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KBP1B

FKBP1B
FKBP1B
Protein FKBP1B PDB 1c9h.png
사용 가능한 구조
PDBOrtholog 검색: PDBe RCSB
식별자
에일리어스FKBP1B, FKBP12.6, FKBP1L, OTK4, PKBP1L, PPIase, FK506 결합단백질 1B, FKBP 프롤릴 이성질화효소 1B
외부 IDOMIM: 600620 MGI: 1336205 HomoloGene: 68380 GenCard: FKBP1B
맞춤법
종.인간마우스
엔트레즈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04116
NM_054033
NM_001322963
NM_001322964

NM_016863
NM_001378816
NM_001378817
NM_001378818

RefSeq(단백질)

NP_001309892
NP_001309893
NP_004107
NP_473374

NP_058559
NP_001365745
NP_001365746
NP_001365747

장소(UCSC)Chr 2: 24.05 ~24.06 MbChr 12: 4.88 ~4.89 Mb
PubMed 검색[3][4]
위키데이터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표시/편집

펩티딜-프롤릴시스-트랜스 이성질화효소 FKBP1BFKBP1B [5][6]유전자에 의해 인체 내에서 코드되는 효소이다.

기능.

이 유전자에 의해 코드된 단백질은 면역 조절과 단백질 접힘과 밀매를 수반하는 기본적인 세포 과정에 역할을 하는 면역필린 단백질 패밀리의 구성원이다.이 암호화된 단백질은 면역억제제 FK506(타크로리머스)과 라파마이신(시롤리머스)을 결합하는 시스-트랜스 프로릴 이성질체이다.FK506 결합 단백질 1A와 매우 유사하다.심근들뜸-수축 결합에서 생리학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이 유전자의 서로 다른 [6]동질 형태를 코드하는 두 가지 대체 스플라이스된 전사 변형이 있다.

임상적 의의

FKB1B와 리아노딘 수용체 사이의 결함 상호작용은 카테콜아민 작동성 다형성 [7]심실 빈맥을 가진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부정맥의 기초가 되는 잠재적 메커니즘으로 생각된다.

레퍼런스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즈 89: ENSG00000119782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즈 89: ENSMUSG000020635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Arakawa H, Nagase H, Hayashi N, Fujiwara T, Ogawa M, Shin S, Nakamura Y (April 1994).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of a novel human gene that is highly homologous to human FK506-binding protein 12kDa (hFKBP-12) and characterization of two alternatively spliced transcript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0 (2): 836–43. doi:10.1006/bbrc.1994.1527. PMID 7513996.
  6. ^ a b "Entrez Gene: FKBP1B FK506 binding protein 1B, 12.6 kDa".
  7. ^ Venetucci, Luigi; Denegri, Marco; Napolitano, Carlo; Priori, Silvia G. (October 2012). "Inherited calcium channelopathies in the pathophysiology of arrhythmias". Nature Reviews. Cardiology. 9 (10): 561–575. doi:10.1038/nrcardio.2012.93. ISSN 1759-5010. PMID 22733215. S2CID 24883043.

추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