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딘 가톨릭 교회
Chaldean Catholic Church![]() 칼딘 가톨릭 교회 | |
---|---|
Classical Syriac: ܥܕܬܐ ܟܠܕܝܬܐ ܩܬܘܠܝܩܝܬܐ | |
![]() | |
분류 | 동방 가톨릭 |
오리엔테이션 | 시리아 기독교(동부) |
성서 | 페시타[1] |
신학 | 가톨릭 신학 |
거버넌스 | 칼딘 교회[2] 시노드 |
교황 | 프란시스 |
총대주교 | 루이 라파엘 1세 사코 |
지역 | 이라크, 이란, 터키, 시리아, 디아스포라 포함 |
언어 | 전례:시리아어[3] |
예배 | 동시리아 전례 |
본사 | 이라크 바그다드, 슬픔의 성모 성당 |
설립자 | 아다이와 마리를 거쳐 사도 토마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
기원. | 1552 |
분리 | 아시리아 동방교회(1692년) 시로말라바르 교회 (1599년) |
회원들 | 616,639 (2018)[4] |
기타 이름 | 칼데아 총대주교국 |
공식 웹사이트 | www |
![]() |
시리즈의 일부 |
특정 교회수이우리스 가톨릭 교회의 |
---|
![]() ![]() |
특정 교회는 의례에 따라 분류된다. |
알렉산드리아 전례 |
아르메니아 전례 |
비잔틴 전례 |
동시리아 전례 |
라틴 전례 의식 |
서시리아 전례 |
![]() ![]() |
The Chaldean Catholic Church (Classical Syriac: ܥܕܬܐ ܟܠܕܝܬܐ ܩܬܘܠܝܩܝܬܐ, ʿīdtha kaldetha qāthuliqetha; Arabic: الكنيسة الكلدانية al-Kanīsa al-kaldāniyya; Latin:에클레시아 찰데오룸 카솔리카(빛). '칼데오름 카톨리카'는 교황청 및 기타 가톨릭 교회와 완전한 교감을 맺고 있는 동방 가톨릭 특수 교회(수이 법리)로, 칼데오름 총대주교청이 이끌고 있다.시리아어로 된 동시리아 전례(East Syriac Reatic)를 전례에 채택하고 있으며, 시리아 기독교의 일부입니다.1950년부터 이라크 바그다드에 있는 슬픔의 성모 대성당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가톨릭 교회인 루이 라파엘 1세 사코가 이끌고 있다.2010년에는 회원 수가 490,371명이었으며, 그 중 310,235명(63.27%)이 중동(주로 이라크)[5]에 살고 있었다.
미국 국제종교자유위원회는 칼딘 가톨릭 교회의 기관인 이라크 기독교 재단에 따르면 이라크 기독교인의 약 80%가 칼딘 가톨릭 교회 [6]신자라고 밝혔습니다.미 국무부는 2018년 '종교의 자유에 관한 보고서'에서 이라크 [7]내 기독교인의 약 67%가 칼딘 가톨릭 신자라고 밝혔다.유럽연합 망명국의 2019년 이라크 국가지침은 미국 [8]국무부와 동일한 정보를 제공한다.
기원.
칼딘 가톨릭 교회는 동방 교회 내부의 분열에 따라 생겨났다.1552년에 확립된 "엘리야 가문"은 경쟁자인 술라카 총대주교에 의해 반대되었고, 술라카는 소위 "시문 가문"이라고 불리는 것을 시작했다.그와 그의 초기 후계자들은 가톨릭 교회와 교감하기 시작했지만, 1세기 이상 동안 로마와 심문 13세 딩카 치하의 관계를 느슨하게 하고, 1672년 로마와 모순되는 신앙의 공언을 채택함으로써 공개적으로 이를 포기했다.로마와 교감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의 지도력은 처음에는 터키 민정당국(1677년)에 의해, 그리고 다음에는 로마에 의해 가톨릭 총대주교로 인정된 아미드 요제프 1세 대주교에게 넘어갔다.한 세기 반 뒤인 1830년 로마는 요한난 호미즈드에게 가톨릭 신자의 수장을 수여했다."엘리야 가문"의 일원: 그는 엘리야 12세(1778–1804)에 반대했고, 그는 1780년에 부정기적으로 선출되었고, 술라카가 1552년에 그랬던 것처럼, 엘리야 가문의 추종자 대부분이 로마와 교감하는 데 성공했다.1553년 로마와 교감한 뒤 1672년 해체한 시문 가문은 1976년 아시리아 [9][10][11][12]동방교회라는 이름을 공식 채택한 교회로, 엘리야 가문은 칼딘 가톨릭 총대주교 계열에 속한다.
"Chaldean"이라는 설명
적어도 제롬의 시대부터 수 세기 동안,[13] "찰딘"이라는 용어는 성서 아람어를[14] 나타내는 잘못된 명칭이었고 19세기에도 [15][16][17]여전히 일반적인 이름이었다.1445년만이에서 천주교와의 교감 아람 스피커를 의미하기 위해서 위원회 Florence,[18]의 믿음이 티모시, 키프로스의 아람의 스피커, 아람에서 만들어진, 그리고 선언했다 수도권은 "아무도 한다 미래의 도전할[...]을 갈대아의 직업 자길 받아들이는 명령의 기준으로 사용하게 되기 시작했습니까.s,네스토리아인"[19][20][21]이전에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한 가톨릭 아람어 화자가 없었을 때, "칼딘"이라는 용어는 그들의 "네스토리안" 종교를 명시적으로 지칭하면서 적용되었다.따라서 자크 드 비트리는 1220/1년에 그들에 대해 "그들은 마리아가 하나님의 어머니라는 것을 부인했고 그리스도는 두 사람 사이에 존재한다고 주장했다.그들은 발효된 빵을 봉헌하고 '시리아어'를 사용했다.[22]피렌체 평의회의 법령은 "칼딘"을 "비 카톨릭"을 의미하는 데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었다.
가톨릭 교회 사용법 외에, "찰딘"이라는 용어는 로마와 교감하고 있든 없든, 동방 교회 전통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 계속 적용되었다.그것은 인종이나 국적이 아니라 언어나 종교만을 가리켰다.19세기 내내, 그것은 "네스토리안"이든 [23][24][25][26][27]가톨릭이든 동 시리아 기독교인들에게 계속 사용되었고, 이 사용은 20세기까지 [28]계속되었다.1852년 조지 퍼시 오소리는 그가 칼디안이라고 불렀던 사람들과 그가 네스토리아인이라고 불렀던 사람들을 구별했지만, 종교만으로는 결코 언어, 인종 또는 [29]국적으로 구분하지 않았다.
그의 국적과 민족성을 묘사하는 것으로 아시리아라는 용어를 받아들인 칼데아 가톨릭 교회의 총대주교 라파엘 1세 비다위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동양 교회의 일부가 17세기에 카톨릭이 되었을 때, 일부에 의해 믿어졌던 마기 왕들에 의해 교회에 주어진 이름은 '칼데아'였다.한때 칼딘의 땅이었던 곳에서 베들레헴까지.'찰딘'[30]이라는 이름은 민족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단지 교회일 뿐이다. 우리는 민족성이 무엇인지, 종교가 무엇인지 구분해야 한다.일찍이 그는 말했다. "제가 성직자가 되기 전에는 아시리아인이었고, 주교가 되기 전에는 아시리아인이었습니다. 저는 오늘, 내일, 영원히 아시리아인이며, 저는 그것이 [31]자랑스럽습니다."
역사
동방교회
칼딘 카톨릭 교회는 파르티아 제국에서 설립된 동방 교회로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간다.사도행전에는 사도들이 오순절(행전 2장 9절)에 설교한 사람들 중 파르티아인이 언급되어 있다.사도 토마스, 에데사의 타데우스, 그리고 사도 바르톨로뮤가 그 창시자로 유명하다.그 후손을 자랑하는 현대 교회 중 하나는 베드로전서 5장 13절에 언급된 "바빌론의 교회"이며 그가 그곳을 [32]방문했다고 말한다.
224년 파르티아인을 타도한 사산 제국의 통치 하에서 동방 교회는 시리아어와 시리아 문자를 사용하여 독특한 정체성을 계속 발전시켰다.한 "페르시아" 주교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 (325년)[33]에 있었다.제1차 콘스탄티노플 평의회(381년)에 페르시아가 참여했다는 언급은 없고, 로마 제국의 서쪽 지역도 관여하지 않았다.
사산의 수도에서 열린 410년 셀레우키아-크테시폰 평의회는 사산의 주교 아이작을 동방 교회 전체에 걸쳐 권위를 가진 카톨릭 신자로 인정했다.당시 기독교화된 로마 제국에 의해 사사니아인들과 로마 제국 사이의 지속적인 군사적 충돌은 페르시아인들에게 동방 교회가 적에게 동조하는 것을 의심하게 만들었다.이것은 차례로 동방교회가 로마제국의 교회로부터 점점 더 거리를 두도록 유도했다.비록 평화로운 시기에 그들의 420개 평의회는 니케아 평의회를 포함한 몇몇 "서방" 평의회들의 명령을 명백하게 받아들였지만, 424년 그들은 그 이후 규율이나 신학적인 문제를 외부 권력, 특히 "서방" 주교나 [34][35]평의회에 맡기지 않기로 결정했다.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 이은 신학적인 논쟁은 동방 교회 역사의 전환점이 되었다.의회는 네스토리우스의 기독교학을 이단으로 비난했는데, 성모 마리아에게 "신의 어머니"라는 칭호를 부여하기를 꺼려하는 네스토리우스는 그리스도 안에 두 명의 분리된 사람이 있다고 믿는 증거로 받아들여졌다.사산 황제는 네스토리우스파 분열에서 비잔틴 제국에서 [36]시행된 에페소스 평의회의 명령을 거부한 사람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했다.484년 그는 친로마 카톨릭 신자인 바보와이를 처형했다.니시비스의 주교 바르사우마의 영향으로 동방교회는 공식적으로 네스토리우스 자신이 아니라 그의 스승인 모프수에스티아의 테오도르가 쓴 글을 네스토리우스로 비난했지만 일부 현대 학자들은 이를 [37]정통으로 보고 있다.그래서 동방교회에서 테오도르에게 주어진 지위는 아디아베메의 [38]헤나나의 반대 가르침에도 불구하고 몇 개의 후속 시노드에서 강화되었다.
서양과의 분열과 네스토리우스주의라고 불리는 신학을 채택한 후, 동방 교회는 선교로 인해 중세 시대에 급속히 확장되었다.500년에서 1400년 사이에, 그 지리적 지평은 오늘날 이라크 북부, 시리아 북동부, 터키 남동부의 심장부를 훨씬 넘어 중앙아시아 전역과 멀리 중국(시안 비석에 의해 목격됨)까지 확장되었다. 781년에 기록된 중국 대본의 당나라 명판이다.중국의 [39]역사가장 오래 지속된 것은 인도 말라바르 해안의 성 토마스 기독교 신자로,[40] 그들은 약 천만 명의 추종자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감소 이미 Yahballaha 3세(1281–1317)의 교회는 동양의 가장 큰 지리적 범위에 도착했을 때에서, 그것과 중앙 남쪽 이라크가 9세기 말에 적어도 54,[41]과 Yahballaha 자신 a의 손에 죽은, 중앙과 동쪽 남쪽 페르시아만 4개 교구에서 가졌다 Musl나는 몹이다.
1400년경, 투르코-몽골족 유목민 정복자 티무르는 유라시아 스텝에서 일어나 서부, 남부, 중앙아시아 전역에 걸쳐 군사작전을 이끌었고, 이집트, 시리아, 신흥 오스만 제국, 쇠퇴하는 델리 술탄국을 물리친 후 궁극적으로 이슬람 세계의 많은 부분을 점령했다.티무르의 정복은 대부분의 아시리아 주교국을 초토화시켰고 4,000년 된 문화와 종교의 수도 아수르를 파괴했다.티무르에 의해 파괴된 후, 거대하고 조직적인 동방 교회 건물은 인도의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을 제외하고 대부분 기원 지역으로 축소되었다.
1552년 분열
동방 교회는 카톨릭 신자들의 입장에 대한 많은 논쟁을 봐왔다.539년 시노드는 524년 주교들의 경쟁 그룹에 의해 선출된 엘리사와 나르사이 두 명의 주장자 모두 [42]합법적이지 않다고 결정했다.셀레우키아-크테시폰의 바르사우마와 아카시우스 사이, 그리고 흐나니쇼 1세와 나병 환자 요한난 사이에 비슷한 충돌이 일어났다.1552년의 갈등은 단순히 두 개인 사이의 갈등만이 아니라 현재의 아시리아와 동방고대교회 사이의 1964년 분열처럼 두 개의 경쟁적인 가부장 계통의 갈등으로 확대되었다.
(보통 삼촌에서 조카로) 총대주교의 세습 관행에 대한 반대는 1552년 경쟁자인 라반 호미즈드 수도원장 요한난 술라카를 총대주교로 선출한 아미드와 살마스의 북부 지역 주교들에 의해 그 행동을 이끌어냈다."후보자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주교들은 새로운 연합을 협상하기 위해 그를 로마로 보냈다."[43]전통에 따라, 족장은 오직 한 가족의 구성원만이 승진한 계급인 대주교(수도권) 계급의 사람에 의해서만 임명될 수 있었다.그래서 술라카는 로마를 여행했고, 그곳에서 새로운 총대주교 선출자로 소개되어 가톨릭 교회와 교감하기 시작했고 교황으로부터 서품을 받고 총대주교로 인정받았다.그를 가장으로서 인정되었다 그 제목이나 설명 여러가지로"모술 동부 시리아에서 총대 주교", 많은 것은[44]"교회가 태여 난 모술의 총대 주교";[45]"칼데 야인의 총대 주교";[43][46][47]"모술의 총대 주교",[48][49][50]거나" 있는 도성을 총대 주교", 이 마지막이기 버전 피에트로에 의해 주어진다.스트로치는second-last unn에.Adrian Fortescue의 Leser Eastern [52][53]Churches에 영어 번역본이 있는 De Dogmatibus Chaldaeorum의 [51]1페이지 앞에 움푹 패인 페이지.가톨릭 신자는 아니더라도 네스토리아인으로 추정된 "동부 아시리아인"은 자코비트로 [54][55][56]간주된 "서부 아시리아인" (티그리스 강 서쪽에 있는 사람들)과 구별되었다.술라카의 후계자인 압디쇼 4세 마론이 [57]'동방 아시리아인'의 총대주교로서 트렌트 평의회 참가를 승인받았다.
이미 사용되고 있는 이름('네스토리안' 제외)은 기존 교회(새로운 교회 아님)에 적용되었고, 가부장직이 [49][47][58]공석이라는 인상을 준 사절들에 의해 가부장직 봉헌 요청이 이루어졌다.
시문 8세 요한난 술라카는 같은 해 귀국해 알코시 근교의 전통적인 가부장직을 얻지 못하고 아미드에 거주했다.전에 죽음의 총대 주교의 away,[48]그는 두 metropolitans과 다른 세 bishops,[47][49] 어떤 족장에게 많은intervening pla 후 곧 Amid에서 동쪽으로 옮겨 갔다는"Shimun 라인", 정착으로 알려진 아래 새로운 기독교 계층의 시작은 이미 누구에게서 그는이 부러졌다 빨치산의에 충동되어 적는 것.ces의페르시아 통치하의 외딴 마을 쿠드샤니스
로마와 교감하는 사람들의 연속된 지도자
술라카의 초기 후계자들은 가톨릭 교회와 교감하기 시작했지만, 1세기가 넘도록 로마와의 관계는 약해졌다.교황의 공식 승인을 요청하고 얻은 마지막 사람은 1600년에 죽었다.그들은 1552년 분열을 일으킨 가부장제 세습을 채택했다.1672년, 시문 13세 딩카는 공식적으로 로마와의 교감을 끊고, 알코쉬에 기반을 둔 "엘리야 라인"의 가부장들로부터 독립을 유지하는 동안, 로마와 모순되는 신앙을 채택했다."시문 라인"은 1976년 이래 공식적으로 아시리아 [9][10][11][59]동방 교회라고 불리는 가부장적인 라인이 되었다.
로마와 교감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의 지도력은 아미드의 요셉 대주교에게 넘어갔다.1677년 그의 지도력은 터키 민정당국에 의해 인정되었고, 1681년 로마에 의해 인정되었다(그때까지 술라카의 거주지였지만 그의 후계자들이 동쪽으로 사파비드로 이주하기 위해 포기한 아미드에 대한 알코시 족장의 권위는 터키 당국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1696년 건강상의 이유로 사임하고 1707년까지 로마에서 살았던 요제프 1세의 아미드의 모든 후계자들은 요제프 2세 (1696년–1713년), 요제프 3세 (1713년–1757년), 요제프 4세 (1757년–1781년)라는 이름을 얻었다.그래서 그들은 "조셉 계열"로 알려져 있다.요제프 4세는 1780년에 사직서를 제출했고, 1781년에 받아들여졌고, 그 후 그는 아직 주교가 아닌 조카에게 총대주교직을 넘겨주고 1791년까지 [60]로마로 은퇴했다.
조카를 총대주교로 임명하는 것은 세습 원칙을 수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게다가 알코쉬의 "엘리야 라인"은 로마에 가까워지고 있었고, 그 추종자들 내의 친 카톨릭파가 지배적이 되어가고 있었다.프랑스 혁명 이후 유럽의 정치적 격동뿐만 아니라 기독교적인 여러 가지 이유로 로마는 오랫동안 칼데아 가톨릭의 지도자로 두 명의 경쟁자 중에서 선택할 수 없었다.
1672년 네스토리우스 교리의 총대주교들의 "시문 라인"에 의한 채택은 로마에서 유지된 반대 기독교학의 광범위한 채택으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 따라왔다.이것은 터키의 법령에 의해 요셉 1세가 총대주였던 아미드 마르딘 지역뿐만 아니라 1700년까지 거의 모든 동 시리아인들이 가톨릭 [61]신자들이었던 모술 시에서도 일어났다.총대주교 엘리야 라인이 있던 랍반 호르미즈드 수도원은 알코시 마을에서 2km, 모술시에서 북쪽으로 45km 정도 떨어져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총대주교 엘리야 11세는 1735년, 1749년, 1756년에 교황에게 연합을 요청하는 편지를 썼다.그 후 1771년 그와 그의 후계자로 지명된 이소야브는 로마가 받아들인 신앙을 공언하여 원칙적으로 교감을 확립하였다.1778년 엘리야 11세가 사망했을 때, 수도권은 그의 후계자인 이소야브를 인정했고, 이에 따라 엘리야 12세(엘리야 12세)라는 이름을 얻었다.지지를 얻기 위해 엘리야는 가톨릭 신앙을 공언했지만, 거의 즉시 이를 포기하고 전통주의자(네스토리안)의 견해를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엘리야 가문"의 일원인 요한난 호미즈드는 엘리야 12세(1778–1804)에 반대했는데, 엘리야 12세는 정상적인 방식으로 총대주교로 선출된 마지막 가문이었다.1780년 요한난은 1552년 술라카처럼 부정기적으로 총대주교로 선출되었다.그는 "엘리야 라인"의 대부분의 추종자들이 로마와 교감하도록 설득했다.교황청은 그를 총대주교로 인정하지 않았지만 1791년 아미드 대주교와 가톨릭 총대주교청의 행정관으로 임명했다.당시 로마에 있던 요제프 4세의 조카의 격렬한 항의와 요한난의 개종 진정성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의혹으로 인해 이것이 시행되는 것을 막았다.1793년 요한난은 아미드에서 모술로 철수하기로 합의되었고, 수도는 요한난이 이미 그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그의 경쟁자인 요세프 4세의 조카에게 총대주교직을 부여하지는 않을 것이다.1802년 후자는 아미드의 수도원, 총대주교청의 행정관으로 임명되었지만 총대주교는 임명되지 않았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흔히 조셉 5세로 알려지게 되었다.그는 1828년에 죽었다.요한난의 알코시 총대주교 칭호 경쟁자는 1804년에 사망했고, 그의 추종자들은 너무 줄어들어서 그를 위한 후계자를 선출하지 않았고, 따라서 알코시 또는 엘리야 가문은 [61]종말을 고했다.
마침내 1830년 교황청이 아미드의 요셉 1세에게 칼데아 가톨릭의 수장을 수여한 지 150년 만에 요한난 총대주교로 인정받았고, 요한난은 그 후 칼데아 가톨릭교회에서 가부장적 승계를 이어왔다.
칼딘교회의 후기 역사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c/St._Joseph_Assyrian_Catholic_Church%2C_Tehran.jpg/220px-St._Joseph_Assyrian_Catholic_Church%2C_Tehran.jpg)
1838년 소란의 쿠르드족은 쿠르드 족장 살해의 책임이 야지디스인 것으로 알고 랍반 호르미즈드 수도원과 알코쉬를 공격했고, 수도원의 반주자인 가브리엘 담보를 포함한 [62]300명 이상의 칼데아 가톨릭 신자들을 살해했다.
1846년, 스스로를 칼데아라고 부르는 사람들을 네스토리아인으로 분류했던 오스만 제국은 그들을 뚜렷한 [63][64]기장으로 인정했습니다.
19세기 칼딘교회의 가장 유명한 총대주교는 교황 비오 9세와의 충돌로 기억되는 요제프 6세 아우도였는데 주로 말라바르 가톨릭에 대한 칼딘의 지배권을 확장하려는 시도에 관한 것이었다.이 시기는 칼딘 가톨릭 교회의 확장기였다.
터키군과 쿠차니스 총대주교국의 영토에서 러시아에 대한 무장 지원에 대한 일부 대응으로 쿠르드족과 아랍 동맹의 활동은 칼데아 교구의 아미드, 시어트, 가자르타에 파멸을 가져왔고, 시어트의 아다이 셰르와 가자르타의 필리프 자크 아브라함은 [65]1915년에 살해되었다.
21세기, 2003년 로마 성 토마스 아퀴나스 앤젤리쿰 교황청립대학교를 졸업한 모술 성령의 칼딘 교회 목사 라히드 아지즈 간니 신부는 에큐메니컬 신학 자격증을 소지하고 모술의 부소장들과 함께 2007년 6월 3일 살해되었다.가산 이삼 비다웨드는 미사를 [66][67]집전하고 나서간니는 그 이후로 신의 [68]종으로 선언되었다.
칼딘 대주교 파울로스 파라즈 라호와 3명의 동료는 2008년 2월 29일 모술에서 납치돼 며칠 [69]뒤 살해됐다.
21세기: 국제 디아스포라
서구 세계, 주로 미국 미시간, 일리노이,[70] 캘리포니아에 디아스포라로 거주하는 많은 칼디안들이 있다.
2006년에는 호주와 뉴질랜드의 [71]칼데아 가톨릭 공동체를 포함한 '칼데아 시드니의 사도 성 토마스'라는 칭호를 가진 오세아니아 수도회가 설치되었다.2006년 10월 21일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지브레일(지브레일) 카사브 대주교로 임명된 최초의 주교는 [72]지금까지 이라크 바소라 대주교였다.
특히 미국 [73]남동부의 웨스트 블룸필드와 오클랜드 카운티로 대규모 이민이 있었다.가장 많은 인구가 남동미시간에 살고 있지만, 캘리포니아와 애리조나 일부에도 인구가 있으며, 모두 디트로이트의 사도 세인트 토마스의 에파키치 아래 있다.또한, 캐나다는 최근 몇 년 동안 온타리오와 같은 지역에서 커뮤니티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2008년 아시리아 동방교회의 바와이 소로와 아시리아 가족 1,000명이 칼데아 가톨릭 [74]교회와 완전한 교감을 맺었다.
2011년 6월 10일 금요일,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새로운 칼딘 천주교 종부제를 세우고 요한난 조라 대주교를 임명했다. 요한난 조라는 토론토에서 네 명의 사제들과 거의 20년 동안 함께 일했으며 이전에 칼딘 천주교 종부장이었다.아바즈 대주교(1974년 이후)와 아바즈 대교구 대주교(1974년 이후).새로운 수도원제 또는 교구는 마르 아다이의 칼딘 가톨릭 수도원제로 알려지게 될 것이다.캐나다에는 38,000명의 칼딘 카톨릭 신자가 있다.조라 대주교는 1939년 3월 15일 이라크 바트나야에서 태어났다.그는 1962년 서품을 받았고 1969년 [75]이란으로 전근되기 전 이라크 교구에서 일했다.
2006년 호주 인구 조사에 따르면 [76]총 4,498명의 칼딘 카톨릭 신자가 살고 있다.
과거 회원 자격에 대한 내용
요한난 호르미즈드 (1830–1838), 니콜라스 1세 자야 (1839–1847), 요셉 6세 아우도 (1847–1878)의 통치 기간 동안의 내부 불화에도 불구하고, 19세기는 영토 관할권이 확장되고, 계급이 강화되고, 구성원이 거의 두 배로 늘어난 칼딘 교회에게 상당한 성장기였다.1850년 영국 성공회 선교사 조지 퍼시 오소리(George Percy Badger)는 찰딘교회의 인구가 2,743명, 즉 20,000명 미만이라고 기록했습니다.1796년 푸랑스 드 생트마리에 의해 기록된 4,000명이 조금 넘는 칼딘 가문의 수치나 1867년 폴랭 마르틴에 의해 제공된 약간 이후의 수치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오소리는 이 시기에 칼딘이었던 아크라 지역의 상당수의 마을들을 네스토리안으로 분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교구의 몇몇 중요한 칼딘 마을들도 포함시키지 못했다.그의 추정치는 거의 확실히 [77]너무 낮다.
교구 | 촌수 | 교회 수 | 성직자 수 | 가족의 수 | 교구 | 촌수 | 교회 수 | 성직자 수 | 가족의 수 |
---|---|---|---|---|---|---|---|---|---|
모술 | 9 | 15 | 20 | 1,160 | 씨트 | 11 | 12 | 9 | 300 |
바그다드이다. | 1 | 1 | 2 | 60 | 가자르타 | 7 | 6 | 5 | 179 |
①아마디야 | 16 | 14 | 8 | 466 | 키르쿠크 | 7 | 8 | 9 | 218 |
가운데 | 2 | 2 | 4 | 150 | 살마스 | 1 | 2 | 3 | 150 |
마르딘 | 1 | 1 | 4 | 60 | 총 | 55 | 61 | 64 | 2,743 |
1867년 조셉 오도가 아크라, 자코, 바스라, 세나의 교구를 만든 후 폴린 마틴의 통계 조사는 총 70,268명의 교인을 기록했는데, 이는 오소리 교구의 추정치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이다.이 통계에서 대부분의 인구 수치는 거의 1,000명으로 반올림되었고, 또한 약간 과장되었을 수도 있지만, 이 시기의 칼딘 가톨릭 교회의 신도 수는 확실히 오소리 20,[78]000명보다 70,000명에 비해 70,000명에 가까웠다.
교구 | 촌수 | 성직자 수 | 신자 수 | 교구 | 촌수 | 교회 수 | 신자 수 |
---|---|---|---|---|---|---|---|
모술 | 9 | 40 | 23,030 | 마르딘 | 2 | 2 | 1,000 |
§ 아크라 | 19 | 17 | 2,718 | 씨트 | 35 | 20 | 11,000 |
①아마디야 | 26 | 10 | 6,020 | 살마스 | 20 | 10 | 8,000 |
바스라 | – | – | 1,500 | 세나 | 22 | 1 | 1,000 |
가운데 | 2 | 6 | 2,000 | 자코 | 15 | – | 3,000 |
가자르타 | 20 | 15 | 7,000 | 키르쿠크 | 10 | 10 | 4,000 |
총 | 160 | 131 | 70,268 |
1896년 J. B.에 의해 수행된 칼딘 가톨릭 교회의 통계 조사.샤보트는 아다나, 알레포, 베이루트, 카이로, 다마스쿠스, 에데사, 케르만샤, 테헤란의 작은 칼데아 공동체를 위해 19세기 후반에 설립된 여러 가부장제들의 세부사항을 처음으로 포함시켰다; 1890년대에 키샨의 몇몇 마을과 마을에 설립된 선교소를 위해.새로 탄생한 칼데아 우르미 교구를 위해.샤보트에 따르면, 타이마르에 있는 세라이 다마흐미데 마을과 마르 베흐쇼,[79] 사트, 자르네, 그리고 살라마크카의 하카리 마을에 선교소가 있었다.
교구 | 촌수 | 성직자 수 | 신자 수 | 교구 | 촌수 | 교회 수 | 신자 수 |
---|---|---|---|---|---|---|---|
바그다드이다. | 1 | 3 | 3,000 | ①아마디야 | 16 | 13 | 3,000 |
모술 | 31 | 71 | 23,700 | § 아크라 | 12 | 8 | 1,000 |
바스라 | 2 | 3 | 3,000 | 살마스 | 12 | 10 | 10,000 |
가운데 | 4 | 7 | 3,000 | 우르미 | 18 | 40 | 6,000 |
키르쿠크 | 16 | 22 | 7,000 | 세나 | 2 | 2 | 700 |
마르딘 | 1 | 3 | 850 | 바이카리아테스 | 3 | 6 | 2,060 |
가자르타 | 17 | 14 | 5,200 | 미션 | 1 | 14 | 1,780 |
씨트 | 21 | 17 | 5,000 | 자코 | 20 | 15 | 3,500 |
총 | 177 | 248 | 78,790 |
제1차 세계대전 전 마지막 칼딘 가톨릭 교회 조사는 1896년 이후 꾸준한 성장기를 거친 후 1913년 칼딘 신부 요제프 티핑크에 의해 이루어졌다.이 교구는 모술과 바그다드의 총대주교구, 다른 4개 교구(아크라, 키르쿠크, 세르트, 우르미)와 8개 교구(아크라, 아마디야, 가자르타, 마르딘, 살마스, 세흐나, 자코, 그리고 새로 창설된 반 교구)로 구성되었다.1896년 이후 다섯 개의 가부장제(아하즈, 콘스탄티노플, 바스라, 아쉬샤르, 데이르 알-조르)[80][81]가 더 설립되어 총 12개의 가부장제가 되었다.
테핑크지는 아미드, 세르트, 아크라의 교구에 있는 21개 '신개종' 또는 '반네스토리안' 마을의 2,310명의 명목상의 가톨릭 신자를 포함했기 때문에 199개 마을에 있는 101,610명의 가톨릭 신자는 약간 과장된 것이지만, 1896년 이후 칼딘 가톨릭 교회가 크게 성장한 것은 분명하다.1913년 약 10만 명의 신자를 가진 칼딘 교회의 신도 수는 쿠드샤니스 총대주교국보다 약간 적었다(우르미 지역의 명목상 러시아 정교회 마을 인구 포함 최대 12만 명).그 신도들은 쿠드샤니스 총대주교국보다 훨씬 적은 마을에 집중되어 있었고, 296명의 성직자가 있었는데, 이는 신도 1천 명당 약 3명의 성직자 비율이었다.1913년에는 [citation needed]주로 세어트와 아크라 지역에 있는 12개의 칼딘 마을들만이 그들만의 성직자가 없었다.
교구 | 촌수 | 교회 수 | 성직자 수 | 신자 수 | 교구 | 촌수 | 교회 수 | 성직자 수 | 신자 수 |
---|---|---|---|---|---|---|---|---|---|
모술 | 13 | 22 | 56 | 39,460 | ①아마디야 | 17 | 10 | 19 | 4,970 |
바그다드이다. | 3 | 1 | 11 | 7,260 | 가자르타 | 17 | 11 | 17 | 6,400 |
바이카리아테스 | 13 | 4 | 15 | 3,430 | 마르딘 | 6 | 1 | 6 | 1,670 |
가운데 | 9 | 5 | 12 | 4,180 | 살마스 | 12 | 12 | 24 | 10,460 |
키르쿠크 | 9 | 9 | 19 | 5,840 | 세나 | 1 | 2 | 3 | 900 |
씨트 | 37 | 31 | 21 | 5,380 | 승합차 | 10 | 6 | 32 | 3,850 |
우르미 | 21 | 13 | 43 | 7,800 | 자코 | 15 | 17 | 13 | 4,880 |
§ 아크라 | 19 | 10 | 16 | 2,390 | 총 | 199 | 153 | 296 | 101,610 |
Tfinkdji의 통계는 또한 총대주교 Joseph VI Audo의 교육 개혁에 대한 Chaldean Catholic Church에 대한 영향을 강조한다.제1차 세계대전 전날 칼딘 가톨릭 교회는 주교들의 교육을 위해 랍반 호미즈드의 수도원과 선전 대학에 덜 의존하게 되었다.1879년에서 1913년 사이에 17명의 칼딘 주교가 축성되었고, 그들 중 오직 한 명(스티븐 요한난 카이나야)만이 랍반 호미즈드의 수도원에서 완전히 교육을 받았습니다.6명의 주교(요셉 가브리엘 아다모, 토마 아우도, 제레미 티모시 맥다시, 아이작 쿠다바하시, 테오도르 메사예, 피터 아지즈)는 선전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고, 미래의 총대주교 유세프 6세 엠마누엘 2세 토마스는 베이루트 인근 가즈 신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다른 9명의 주교 중 2명(아다이 셰어와 프란시스 데이비드)은 모술에 있는 시로-칼딘 신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7명(필립 야콥 아브라함, 야콥 요한난 사하르, 엘리야 요셉 카야트, 쉴레문 사바그, 야콥 아위즈 마나)은 호르미나에서 교육을 받았다.
|
|
|
|
조직
칼딘 가톨릭 교구는 다음과 같다.
- 바그다드 총대주교청
- 바그다드, 키르쿠크, 테헤란, 우르미아 대교구
- 아흐와즈, 바스라, 디야르바키르, 에르빌, 모술의 대교구
- 알레포, 알코치, 아마디야, 아크레, 베이루트, 카이로, 샌디에이고, 디트로이트, 토론토,
시드니, [83]살마스, 술라이마니야, 자쿠의 관구 - 총대주교에 의존하는 영토: 예루살렘, 요르단
그 교회의 라틴어 이름은 에클레시아 찰데오름 카솔리카이다.
계층
현재 총대주교는 2013년 1월에 선출된 루이 라파엘 1세 사코입니다.2007년 10월, 그의 전임자인 에마뉘엘 3세 델리는 가톨릭 교회 [84]내에서 추기경으로 승격된 최초의 칼데아 가톨릭 총대주교가 되었다.
현재의 칼데아 주교국(2014년 1월)은 다음과 같다.
- 바그다드 총대주교 루이 라파엘 1세 사코(2013년 2월 이후)
- 에밀 시문 노나, 세인트루이스 주교Thomas the 사도 Chaldean and Asyrian Cathy of Australia and New Zealand (2015년 이후)
- 바샤르 와다 에르빌 대주교(2010년 7월 이후)
- 람지 가르모 테헤란 대주교(1999년부터) 및 아미드 대주교(2020년부터)
- 토마스 메람 우르미아 살마스 대주교(1984년부터)
- Jibrail Kassab, 명예 주교, 전 시드니 주교(2006~2015)
- 니시비스의 명의 대주교이자 바빌론의 주교인 자크 이사크(2005년 12월 이후)
- 하비브 알 나우팔리 바스라 대주교(2014년부터)
- 유시프 미르키스 키르쿠크 술레이마니야 대주교(2014년부터)
- 미카 폴라 막다시, 알코시 주교(2001년 12월 이후)
- 바빌론의 주교인 Shlemon Warduni(2001년부터)
- Saad Sirop, 바빌론의 보조 주교(2014년부터) 및 유럽의 칼데아 가톨릭 사도 방문자(2017년부터)
- 안토니 아우도 알레포 주교(1992년 1월 이후)
- Michael Kassarji 레바논 주교(2001년 이후)
- 랍반 알카스, 명예 주교, 아마디야 전 주교(2001년-2022년)
- 이브라힘 이브라힘, 명예 주교, 디트로이트 사도 성 토마스 전 주교(1982년 4월~2014년)
- 디트로이트 사도 성 토마스 주교 프랜시스 칼라바트(2014년 6월 이후)
- 사르하드 요십 잠모, 샌디에이고 사도 성 베드로의 명예 주교(2002~2016년)
- 바와이 소로, 명예 주교, 전 세인트루이스 주교 캐나다 아다이 찰딘 아파르키 (2017-2021년)
- Mikhael Najib, 모술의 칼딘 천주교 원형대교구장(2018년 이후)
- 사드 펠릭스 샤비 자코 주교(2020년부터)
- 전 바그다드 보좌주교(2018~2022년) 및 아르사타 교구장(2019년부터)의 명목 주교, 세인트루이스 주교. 캐나다 아다이 찰딘 아파르키 (2021년 이후)
- 에마뉴엘 하나 샬레타, 세인트루이스 주교사도 베드로 칼딘 카톨릭 (미국 샌디에이고, 2016년부터)
- 바빌론의 퀴리얼 주교이자 벳자브다의 명목 주교인 바젤 얄도(2015년부터)
- 파울루스 사벳 마코 알코시 주교 보좌관(2021년부터)
- 도후크와 아마디야의 아자드 사브리 샤바 주교(2022년부터)
몇 개의 뷰가 비어 있습니다.Ahwaz의 원형 왕정, 'Aqra의 원형 왕정, 카이로의 원형.
예배
칼데아 가톨릭 교회는 동 시리아 의식을 사용한다.
예배의 약간의 개혁은 2007년 1월 6일부터 시행되었으며, 그것은 각 교구의 많은 다른 용도를 통일하고, 로마 의식을 모방한 수세기 된 추가사항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목가적인 이유에서였다.변주곡의 주요 요소는 신부가 큰 소리로 말한 아나포라, 교회들의 고대 건축물로의 회귀, 예배 시작 전에 빵과 와인을 준비하는 고대 사용의 복원, 그리고 필리오케의 [85]신조로부터의 삭제입니다.
에큐메니컬 관계
최근 몇 년 사이 동방 아시리아 교회와 아시리아 교단의 동료 아시리아인들의 관계가 개선되었다.199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아시리아 동방 교회의 총대주교 딩카 4세는 공통 기독교 [86]선언문에 서명했다.2001년 7월 20일 교황청은 아시리아 동방교회와 합의하여 칼데아 교회와 아시리아 동방교회 사이의 성체 입회 지침이라는 문서를 발행하여 아다이와 [87]마리의 아나포라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2015년 딩카 4세의 사망으로 아시리아 동방교회 총대주교가 공석인 가운데 칼데아 총대주교 루이 라파엘 1세 사코는 3개 현대 총대주교구를 [88][89]교황과 완전히 교감하는 단일 총대주교로 재창립할 것을 제안했다.아시리아 동방교회는 "아직 [90]남아 있는 생태학적 차이"를 들어 이 제안을 정중히 거부하고 새로운 총대주교 선출을 진행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 바그다드의 칼딘 가톨릭 총대주교 목록
- 동방 가톨릭 교회
- 예배:아다이·마리 성찬식 동시리아크 의식
- 칼딘 천주교 신자들에 대한 영화:최후의 아시리아인
- 아시리아인
- 아시리아인, 칼데인, 시리아인 목록
- 시리아 기독교인을 위한 용어
- 시로말라바르 교회
레퍼런스
- ^ 서지학 개요:모든 기독교인이 성경의 기원, 구성, 영감, 해석, 카노닉성, 전승에 대해 알아야 할 것
- ^ 칼딘 교회 시노드 GCatholic.org
- ^ "The Chaldean Catholic Church". CNEWA. Retrieved 11 May 2013.
- ^ 전 세계 동방 가톨릭 교회 2018
- ^ 중동의 기독교인 통계
- ^ 이라크 기독교인에 대한 간략한 요약
- ^ 이라크 2018 국제종교자유보고서, 3페이지
- ^ 유럽 망명 지원 사무소:국가 지침 - 이라크(2019년 6월), 페이지 70
- ^ a b Baum & Winkler 2003, 페이지 4
- ^ a b Eckart Frahm (24 March 2017). A Companion to Assyria. Wiley. p. 1132. ISBN 978-1-118-32523-0.
- ^ a b Joseph 2000, 페이지 1
- ^ "Fred Aprim, "Assyria and Assyrians Since the 2003 US Occupation of Iraq"" (PDF). Retrieved October 12, 2019.
- ^ Edmon Louis Gallagher (23 March 2012). Hebrew Scripture in Patristic Biblical Theory: Canon, Language, Text. BRILL. pp. 123, 124, 126, 127, 139. ISBN 978-90-04-22802-3.
- ^ Rassam, Hormuzd (1897). Asshur and the land of Nimrod. Curts & Jennings. p. 180 – via Internet Archive.
- ^ Julius Fürst (1867). A Hebrew and Chaldee Lexicon to the Old Testament: With an Introduction Giving a Short History of Hebrew Lexicography. Tauchnitz.
- ^ Wilhelm Gesenius; Samuel Prideaux Tregelles (1859). Gesenius's Hebrew and Chaldee Lexicon to the Old Testament Scriptures. Bagster.
- ^ Benjamin Davies (1876). A Compendious and Complete Hebrew and Chaldee Lexicon to the Old Testament, Chiefly Founded on the Works of Gesenius and Fürst ... A. Cohn.
- ^ Coakley, J. F. (2011). Brock, Sebastian P.; Butts, Aaron M.; Kiraz, George A.; van Rompay, Lucas (eds.). Chaldeans. Gorgias Encyclopedic Dictionary of the Syriac Heritage. Piscataway, NJ: Gorgias Press. p. 93. ISBN 978-1-59333-714-8.
- ^ 바젤 페라라 플로렌스 평의회, 서기 1431-49.
- ^ Baum & Winkler 2003, 112페이지
- ^ 오마호니 2006, 페이지 527
- ^ Baum & Winkler 2003, 페이지 83
- ^ Ainsworth, William (1841). "An Account of a Visit to the Chaldeans, Inhabiting Central Kurdistán; and of an Ascent of the Peak of Rowándiz (Ṭúr Sheïkhíwá) in Summer in 1840". The Journal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of London. 11. e.g. p. 36. doi:10.2307/1797632. JSTOR 1797632.
- ^ 윌리엄 F.Ainsworth, 소아시아, 메소포타미아, 칼데아, 아르메니아 여행 및 연구(런던 1842).Ⅱ, 272페이지, 중동의 현대 아시리아인(BRILL 2000), 2페이지와 4페이지에서 인용된다.
- ^ Layard, Austen Henry (July 3, 1850). Nineveh and its remains: an enquiry into the manners and arts of the ancient assyrians. Murray. p. 260 – via Internet Archive.
Chaldaeans Nestorians.
- ^ Simon (oratorien), Richard (July 3, 1684). "Histoire critique de la creance et des coûtumes des nations du Levant". Chez Frederic Arnaud – via Google Books.
- ^ Newman, John Philip (1876). The Thrones and Palaces of Babylon and Nineveh from Sea to Sea: A Thousand Miles on Horseback. Nelson & Phillips. p. 381 – via Google Books.
all the Chaldaeans, whether Nestorians or Papal.
- ^ 엘리 바니스터 소네, 메소포타미아 및 쿠르드 변장: 쿠르드 부족과 쿠르드 칼데아인의 역사적 공지(1914년 소형, 메이너드 및 컴퍼니)
- ^ George Percy Badger (1852). The Nestorians and Their Rituals: With the Narrative of a Mission to Mesopotamia and Coordistan in 1842-1844, and of a Late Visit to Those Countries in 1850: Also, Researches Into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yrian Jacobites, Papal Syrians, and Chaldeans, and an Inquiry Into the Religious Tenets of the Yezeedees. Joseph Masters. ISBN 9780790544823.
- ^ Parpola, Simo (2004). "National and Ethnic Identity in the Neo-Assyrian Empire and Assyrian Identity in Post-Empire Times" (PDF). Journal of Assyrian Academic Studies. JAAS. 18 (2): 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7-17.
- ^ 라파엘 비다위드입니다아시리아의 별.1974년 9월~10월:5
- ^ "Holy Apostolic Catholic Assyrian Church of the East". Oikoumene.org. Retrieved 2016-05-15.
St Peter, the chief of the apostles added his blessing to the Church of the East at the time of his visit to the see at Babylon, in the earliest days of the church: '... The chosen church which is at Babylon, and Mark, my son, salute you' (I Peter 5:13).
- ^ David M. Gwynn (20 November 2014). Christianity in the Later Roman Empire: A Sourcebook. Bloomsbury Publishing. p. 46. ISBN 978-1-4411-3735-7.
- ^ 힐 1988, 페이지 105
- ^ 크로스, F.L. & 리빙스톤 E.A.(eds), 옥스퍼드 기독교 교회 사전,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97년, 페이지 351
- ^ 아우터브리지 1952년
- ^ 조지타운 대학교 메소포타미아 스콜라스틱스: 시리아 동양의 기독교 신학 학교 역사: Junillus Instituta Regularia 소개
- ^ Baum & Winkler 2003, 37페이지
- ^ 힐 1988, 페이지 108-109
- ^ K. C. Zachariah (1 November 2001). "The Syrian Christians of Kerala: A Narsai (Nestorian patriarch)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Transi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PDF). www.cds.edu.
- ^ 윌머스트 2000, 페이지 17
- ^ Baum & Winkler 2003, 30페이지
- ^ a b Anthony O'Mahony; Emma Loosley (16 December 2009). Eastern Christianity in the Modern Middle East. Routledge. p. 45. ISBN 978-1-135-19371-3.
- ^ 시리아 오리엔탈리의 모잘 총대주교(안톤 바움스타크(편집자), 오리엔스 크리스티아누스, IV:1, 로마와 라이프치히 2004, 페이지 277)
- ^ Chaldaeorum ecclesiae Musal Vatistara (Giuseppe Simone Asemani(편집자), Biblioteca Orientalis Clementino-Vaticana(로마 1725), 제3권 제1, 페이지 661)
- ^ "L'Eglise nestorienne" (델로지에 카솔리케 사전) (Librairie Letourzey et Ané (1931), vol. XI, col. 228)
- ^ a b c 바우머 2006, 페이지 248
- ^ a b 프레이지 2006, 페이지 57
- ^ a b c Dietmar W. Winkler; Daniel King (editor) (12 December 2018). "7. The Syriac Church Denomination: An overview". The Syriac World. Taylor & Francis. p. 194. ISBN 978-1-317-48211-6.
{{cite book}}
:author2=
범용명(도움말)이 있습니다. - ^ 마르 아프렘 무켄, 아시리아 동방 교회의 역사(성.에프렘 에큐메니컬 연구소, 2000), 33페이지
- ^ Pietro Strozzi (1617). De dogmatibus chaldaeorum disputatio ad Patrem ... Adam Camerae Patriarchalis Babylonis ... ex typographia Bartholomaei Zannetti.
- ^ 페르시아의 카르멜족 연대기(에레 & 스포티스우드 1939), vol.I, 382–383페이지
- ^ 그의 기고문에서 "신화와 JAA Studies, Vol. XIV, 2000년 제1호, 80 Wayback Machine, George V.에서 2020-07-13년 보관.야나(Bebla)는 술라카를 "칼데아의 주교"라고 불렀다는 관련 없는 출처(p. xxiv 참조)의 말을 인용한 스트로치의 진술의 "수정"으로 제시했다.
- ^ Hannibal Travis (20 July 2017). The Assyrian Genocide: Cultural and Political Legacies. Taylor & Francis. p. 94. ISBN 978-1-351-98025-8.
- ^ Johnson, Ronald (1994). "Assyrians" (PDF). In Levinson, David (ed.). Encyclopedia of World Cultures. Vol. 9. G.K. Hall & Company. pp. 27–28. ISBN 0-8161-1815-9. Retrieved 16 July 2020.
- ^ 아시리아 국제통신사 피터 베트바수 "아시리아인의 간단한 역사"
- ^ Marcantonius Amulilus (1562). R.d. patriarchae Orientalium Assyriorum de Sacro oecumenico Tridentini [!] concilio approbatio, & professio, et literae illustrissimi domini Marciantonij cardinalis Amulij ad legatos Sacri concilij Tridentini.MDLXII.
- ^ K. Christian Girling, "Chaldean Catholic Church: 현대사, 교회학, 교회-국가 관계에 대한 연구(2003-2013)" (런던대학교, 2015, 페이지 35)
- ^ "Fred Aprim, "Assyria and Assyrians Since the 2003 US Occupation of Iraq"" (PDF). Retrieved October 12, 2019.
- ^ Annuire Pontifical Catholique de 1914, 페이지 459-460
- ^ a b 윌머스트 2000, 페이지 28-30
- ^ Wilmshurst 2000, 페이지 32,
- ^ George Percy Badger (1852). The Nestorians and Their Rituals, with the Narrative of a Mission to Mesopotamia and Coordistan in 1842-1844, and of a Late Visit to Those Countries in 1850: Also, Researches Into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yrian Jacobites, Papal Syrians, and Chaldeans, and an Inquiry Into the Religious Tenets of the Yezeedees. Joseph Masters. p. 169.
- ^ 오마호니 2006, 528쪽
- ^ 윌머스트 2000, 페이지 37
- ^ AsiaNews.it. "A Chaldean priest and three deacons killed in Mosul". www.asianews.it. Retrieved 15 October 2018.
- ^ "The Chaldean Church mourns Fr. Ragheed Ganni and his martyrs". AsiaNews. Retrieved 5 November 2019.
- ^ "Servant of God, Fr Ragheed Ganni". Pontifical Irish College, Rome. 27 May 2018. Retrieved 5 November 2019.
- ^ "Kidnappers take Iraqi Archbishop, Kill his three companions". Catholic News Service. Catholic News Serv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3-11. Retrieved 2008-03-14.
- ^ "Chaldean Americans at a-glance". Chaldean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ne 2020. Retrieved 27 April 2020.
- ^ "Eparchy of Saint Thomas t Apostle of Sydney (Chaldean)". Catholic-Hierarchy.org. David M. Cheney. Retrieved 21 January 2015.
- ^ "Archbishop Djibrail Kassab". Catholic-Hierarchy.org. David M. Cheney. Retrieved 21 January 2015.
- ^ "Eparchy of Saint Thomas the Apostle of Detroit (Chaldean)". Catholic-Hierarchy.org. David M. Cheney. Retrieved 21 January 2015.
- ^ "Assyrian Bishop Mar Bawai Soto explains his journey into communion with the Catholic Church". kaldaya.net. Retrieved 11 September 2012.
- ^ "CNS NEWS BRIEFS Jun-10-2011". Catholicnew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March 2012. Retrieved 11 May 2013.
- ^ 2006 Religious Affiliation (Full Classification). "» 2006 Religious Affiliation (Full Classification) The Census Campaign Australia". Census-campaign.org.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April 2013. Retrieved 11 May 2013.
- ^ 오소리, 네스토리안, i. 174-5
- ^ 마르틴, 라 샬데, 205-12
- ^ 샤봇 1896, 페이지 433-453
- ^ Tfinkdji 1914, 페이지 476-520.
- ^ 윌머스트 2000, 페이지 362
- ^ 윌머스트 2000, 페이지 360-363
- ^ 억제되어 나중에 Urmia 대교구에 포함됨
- ^ 액세스 포인트
- ^ "Q & A on the Reformed Chaldean Ma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anuary 2014. Retrieved 13 February 2016.
- ^ "Common Christological Declaration between the Catholic Church and the Assyrian Church of the East". Vatic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1-04. Retrieved 2009-04-01.
- ^ "Guidelines issued by the Pontifical Council for Promoting Christian Unity". Vatic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11-03. Retrieved 2009-04-01.
- ^ Valente, Gianni (25 June 2015). "Chaldean Patriarch gambles on re-establishing "Church of the East"". Vatican Insider.
- ^ "찰딘 총대주교는 '동양의 교회'를 재건하는 데 도박을 한다." 2015년 6월 25일 라 스탬파.2017년 5월 11일에 접속.
- ^ "Assyrian Bishop Mar Awa Royel Replies to the Unity offer by Chaldean Catholic Patriarch". 10 July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September 2021. Retrieved 9 March 2021.
원천
- Assemani, Giuseppe Simone (1719). Bibliotheca orientalis clementino-vaticana. Vol. 1. Roma.
- Assemani, Giuseppe Luigi (1775). De catholicis seu patriarchis Chaldaeorum et Nestorianorum commentarius historico-chronologicus. Roma.
- Assemani, Giuseppe Luigi (2004). History of the Chaldean and Nestorian patriarchs. Piscataway, New Jersey: Gorgias Press.
- Becchetti, Filippo Angelico (1796). Istoria degli ultimi quattro secoli della Chiesa. Vol. 10. Roma.
- Badger, George Percy (1852). The Nestorians and Their Rituals. Vol. 1. London: Joseph Masters.
- Badger, George Percy (1852). The Nestorians and Their Rituals. Vol. 2. London: Joseph Masters. ISBN 9780790544823.
- Baum, Wilhelm; Winkler, Dietmar W. (2003). The Church of the East: A Concise History. London-New York: Routledge-Curzon. ISBN 9781134430192.
- Baumer, Christoph (2006). The Church of the East: An Illustrated History of Assyrian Christianity. London-New York: Tauris. ISBN 9781845111151.
- Becchetti, Filippo Angelico (1796). Istoria degli ultimi quattro secoli della Chiesa. Vol. 10. Roma.
- Beltrami, Giuseppe (1933). La Chiesa Caldea nel secolo dell'Unione. Roma: Pontificium Institutum Orientalium Studiorum. ISBN 9788872102626.
- Borbone, Pier Giorgio (2014). "The Chaldean Business: The Beginnings of East Syriac Typography and the Profession of Faith of Patriarch Elias". Miscellanea Bibliothecae Apostolicae Vaticanae. 20: 211–258.
- Burleson, Samuel; Rompay, Lucas van (2011). "List of Patriarchs of the Main Syriac Churches in the Middle East". Gorgias Encyclopedic Dictionary of the Syriac Heritage. Piscataway, NJ: Gorgias Press. pp. 481–491.
- Chabot, Jean-Baptiste (1896). "Éttat religieux des diocèses formant le patriarcat chaldéen de Babylone". Revue de l'Orient chrétien. 1: 433–453.
- Chaumont, Marie-Louise (1988). La Christianisation de l'Empire Iranien: Des origines aux grandes persécutions du ive siècle. Louvain: Peeters.
- Fiey, Jean Maurice (1967). "Les étapes de la prise de conscience de son identité patriarcale par l'Église syrienne orientale". L'Orient Syrien. 12: 3–22.
- Fiey, Jean Maurice (1970). Jalons pour une histoire de l'Église en Iraq. Louvain: Secretariat du CSCO.
- Fiey, Jean Maurice (1979) [1963]. Communautés syriaques en Iran et Irak des origines à 1552. London: Variorum Reprints. ISBN 9780860780519.
- Fiey, Jean Maurice (1993). Pour un Oriens Christianus Novus: Répertoire des diocèses syriaques orientaux et occidentaux. Beirut: Orient-Institut. ISBN 9783515057189.
- Frazee, Charles A. (2006) [1983]. Catholics and Sultans: The Church and the Ottoman Empire 1453-1923.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027007.
- Giamil, Samuel (1902). Genuinae relationes inter Sedem Apostolicam et Assyriorum orientalium seu Chaldaeorum ecclesiam. Roma: Ermanno Loescher.
- Gulik, Wilhelm van (1904). "Die Konsistorialakten über die Begründung des uniert-chaldäischen Patriarchates von Mosul unter Papst Julius III" (PDF). Oriens Christianus. 4: 261–277.
- Habbi, Joseph (1966). "Signification de l'union chaldéenne de Mar Sulaqa avec Rome en 1553". L'Orient Syrien. 11: 99–132, 199–230.
- Habbi, Joseph (1971a). "L'unification de la hiérarchie chaldéenne dans la première moitié du XIXe siècle" (PDF). Parole de l'Orient. 2 (1): 121–143.
- Habbi, Joseph (1971b). "L'unification de la hiérarchie chaldéenne dans la première moitié du XIXe siècle (Suite)" (PDF). Parole de l'Orient. 2 (2): 305–327.
- Hage, Wolfgang (2007). Das orientalische Christentum. Stuttgart: Kohlhammer Verlag. ISBN 9783170176683.
- Hartmann, Klaus-Peter (1980). Untersuchungen zur Sozialgeographie christlicher Minderheiten im Vorderen Orient. Wiesbaden: Reichert. ISBN 9783882260809.
- Hill, Henry, ed. (1988). Light from the East: A Symposium on the Oriental Orthodox and Assyrian Churches. Toronto: Anglican Book Centre. ISBN 9780919891906.
- Jakob, Joachim (2014). Ostsyrische Christen und Kurden im Osmanischen Reich des 19. und frühen 20. Jahrhunderts. Münster: LIT Verlag. ISBN 9783643506160.
- Joseph, John B. (2000). The Modern Assyrians of the Middle East: A History of Their Encounter with Western Christian Missions, Archaeologists, and Colonial Powers. Leiden: Brill. ISBN 9004116419.
- Labourt, Jérôme (1908). "Note sur les schismes de l'Église nestorienne, du XVIe au XIXe siècle". Journal Asiatique. 11: 227–235.
- Lampart, Albert (1966). Ein Märtyrer der Union mit Rom: Joseph I. 1681–1696, Patriarch der Chaldäer. Einsiedeln: Benziger Verlag.
- Lemmens, Leonhard (1926). "Relationes nationem Chaldaeorum inter et Custodiam Terrae Sanctae (1551-1629)". Archivum Franciscanum Historicum. 19: 17–28.
- Marthaler, Berard L., ed. (2003). "Chaldean Catholic Church (Eastern Catholic)". The New Catholic Encyclopedia. Vol. 3. Thompson-Gale. pp. 366–369.
- Murre van den Berg, Heleen (1999). "The Patriarchs of the Church of the East from the Fifteenth to Eighteenth Centuries" (PDF). Hugoye: Journal of Syriac Studies. 2 (2): 235–264. doi:10.31826/hug-2010-020119. S2CID 212688640.
- Murre van den Berg, Heleen (2008). "Classical Syriac, Neo-Aramaic, and Arabic in the Church of the East and the Chaldean Church between 1500 and 1800". Aramaic in Its Historical and Linguistic Setting. Wiesbaden: Harrassowitz Verlag. pp. 335–352. ISBN 9783447057875.
- Mutlu-Numansen, Sofia; Ossewaarde, Marinus (2019). "A Struggle for Genocide Recognition: How the Aramean, Assyrian, and Chaldean Diasporas Link Past and Present" (PDF). Holocaust and Genocide Studies. 33 (3): 412–428. doi:10.1093/hgs/dcz045.
- Nichols, Aidan (2010) [1992]. Rome and the Eastern Churches: A Study in Schism (2nd revised ed.). San Francisco: Ignatius Press. ISBN 9781586172824.
- O’Mahony, Anthony (2006). "Syriac Christianity in the modern Middle East". In Angold, Michael (ed.).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Eastern Christianity. Vol. 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511–536. ISBN 9780521811132.
- Outerbridge, Leonard M. (1952). The lost churches of China.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 Roberson, Ronald (1999) [1986]. The Eastern Christian Churches: A Brief Survey (6th ed.). Roma: Orientalia Christiana. ISBN 9788872103210.
- Tfinkdji, Joseph (1914). "L' église chaldéenne catholique autrefois et aujourd'hui". Annuaire Pontifical Catholique. 17: 449–525.
- Tisserant, Eugène (1931). "Église nestorienne". Dictionnaire de théologie catholique. Vol. 11. pp. 157–323.
- Vine, Aubrey R. (1937). The Nestorian Churches. London: Independent Press.
- Vosté, Jacques Marie (1925). "Missio duorum fratrum Melitensium O. P. in Orientem saec. XVI et relatio, nunc primum edita, eorum quae in istis regionibus gesserunt". Analecta Ordinis Praedicatorum. 33 (4): 261–278.
- Vosté, Jacques Marie (1928). "Catalogue de la bibliothèque syro-chaldéenne du couvent de Notre-Dame des Semences près d'Alqoš (Iraq)". Angelicum. 5: 3–36, 161–194, 325–358, 481–498.
- Vosté, Jacques Marie (1930). "Les inscriptions de Rabban Hormizd et de N.-D. des Semences près d'Alqoš (Iraq)". Le Muséon. 43: 263–316.
- Vosté, Jacques Marie (1931). "Mar Iohannan Soulaqa, premier Patriarche des Chaldéens, martyr de l'union avec Rome (†1555)". Angelicum. 8: 187–234.
- Wigram, William Ainger (1929). The Assyrians and Their Neighbours. London: G. Bell & Sons.
- Wilmshurst, David (2000). The Ecclesiastical Organisation of the Church of the East, 1318–1913. Louvain: Peeters Publishers. ISBN 9789042908765.
- Wilmshurst, David (2011). The Martyred Church: A History of the Church of the East. London: East & West Publishing Limited. ISBN 9781907318047.
- Zora, Subhi (1994). "Some Outstanding Events in the History of the Chaldean Christians of the East (1551-1992)". VI Symposium Syriacum 1992. Roma: Pontificium institutum studiorum orientalium. pp. 347–359. ISBN 9788872103050.
추가 정보
야쿠브, 아프람 (2020년).아시리아로의 길: 국가 부흥의 외침.스웨덴:티그리스 프레스ISBN 978-91-981541-6-0
룬드그렌, 스반테(2016).아시리아인 - 니네베에서 쇠데르텔레까지네덜란드 Enschede:니네베 프레스ISBN 978-9198344127
외부 링크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en/thumb/4/4a/Commons-logo.svg/30px-Commons-logo.svg.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