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번 염색체
Chromosome 1919번 염색체 | |
---|---|
![]() 인간 염색체 19쌍은 G-밴드화 후야 하나는 어머니로부터, 다른 하나는 아버지로부터. | |
![]() 19번 염색체 쌍 인간 남성 핵그램에서요 | |
특징들 | |
길이(bp) | 58,617,616 bp (GRCh38)[1] |
No. 유전자의 | 1,357 (CCDS)[2] |
유형 | 오토썸 |
동원체 위치 | 메타센트릭[3] (26.2 Mbp[4]) |
완전한 유전자 리스트 | |
CCDS | 유전자 리스트 |
HGNC | 유전자 리스트 |
유니프로트 | 유전자 리스트 |
엔씨비 | 유전자 리스트 |
외부 지도 뷰어 | |
앙상블 | 19번 염색체 |
엔트레즈 | 19번 염색체 |
엔씨비 | 19번 염색체 |
UCSC | 19번 염색체 |
완전한 DNA 배열 | |
참조 | NC_000019(FASTA) |
GenBank | CM000681(FASTA) |
19번 염색체는 인간의 23쌍의 염색체 중 하나이다.사람들은 보통 이 염색체를 두 개 복제한다.19번 염색체는 DNA의 구성 재료인 5860만쌍 이상의 염기쌍에 걸쳐 있다.
유전자
유전자수
다음은 인간 염색체 19의 유전자 수 추정치입니다.연구자들이 게놈 주석에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각 염색체의 유전자 수에 대한 그들의 예측은 다양하다(기술적인 세부 사항은 유전자 예측 참조).다양한 프로젝트 중 CCDS(협업적 합의 코딩 시퀀스 프로젝트)는 매우 보수적인 전략을 취합니다.따라서 CCDS의 유전자 수 예측은 인간의 단백질을 코드하는 [5]유전자 수의 하한선을 나타냅니다.
추정자 | 단백질 코드화 유전자 | 비부호화 RNA 유전자 | 유사 유전자 | 원천 | 발매일 |
---|---|---|---|---|---|
CCDS | 1,357 | — | — | [2] | 2016-09-08 |
HGNC | 1,372 | 299 | 413 | [6] | 2017-05-12 |
앙상블 | 1,469 | 894 | 514 | [7] | 2017-03-29 |
유니프로트 | 1,435 | — | — | [8] | 2018-02-28 |
엔씨비 | 1,430 | 604 | 528 | [9][10][11] | 2017-05-19 |
유전자 리스트
다음은 인간 염색체 19번 유전자의 일부 목록입니다.전체 목록은 오른쪽 정보 상자에 있는 링크를 참조하십시오.
- A1BG : 단백질 Alpha-1-B 당단백질 코드
- AAVS1, 바이러스 통합 사이트
- ACSBG2: 부호화효소 Long-chain-fatty-acid: CoA 연결효소
- ANKRD24: 단백질 안키린 반복 도메인 함유 단백질 24
- ARMC6: 코드화 단백질 아르마딜로 반복 함유 단백질 6
- ATG4D: 단백질 Autophagy 관련 4D, 시스테인펩티드가수분해효소 코드화
- ATP5SL: 단백질 ATP 합성효소 서브유닛 s-like 단백질 코드화
- ATPase ASNA1: 비소펌프 구동 ATPase 및 아비산염 자극 ATPase라고도 알려진 ATPase ASNA1을 코드하는 효소
- BTBD14B: 핵관련 단백질 코드화 1
- C19orf18: 단백질 염색체 19를 코드화한 판독 프레임 18
- C19orf44: 단백질 염색체 19를 코드화한 판독 프레임 44
- C19orf70: 단백질 염색체 19를 코드화한 판독 프레임 70
- 선인장: 단백질 선인장 코드
- CCDC130: 130을 포함한 단백질 코일 도메인 부호화
- CCDC151: 151을 포함한 단백질 코일 도메인 코드화
- CCDC8: 8을 포함한 단백질 코일 도메인 부호화
- CCDC94: 94(CCDC94)를 포함한 단백질 코일 도메인을 코드화한다.
- CXB3S: 단백질 Coxsackie 바이러스 B3 감수성 부호화
- DHX34: 덱시박스헬리카제34를 코드하는 단백질
- DNAES2: 디옥시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 II, 리소좀을 코드하는 단백질
- DPF1: 단백질 D4, 아연 및 이중 PHD 핑거 패밀리 1
- EID2:
- ETV2: 단백질 Ets 바리안트2의 부호화
- FIZ1: 아연 핑거1을 코드하는 단백질 FLT3
- HCST: 단백질 조혈세포 신호 변환기 코드화
- HRC: 단백질 Sarcplic meticulum 히스티딘이 풍부한 칼슘결합단백질 코드
- IFI30: 감마인터페론 유도 리소좀티올 환원효소 코드화
- IGFL3: 단백질 IGF와 같은 패밀리멤버 3의 부호화
- KRTDAP: 단백질 케라티노사이트 분화 관련 단백질 코드
- LENG9: 단백질 백혈구 수용체 클러스터 멤버 9(LENG9)를 코드한다.
- LIM2: 단백질 코드 렌즈 섬유막 고유 단백질
- LRG1: 류신이 풍부한 α-2-글리코프로틴 1을 코드하는 단백질
- LRRC25: 25를 함유한 단백질 류신 리치 리피트 코드
- LSM4: U6 snRNA 관련 Sm라이크 단백질 LSm4 부호화
- LSR: 단백질 지방분해 자극성 리포단백질 수용체 코드화
- LYPD5: 5를 포함한 단백질 LY6/PLAUR 도메인 코드화
- MBOAT7: 효소 리소포스폴리피드 아실전달효소7을 코드화함
- MOBKL2A: Mpsone 바인더 키나아제 활성제 유사 2A를 코드하는 효소
- MZF1-AS1: MZF1 안티센스 RNA1을 코드하는 단백질
- NCLN: 단백질 니칼린 부호화
- NFKBID: B세포 억제제 중 카파 경질 폴리펩타이드 유전자 인핸서의 단백질 핵인자
- NOSIP: 코드화효소산화질소합성효소단백질
- NWD1: NACHT 및 WD 반복 도메인으로 1이 포함됩니다.
- OLFM2: 단백질 Olfactomedin 2를 코드화한다.
- OSCAR: 단백질 Osteoclast 관련 면역글로불린 유사 수용체 코드화
- PARM: 단백질 Paralemmin 부호화
- PDCD5: 단백질 코드화 프로그램 세포사망 단백질 5
- PEX11G: 과산화염소체생성인자 11 감마
- PGK1P2: 포스포글리세린산인산화효소1, 의사유전자2단백질을 코드하는
- PLIN4: 단백질 페라리핀4를 코드하는
- PLVAP: 단백질 플라스말렘마 소포 관련 단백질 코드
- PRR12: Proline이 풍부한 단백질 코드 12
- 단백질 PRP36을 코드하는 PRR36(프롤린 리치 영역 36)
- KLK3: 전립선특이항원(PSA)
- PRX: Periaxin
- PTOV1: 단백질 전립선종양 과다압축유전자1단백질 코드화
- RFPL4A: 단백질 부호화 4a와 같은 손가락 단백질 레트
- SBNO2: 단백질 스트로베리 노치 호몰로지 2(드로소필라) 인코딩
- SEPW1: 셀레노단백질W를 코드화
- SFRS14: 단백질 코드화 추정 스플라이싱 인자, 아르기닌/세린 리치 14
- SFRS16: 단백질 스플라이싱 인자, 아르기닌/세린이 풍부한 16
- SLC5A5: 용질담체 패밀리 5(요오드화나트륨 심포터), 부재 5
- STK11: 세린/트레오닌인산화효소11(Peutz-Jeghers 증후군)
- TBCB: Tubulin-folding 보조인자 B를 코드하는 단백질
- TCR: 트랜스-2, 3-에노일-CoA 환원효소 코드화
- TOP1: 효소 티메트올리고펩티다아제 코드화
- TIMM50: 코드화효소 미토콘드리아 수입내막전달효소 서브유닛 TIM50
- TIP39: 39잔기 단백질 Tuberoinfundibular 펩타이드 코드
- TMED1: 단백질 Transmembrane emp24 도메인 함유 단백질 1을 코드한다.
- TMEM160: 단백질 트랜스막단백질160을 코드한다.
- TMEM205: 단백질 트랜스막 단백질 205를 코드화한다.
- UBXN6: 단백질 UBX 도메인 단백질 6 인코딩
- UCA1: 긴 비부호 RNA 요도암 1
- UPK1A: 단백질 Uroplakin-1a 부호화
- 용도1: 단백질 코드화 미특정 조혈줄기/원조세포 단백질 MDS032
- ZFP82: 단백질 ZFP82 아연 핑거 단백질 코드화
- ZSCAN4: 4개의 아연 핑거 및 스캔 도메인
- ZSCAN18: 18을 포함한 단백질 아연 핑거 및 SCAN 도메인 부호화
- ZNF112: 코드 단백질 아연 손가락 단백질 112
- ZNF134: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134
- ZNF160: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160
- ZNF180: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180
- ZNF208: 코드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208
- ZNF224: 코드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224
- ZNF225: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225
- ZNF226: 코드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226
- ZNF229: 코드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229
- ZNF257: 단백질 코드 아연 핑거 단백질 257
- ZNF264: 코드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264
- ZNF266 :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266
- ZNF274: 코드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274
- ZNF320: 단백질 아연핑거 단백질 320
- ZNF331: 코드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331
- ZNF347: 코드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347
- ZNF426: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426 코드
- ZNF444: 코드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444
- ZNF665 코드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665
- ZNF473: 코드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473
- ZNF506: 단백질 코드 아연 핑거 단백질 506
- ZNF507: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507
- ZNF536: 단백질 아연핑거 단백질 536
- ZNF541: 코드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541
- ZNF557: 단백질 코드 아연 핑거 단백질 557
- ZNF571: 단백질 아연핑거 단백질 571
- ZNF576: 단백질 아연핑거 단백질 576
- 아연핑거단백질 613: 코드단백질 아연핑거단백질 613
- ZNF649: 문자 변환 억제기
- ZNF71 : 종양괴사인자 알파에 의해 유도되는 내피아연 손가락 단백질 코드화
- ZNF737: 단백질 코드 아연 핑거 단백질 737
- ZNF749: 코드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749
- ZNF676: 단백질 아연핑거 단백질 676
- ZNF772: 단백질 아연핑거 단백질 772
- ZNF784: 단백질 코드 아연 핑거 단백질 784
- ZNF8: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8
- ZNF83: 코드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83
- ZNF878: 단백질 코드 아연 핑거 단백질 878
- ZNF880 : 단백질 아연 핑거 단백질 880
짧은 팔
- CACNA1A: 칼슘 채널, 전압 의존형, P/Q형, 알파 1A 서브유닛(가족성 반신마비성 편두통 타입 I).유전자 지도 궤적 19p13
- 연골 올리고머 매트릭스 단백질.유전자 지도 궤적 19p13.1
- NOCH3: 노치 호몰로그 3(드로소필라):유전자 지도 궤적 19p13.1-p13.2
- GCDH: 글루타릴-코엔자임 A 탈수소효소.유전자 지도 궤적 19p13.2
- ZNF121: 아연 핑거 단백질 121.유전자 지도 궤적 19p13.2
- BSG: 바시긴(Ok혈액형)/세포외매트릭스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유도제/CD147.유전자 지도 궤적 19p13.3
- ICAM4: 랜드스티너와 와이너 당단백질.유전자 지도 궤적 19p13.3
- NRTN: 뉴투린, 히르슈스프룽병 관련:유전자자리 지도 19p13.3
- GTPBP3: GTP 결합단백질 3 19p13.11
- KLF2: 크뤼펠 유사 인자 2(폐 크뤼펠 유사 인자라고도 함).유전자 지도 궤적 19p13.11 OMIM : 602016
- FAM32A: 시퀀스 유사성이 있는 패밀리 32 멤버 A 19q13.11
- DDX39: DExD 박스 헬리케이스 39.유전자 지도 궤적 19p13.12
긴팔
- GAPDHS: 글리세린알데히드-3-인산탈수소효소, 정자원성 19q13.12
- 햄프: 헥시딘 항균 펩타이드.유전자 지도 궤적 19q13.12
- BCKDHA : 분기사슬케토산탈수소효소 E1, 알파폴리펩타이드(단풍시럽뇨병).유전자 지도 위치 19q13.1-q13.2
- 아폴리포단백질E,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유전자유전자 지도 궤적 19q13.2
- 카피쿠아 전사억제기유전자 지도 궤적 19q13.2
- FCGBP: IgG 결합단백질 Fc fragment
- SARS2: 세릴-tRNA 합성효소2, 미토콘드리아.유전자 지도 궤적 19q13.2
- ATP1A3: ATP분해효소.유전자 지도 궤적 19q13.31
- DMWD: DM1 궤적, WD 반복 포함.유전자 지도 궤적 19q13.32
- PNMA8A : Panoplastic Ma 항원 패밀리 8A 19q13.32
- DMPK: 디스트로피아 미오토니카단백질인산화효소.유전자 지도 궤적 19q13.32
- GLTSCR2: Glioma 종양 억제제 후보 영역 유전자 2 단백질 19q13.33
- A1BG: 혈장 당단백질, 기능 불명.유전자 지도 궤적 19q13.43
- LRC: 백혈구 수용체 복합체는 주로 단구 및 B 세포에서 발현되는 면역 수용체 패밀리이며 수상 세포와 자연 킬러(NK) 세포에서 낮은 수준으로 발현됩니다.LRC에는 KIR 궤적도 포함됩니다.유전자 지도 궤적 19q13.4 OMIM : 604812
- KPTN: 스테레오실리아 끝에 있는 캅틴(액틴 결합 단백질).유전자 지도 궤적 19q13[12].4
- FUT1: H 궤적은 19번 염색체의 19q13.3에 위치한다.5kb 이상의 게놈 DNA에 걸쳐 있는 3개의 엑손이 함유되어 있으며, RBC에서 [13]H항원을 생성하는 푸코실전달효소를 암호화한다.
- FUT2: Se 궤적은 19번 염색체 19q13.3에 위치해 있습니다.그것은 약 25kb의 게놈 DNA에 걸쳐 있는 두 개의 엑손들을 포함하고 있다.Se 궤적은 침샘, 위장관 및 호흡기와 같은 분비 조직의 상피에서 발현되는 특정 푸코실전달효소를 코드한다.그것이 코드하는 효소는 H항원 [13]생성을 촉매한다.
- MOT(Mortal Burrelyate RNA Transcript, linkRNA):유전자 지도 궤적 19q13.43
질병 및 장애
19번 [14]염색체의 유전자와 관련된 질병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포유전대
인간 염색체 19의 G-밴드 표식 문자
분해능 850 bph의 인간 염색체 19의 G-밴드 표상문자.이 다이어그램의 밴드 길이는 베이스 페어 길이에 비례합니다.이러한 유형의 표의문자는 일반적으로 게놈 브라우저(Ensubbl, UCSC Genome Browser)에서 사용됩니다.
크르. | 팔[22] | 밴드[23] | ISCN 개시하다[24] | ISCN 멈추다[24] | 베이스 페어 개시하다 | 베이스 페어 이제 그만 | 얼룩[25] | 밀도 |
---|---|---|---|---|---|---|---|---|
19 | p | 13.3 | 0 | 578 | 1개 | 6,900,000 | 불량품 | |
19 | p | 13.2 | 578 | 870 | 6,900,001 | 1,260,000 | gpos | 25 |
19 | p | 13.13 | 870 | 1034 | 12,600,001 | 1,300,000 | 불량품 | |
19 | p | 13.12 | 1034 | 1216 | 13,800,001 | 1,6100,000 | gpos | 25 |
19 | p | 13.11 | 1216 | 1581 | 16,100,001 | 1,990,000 | 불량품 | |
19 | p | 12 | 1581 | 1809 | 1,900,001 | 24,200,000 | gvar | |
19 | p | 11 | 1809 | 1992 | 24,200,001 | 26,200,000 | acen | |
19 | q | 11 | 1992 | 2159 | 26,200,001 | 28,100,000 | acen | |
19 | q | 12 | 2159 | 2372 | 28,100,001 | 31,900,000 | gvar | |
19 | q | 13.11 | 2372 | 2569 | 31,900,001 | 3,5100,000 | 불량품 | |
19 | q | 13.12 | 2569 | 2737 | 35,100,001 | 37,800,000 | gpos | 25 |
19 | q | 13.13 | 2737 | 2949 | 37,800,001 | 38,200,000 | 불량품 | |
19 | q | 13.2 | 2949 | 3101 | 38,200,001 | 4,290,000 | gpos | 25 |
19 | q | 13.31 | 3101 | 3193 | 42,900,001 | 44,700,000 | 불량품 | |
19 | q | 13.32 | 3193 | 3390 | 44,700,001 | 47,500,000 | gpos | 25 |
19 | q | 13.33 | 3390 | 3649 | 47,500,001 | 50,900,000 | 불량품 | |
19 | q | 13.41 | 3649 | 3770 | 50,900,001 | 53,100,000 | gpos | 25 |
19 | q | 13.42 | 3770 | 3938 | 53,100,001 | 55,800,000 | 불량품 | |
19 | q | 13.43 | 3938 | 4120 | 55,800,001 | 58,617,616 | gpos | 25 |
레퍼런스
- ^ "Human Genome Assembly GRCh38 - Genome Reference Consortiu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3-12-24. Retrieved 2017-03-04.
- ^ a b "Search results - 19[CHR] AND "Homo sapiens"[Organism] AND ("has ccds"[Properties] AND alive[prop]) - Gene". NCBI. CCDS Release 20 for Homo sapiens. 2016-09-08. Retrieved 2017-05-28.
- ^ Tom Strachan; Andrew Read (2 April 2010). Human Molecular Genetics. Garland Science. p. 45. ISBN 978-1-136-84407-2.
- ^ a b 게놈 장식 페이지, NCBIHomo sapient에 대한 표의도 데이터(850 bphs, 어셈블리 GRCh38.p3)최종 갱신 2014-06-03.2017-04-26 취득.
- ^ Pertea M, Salzberg SL (2010). "Between a chicken and a grape: estimating the number of human genes". Genome Biol. 11 (5): 206. doi:10.1186/gb-2010-11-5-206. PMC 2898077. PMID 20441615.
- ^ "Statistics & Downloads for chromosome 19". HUGO Gene Nomenclature Committee. 2017-05-12. Retrieved 2017-05-19.
- ^ "Chromosome 19: Chromosome summary - Homo sapiens". Ensembl Release 88. 2017-03-29. Retrieved 2017-05-19.
- ^ "Human chromosome 19: entries, gene names and cross-references to MIM". UniProt. 2018-02-28. Retrieved 2018-03-16.
- ^ "Search results - 19[CHR] AND "Homo sapiens"[Organism] AND ("genetype protein coding"[Properties] AND alive[prop]) - Gene". NCBI. 2017-05-19. Retrieved 2017-05-20.
- ^ "Search results - 19[CHR] AND "Homo sapiens"[Organism] AND ( ("genetype miscrna"[Properties] OR "genetype ncrna"[Properties] OR "genetype rrna"[Properties] OR "genetype trna"[Properties] OR "genetype scrna"[Properties] OR "genetype snrna"[Properties] OR "genetype snorna"[Properties]) NOT "genetype protein coding"[Properties] AND alive[prop]) - Gene". NCBI. 2017-05-19. Retrieved 2017-05-20.
- ^ "Search results - 19[CHR] AND "Homo sapiens"[Organism] AND ("genetype pseudo"[Properties] AND alive[prop]) - Gene". NCBI. 2017-05-19. Retrieved 2017-05-20.
- ^ Bearer EL, Chen AF, Chen AH, Li Z, Mark HF, Smith RJ, Jackson CL (2000). "2E4/Kaptin (KPTN)—a candidate gene for the hearing loss locus, DFNA4". Ann Hum Genet. 64 (3): 189–196. doi:10.1046/j.1469-1809.2000.6430189.x. PMC 3376086. PMID 11409409.
- ^ a b Dean, L. (2005). "Ch. 5: The ABO blood group". Blood Groups and Red Cell Antigens. Bethesda MD: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BK2261.
- ^ Gilbert F (1997). "Disease genes and chromosomes: disease maps of the human genome. Chromosome 19". Genet Test. 1 (2): 145–9. doi:10.1089/gte.1997.1.145. PMID 10464639.
- ^ "OMIM Entry - # 613845 - HYPERURICEMIA, PULMONARY HYPERTENSION, RENAL FAILURE, AND ALKALOSIS SYNDROME; HUPRAS". www.omim.org. Retrieved 20 January 2017.
- ^ Moss, K (Spring 2001). "Leber's Congenital Amaurosis". Texas Deafblind Outreach. Texas School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9, 2013.
- ^ 게놈 장식 페이지, NCBIHomo sapient에 대한 표의도 데이터(400 bphs, 어셈블리 GRCh38.p3)마지막 업데이트 2014-03-04.2017-04-26 취득.
- ^ 게놈 장식 페이지, NCBIHomo sapient에 대한 표의도 데이터(550 bphs, 어셈블리 GRCh38.p3)최종 갱신 2015-08-11.2017-04-26 취득.
- ^ International Standing Committee on Human Cytogenetic Nomenclature (2013). ISCN 2013: An International System for Human Cytogenetic Nomenclature (2013). Karger Medical and Scientific Publishers. ISBN 978-3-318-02253-7.
- ^ Sethakulvichai, W.; Manitpornsut, S.; Wiboonrat, M.; Lilakiatsakun, W.; Assawamakin, A.; Tongsima, S. (2012). "Estimation of band level resolutions of human chromosome images". In Computer Science and Software Engineering (JCSSE), 2012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276–282. doi:10.1109/JCSSE.2012.6261965. ISBN 978-1-4673-1921-8. S2CID 16666470.
- ^ 게놈 장식 페이지, NCBIHomo sapient에 대한 표의도 데이터(850 bphs, 어셈블리 GRCh38.p3)최종 갱신 2014-06-03.2017-04-26 취득.
- ^ "p" : 짧은 팔, "q" : 긴 팔.
- ^ 세포 유전학적 밴드 명명법은 문서 궤적을 참조하십시오.
- ^ a b 이러한 값(ISCN 시작/중지)은 ISCN 책, 인간 세포유전학적 명명법을 위한 국제 시스템(2013)의 밴드/아이디어의 길이를 기반으로 한다.임의의 단위
- ^ gpos: G 밴딩에 의해 긍정적으로 염색된 영역, 일반적으로 AT가 풍부하고 유전자가 부족한 영역, gneg: G 밴딩에 의해 음성적으로 염색된 영역, 일반적으로 CG가 풍부하고 유전자가 풍부한 영역, acen Centromere.var: 가변 영역; 줄기: 줄기.
- Grimwood J, Gordon LA, Olsen A, Terry A, Schmutz J, Lamerdin J, Hellsten U, Goodstein D, Couronne O, Tran-Gyamfi M, Aerts A, Altherr M, Ashworth L, Bajorek E, Black S, Branscomb E, Caenepeel S, Carrano A, Caoile C, Chan YM, Christensen M, Cleland CA, Copeland A, Dalin E, Dehal P, Denys M, Detter JC, Escobar J, Flowers D, Fotopulos D, Garcia C, Georgescu AM, Glavina T, Gomez M, Gonzales E, Groza M, Hammon N, Hawkins T, Haydu L, Ho I, Huang W, Israni S, Jett J, Kadner K, Kimball H, Kobayashi A, Larionov V, Leem SH, Lopez F, Lou Y, Lowry S, Malfatti S, Martinez D, McCready P, Medina C, Morgan J, Nelson K, Nolan M, Ovcharenko I, Pitluck S, Pollard M, Popkie AP, Predki P, Quan G, Ramirez L, Rash S, Retterer J, Rodriguez A, Rogers S, Salamov A, Salazar A, She X, Smith D, Slezak T, Solovyev V, Thayer N, Tice H, Tsai M, Ustaszewska A, Vo N, Wagner M, Wheeler J, Wu K, Xie G, Yang J, Dubchak I, Furey TS, DeJong P, Dickson M, Gordon D, Eichler EE, Pennacchio LA, Richardson P, Stubbs L, Rokhsar DS, Myers RM, Rubin EM, Lucas SM (2004). "The DNA sequence and biology of human chromosome 19". Nature. 428 (6982): 529–35. Bibcode:2004Natur.428..529G. doi:10.1038/nature02399. PMID 15057824.
- Human Proteome Project Launch 웹사이트~ https://web.archive.org/web/20110726163128/http : //www.hupo.org/research/hpp/HPP_legrain_sep_2010.pdf
외부 링크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hromosome 19". Genetics Home Refere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3, 2004. Retrieved 2017-05-06.
- "Chromosome 19". Human Genome Project Information Archive 1990–2003. Retrieved 2017-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