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YK 컬러 모델

CMYK color model
칼라 인쇄에는, 통상,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의 4색의 잉크가 사용됩니다.
CMY "secondary"가 최대 강도로 결합되면 결과 "primary" 혼합물은 빨간색, 녹색 및 파란색이 됩니다.이 세 가지를 모두 섞으면 불완전한 검정색 또는 완벽한 회색이 됩니다.
상단 이미지에서 세룰리안( )으로 표시되는 것은 현미경으로 볼 수 있듯이 실제로 시안, 마젠타, 노란색 및 검은색의 혼합입니다.

CMYK 컬러 모델(프로세스 컬러 또는 4색이라고도 함)은 CMY 컬러 모델을 기반으로 한 감산 컬러 모델이며 컬러 인쇄에 사용되며 인쇄 프로세스 자체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CMYK 는, 칼라 인쇄에 사용되는 4 개의 잉크판(시안, 마젠타, 옐로우, (검은색))을 나타냅니다.

CMYK 모델은 일반적으로 흰색인 밝은 배경에서 색상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마스킹하여 작동합니다.잉크는 반사되는 빛을 줄여줍니다.잉크가 흰색 빛에서 빨간색, 녹색 및 파란색을 "감산"하기 때문에 이러한 모델을 감산이라고 합니다.흰색 빛에서 붉은 잎을 뺀 시안, 흰색 빛에서 녹색 잎을 뺀 자홍색, 흰색 빛에서 파란색 잎을 뺀 노란색입니다.

RGB와 같은 가법 색상 모델에서 흰색은 모든 원색 조명의 "가법적" 조합이고 검은색은 빛이 없는 것입니다.CMYK 모델에서는 정반대입니다.흰색은 종이 또는 다른 배경의 자연스러운 색이며, 검은색은 착색 잉크의 완전한 조합에 의한 결과입니다.잉크 비용을 절감하고 진한 블랙 톤을 만들기 위해 시안, 마젠타, 옐로우의 조합 대신 블랙 잉크를 사용하여 불포화 및 다크 컬러를 생성한다.

하프톤

이 다이어그램은 CMYK 분리에 의한 컬러 하프톤의 세 가지 예와 결합된 하프톤 패턴, 그리고 인간의 눈이 충분한 거리에서 결합된 하프톤 패턴을 어떻게 관찰하는지를 보여줍니다.

CMYK 인쇄의 경우, 하프톤(스크린이라고도 함)을 사용하면 원색의 채도가 낮아집니다. 원색의 작은 점들은 사람이 단색을 [1]인식할 수 있을 만큼 작은 패턴으로 인쇄됩니다.예를 들어 20% 하프톤으로 인쇄된 마젠타는 분홍색입니다.왜냐하면 눈은 큰 흰 종이 위에 있는 작은 마젠타 점들을 순수한 마젠타 [citation needed]잉크 색보다 가볍고 덜 포화된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하프톤을 사용하지 않으면 3가지 주요 공정 색상은 단색 블록으로만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7가지 색상만 생성할 수 있습니다. 즉, 3가지 기본 색상 자체와 2가지 기본 색상을 레이어드함으로써 생성되는 3가지 보조 색상: 시안 및 노란색, 마젠타 색상은 파란색, 노란색 및 마젠타가 빨간색(이것들은감산 2차 색상은 대략 가법 원색과 일치한다.) + 이 세 가지 색을 모두 겹치면 검정색이 된다.하프톤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연속적으로 연출할 수 있습니다.

화면 각도

일반적인 하프톤 화면 각도.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고 모이레 패턴을 줄이기 위해 각 색상의 화면을 다른 각도로 설정합니다.각도는 사용하는 색상과 프레스 오퍼레이터의 선호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인 CMYK 공정 인쇄에서는 다음 화면 각도 [2][3]중 하나를 사용합니다.

CMYK 인쇄에 사용되는 각도
C 15° 95° 105° 165°
M 75° 45° 75° 85°
Y 10° 90° 90°
K 45° 75° 30° 105°

검정 잉크 사용의 이점

테톤 산맥의 컬러 사진.
위 그림(왼쪽)은 프로세스 시안, 마젠타, 옐로우(CMY) 잉크로 인쇄하기 위해 구분되어 있으며, (오른쪽)은 CMY와 검정(K)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검사 CMYK 색상의 용지 오프셋 인쇄

시안, 마젠타, 옐로우 잉크를 혼합한 블랙은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에 4색 인쇄는 감산 원색 인쇄 외에 블랙 잉크를 사용한다.검정 잉크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4]

  • 전통적인 색 구분 준비에서, 검은색 선 그림에 빨간색 키라인이 솔리드 또는 틴트 색 영역의 윤곽을 표시했습니다.검정색 키라인이 일반적으로 검정색 판에 키라인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색 표시기와 윤곽을 검정색으로 인쇄하는 데 모두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CMYK의 K는 키라인 또는 검은색 플레이트를 나타내며, 키 [5]플레이트라고도 합니다.
  • 텍스트는 일반적으로 검은색으로 인쇄되며 세리프 등의 세부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텍스트(또는 기타 세부 윤곽)를 재생할 때 약간의 흐릿함도 방지하려면 3개의 잉크를 사용하여 실용적이지 않게 정확한 기록을 해야 합니다.
  • 시안, 마젠타, 옐로우 잉크를 100% 조합하면, 용지가 잉크로 적셔 건조가 늦어지거나, 인쇄가 늦어지거나,[citation needed] 용지가 찢어질 정도로 약해집니다.
  • 100% 시안, 마젠타, 옐로우 잉크의 조합은 이론적으로는 가시광선 스펙트럼 전체를 완전히 흡수하여 완벽한 블랙을 만들어 낼 수 있지만, 실제 잉크는 이상적인 특징에 미치지 못하고, 그 결과 검게 보이지 않는 어두운 진흙색이 됩니다.검은 잉크는 더 많은 빛을 흡수하고 훨씬 더 좋은 검은색을 만들어냅니다.
  • 블랙 잉크는 블랙을 만드는 컬러 잉크의 조합보다 저렴합니다.

CMY 잉크만으로 만든 블랙을 복합 [6]블랙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매우 어두운 영역이 필요한 경우, 먼저 컬러 또는 회색 CMY "침대"를 바른 다음, 위에 완전한 검은색 층을 적용하여 풍부하고 깊은 검은색으로 만듭니다. 이를 리치 [7]블랙이라고 합니다.

다른 잉크의 양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하는 검은색의 양은 다양하며, 사용 중인 기술, 용지 및 잉크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최종 배합에는 색소 제거, 색소 추가 및 회색 컴포넌트 교환 프로세스로 불리며 인쇄 [8]작업에 따라 다른 CMYK 레시피가 사용됩니다.

기타 프린터 컬러 모델

CMYK 또는 프로세스 컬러 인쇄는 스폿 컬러 인쇄와 대조됩니다.스팟 컬러 인쇄에서는 특정 색상의 잉크를 사용하여 종이에 나타나는 색상을 생성합니다.일부 인쇄기는 4색 인쇄 잉크와 추가 스폿 컬러 잉크를 동시에 인쇄할 수 있습니다.마케팅 팜플렛이나 서적등의 고품질의 인쇄물에는,[9] 프로세스 칼라 인쇄를 필요로 하는 사진, 스폿 칼라(금속 잉크등)를 필요로 하는 그래픽 효과, 및 인쇄물의 광택을 향상시키는 니시등의 마감이 포함됩니다.

CMYK는, 대부분의 경우, 색역이 작은 프로세스 프린터입니다.Pantone의 독자적인 6색(CMYKOG) [10]Hexachrome같은 프로세스는 영역을 크게 확장합니다.CMYK에서는 밝은 포화색을 생성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밝은 색상으로 인해 중간색 패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CcMm 사용YK 프로세스에서는 CMYK에 라이트 시안 및 마젠타 잉크를 추가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프로세스는 데스크탑 [11]모델을 포함한 많은 잉크젯 프린터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RGB 디스플레이와의 비교

CIE 1931 xy 색도 다이어그램 상의 RGB 색역과 CMYK 색역 비교.

RGB 디스플레이와 CMYK 프린트의 비교는 색재현 기술과 특성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어려울 수 있습니다.컴퓨터 모니터는 빨강, 초록, 파랑의 음영을 섞어 컬러 사진을 만듭니다.CMYK 프린터는 대신 광흡수성 시안, 마젠타 및 노란색 잉크를 사용합니다.이 잉크는 디더링, 하프톤 또는 기타 광학 기술을 사용하여 [12]색상이 혼합됩니다.

모니터와 마찬가지로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는 "가시 스펙트럼의 일부"에 불과한 색역을 생성합니다. 단, 두 색 모드 모두 고유한 범위가 있습니다.이것에 의해, 양매체에 [13]반대 색상의 모드를 조합하고 있는 경우,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인쇄되는 아이템의 외관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인쇄하는 아이템을 설계할 때 디자이너는 자신이 선택한 색상을 RGB 컬러 모드(컴퓨터 화면)로 표시하기 때문에 인쇄 후 색상이 어떻게 표시되는지 시각화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인쇄 용지의 스펙트럼

색을 재현하기 위해 CMYK 컬러 모델은 빛을 방출하지 않고 흡수하도록 코드화됩니다(RGB로 가정)."K" 성분은 모든 파장을 흡수하므로 무채색입니다.시안, 마젠타, 옐로우의 각 컴포넌트는 색재현에 사용되며 RGB의 반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청록색은 적색, 자홍색은 녹색, 황색은 청색(-R,-G,-B)[14]을 흡수합니다.


인쇄 용지의 가시 파장 스펙트럼(SCA Graphosilk).빨간색에서 노란색으로 이행하는 모습을 보여 줍니다.흰색, 빨간색, 파란색 및 녹색이 참조용으로 표시됩니다.흰 난초꽃, 장미꽃(빨강과 노란색 꽃잎), 빨간 시클라멘꽃의 판독을 비교해서 보여준다.스펙트럼 파워의 단위는 단순히 원시 센서 값(특정 파장에서 선형 응답)입니다.

변환

3색 처리의 초기 표현(1902).

RGB와 CMYK 공간은 둘 다 디바이스 의존 공간이기 때문에 이들 사이를 변환하는 단순하거나 일반적인 변환 공식은 없습니다.변환은 일반적으로 변환되는 공간을 설명하는 색상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색상 관리 시스템을 통해 수행됩니다.ICC 프로파일은 중립적인 "프로파일 연결" 색 공간(CIE XYZ 또는 Lab)과 관심 있는 색 공간(이 경우 RGB 및 CMYK) 사이의 양방향 변환을 정의합니다.변환의 정밀도는 프로파일 자체와 정확한 방법론에 따라 달라집니다.게머는 일반적으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렌더링 의도와 잉크 한계 등의 제약이 있습니다.

ICC 프로파일은 내부적으로 룩업 테이블 및 기타 변환 기능으로 구축되어 잉크 혼합의 많은 효과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도트 게인은 색상/밀도 매핑에서 비선형 구성요소로 표시됩니다.Neugebauer 블렌딩과 같은 보다 복잡한 상호작용은 고차원 룩업 테이블에서 모델링할 수 있다.

다양한 잉크 조합을 인쇄함으로써 발생하는 색채의 측색 추정치를 계산하는 문제는 많은 [15]과학자들에 의해 다루어져 왔다.하프톤 인쇄의 경우 컬러 닷의 작은 겹침 하나하나를 8색(CMY의 조합) 또는 16색(CMYK의 조합) 중 하나로 취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Neugebauer primary라고 합니다.결과 색상은 영역 간 및 영역 내 산란 빛의 Yule-Nielsen 효과가 물리학과 분석을 복잡하게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이러한 원색의 면적 가중치 색채 조합이 될 것이다. 그러한 분석을 위한 경험적 공식은 상세한 염료 조합 흡수 스펙트럼과 경험적 측면에서 개발되었다.파라미터를 지정합니다.[15]

인쇄 방법을 표준화하면 일부 프로필을 미리 정의할 수 있습니다.그 중 하나가 Web Offset Publications(SWOP)의 US Specifications for Web Offset Publications(SWOP)로, Microsoft Office(Agfa RSWOP.icm)[citation needed]를 포함한 많은 소프트웨어에 ICC 컬러 프로파일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Kang, Henry R. (1999). Digital Color Halftoning. SPIE Press. p. 1. ISBN 0-8194-3318-7.
  2. ^ Campbell, Alastair (2000). The Designer's Lexicon. Chronicle Books. p. 192. ISBN 9780811826259.
  3. ^ McCue, Claudia (2007). Real World Print Production. Peachpit. p. 31. ISBN 9780321410184.
  4. ^ Roger Pring (2000). WWW.Color. Watson–Guptill. p. 178. ISBN 0-8230-5857-3.
  5. ^ Menegus, Bryan (May 20, 2016). "The Difference Between RGB and CMYK, Explained". Gizmodo. Retrieved October 4, 2020.
  6. ^ Sigel, Jay A. (2015). Forensic Chemistry: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p. 331. ISBN 978-1-118-89772-0.
  7. ^ R. S. Hodges (2003). The Guild Handbook of Scientific Illustration. John Wiley and Sons. p. 242. ISBN 0-471-36011-2.
  8. ^ Kipphan, Helmut, ed. (2001). Handbook of Print Media: Technologies and Production Methods. Springer. p. 87. ISBN 3-540-67326-1.
  9. ^ Davies, Helen (August 3, 2020). "Top 8 Large Format Printing Tips To Achieve High-End Projects". frontsigns.com. Retrieved October 4, 2020.
  10. ^ Zeng, Huanzhao (2003). Eschbach, Reiner; Marcu, Gabriel G (eds.). "3-D Color Separation Maximizing the Printer Gamut". Proceedings of SPIE. Color Imaging VIII: Processing, Hardcopy, and Applications. 5008: 260. Bibcode:2003SPIE.5008..260Z. doi:10.1117/12.472012. S2CID 20555157.
  11. ^ Carla Rose (2003). Sams Teach Yourself Adobe Photoshop Elements 2 in 24 Hours. Sams Publishing. p. 108. ISBN 0-672-32430-X.
  12. ^ "About color". Adobe Inc. Retrieved October 4, 2020.
  13. ^ Damien van Holten, international.org, "RGB vs CMYK" (RGB vs CMYK) http://www.printernational.org/rgb-versus-cmyk.php 에서 인쇄
  14. ^ "Subtractive Color Mixing". L. R. Ingersoll Physics Museum. Retrieved October 4, 2020.
  15. ^ a b Gaurav Sharma (2003). Digital Color Imaging Handbook. CRC Press. p. 68. ISBN 0-8493-0900-X.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