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페르길루스속
Aspergillus아스페르길루스속 | |
---|---|
![]() | |
아스페르길루스 니제르 원추형 머리 | |
과학적 분류 ![]() | |
왕국: | 곰팡이 |
중분류: | 아스코마이코타 |
클래스: | 유럽균류 |
주문: | 유로티알레스 |
패밀리: | 트리코코마과 |
속: | 아스페르길루스속 미켈리 (1729년) |
종. | |
아스페르길루스(/spspˈrˈdʒlss/)는 전 세계 다양한 기후에서 발견되는 수백 종의 곰팡이로 이루어진 속이다.
아스페르길루스는 1729년 이탈리아 신부이자 생물학자인 피에르 안토니오 미켈리에 의해 처음 목록화 되었다.현미경으로 곰팡이들을 관찰하면서, 미켈리는 라틴 스파게레에서 나온 아스페르길룸(성수 살수기)의 모양을 떠올리게 되었고,[1] 그에 따라 그 속 이름을 지었다.아스페르길룸은 모든 아스페르길루스 종에게 공통적인 무성 포자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종의 약 3분의 1은 또한 성적인 [2]단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아스페르길루스 중 일부는 곰팡이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종류는 상업적으로 중요하다.
분류법
종.
아스페르길루스는 837종의 [3]곰팡이로 구성되어 있다.
성장과 분배
아스페르길루스는 침엽수 균류, 즉 무성 상태의 균류로 정의된다.그러나 그들 중 일부는 아스코마이코타에서 동형(성적 상태)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DNA 증거에 따르면, 아스페르길루스속의 모든 구성원들은 아스페르길루스문의 구성원이다.
이 속은 높은 삼투압(고농도의 설탕, 소금 등)이 존재하는 곳에서 자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아스페르길루스 종은 호기성이 매우 높고 산소가 풍부한 거의 모든 환경에서 발견되며, 높은 산소 장력의 결과로 기질 표면에서 곰팡이로 흔히 자란다.일반적으로, 곰팡이는 단당류나 다당류 같은 탄소가 풍부한 기질에서 자랍니다.아스페르길루스 종은 전분질 식품(예: 빵과 감자)의 일반적인 오염물질로 많은 식물과 [citation needed]나무에서 자란다.
탄소원에서의 성장 외에도, 많은 아스페르길루스 종들은 영양소가 결핍된 환경이나 핵심 영양소가 완전히 부족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는 올리고트로피증을 보여줍니다.아스페르길루스 니거는 이것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그것은 곰팡이의 주요 성분으로 축축한 벽에서 자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A. niger와 A. fumigatus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아스페르길루스들은 [4]욕실이나 창틀 [5]주변과 같이 따뜻하고 습하거나 습한 지역을 선호하며 건물을 쉽게 식민지로 만들 것입니다.
아스페르길루스는 수백만 개의 [6]베개 속에서 발견된다.
상업적 중요성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7/Ascomycetes.jpg/250px-Ascomycetes.jp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2/Modell_von_Aspergillus_%28Gie%C3%9Fkannenschimmel%29_-Osterloh-_-Brendel_10f-.jpg/250px-Modell_von_Aspergillus_%28Gie%C3%9Fkannenschimmel%29_-Osterloh-_-Brendel_10f-.jpg)
아스페르길루스 종은 의학적으로나 상업적으로 중요하다.어떤 종들은 인간과 다른 동물들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동물에게서 발견된 몇몇 감염은 수년간 연구되어 온 반면, 동물에게서 발견된 다른 종들은 조사된 질병에 대해 새롭고 특정한 것으로 묘사되어 왔고, 다른 종들은 부생동물과 같은 유기체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이름으로 알려져 왔다.아스페르길루스 60종 이상이 의학적으로 관련이 있는 [7]병원균이다.사람의 경우 외이도 감염, 피부병변, 궤양 등 균사종으로 분류되는 다양한 질병이 발견됩니다.
다른 종들은 상업적인 미생물 발효에서 중요하다.예를 들어, 일본 술과 같은 알코올 음료는 포도나 맥아 보리가 아니라 쌀이나 다른 전분 성분(마니오카 등)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사카로미세스속의 효모와 같이 알코올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전형적인 미생물은 이러한 녹말을 발효시킬 수 없습니다.따라서 녹말가루와 같은 코지균은 먼저 녹말을 더 단순한 [8]당으로 분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속은 또한 인간의 [9]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의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천연물의 원천이다.아스페르길루스 스펜은 항균 및 항진균 특성으로 상업적 가치가 있는 안트라퀴논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0]
아마도 아스페르길루스 니제르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구연산의 주요 공급원으로서, 이 유기체는 전 세계 구연산 생산의 99% 이상, 즉 [citation needed]연간 140만 톤(미화 150만 톤 이상)을 차지한다.A. niger는 또한 포도당 산화효소, 리조자임,[11] 락타아제를 포함한 토종 및 외래 효소의 생산에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이러한 경우, 일본에서는 아직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고체 기판에서는 좀처럼 배양되지 않지만, 생물 반응기의 수중 배양으로서 배양되는 경우가 많다.이를 통해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를 엄격하게 제어할 수 있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이 과정은 또한 중요한 화학 물질이나 효소를 배지에서 분리하는 것을 훨씬 쉽게 하므로 훨씬 더 비용 효율적입니다.
조사.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d/Aspergillus_235_mags_3X3_copy.jpeg/220px-Aspergillus_235_mags_3X3_copy.jpeg)
A. nidulans (Emericella nidulans)는 수년 동안 연구 유기체로 사용되어 왔고 Guido Pontecorvo에 의해 균류의 부갑상성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최근, A. 니둘란스는 Broad Institute의 연구자들에 의해 게놈 배열을 얻은 선구적인 유기체 중 하나였다.2008년 현재, 추가로 7개의 아스페르길루스 종이 게놈 배열을 확인했습니다. 산업적으로 유용한 A. niger (2개의 변종), A. oryzae, A. tereus 그리고 병원체 A.[12] clavatus, A. fischerianus (Neosartorya fischeri), A. flavus, A. fumigatus (2개의 변종)입니다.A. fischerianus는 병원성이 거의 없지만 일반적인 병원체 A. fumigatus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부분적으로 A. fumigatus 병원성을 [13]더 잘 이해하기 위해 배열되었다.
성적 생식
250종의 아스페르길리 중 약 64%는 알려진 성적 상태가 [14]없다.그러나 이들 종의 대부분은 아직 확인되지 않은 성적 단계를 가지고 [14]있을 가능성이 높다.성생식은 곰팡이에서 근본적으로 다른 두 가지 방법으로 일어난다.이것들은 두 개의 다른 개인이 핵을 기여하는 아웃크로스(이종 균류)와 두 개의 핵이 동일한 개체로부터 파생되는 자가 수정 또는 자가화(동종 균류)입니다.최근 몇 년 동안, 성적 순환은 이전에 무성애로 여겨졌던 수많은 종에서 발견되었다.이러한 발견은 인간과 특별한 관련이 있는 종에 대한 최근 실험적인 초점을 반영한다.
A. 후미가투스는 면역 결핍인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종이다.2009년, A. 후미가투스는 이질적이고 완전한 기능적 성주기를 [15]가진 것으로 나타났다.섹스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상보적인 짝짓기 유형의 격리체가 필요하다.
A. flavus는 전 세계 작물에서 발암성 아플라톡신의 주요 생산지이다.그것은 또한 인간 및 동물의 기회주의적 병원체이며 면역력이 떨어진 개인에게 아스페르길루스를 일으킨다.2009년, 이 헤테로탄올균의 성적인 상태는 서로 반대되는 짝짓기 유형의 균주가 적절한 [16]조건에서 함께 배양되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렌툴루스는 높은 사망률로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를 일으키는 기회주의적 인간 병원체이다.2013년, 렌툴루스균은 이질적인 기능성 성교배 [17]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A. terreus는 중요한 유기산과 효소를 생산하기 위해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인 Lovastatin의 초기 공급원이었다.2013년, A. terreus는 적절한 배양 조건에서 [18]서로 반대되는 짝짓기 유형의 균주를 교배했을 때 성적 번식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아스페르길루스 종에 대한 이러한 발견은 다른 진핵 생물 종에 대한 연구로부터 모든 진핵 [19][20]생물들의 공통 조상에 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축적된 증거와 일치합니다.
A. nidulans는 동질성 균으로 자가 수정이 가능하다.자가 수정은 교잡 종에서 성별의 특징인 동일한 짝짓기 경로의 활성화를 포함한다. 즉, 자가 수정은 성별 교배에 필요한 경로를 우회하지 않고, 대신 단일 [21]개체 내에서 이러한 경로의 활성화를 요구한다.
성주기를 보이는 아스페르길루스 종 중 자연에서 가장 많은 것은 동질성이다.[22]이러한 관찰은 아스페르길루스 종이 일반적으로 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비록 동종 자기 수정에 의해 유전적 변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A. 후미가투스(fumigatus)는 기후와 환경이 매우 다른 지역에서 발생하는 이질적인 (교차하는) 균류로서 지리적 영역 내 또는 전지구적 [23]규모로 유전적 변이를 거의 보이지 않으며, 다시 말해 성별, 이 경우, 교차하는 성(性)은 유전적 변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더라도 유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전체학
2005년 12월 네이처에 세 개의 아스페르길루스 게놈 사본이 동시에 출판되면서 아스페르길루스속은 비교 게놈 연구의 선두적인 필라멘트 균류로 자리매김했다.대부분의 주요 게놈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노력은 대규모 염기서열 분석 센터와 각 과학자 커뮤니티 간의 협업이었다.예를 들어, 유전체 연구 연구소(TIGR)는 A. fumigatus 커뮤니티와 함께 일했다.A. nidulans는 Broad Institute에서 염기서열을 분석했습니다.A. oryzae는 일본 산업 고등 과학 기술 연구소에서 염기서열을 분석했습니다.에너지부의 공동 게놈 연구소는 구연산을 생산하는 A.니제르 균주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발표했다.현재 J. Craig Venter Institute로 개명된 TIGR은 현재 A. flavus [24]게놈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다.
아스페르길루스는 높은 수준의 유전적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며, 원형질 분리를 척도로 사용하여 척추동물 문만큼 다양하지만, 상호 및 특정 내 게놈 구조는 비교적 [25]플라스틱이다.A. flavus와 A. oryzae와 같은 일부 아스페르길루스 종의 게놈은 A. nidulans와 A. fumigatus와 같은 다른 종들보다 더 풍부하고 약 20% 더 크다.분할 복제, 게놈 복제, 그리고 단편적인 방식으로 작용하는 수평적 유전자 전달의 조합이 잘 [26]뒷받침되지만, 여러 메커니즘이 이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A. fumigatus의 배열된 종의 게놈 크기는 A. fumigatus의 경우 약 29.3Mb에서 A. oryzae의 경우 37.1Mb로 다양하며, 예측 유전자의 수는 A. fumigatus의 경우 약 9926에서 A. oryzae의 경우 약 12,071로 다양합니다.A. niger의 효소 생성 변종의 게놈 크기는 중간 크기인 33.9Mb이다.[1]
병원균
일부 아스페르길루스 종은 인간과 동물에게 심각한 질병을 일으킨다.가장 흔한 병원성 종은 A. fumigatus와 A. flavus입니다. A. flavus는 독소이자 발암 물질인 아플라톡신을 생성하며 견과류와 같은 식품을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종은 후미가투스와 쇄골이다.다른 종들은 농업 병원체로서 중요하다.아스페르길루스 스펜프는 많은 곡물, 특히 옥수수에 질병을 일으키고, 몇몇 변종들은 아플라톡신을 포함한 마이코톡신을 합성한다.아스페르길루스는 신생아 [27]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A. 후미가투스(가장 흔한 종) 감염은 일차적인 폐 감염이며, 확산 가능성이 있는 빠른 괴사성 폐렴이 될 수 있습니다.이 생물은 환경과 숙주 모두에서 곰팡이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다른 일반적인 곰팡이 감염과 구별할 수 있다(환경상 이형 곰팡이, 체내 효모인 칸디다 알비칸과 달리).
아스페르길루스증
아스퍼길루스증은 아스퍼길루스 때문에 생기는 질병이다.아스페르길루스증과 관련된 부비동 감염 중 가장 흔한 종은 A. 후미가투스이다.[28]증상으로는 발열, 기침, 가슴 통증, 호흡 곤란 등이 있으며, 이는 다른 많은 질병에서도 발생하므로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보통 면역력이 이미 약해진 환자나 다른 폐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만 감염될 수 있습니다.
사람에게서 질병의 주요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29][30]
- 천식, 낭포성 섬유증, 축농증 등 호흡기 질환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알레르기 기관지 폐 아스페르길루스증
- 주변 조직으로 성장하는 급성 침습성 아스페르길로스증, 에이즈나 화학요법 환자와 같이 면역체계가 약한 사람들에게서 더 흔하다.
- 파종성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 전신에 널리 퍼지는 감염
- 아스퍼길로마, 폐와 같은 공동 내에 형성될 수 있는 "풍구"
아스페르길루스 포자에 의한 곰팡이 감염은 일부 초기 이집트학자들과 무덤 탐험가들의 질병과 때아닌 죽음에 대한 이론으로 남아있다.무덤과 방에 봉인된 음식 제물의 잔해와 미라에서 자란 고대 포자는 굴착기에 의해 날아다니고 흡입되었을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31]파라오의 저주에 대한 개념과 관련이 있다.
공기 통로의 아스페르길루스는 조류에서도 자주 보고되며, 아스페르길루스의 특정 종은 [7]곤충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Bennett JW (2010). "An Overview of the Genus Aspergillus". Aspergillus: Molecular Biology and Genomics. Caister Academic Press. ISBN 978-1-904455-53-0.
- ^ Geiser DM (2009). "Sexual structures in Aspergillus: morphology, importance and genomics". Medical Mycology. 47. 47 (Suppl 1): S21-6. doi:10.1080/13693780802139859. PMID 18608901.
- ^ Hawksworth DL (April 2011). "Naming Aspergillus species: progress towards one name for each species". Medical Mycology. 49 Suppl 1 (S1): S70-6. doi:10.3109/13693786.2010.504753. PMID 20718610.
- ^ Latgé JP (April 1999). "Aspergillus fumigatus and aspergillosis".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12 (2): 310–50. doi:10.1128/CMR.12.2.310. PMC 88920. PMID 10194462.
- ^ "What are fungal spores?". University of Worcester. Retrieved 6 August 2019.
- ^ "Pillows: A Hot Bed Of Fungal Spores". Science Dail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10-08. Retrieved 2017-05-08.
- ^ a b Thom C, Church M (1926). The Aspergilli. Baltimore: The Williams & Wilkins Company.
- ^ Spiegel A (April 8, 2014). "Are You Using The Right Soy Sauce? Here's How To Find Out". The Huffington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08-06. Retrieved 2017-07-29.
...to make soy sauce, first you add aspergillus mold to the soy beans and grains to produce a mixture called koji.
- ^ US 6069146, Fenical, William; Jensen, Paul R. & Cheng, Xing C., "Halimide, 세포독성 해양 천연물 및 그 파생물", 캘리포니아 대학의 Regents에 할당된 2000-05-30.
- ^ Toma, Maria Afroz; Nazir, K. H. M. Nazmul Hussain; Mahmud, Md Muket; Mishra, Pravin; Ali, Md Kowser; Kabir, Ajran; Shahid, Md Ahosanul Haque; Siddique, Mahbubul Pratik; Alim, Md Abdul (202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Natural Colorant Producing Soil-Borne Aspergillus niger from Bangladesh and Extraction of the Pigment". Foods. 10 (6): 1280. doi:10.3390/foods10061280. PMC 8227025. PMID 34205202.
- ^ "GRAS Notification for Acid Lactase from Aspergillus oryzae Expressed in Aspergillus niger".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3-23. Retrieved 2016-03-17. 섹션 2
- ^ Wortman JR, Gilsenan JM, Joardar V, Deegan J, Clutterbuck J, Andersen MR, et al. (March 2009). "The 2008 update of the Aspergillus nidulans genome annotation: a community effort". Fungal Genetics and Biology. 46. 46 Suppl 1 (1): S2-13. doi:10.1016/j.fgb.2008.12.003. PMC 2826280. PMID 19146970.
- ^ "Descriptions – Aspergillus Comparative". Broad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09. Retrieved 2009-10-15.
- ^ a b Dyer PS, O'Gorman CM (December 2011). "A fungal sexual revolution: Aspergillus and Penicillium show the way". Current Opinion in Microbiology. 14 (6): 649–54. doi:10.1016/j.mib.2011.10.001. PMID 22032932.
- ^ O'Gorman CM, Fuller H, Dyer PS (January 2009). "Discovery of a sexual cycle in the opportunistic fungal pathogen Aspergillus fumigatus". Nature. 457 (7228): 471–4. Bibcode:2009Natur.457..471O. doi:10.1038/nature07528. PMID 19043401. S2CID 4371721.
- ^ Horn BW, Moore GG, Carbone I (2009). "Sexual reproduction in Aspergillus flavus". Mycologia. 101 (3): 423–9. doi:10.3852/09-011. PMID 19537215. S2CID 20648447.
- ^ Swilaiman SS, O'Gorman CM, Balajee SA, Dyer PS (July 2013). "Discovery of a sexual cycle in Aspergillus lentulus, a close relative of A. fumigatus". Eukaryotic Cell. 12 (7): 962–9. doi:10.1128/EC.00040-13. PMC 3697472. PMID 23650087.
- ^ Arabatzis M, Velegraki A (2013). "Sexual reproduction in the opportunistic human pathogen Aspergillus terreus". Mycologia. 105 (1): 71–9. doi:10.3852/11-426. PMID 23074177. S2CID 9584227.
- ^ Malik SB, Pightling AW, Stefaniak LM, Schurko AM, Logsdon JM (August 2007). "An expanded inventory of conserved meiotic genes provides evidence for sex in Trichomonas vaginalis". PLOS ONE. 3 (8): e2879. doi:10.1371/journal.pone.0002879. PMC 2488364. PMID 18663385.
- ^ Heitman J, Sun S, James TY (2013). "Evolution of fungal sexual reproduction". Mycologia. 105 (1): 1–27. doi:10.3852/12-253. PMID 23099518. S2CID 18167947.
- ^ Paoletti M, Seymour FA, Alcocer MJ, Kaur N, Calvo AM, Archer DB, Dyer PS (August 2007). "Mating type and the genetic basis of self-fertility in the model fungus Aspergillus nidulans". Current Biology. 17 (16): 1384–9. doi:10.1016/j.cub.2007.07.012. PMID 17669651. S2CID 17068935.
- ^ Dyer PS, O'Gorman CM (January 2012). "Sexual development and cryptic sexuality in fungi: insights from Aspergillus species". FEMS Microbiology Reviews. 36 (1): 165–92. doi:10.1111/j.1574-6976.2011.00308.x. PMID 22091779.
- ^ Rydholm C, Szakacs G, Lutzoni F (April 2006). "Low genetic variation and no detectable population structure in aspergillus fumigatus compared to closely related Neosartorya species". Eukaryotic Cell. 5 (4): 650–7. doi:10.1128/EC.5.4.650-657.2006. PMC 1459663. PMID 16607012.
- ^ Machida M, Gomi K, eds. (2010). Aspergillus: Molecular Biology and Genomics. Caister Academic Press. ISBN 978-1-904455-53-0.
- ^ Gibbons JG, Rokas A (January 2013). "The function and evolution of the Aspergillus genome". Trends in Microbiology. 21 (1): 14–22. doi:10.1016/j.tim.2012.09.005. PMC 3534798. PMID 23084572.
- ^ Khaldi N, Wolfe KH (August 2008). Gadagkar S (ed.). "Elusive origins of the extra genes in Aspergillus oryzae". PLOS ONE. 3 (8): e3036. Bibcode:2008PLoSO...3.3036K. doi:10.1371/journal.pone.0003036. PMC 2515630. PMID 18725939.
- ^ Cloherty J (2012). Manual of neonatal care.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ISBN 978-1-60831-777-6; Access provided by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cite book}}
: CS1 유지보수: 포스트스크립트(링크) - ^ Bozkurt MK, Ozçelik T, Saydam L, Kutluay L (2008). "[A case of isolated aspergillosis of the maxillary sinus]". Kulak Burun Bogaz Ihtisas Dergisi (in Turkish). 18 (1): 53–5. PMID 18443405.
- ^ "Aspergillosis". MedScap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2-23. Retrieved 2014-06-29.
- ^ Wilson WR, Sande MA, Drew WL, eds. (2001). Current diagnosis & treatment in infectious diseases. Lange Medical Books/McGraw-Hill.
- ^ Di Paolo N, Guarnieri A, Garosi G, Sacchi G, Mangiarotti AM, Di Paolo M (1994). "Inhaled mycotoxins lead to acute renal failure".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9 Suppl 4: 116–20. PMID 7800243.
추가 정보
- Du C, Lin SK, Koutinas A, Wang R, Dorado P, Webb C (November 2008). "A wheat biorefining strategy based on solid-state fermentation for fermentative production of succinic acid". Bioresource Technology. 99 (17): 8310–5. doi:10.1016/j.biortech.2008.03.019. PMID 18434138.
- Zirbes JM, Milla CE (June 2008). "Steroid-sparing effect of omalizumab for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and cystic fibrosis". Pediatric Pulmonology. 43 (6): 607–10. doi:10.1002/ppul.20804. PMID 18433040. S2CID 25806792.
- Asan A. (February 10, 2015) [2004]. "Aspergillus, Penicillium, and Related Species Reported from Turkey" (PDF). Mycotaxon. 89 (1): 155–7.
- Soltani J (2016). "Secondary Metabolite Diversity of the Genus Aspergillus.". Recent Advances New and Future Developments in Microbial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Aspergillus System Properties and Applications. pp. 275–292.
외부 링크
- 곰팡이 DB: 곰팡이와 난균을 위한 통합된 기능성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 아스페르길루스 게놈 자원(NIH)
- 광역연구소의 아스페르길루스 비교 데이터베이스 비교 게놈 자원
- 중앙 아스페르길루스 데이터 저장소
- Wayback Machine에서 2006-10-01년에 보관된 Fungal Genetics Stock Center
- 아스페르길루스/아스페르길루스 웹사이트 환자, 의사 및 과학자를 위한 아스페르길루스 백과사전
- 대형 3차 진료 병원의 아스페르길루스 감시 프로젝트(PDF).
- 2021-05-25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아스페르길루스 게놈 데이터베이스
- 곰팡이와 곰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