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트 삭만

Bert Sakmann
베르트 삭만
Sakmann.jpg
태어난 (1942-06-12) 1942년 6월 12일 (79세)
수상
과학 경력
기관
웹사이트www.neuro.mpg.de/sakmann

베르트 사크만(독일어 발음: [ˈbɛt ˈzakˌman] (듣기);audio speaker icon 1942년 6월 12일 출생)은 독일의 세포 생리학자다. 1991년 에르윈 네헤르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하면서 '세포 내 단일 이온 채널의 기능'과 패치 클램프 발명에 대한 연구 성과를 냈다.[3][4] 베르트 사크만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교수로 독일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막스 플랑크 의학연구소의 명예과학 회원이다. 2008년 이후 그는 맥스 플랑크 신경생물학 연구소의 명예 연구 그룹을 이끌고 있다.[3][5][6]

인생과 경력

사크만은 슈투트가르트 출신으로 물리치료사 안네마리(네 셰퍼)와 극장 감독 베르톨트 삭만의 아들로 태어났다.[7] 사크만은 린다우의 볼크슈레에 등록했고, 1961년 슈투트가르트 바겐부르크 체육관을 완공했다. 그는 1967년부터 튀빙겐, 프라이부르크, 베를린, 파리, 뮌헨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뮌헨 루드비히-맥시밀리언스 대학에서 의학 시험을 마친 후 1968년 뮌헨 대학에서 의학 조교가 되었고, 오토 데틀레프 크로이츠펠트 산하의 신경생리학부 뮌헨의 막스 플랑크-인스티투트 퓌르 정신과에서 과학 조교(위센샤프트라이서 어시스턴트)로 근무하기도 했다. 1971년 그는 런던대학으로 이사하여 버나드 캣츠 휘하의 생물물리학부에서 일했다. 1974년 괴팅겐 대학 의학부(Göttingen University)의 데르 카첸레티나(Cattenretina의 신경광 적응 전기생리학)에서 엘렉트로피 디르 뉴럴렌 헬라답팅(Electrophysiology of the Neural Light Adaptation in the Cat Replan)[3]이라는 제목으로 의학논문을 완성했다.

그 후 (아직 1974년) 사크만은 괴팅겐에 있는 막스 플랑크 생물물리학 화학 연구소로 옮겨간 오토 크로이츠펠트의 연구실로 돌아왔다. Sakmann은 1979년에 막 생물학 그룹에 가입했다.

1990년에 그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자연과학의학과 교수직을 수락했다. 1년 후, 하이델베르크의 생물학 교수진 전체 대학교수가 되었다.

2009년 6월 2일, Max Planck Society의 회장인 Peter Gruss는 Sakmann이 플로리다 목성플로리다 애틀랜틱 대학교에 있는 이 기구의 생물 의학 연구 시설인 Max Planck Florida Institute의 과학 감독직을 맡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사크만은 버트사크만스티프퉁의 창시자다.

수상 및 수상

1986년 에르윈 네어와 함께 컬럼비아 대학으로부터 루이사 그로스 호비츠 상을 받았다. 1987년에는 독일 연구부문에서 수여되는 최고 영예인 도이체 포르스충스게마이샤프트고트프리드 빌헬름 라이프니즈상을 받았다. 1991년에는 괴팅겐에서 함께 일했던 네헤르와 함께 신경과학 랠프 W. 제라드 상, 하비 상,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3] 1993년 그는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의 회원이 되었다.[8] 1994년 영국 왕립학회(ForMemRS)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

참조

  1. ^ "Professor Bert SAKMANN". Jeantet. 1 October 2017.
  2. ^ a b "Professor Bert Sakmann ForMemRS". London: Roy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October 2015.
  3. ^ a b c d "Nobel autobiograph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December 2010.
  4. ^ Hamill, O. P.; Marty, A.; Neher, E.; Sakmann, B.; Sigworth, F. J. (1981). "Improved patch-clamp techniques for high-resolution current recording from cells and cell-free membrane patches". Pflügers Archiv: European Journal of Physiology. 391 (2): 85–100. CiteSeerX 10.1.1.456.107. doi:10.1007/BF00656997. PMID 6270629. S2CID 12014433.
  5. ^ Betz, W.; Sakmann, B. (1971). ""Disjunction" of frog neuromuscular synapses by treatment with proteolytic enzymes". Nature New Biology. 232 (29): 94–95. doi:10.1038/newbio232094a0. hdl:21.11116/0000-0001-3090-5. PMID 4328253.
  6. ^ Betz, W.; Sakmann, B. (1973). "Effects of proteolytic enzymes on function and structure of frog neuromuscular junctions". The Journal of Physiology. 230 (3): 673–688. doi:10.1113/jphysiol.1973.sp010211. PMC 1350622. PMID 4352108.
  7. ^ "Bert Sakmann – Biographical,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91". NobelPrize.org. Nobel Media AB. Retrieved 15 December 2019.
  8. ^ "Bert Sakmann". German Academy of Sciences Leopoldina. Retrieved 1 June 2021.

외부 링크

  • Nobelprize.org의 Bert Sakm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