harbor 1.jpg
과학적 분류 edit
클래드: SAR
망울: 오크프로파타
클래스: 족생아과
순서: 푸카목
패밀리: 푸카과
속: 푸쿠스
종:
F. vesiculosus
이항식 이름
푸쿠스 베시쿨로수스
방광은 눈에 띄는 방광으로 이름이 지어졌다.

방광, 흑탕, 락위드, '바다포도'라는 통칭으로 알려진 푸쿠스 베시쿨로수스는 북해 연안, 서발트해, 대서양태평양에서 발견되는 해초다. 1811년에 발견된 요오드의 원래 공급원으로 요오드결핍관련된 갑상선의 부종인 고트레 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1]

설명

F. vesiculosus의 앞면은 길이가 90 cm(35 in)이고 너비가 2.5 cm(1.0 in)까지 자라서 전체적으로 두드러진 중간 부분이 있다. 그것은 기저 디스크 모양의 고정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그것은 거의 구형의 공기 방광들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보통 중간 고리의 양쪽에 한 쌍씩 붙어있지만 어린 식물에는 없을 수도 있다. 마진이 매끄럽고 전선이 이분법적으로 갈린다. 그것은 때때로 그것이 교배하는 푸쿠스 나선과 혼동되며 푸쿠스 세라투스와 비슷하다.[2][3]

분배

푸쿠스 베시쿨로수스영국 섬 해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큰 알가이다.[4] 유럽, 북러시아, 발트해, 그린란드, 아조레스, 카나리아 제도, 모로코, 마데이라 등의 대서양 연안에서 기록되어 왔다.[5][6] 엘즈미어 섬, 허드슨 베이에서 노스캐롤라이나까지 북아메리카의 대서양 연안에서도 발견된다.[7]

생태학

이 종은 특히 중간 연근으로부터 보호구역인 해안에서 살인사이의 수치를 낮추기 위해 흔하다.[7] 그것은 노출된 해안에서는 드물며, 어떤 표본도 짧고, 기절되고, 공기 방광 없이 있을 수 있다.[8] F. vesiculosus는 식민지 유기체를 거의 지원하지 않지만 관벌레 Spirorbis Spirorbis, Idotea와 같은 초식성 이소포드Littorina obtusata와 같은 표면적인 자극성 달팽이를 위한 캐노피와 쉼터를 제공한다.[2] 푸쿠스 베시쿨로수스프롤로타닌은 해양 초식성 달팽이 리토리나 리토레아에 대한 화학적 방어 역할을 하는 [9]반면, 갈락톨리피드는 성게 아르바시아 펑툴라타에 대한 초식동물 억제 역할을 한다.[10] 자스모네이트 메틸은 프롤로타닌 생산을 유도할 수 있다.[11] 푸코플로레톨 AF. vesiculosus에서 발견된 프로로타닌의 일종이다.[12]

생물학

F. vesiculosus의 식물은 오염이 심하다. 가메트는 일반적으로 잔잔한 조건에서 바닷물에 방출되며, 알은 외부에서 수정되어 지고테를 생성한다.[2] 난자는 용기에서 나온 직후에 수정된다. 메인주 해안에서 실시된 한 연구에 따르면 노출된 장소와 보호구역 모두에서 100% 수정이 이루어졌다고 한다.[2] 발트해에서 지속적으로 물에 잠긴 인구는 격동의 상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물속도가 낮을 때만 생식체가 방출되기 때문에 높은 수정 성공이 이루어진다.[13]

북해에서 온 F. vesiculosus의 개인들은 8,000년도 채 되지 않은 전에 발트해를 식민지로 삼았다. 그 행사는 성채용을 의무화하는 것으로 보이는 것에서 능력 있는 무성채용으로의 전환과 병행된다.[14] 발트해 인구의 무성 생식은 리조이드의 형성에 의해 헐거워지고 바닥에 다시 붙는 돌발적인 나뭇가지들의 생산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른 지역에서도 F. vesiculosus의 talli에 출현하는 가지가 존재하지만 새로운 talli의 무성 생성은 발트해 밖에서 보고된 적이 없다.[14][15]

소비

푸쿠스 베시쿨로수스는 영양 보충제로 판매된다. 1차 화학 성분으로는 점액, 알긴, 만니톨, 푸시톨, 베타 카로틴, 제악산틴, 휘발성 오일, 요오드, 브로민, 칼륨 및 기타 미네랄이 포함된다.[citation needed]

역효과

F. vesiculosus를 섭취하면 혈소판 억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와파린(Coumadin)의 항응고제 활성을 촉진할 수 있다.[16] 수술 전에는 피해야 한다.[16]

어떤 사람들은 F. vesiculosus에 있는 요오드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수 있다.[17]

참고 항목

참조

  1. ^ "Bladderwrack". WebMD. Retrieved 27 September 2018.
  2. ^ a b c d Nicola White (2008). "Bladder wrack – Fucus vesiculosus". Marine Life Information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4-02. Retrieved December 13, 2013.
  3. ^ 뉴턴, L. 1931. 영국 해조류 안내서. 런던 대영박물관 (자연사)
  4. ^ F. G. Hardy; M. D. Guiry (2003). A Check-list and Atlas of the Seaweeds of Britain and Ireland (PDF). London: British Phycological Society. ISBN 978-0-9527115-1-3.
  5. ^ M. D. Guiry; Wendy Guiry (January 12, 2007). "Fucus vesiculosus Linnaeus". AlgaeBase.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Retrieved April 22, 2012.
  6. ^ Charlotta A. Nygård; Matthew J. Dring (2008). "Influence of salinity, temperature, dissolved inorganic carbon and nutrient concentration on the photosynthesis and growth of Fucus vesiculosus from the Baltic an Irish Seas". European Journal of Phycology. 43 (3): 253–262. doi:10.1080/09670260802172627.
  7. ^ a b W. R. Taylor (1957). Marine Algae of the Northeastern Coast of North America.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ISBN 978-0-472-04904-2.
  8. ^ C. S. Lobban; P. J. Harrison (1994). Seaweed Ecology and Phys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ISBN 978-0-521-40897-4.
  9. ^ J. A. Geiselman; O. J. McConnell (1981). "Polyphenols in brown algae Fucus vesiculosus and Ascophyllum nodosum: chemical defenses against the marine herbivorous snail, Littorina littorea". Journal of Chemical Ecology. 7 (6): 1115–1133. doi:10.1007/BF00987632. PMID 24420835. S2CID 21550668.
  10. ^ Michael S. Deal; Mark E. Hay; Dean Wilson; William Fenical (2003). "Galactolipids rather than phlorotannins as herbivore deterrents in the brown seaweed Fucus vesiculosus". Oecologia. 136 (1): 107–114. Bibcode:2003Oecol.136..107D. doi:10.1007/s00442-003-1242-3. PMID 12684854. S2CID 5821145.
  11. ^ Thomas M. Arnold; Nancy M. Targett; Christopher E. Tanner; Walter I. Hatch; Kirstin E. Ferrari (2001). "Evidence for methyl jasmonate-induced phlorotannin production in Fucus vesiculosus (Phaeophyceae)". Journal of Phycology. 37 (6): 1026–1029. doi:10.1046/j.1529-8817.2001.01130.x. S2CID 84362547.
  12. ^ Sabine Parys; Stefan Kehraus; Anja Krick; Karl-Werner Glombitza; Shmuel Carmeli; Karin Klimo; Clarissa Gerhäuser; Gabriele M. König (2010). "In vitro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fucophlorethols from the brown alga Fucus vesiculosus L. by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selected cytochrome P450 enzymes". Phytochemistry. 71 (2–3): 221–229. doi:10.1016/j.phytochem.2009.10.020. PMID 19954804.
  13. ^ E. A. Serrao; G. Pearson; L. Kautsky; S. H. Brawley (1996). "Successful external fertilization in turbulent environmen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3 (11): 5286–5290. Bibcode:1996PNAS...93.5286S. doi:10.1073/pnas.93.11.5286. PMC 39237. PMID 11607682.
  14. ^ a b Tatarenkov, A.; Bergström, L.; Jönsson, R. B.; Serrão, E. A.; Kautsky, L.; Johannesson, K. (February 2005). "Intriguing asexual life in marginal populations of the brown seaweed Fucus vesiculosus". Molecular Ecology. 14 (2): 647–651. doi:10.1111/j.1365-294X.2005.02425.x. PMID 15660953. S2CID 16619196.
  15. ^ Ardehed, Angelica; Johansson, Daniel; Sundqvist, Lisa; Schagerström, Ellen; Zagrodzka, Zuzanna; Kovaltchouk, Nikolaj A.; Bergström, Lena; Kautsky, Lena; Rafajlovic, Marina (2016-08-15). "Divergence within and among Seaweed Siblings (Fucus vesiculosus and F. radicans) in the Baltic Sea". PLOS ONE. 11 (8): e0161266. Bibcode:2016PLoSO..1161266A. doi:10.1371/journal.pone.0161266. PMC 4985153. PMID 27525655.
  16. ^ a b "Herbs to Avoid Before Surgery". University of Texas, El Paso.
  17. ^ "Bladderwrack". MedlinePl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Retrieved December 13, 201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