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동
Chuang Guandong영문명 | 장관동 |
---|---|
유형 | 인간의 이주 |
원인 | 가난 |
결과 | 한씨는 관동의 다수민족으로 만추를 추월한다. |
츄앙관동(간체 중국어: 闯关东; 전통 중국어: 關東東; 핀인: Chuǎng Guāndōng; IPA: [ʈʂʰwàŋ kwán.tʊ́]]; 말 그대로 관동이 만주의 옛 이름인 '관동으로 돌진'은 한족이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백년 동안 주로 산동반도와 질리에서 만주로 밀려들어온 것을 묘사하고 있다. 만주 주도의 청 왕조 초기 2세기 동안, 지배적인 만주족의 전통적 고향인 중국의 이 지역은 거의 예외 없이, 특정 만주 기수, 몽골 기수, 한 기수만이 들어갈 수 있는 한족 민간인들에 의해 정착을 금지했다. 현재 동북지방으로 알려진 이 지역은 현재 압도적으로 한족이 살고 있다.
역사적 배경
내만주(內萬州)는 관동(關東, 말 그대로 중국 만리장성 동쪽 끝에 있는 산하이 고갯길을 가리키는 고갯길의 동쪽) 또는 관와이(관와이: 關;; pinyin: 관와이; 불이 켜졌다. '고개 밖')은 주로 퉁구스 민족이 거주하던 희박한 인구의 땅이었다. 1668년 강시황제 때 청 정부는 이 지역으로의 비팔기인의 이주를 더욱 금지하기로 결의하였다.
그러나 만추 지주가 한족 농민에게 토지를 임대하고 곡식을 재배하기를 원함에 따라 한족이 불법적으로나 합법적으로 만주로 유입되어 정착하는 사례가 크게 늘어났으며, 대부분의 한족 이주자들은 만리장성과 버드나무 팔리사드를 넘어 쫓겨나지 않았다. 18세기 동안 한족들은 만주에서 50만 헥타르의 사유지를 경작했고, 20만 3,583 헥타르의 토지를 택지, 귀족지, 배너지의 일부였다. 만주에서는 한족이 성채와 성읍 인구의 80%를 차지한다.[1]
한족 농민들은 청나라에 의해 중국 북부에서 랴오강변 지역으로 이주하여 땅을 경작지로 복원하였다.[2] 황무지는 만주 지주로부터 토지를 임대받은 다른 한족 외에 한족 무단 거주자들에 의해 개간되었다.[3] 청은 만추와 몽골 땅에 한족의 정착을 공식적으로 금지했음에도 불구하고 18세기까지 기근과 홍수, 가뭄으로 고통받고 있는 중국 북부에서 온 한족 난민들을 만주나 내몽골에 정착시키기로 결정했다. 1780년대까지 한족은 만주 50만 헥타르, 내몽골 수만 헥타르를 경작했다.[4] 첸룽 황제는 1740년부터 1776년까지 가뭄으로 고통받는 한족 농민들에게 금지령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만주로 이주하는 것을 허용했다.[5] 중국 소작농들은 이 지역에 있는 "임페리얼 에스테이트"와 "만추 배너랜드"에서 토지를 임대하거나 소유권을 주장하기도 했다.[6] 만주 남부의 랴오 지역으로 이주한 것 외에 진저우, 펑톈, 티엘링, 창춘, 훌룬, 닝구타를 잇는 길은 첸룽 천황 때 한족에 의해 정착되었다. 1800년까지 한족이 만주의 도시 지역에서 다수였다.[7] 황실의 수입을 늘리기 위해 청은 다구앙 천황 초기에 선가리를 따라 있던 만추 땅을 한족에게 팔았고, 한족이 1840년대까지 만주 대부분의 성읍을 메웠다고 압베 후크는 전했다.[8]
청 제국의 북동쪽 국경 지역의 희박한 인구는 러시아 제국의 이른바 '외터 만주'(Auter Manuce, 아무르의 북쪽과 우수리의 동쪽 지역)의 합병을 촉진하여, 아이군 조약(1858년)과 북경 조약(1860년)에 의해 확정되었다. 이에 1859~1867년 헤이룽장(黑龍江) 군사총독 테푸친( (pu欽) 등 청 관리들은 앞으로 있을 러시아 부속건설을 반대하기 위해 중국 민간 농민 정착민들을 위해 관동 일부를 개방하자는 제안(1860년)을 했다.[9] 청 정부는 이후 정책을 바꿔 인근 질리성(현재의 허베이성)과 산둥성의 가난한 농민들이 만주로 이주해 살도록 유도했고, 이 지역은 차례로 정착을 위해 공식적으로 개방되었다.
여행방식이 다양하고(일부 도보), 낙후된 정부 통계기구 때문에 정확한 이주민 수는 셀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해양관세청과 후에 남만주 철도, 현대사학자 토마스 고트창, 다이애나 라리의 보고를 근거로, 1891-1942년 동안 만리장성 남쪽의 중국으로부터 약 2,540만 명의 이주자들이 만주로 도착했고, 1,670만 명이 되돌아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것은 이 반세기 동안 총 870만 명의 긍정적인 이주 균형을 제공한다.[10] 이는 이주의 규모를 미국의 서부 개척, 러시아의 시베리아 진출, 일본의 홋카이도 이주 규모에 비견할 만한 규모로 만든다.
현재 의의
만주로 이주한 사람들은 주로 산둥반도 웨이하이웨이와 랴오둥반도 뤼순에 주둔하고 있던 베이양함대로 인해 운행 중인 옌타이루순 나루를 이용하여 산동고개 육지나 해로를 여행한 산동 출신의 가난한 농부들이었다.
대중예술과 문학에서.
가오만탕이 쓴 이 설정과 대본을 바탕으로 한 52부작 텔레비전 드라마 추앙관동이 2008년 CCTV-8로 방송되었다.[11][12][13]
참고 항목
메모들
- ^ 리차드 2003, 페이지 141.
- ^ 레든 앤더슨 2000 페이지 504.
- ^ 레든 앤더슨 2000 페이지 505.
- ^ 레든 앤더슨 2000 페이지 506.
- ^ 샤핑 1998, 페이지 18.
- ^ 레든 앤더슨 2000 페이지 507.
- ^ 레든 앤더슨 2000 페이지 508.
- ^ 레든 앤더슨 2000 페이지 509.
- ^ Lee 1970, 페이지 103
- ^ 레든 앤더슨 2005, 페이지 98
- ^ "Pathfinding to the Northeast (TV Series 2008– )". IMDb. 2008. Retrieved 3 December 2019.
- ^ "闯关东" [Chuang Guandong]. Douban (in Chinese). 2008. Retrieved 3 December 2019.
- ^ "闯关东". China Central Television (in Chinese). 2008-01-02. Retrieved 3 December 2019.
참조
- 추앙관퉁 이민파동(중국어)에 관한 연구
- NE China로의 한족 이주 (이 페이지 하단)
- Reardon-Anderson, James (Oct 2000). "Land Use and Society in Manchuria and Inner Mongolia during the Qing Dynasty". Environmental History. Forest History Society and American Society for Environmental History. 5 (4): 503–530. doi:10.2307/3985584. JSTOR 3985584. S2CID 143541438.
- Reardon-Anderson, James (2005), Reluctant Pioneers: China's Expansion Northward, 1644-1937, Studies of the Weatherhead East Asian Institute, Columbia Univers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0804751676
- Lee, Robert H. G. (1970), The Manchurian frontier in Chʼing history, Volume 43 of Harvard East Asian series, Center for East Asian Studies, Harvard University, ISBN 978-0-674-54775-9
- Edmonds, Richard Louis (1985), Northern Frontiers of Qing China and Tokugawa Japan: A Comparative Study of Frontier Policy, University of Chicago, Department of Geography; Research Paper No. 213, ISBN 0-89065-118-3
- Edmonds, Richard L. (December 1979), "The Willow Palisade",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69 (4): 599–621, doi:10.1111/j.1467-8306.1979.tb01285.x, JSTOR 2563132 — 이 글의 자료는 대부분 1985년 에드몬드의 책에 수록되었다.
- James, Sir Henry Evan Murchison (1888), The Long White Mountain, or, A journey in Manchuria: with some account of the history, people, administration and religion of that country, Longmans, Green, and Co.
- Scharping, Thomas (1998). "Minorities, Majorities and National Expansion: The History and Politics of Population Development in Manchuria 1610-1993" (PDF). Cologne China Studies Online – Working Papers on Chinese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Kölner China-Studien Online – Arbeitspapiere zu Politik, Wirtschaft und Gesellschaft Chinas). Modern China Studies, Chair for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of Modern China, at the University of Cologne (1). Retrieved 14 August 2014.
- Gottschang, Thomas R.; Lary, Diana (2000). Swallows and Settlers: The Great Migration from North China to Manchuria (PDF). Michigan Monographs in Chinese Studi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외부 링크
- TV 드라마 시리즈 CCTV (중국어)의 "추앙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