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083A - Aerosol generator having seperable air heater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or having seperable air h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083A
KR20240041083A KR1020220120172A KR20220120172A KR20240041083A KR 20240041083 A KR20240041083 A KR 20240041083A KR 1020220120172 A KR1020220120172 A KR 1020220120172A KR 20220120172 A KR20220120172 A KR 20220120172A KR 20240041083 A KR20240041083 A KR 20240041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er
heater
paragraph
sub
separa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20120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083A/en
Publication of KR20240041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083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9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실시예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배터리, 제어 회로 및 궐련 가열부를 포함하는 메인 디바이스; 및 메인 디바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궐련 가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히터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에어 히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The embodiment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The embodiment includes a main device including a battery, a control circuit, and a cigarette heater; and an air heater module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device and includes a heater that heats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cigarette heating unit and a frame on which the heater is mounted. to provide.

Description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AEROSOL GENERATOR HAVING SEPERABLE AIR HEATER}Aerosol generator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AEROSOL GENERATOR HAVING SEPERABLE AIR HEATER}

실시예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embodiment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가열부와 외기 도입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heating unit and an external air introduction struc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1)는 케이싱(11) 내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해 유도 가열 장치, 유도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50) 및 제어 회로(50)를 통해 유도 가열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를 포함한다. 유도 가열 장치는, 서셉터(21)와, 서셉터(21)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인덕터 코일(22)을 포함한다. 서셉터(21)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삽입가능한 공동을 구비하며, 서셉터(21)의 상단부는 상단 하우징(31)에 고정되고, 서셉터(21)의 하단부는 하단 하우징(32)에 결합된다. 상단 하우징(31) 및 하단 하우징(32)에는 서셉터(21)와 간격을 두고, 인덕터 코일(22)을 고정하기 위한 코일 하우징(33)이 설치된다. 코일 하우징(33)의 외면에 인덕터 코일(22)이 설치되며, 인덕터 코일(22)에 전력이 공급되어 서셉터(21)를 유도 가열한다.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n induction heating device, a control circuit 50 for controlling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an induction heating device through the control circuit 50 to heat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within the casing 11. It includes a battery 60 that supplies power.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includes a susceptor 21 and an inductor coil 22 for inductively heating the susceptor 21. The susceptor 21 is cylindrical and has a cavity into which an aerosol-forming substrate can be inserted. The upper end of the susceptor 21 is fixed to the upper housing 31, and the lower end of the susceptor 21 is fixed to the lower housing 32. ) is combined with. A coil housing 33 for fixing the inductor coil 22 is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31 and the lower housing 32 at a distance from the susceptor 21. An inductor coil 22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housing 33,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inductor coil 22 to inductively heat the susceptor 21.

이때, 하단 하우징(32)은 외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외기 도입홀(40)과 연통하며, 하단 하우징(32)은 외기 도입홀(40)을 통해 도입된 외기를 서셉터(21) 내부 즉, 서셉터(21)에 삽입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At this time, the lower housing 32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air introduction hole 40 to supply external air, and the lower housing 32 stores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external air introduction hole 40 inside the susceptor 21, that is, in the west. It serves as a passage for supplying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nserted into the septor 21.

그런데 겨울철과 같이 추운 환경에서는 서셉터(21) 내부로 도입되는 공기가 너무 낮은 온도일 경우, 서셉터(21) 내부로 도입된 외기가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냉각하여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이 발생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in a cold environment such as wint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sceptor 21 is too low,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susceptor 21 cools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reventing a sufficient amount of aerosol from being generated. There was a downside.

국제공개공보 WO 95/27411International Publication WO 95/27411 국제공개공보 WO 2015/177257International Publication WO 2015/177257 국제공개공보 WO 2015/177255International Publication WO 2015/177255

실시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부로 도입되는 외기를 가열할 수 있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capable of heating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실시예는, 배터리, 제어 회로 및 궐련 가열부를 포함하는 메인 디바이스; 및 메인 디바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궐련 가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히터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에어 히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The embodiment includes a main device including a battery, a control circuit, and a cigarette heater; and an air heater module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device and includes a heater that heats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cigarette heating unit and a frame on which the heater is mounted. to provide.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메인 디바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기 도입 유로를 구비하는 서브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에어 히터 모듈은 서브 디바이스에 설치되며, 외기 도입 유로와 궐련 가열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a sub device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device and has an external air introduction flow path, and the air heater module is installed in the sub device,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flow path and the cigarette heating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is provided.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메인 디바이스는 서브 디바이스와 접하는 위치에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서브 디바이스는 압력 센서와 외기 도입 유로를 연결하는 압력 측정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main device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ub-device, and the sub-devic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air heater characterized by having a pressure measurement flow path connecting the pressure sensor and the external air introduction flow path.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provided.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에어 히터 모듈이 구비하는 프레임은 서로 탈부착 가능한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히터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frame provided by the air heater module consists of a lower frame and an upper frame that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and the heater is an aerosol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 generating device is provided.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하부 프레임은 서브 디바이스의 외기 도입 유로와 결합되는 관로 및 상방으로 돌출되어 히터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제1 터미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lower frame is an aerosol with a separate air he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ipe coupled to the external air introduction passage of the sub device and a first terminal that protrudes upward and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to the heater. A generating device is provided.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서브 디바이스는 메인 디바이스와 각각 서로 접촉하여 통전하는 제2 터미널및 제3 터미널을 구비하고, 서브 디바이스는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을 연결하는 서브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Also, as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sub device includes a second terminal and a third terminal that contact each other and conduct electricity with the main device, and the sub device includes a sub circuit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is provided.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상부 프레임은 관로로 유입된 외기를 궐련 가열부로 유출하는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is provided, wherein the upper frame has a hole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pipe flows out to the cigarette heating unit.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은 서로 맞물리는 요홈과 돌기를 구비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is provided, wherei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re detachably coupled by having grooves and protrusions that engage each other.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석이 구비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is provided, wherei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provided with magnets so that attractive force is appli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하부 프레임의 상면에는 실링 러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is provided, wherein a sealing rubbe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실링 러버는 상방으로 돌출된 리브를 구비하며, 상부 프레임은 실링 러버와 접촉하는 위치에 리브가 수용되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sealing rubber has an upwardly protruding rib, and the upper frame has a groove for receiving the rib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ealing rubb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provides.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에어 히터 모듈이 구비하는 히터는 판형의 메쉬 히터 또는 코일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a separate air heater is provided, wherein the heater provided in the air heater module is a plate-shaped mesh heater or a coil heater.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에어 히터 모듈이 구비하는 히터는 Kanthal, SUS과 같은 저항 가열이 가능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separate air heater is provided, wherein the heater provided in the air heater module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resistance heating, such as Kanthal or SUS.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에어 히터 모듈이 구비하는 프레임은 PEEK, PI와 같은 내열성 고분자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separate air heater is provided, wherein the frame provided by the air heater module is made of a heat-resistant polymer plastic such as PEEK or PI.

실시예가 제공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외기 도입 유로에 설치되는 에어 히터가 외기를 가열하여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에어로졸 발생부로 보냄으로써, 에어로졸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고온 건조하여 에어로졸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ed by the embodiment provided with a separate air heater can increase the amount of aerosol generation by having the air heater installed in the outdoor air introduction passage heat the outdoor air and send it to the aerosol generating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dditionally, the air heated by the air heater can be dried at high temperature, increasing the amount of aerosol generated.

또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에어 히터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에어 히터의 청소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ed in the embodiment with a detachable air heater allows the air heater to be cleaned by making the air heater detachable.

또한 실시예가제공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에어 히터를 궐련 가열부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궐련 가열부에서 발생한 액적이 모여 생성되는 담뱃진을 분리형 에어 히터 상부에 고이도록 할 수 있으며, 에어히터를 분리하여 담뱃진의 청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provided by the embodiment arranges the air heater below the cigarette heating unit, so that liquid droplets generated from the cigarette heating unit collect and generate cigarette smoke to accumulate on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e air heater, and the ai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lean cigarette waste by removing the heat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가열부와 외기 도입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서브 디바이스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가 구비하는 에어 히터 모듈을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 모듈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 모듈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heating unit and external air introduction structure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equipped with a separate air he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parated sub-device of an aerosol generator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heater module provided i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equipped with a separate air he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upper frame and lower frame of the air heate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eparated;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upper frame and lower frame of the air heater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epara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서브 디바이스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equipped with a separate air he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eparated sub-devi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a separate air he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m.

실시예는, 궐련 가열부(130)를 구비하는 메인 디바이스(100)에 에어 히터 모듈(200)를 구비하는 서브 디바이스(30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In the embodiment, the sub device 300 including the air heater module 20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device 100 including the cigarette heating unit 130.

메인 디바이스(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 케이스(110) 내에 배터리(120), 제어 회로(122), 궐련 가열부(130), 제3 터미널(140), 압력 센서(150) 등을 포함한다. The main device 100 includes a battery 120, a control circuit 122, a cigarette heating unit 130, a third terminal 140, a pressure sensor 150, etc. within the main case 110 forming the exterior. .

제1 실시예가 구비하는 궐련 가열부(130)는 여자 코일(132)과 서셉터(136)가 홀더(134)에 설치된 형태의 유도 가열 히터가 예시되어 있으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가열 장치로 세라믹 히터나 발열 코일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종래에 사용되던 어떠한 형태의 에어로졸 발생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The cigarette heating unit 130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is an induction heater in which the excitation coil 132 and the susceptor 136 are installed in the holder 134, but it generates aerosol by heating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A ceramic heater or a heating coil may be used as a heating device for this purpose. In other words, it can be applied to any type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used conventionally.

서브 디바이스(300)는 메인 디바이스(100)의 궐련 가열부(130) 하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서브 디바이스(3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서브 케이스(310) 내에 외기를 유입할 수 있는 외기 도입 유로(330)를 구비하며, 외기 도입 유로(330)의 상단에 에어 히터 모듈(200)이 결합된다. 이때 메인 케이스(110)는 궐련 가열부(130) 내로 외기를 유입할 수 있는 외기 유입홀(112)을 구비하며, 에어 히터 모듈(200)은 외기 도입 유로(330)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가열하여 궐련 가열부(130)로 보낸다. The sub device 300 is detachably installed below the cigarette heating unit 130 of the main device 100. The sub device 300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air introduction flow path 330 through which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sub case 310 forming the exterior, and an air heater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external air introduction flow path 330. do. At this time, the main case 110 is provided with an outside air inlet hole 112 through which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igarette heating unit 130, and the air heater module 200 heats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troduction passage 330. and send it to the cigarette heating unit 130.

이때, 서브 디바이스(300)는, 메인 디바이스(10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기 위한 제2 터미널(340)을 구비하며, 제2 터미널(340)은 메인 디바이스(100)의 제3 터미널(140)과 접촉한다. 이때, 제3 터미널(140)은 c-clip타입으로 형성되어 제2 터미널(340)과의 접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터미널(340)로 인가된 전기 신호는 서브 디바이스(300)의 서브 회로(360)를 거쳐 후술할 에어 히터 모듈(200)의 제1 터미널(230)로 전달된다. At this time, the sub device 300 is provided with a second terminal 340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main device 100, and the second terminal 340 is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140 of the main device 100. come into contact with At this time, the third terminal 140 is formed as a c-clip type to ensure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340.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second terminal 34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230 of the air heater modul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sub circuit 360 of the sub device 300.

한편, 메인 디바이스(100)의 압력 센서(150) 또한 서브 디바이스(300)와의 접촉면에 설치되고, 서브 디바이스(300)는 외기 유입 유로(330)와 압력 센서(150)를 연결하는 압력 측정 유로(350)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궐련을 흡입하면, 외기 유입 유로(330)를 통해 외기가 흐르면서 압력 측정 유로(350)의 공기가 부착되어 흐르면서 압력 센서(150)를 통해 흡입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sure sensor 150 of the main device 100 is also installed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ub device 300, and the sub device 300 is a pressure measurement passage connecting the external air inflow passage 330 and the pressure sensor 150 ( 350) can be provided. When a user inhales a cigarette, the outside air flows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assage 330 and the air in the pressure measurement passage 350 attaches and flows, thereby allowing the suction pressure to be detect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150.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가 구비하는 에어 히터 모듈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 모듈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heater module provided i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equipped with a separate air he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frame and lower frame of the air heate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is is a drawing showing one appearance.

실시예가 구비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메인 디바이스(100; 도 3 참조)로부터 서브 디바이스(300; 도 3 참조)를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브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에어 히터 모듈(200)을 쉽게 분해하여 청소가 가능하다.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provided in the embodiment not only separates the sub device 300 (see FIG. 3) from the main device 100 (see FIG. 3), but also separates the air heater module installed in the sub device 300. (200)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clean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 히터 모듈(200)은 서브 디바이스(300)에 설치되며, 외기 도입 유로(330)와 궐련 가열부(130) 사이에 설치된다. As previously described, the air heater module 200 is installed in the sub-device 300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outdoor air introduction passage 330 and the cigarette heating unit 130.

에어 히터 모듈(200)은 서로 탈부착 가능한 하부 프레임(210) 및 상부 프레임(240)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210)은 원통형이며, 하부 프레임(210) 내에는 하부 프레임(210)의 내주면에 접촉하며, 하부 프레임(210)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플랜지부(222)와 외기 유입 유로(330)와 결합되는 관로(224)를 포함하는 이너 파트(220)가 설치된다. 이너 파트(220)에는 상기한 서브 회로(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터미널(230)이 설치된다. 제1 터미널(230)은 상방으로 돌출된 핀 터미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air heater module 200 includes a lower frame 210 and an upper frame 240 that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The lower frame 210 is cylindrical, and within the lower frame 210, there is a flange portion 222 and an external air inflow path 330 that contac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frame 210 and transversely cross the lower frame 210. An inner part 220 including a conduit 224 coupled to is installed. A first terminal 2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circuit 360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inner part 220. The first terminal 230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pin terminal protruding upward.

상부 프레임(240)은, 하부 프레임(210)의 상면에 위치하는 헤드부(242)와, 하부 프레임(210)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하부 프레임(210) 내로 삽입되는 원통부(244)를 구비한다. 이때, 상부 프레임(24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헤드부(242)의 외지름은 원통부(244)의 외지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부(244)의 내측에는 히터(250)가 설치되고, 헤드부(242)에는 히터(250)보다 지름이 작은 홀(243)이 형성되어, 히터(250)에 의해 가열된 외기가 궐련 가열부(130)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터미널(230)은 원통부(24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히터(250)의 통전 패드(미도시)와 접촉하여, 히터(250)로 전기 신호를 전달한다. The upper frame 240 includes a head portion 242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210, and a cylindrical portion 244 inserted into the lower frame 210 so as to contac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frame 210.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242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244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upper frame 240. A heater 250 is installed inside the cylindrical part 244, and a hole 243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heater 250 is formed in the head part 242, so that the outside air heated by the heater 250 heats the cigarette. You can move to section 130. The first terminal 230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244 and comes into contact with a conductive pad (not shown) of the heater 250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to the heater 250.

이때, 히터(250)는 판형의 메쉬 히터 또는 코일 히터일 수 있으며, Kanthal, SUS과 같은 저항 가열이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에어 히터(250)를 고정하는 프레임(210, 240)은 PEEK, PI와 같은 내열성 고분자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heater 250 may be a plate-shaped mesh heater or a coil heater,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resistance heating, such as Kanthal or SUS. Meanwhile, the frames 210 and 240 that secure the air heater 250 are preferably made of heat-resistant polymer plastic such as PEEK or PI.

하부 프레임(210)의 내주면에는 요홈(212)이 구비되고, 상부 프레임(240)의 원통부(244)에 요홈(212)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후크나 리브와 같은 돌기(245)를 구비함으로써, 상부 프레임(240)이 하부 프레임(210)과 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frame 210 is provided with a groove 212, and the cylindrical portion 244 of the upper frame 24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245 such as a hook or rib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212, The upper frame 240 can be configured to be easi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lower frame 210.

한편, 이너 프레임(220)의 상면에는 기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러버(260)가 설치될 수 있다. 실링 러버(226)는 제1 터미널(230)보다 더 외측에 위치한다. 이때, 실링 러버(226)는 상방으로 돌출된 리브(226')를 구비하여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부 프레임(240)의 돌기(245)와 하부 프레임(210)의 요홈이 결합하면, 상부 프레임(240)이 실링 러버(226)의 리브(226')를 가압하면서 밀착하여 기밀성을 높일 수 잇다. Meanwhile, a sealing rubber 26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220 to prevent leakage of airflow. The sealing rubber 226 is located further outside the first terminal 230. At this time, the sealing rubber 226 may further improve airtightness by having ribs 226' protruding upward. When the protrusions 245 of the upper frame 240 and the grooves of the lower frame 210 are combined, the upper frame 240 presses and adheres to the ribs 226' of the sealing rubber 226, thereby increasing airtightness.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 모듈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upper frame and lower frame of the air heater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eparated.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히터 모듈은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나, 탈착 구조로 자석(262a, 264a)을 채용했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The air heater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lmost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bu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magnets 262a and 264a are used as a detachable structure.

이너 프레임(220a)의 상면과 상부 프레임(240a)의 원통부(244a) 하면에 각각 서로 반대 극성을 마주하도록 자석(262a, 264a)이 배치되거나, 어느 하나에만 자석이 배치되거나, 나머지 하나는 강자성체를 배치하여 이너 프레임(220a)과 상부 프레임(240a)이 인력에 의해 결합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Magnets 262a and 264a are arranged to face opposite polariti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220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art 244a of the upper frame 240a, or a magnet is placed on only one of them, or the other is a ferromagnetic material. can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inner frame 220a and the upper frame 240a coupled by manpower.

Claims (14)

배터리, 제어 회로 및 궐련 가열부를 포함하는 메인 디바이스; 및
메인 디바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궐련 가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히터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에어 히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 main device including a battery, control circuit, and cigarette heater; and
An air heater module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main device and includes a heater that heats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cigarette heating unit and a frame on which the heater is mounted.
제1항에 있어서,
메인 디바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기 도입 유로를 구비하는 서브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에어 히터 모듈은 서브 디바이스에 설치되며, 외기 도입 유로와 궐련 가열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sub device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device and has an external air introduction flow path,
The air heater module is installed in the sub-device, and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between the external air introduction flow path and the cigarette heat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메인 디바이스는 서브 디바이스와 접하는 위치에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서브 디바이스는 압력 센서와 외기 도입 유로를 연결하는 압력 측정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main device has a pressure sensor at a location in contact with the sub device,
The sub-device is an aerosol generator with a separate air he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ressure measurement flow path connecting the pressure sensor and the external air introduction flow path.
제2항에 있어서,
에어 히터 모듈이 구비하는 프레임은 서로 탈부착 가능한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히터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rame provided by the air heater module consists of a lower frame and an upper frame that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wherein the heater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제4항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은 서브 디바이스의 외기 도입 유로와 결합되는 관로 및 상방으로 돌출되어 히터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제1 터미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frame has a pipe connected to the external air introduction flow path of the sub device and a first terminal that protrudes upward and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to the heater.
제5항에 있어서,
서브 디바이스는 메인 디바이스와 각각 서로 접촉하여 통전하는 제2 터미널및 제3 터미널을 구비하고,
서브 디바이스는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을 연결하는 서브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sub-device has a second terminal and a third terminal that contact each other and conduct electricity with the main device,
The sub-device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ub-circuit connect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은 관로로 유입된 외기를 궐련 가열부로 유출하는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n aerosol generator with a separate air heater, wherein the upper frame has a hole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pipe flows out to the cigarette heat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은 서로 맞물리는 요홈과 돌기를 구비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n aerosol generator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wherei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re detachably coupled by having grooves and protrusions that engage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석이 구비되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wherei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provided with magnets so that attractive force acts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의 상면에는 실링 러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n aerosol generator equipped with a detachable air heater, characterized in that a sealing rubbe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제10항에 있어서,
실링 러버는 상방으로 돌출된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An aerosol generator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wherein the sealing rubber has ribs protruding upward.
제1항에 있어서,
에어 히터 모듈이 구비하는 히터는 판형의 메쉬 히터 또는 코일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parate air heater, wherein the heater provided by the air heater module is a plate-shaped mesh heater or a coil heater.
제1항에 있어서,
에어 히터 모듈이 구비하는 히터는 Kanthal, SUS과 같은 저항 가열이 가능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erosol generator equipped with a separate air heater, wherein the heater provided in the air heater module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resistance heating, such as Kanthal or SUS.
제1항에 있어서,
에어 히터 모듈이 구비하는 프레임은 PEEK, PI와 같은 내열성 고분자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히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erosol generator with a separate air heater, wherein the frame of the air heater module is made of heat-resistant polymer plastic such as PEEK and PI.



KR1020220120172A 2022-09-22 2022-09-22 Aerosol generator having seperable air heater KR202400410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172A KR20240041083A (en) 2022-09-22 2022-09-22 Aerosol generator having seperable air 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172A KR20240041083A (en) 2022-09-22 2022-09-22 Aerosol generator having seperable air he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083A true KR20240041083A (en) 2024-03-29

Family

ID=9048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172A KR20240041083A (en) 2022-09-22 2022-09-22 Aerosol generator having seperable air h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083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7411A1 (en) 1994-04-08 1995-10-19 Philip Morris Products Inc. Inductive heating systems for smoking articles
WO2015177255A1 (en) 2014-05-21 2015-11-26 Philip Morris Products S.A. Inductive heating device for heat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7411A1 (en) 1994-04-08 1995-10-19 Philip Morris Products Inc. Inductive heating systems for smoking articles
WO2015177255A1 (en) 2014-05-21 2015-11-26 Philip Morris Products S.A. Inductive heating device for heat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WO2015177257A1 (en) 2014-05-21 2015-11-26 Philip Morris Products S.A. Inductive heating device, aerosol-delivery system comprising an inductive he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7698B2 (en) Electronic vapor supply system, cartridge, control unit, vapor supply means and method
JP7431985B2 (en) Heating device and aerosol forming device
TW202034804A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CN107708452A (en) Electronics aerosol feed system
WO2023025041A1 (en)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and heating component thereof
CN216147256U (en) Hea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atomizer
KR20230019119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CN217089623U (en)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KR20240041083A (en) Aerosol generator having seperable air heater
CN215270591U (en) Combine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cigarette
CN211458858U (en) Power supply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13907433A (en) Atomizer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12438438A (en) Power supply devic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16796486U (en) Atomizer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N214854354U (en) Vibrating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cigarette
CN210279102U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ombined electronic product
KR102614369B1 (en) Aerosol generator having seperable air heater
CN220293067U (en) Atomizer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N219781538U (en) Electronic atomizing device
KR102699322B1 (en) Detachable susceptor assembly and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1744438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ombined electronic product
CN221769319U (en) Electronic atomizing device
CN211463094U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CN218219140U (en) Double-air-passage atomiz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N221670958U (en)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onic atomiz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