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H8

CDH8
CDH8
Protein CDH8 PDB 1zxk.png
사용 가능한 구조물
PDB직교 검색: PDBe RCSB
식별자
별칭CDH8, Nbla04261, 캐더린 8
외부 IDOMIM: 603008 MGI: 107434 HomoloGene: 55604 GeneCard: CDH8
직교체
인간마우스
엔트레스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01796

NM_001039154
NM_001285913
NM_001285914
NM_007667

RefSeq(단백질)

NP_001787

NP_001034243
NP_001272842
NP_001272843
NP_031693

위치(UCSC)Cr 16: 61.65 – 62.04MbChr 8: 99.75 – 100.14Mb
PubMed 검색[3][4]
위키다타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보기/편집

캐더린-8은 인간에게 CDH8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이다.[5][6][7]

함수

이 유전자는 칼슘 의존적 세포-세포 유착을 매개하는 일체형 막 단백질인 캐더린 슈퍼 패밀리의 타입 II 고전적 캐더린을 인코딩한다.성숙된 캐더린 단백질은 큰 N단자외 영역, 하나의 막간경간 영역, 그리고 작고 보존도가 높은 C단자 세포질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세포외 영역은 각각 캐더린 모티브를 포함한 5개의 하위 도메인으로 구성되며 단백질의 동종 세포 접착 활동의 특수성을 결정하는 것으로 보인다.타입 II(비정형) 캐더린은 타입 I 캐더린에 특정한 HAV 셀 부착력 인식 시퀀스의 결여에 기초하여 정의된다.이 특별한 캐더린은 뇌로 표현되며 시냅스 접착, 액손 돌출 및 지도에 삽입적으로 관여한다.[7]

임상적 유의성

인간에서의 CDH8의 붕괴는 자폐증과 관련이 있다.[8][9]

참조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스 89: ENSG00000150394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스 89: ENSMUSG000036510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Kremmidiotis G, Baker E, Crawford J, Eyre HJ, Nahmias J, Callen DF (May 1998). "Localization of human cadherin genes to chromosome regions exhibiting cancer-related loss of heterozygosity". Genomics. 49 (3): 467–71. doi:10.1006/geno.1998.5281. PMID 9615235.
  6. ^ Suzuki S, Sano K, Tanihara H (Apr 1991). "Diversity of the cadherin family: evidence for eight new cadherins in nervous tissue". Cell Regulation. 2 (4): 261–70. doi:10.1091/mbc.2.4.261. PMC 361775. PMID 2059658.
  7. ^ a b "Entrez Gene: CDH8 cadherin 8, type 2".
  8. ^ Pagnamenta AT, Khan H, Walker S, Gerrelli D, Wing K, Bonaglia MC, et al. (Jan 2011). "Rare familial 16q21 microdeletions under a linkage peak implicate cadherin 8 (CDH8) in susceptibility to autism and learning disability". Journal of Medical Genetics. 48 (1): 48–54. doi:10.1136/jmg.2010.079426. PMC 3003876. PMID 20972252.
  9. ^ Brandler WM, Antaki D, Gujral M, Noor A, Rosanio G, Chapman TR, et al. (2016). "Frequency and Complexity of De Novo Structural Mutation in Autism". The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98 (4): 1–13. doi:10.1016/j.ajhg.2016.02.018. PMC 4833290. PMID 27018473.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