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S9 노나
2S9 Nona2S9 노나 | |
---|---|
![]() 2S9 노나-S 120mm 자주모르타르, 2016 | |
유형 | 에어드롭 가능한 자기 propelled 모르타르 |
원산지 | 소비에트 연방 |
근무이력 | |
근무중 | 1981~현재 |
사용자 | 연산자 참조 |
워즈 | 소련-아프간 전쟁 러시아-조지아 전쟁 시리아 내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생산이력 | |
디자이너 | TSNIITOCHMASH |
설계된 | 1974–1980 |
제조자 | 모토빌리카 플랜트 |
제작 | 1979–1989 |
사양 | |
덩어리 | 8.7톤 |
길이 | 6.02m |
통 길이 | 약 1.8m 또는 2.88m[1][2] |
폭 | 2.63m |
높이 | 2.3m |
승무원 | 4 |
칼리버 | 120mm |
승진 | -4~+80도 |
트래버스 | 70도 |
불의 속도 | 10rpm, 최대; 4rpm, 지속 가능 |
유효 사격장 | 8.8km(기존); 12.8km(extended) |
갑옷 | 최대 15mm |
주된 무장의 | 120mm 2A60절구 |
엔진 | 5D20 디젤 240hp |
힘/무게 | 27.1 hp/ |
페이로드 용량 | 40-60라운드 |
정지 | 비틀림 |
지상공간 | 450mm |
연료용량 | 400리터 |
작동중 범위 | 500km |
최고속도 | 60km/h(도로); 9km/h (물) |
2S9 NONA(러시아어: н овейшее о рудие н аземной а ртилерии, 점등. '지상포병의 최신 예규')는 소련에서 설계된 자주식 및 공기 투하식 120mm 박격포로 1981년에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2S9 섀시는 S-120으로 지정되며 BTR-D 공중 다목적 추적 장갑차의 알루미늄 선체를 기반으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120mm 모르타르를 노나라고 하며, 2S9를 노나-S라고도 합니다.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2S9은 1,000개가 훨씬 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3]
묘사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2/AirborneExercise2018-02.jpg/220px-AirborneExercise2018-02.jpg)
2S9 Nona-S는 2개의 후방 수상 제트기에 의해 물을 통해 추진될 수 있는 수륙양용 차량입니다. 지휘관, 드라이버/메커니즘, 사수, 로더로 구성된 4인 승무원에 의해 운영됩니다. 선체 내부는 지휘실, 전투실, 엔진실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용접 강철 포탑은 선체 중앙에 위치합니다. 2인용 포탑에는 사수와 적재기용 해치가 각각 있습니다.
2S9은 120mm 2A51 모르타르와 1.8m 길이의 배럴을 사용합니다. 이 무기는 실제로 박격포와 곡사포의 혼합물로 나토의 직접적인 대응물이 없는 파격적인 디자인입니다. 이 무기는 HE(고폭약), 백린, 연무탄을 발사할 수 있는 소총과 KM-8 그란과 같은 레이저 유도 무기입니다. 장갑차를 겨냥할 뿐만 아니라 간접적이고 직접적인 사격도 할 수 있습니다. 장갑을 뚫는 방식의 탄환은 최대 1킬로미터 거리에서 철판 600~650mm에 해당하는 크기를 관통할 수 있습니다.[4][1][5][6]
운영이력
그들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동안 러시아에 의해 배치되었습니다. 2022년 7월, 소셜 미디어의 비디오는 우크라이나군이 M777을 사용하여 러시아 국경의 홉티브카에서 견인된 2B16 노나-K를 파괴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7] 2022년 8월, 우크라이나 군대는 러시아군을 상대로 포로로 잡힌 러시아 2S9 4대를 사용했다고 주장했습니다.[8] 2022년 11월, 우크라이나에서 2S23-SVK 노나가 촬영되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그것은 지난 3월 러시아군으로부터 나포되어 수리하는데 수개월이 걸렸습니다.[9]
변종
120mm 노나 모르타르의 변형:
- 2S23 Nona-SVK – 2A50의 변형인 2A60 모르타르를 장착하는 BTR-80 기반 섀시.[10]
- 2B16 Nona-K – 견인 버전. 입마개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5]
- 2S31 Vena – BMP-3 섀시를 기반으로 한 유사한 개념입니다. 더 긴 배럴로 범위를 넓혔습니다.[11]
- 2S17-2 노나-SV – 우크라이나 지상군이 사용하는 2S9 노나 포탑이 장착된 BRM-1K.[12][13]
연산자
현재 연산자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c/%D0%97%D0%BC%D0%B0%D0%B3%D0%B0%D0%BD%D0%BD%D1%8F_%D0%BD%D0%B0_%D0%BA%D1%80%D0%B0%D1%89%D1%83_%D0%B0%D1%80%D1%82%D0%B8%D0%BB%D0%B5%D1%80%D1%96%D0%B9%D1%81%D1%8C%D0%BA%D1%83_%D0%B1%D0%B0%D1%82%D0%B0%D1%80%D0%B5%D1%8E_%D0%94%D0%B5%D1%81%D0%B0%D0%BD%D1%82%D0%BD%D0%BE-%D1%88%D1%82%D1%83%D1%80%D0%BC%D0%BE%D0%B2%D0%B8%D1%85_%D0%B2%D1%96%D0%B9%D1%81%D1%8C%D0%BA_%2830907960448%29.jpg/220px-%D0%97%D0%BC%D0%B0%D0%B3%D0%B0%D0%BD%D0%BD%D1%8F_%D0%BD%D0%B0_%D0%BA%D1%80%D0%B0%D1%89%D1%83_%D0%B0%D1%80%D1%82%D0%B8%D0%BB%D0%B5%D1%80%D1%96%D0%B9%D1%81%D1%8C%D0%BA%D1%83_%D0%B1%D0%B0%D1%82%D0%B0%D1%80%D0%B5%D1%8E_%D0%94%D0%B5%D1%81%D0%B0%D0%BD%D1%82%D0%BD%D0%BE-%D1%88%D1%82%D1%83%D1%80%D0%BC%D0%BE%D0%B2%D0%B8%D1%85_%D0%B2%D1%96%D0%B9%D1%81%D1%8C%D0%BA_%2830907960448%29.jpg)
아제르바이잔:18 2S9[14]
Belarus: 18 2B23 Nona-M1[15]
키르기스스탄:12 2S9[16]
몰도바: 92S9[17]
러시아: 446 (미상 상태로 매장중인 500 2S9 제외): 280 2S9 Nona-S, 422S23 Nona-SVK, 1242B16 Nona-K[18]
시리아 - 수량 미상
투르크메니스탄: 172S9[20]
우크라이나: 22B16과 40 2S9.[21] 2S9과 2B16 버전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22][23] 동안 양측에 의해 사용되었습니다.
우즈베키스탄:542S9[24]
베네수엘라 - 2009년 주문된 18개의 Nona SVK는 2011-2012.[25] 13을 2016년[update] 현재 서비스 중입니다.[26]
이전 연산자
외부 링크
- "2S9 Anona (Anemone)- 120mm SPH/Mortar". GlobalSecurity.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une 2008. Retrieved 10 May 2008.
- 크레멘추그에서 2S9 노나 걸어보기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en/thumb/4/4a/Commons-logo.svg/30px-Commons-logo.svg.png)
참고문헌
-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February 2016). The Military Balance 2016. Vol. 116. Routlegde. ISBN 9781857438352.
- ^ a b Marat Kenzhetaev (1998). "Self Propelled Artillery and Mortars". www.armscontrol.ru. MIPT Center for Arms Control, Energy and Environmental Stud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anuary 2010. Retrieved 3 May 2010.
- ^ Arg. (n.d.). 2S9 Nona-S. 군사의. 2022년 11월 13일 http://www.military-today.com/artillery/2s9_nona_s.htm 에서 검색.
- ^ 제인스 아머 앤 포병 1997-98 ISBN 0-7106-1542-6[page needed]
- ^ "The Russian BMD-1 Infantry Fighting Vehicle - TankNutDav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October 2018.
- ^ a b 2B16 NONA-K, 육군가이드, 2021/02/16 회수
- ^ 2S9 노나, 밀리터리투데이, 2021/02/16 회수
- ^ Manning, Joshua (12 July 2022). "WATCH: Ukraine destroy Russian Nona-K guns with M777 Howitzer". euroweeklynews.com. Retrieved 19 November 2022.
- ^ "Ukraine's Fighters Apply Trophy 2S9 Nona Self-Propelled Artillery Gun to Destroy russia's Armor (Video)". defence-ua.com. 1 August 2022. Retrieved 19 November 2022.
- ^ Campbell, Joseph (4 November 2022). "Ukrainian troops fire on Russians with captured weapons near key city". reuters.com. Retrieved 19 November 2022.
- ^ "2S23 Nona-SVK 120mm Self-Propelled Gun System". Retrieved 7 May 2023.
- ^ "2S31 Vena 120mm Self-Propelled Gun". Retrieved 7 May 2023.
- ^ "Documenting Ukrainian Equipment Losses During The Russian Invasion Of Ukraine".
- ^ "Ukrainian Version of the Nona Self-Propelled Mortar On the BMP Chassis Went Into Series (Video)".
- ^ 군사적 균형 2016, 페이지 180.
- ^ 밀리터리 밸런스, 2022, p.186
- ^ 군사적 균형 2016, 페이지 187.
- ^ 군사적 균형 2016, 페이지 188.
- ^ The Military Balance 2016, pp. 190–200.
- ^ "Syria Rearm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une 2017. Retrieved 15 June 2017.
- ^ 밀리터리 밸런스, 2022, 210쪽
- ^ The Military Balance 2016, pp. 205–206.
- ^ Ferguson, Jonathan; Jenzen-Jones, N.R. (November 2014). Raising Red Flags: An Examination of Arms & Munitions in the Ongoing Conflict in Ukraine, 2014. Research Report 3. Armament Research Services. pp. 50, 70. ISBN 978-0-9924624-3-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September 2018. Retrieved 17 March 2019.
- ^ 군사적 균형 2016, 페이지 491.
- ^ 군사적 균형 2016, 페이지 208.
- ^ "Trade Registers". Armstrade.sipri.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April 2010. Retrieved 20 March 2017.
- ^ 군사적 균형 2016, 416쪽.
- ^ a b c Jones, Jeffrey, ed. (19 October 2017). U.S. Marine Corps School Of Infantry SOI Complete Training Materials. Jeffrey Frank Jones. p. LIV. Retrieved 17 November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