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383A - aerosol generating device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9383A KR20230079383A KR1020237011692A KR20237011692A KR20230079383A KR 20230079383 A KR20230079383 A KR 20230079383A KR 1020237011692 A KR1020237011692 A KR 1020237011692A KR 20237011692 A KR20237011692 A KR 20237011692A KR 20230079383 A KR20230079383 A KR 202300793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erosol
- substrate
- cover
- tray
- generat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41000208125 Nicot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79 heat-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URAYPUMNDPQOKB-UHFFFAOYSA-N triacetin Chemical compound CC(=O)OCC(OC(C)=O)COC(C)=O URAYPUMNDPQOK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NICXCGAKADSCV-JTQLQIEISA-N (-)-Nicotine Chemical compound CN1CCC[C@H]1C1=CC=CN=C1 SNICXCGAKADSCV-JTQLQIEISA-N 0.000 description 1
- OVOUKWFJRHALDD-UHFFFAOYSA-N 2-[2-(2-acetyloxyethoxy)ethoxy]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OCCOCCOC(C)=O OVOUKWFJRHALD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DOOTYTYQINUNNV-UHFFFAOYSA-N Triethyl citrate Chemical compound CCOC(=O)CC(O)(C(=O)OCC)CC(=O)OCC DOOTYTYQINUN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15 carcinogen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5 electric 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9 gel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14 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87 glyceryl tri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73 glyceryl tri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34 glyc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15 nicot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SNICXCGAKADSCV-UHFFFAOYSA-N nicotine Natural products CN1CCCC1C1=CC=CN=C1 SNICXCGAKADSC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5 solid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05 tobacco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22 triace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69 triethyl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MYFZRTXGLUXMZ-UHFFFAOYSA-N triethyl citrate Natural products CCOC(=O)C(O)(C(=O)OCC)C(=O)OCC VMYFZRTXGLUX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69 triethyl ci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IBGPFATKBEMQZ-UHFFFAOYSA-N tr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CCO ZIBGPFATKBEM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 생성 기재가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서 기재를 수용하고 가열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챔버로서, 적어도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 장타원형 하우징; 에어로졸 생성 챔버를 덮는 폐쇄 위치 및 에어로졸 생성 챔버를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에 있을 수 있는 커버; 및 기재를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 트레이로서, 커버에 연결되는, 트레이를 포함한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which an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is heated to form an aerosol. More specifically,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n aerosol generating chamber configured to receive and heat a substrate to generate an aerosol,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comprising at least a heating element; oblong housing; a cover which can be in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and an open position exposing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and a tray configured to receive and hold a substrate, connected to the cover.
Description
본 개시 내용은 에어로졸 생성 기재가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은 특히, 저온에서 동작될 수 있는 휴대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장치는, 담배 또는 다른 적합한 에어로졸 기재 재료를 전도, 대류 및/또는 복사에 의해서 연소시키기보다는 가열하여 흡입용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which an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is heated to form an aerosol. The present disclosure is particularly applicable to por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s capable of operating at low temperatures. Such devices may generate an aerosol for inhalation by heating tobacco or other suitable aerosol-based material rather than burning it by conduction, convection, and/or radia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e-담배 및 비-연소 제품으로도 알려져 있음)의 인기와 사용이 지난 몇 년 동안 빠르게 증가하였다. 통상적인 담배 제품에서 담배를 연소시키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에어로졸성 물질을 가열 또는 가온(warm)하는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The popularity and use of aerosol generating devices (also known as e-cigarettes and non-combustion products) has grown rapidly over the past few years. As opposed to burning tobacco in conventional tobacco products, a variety of devices and systems may be used to heat or warm an aerosolized material.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일반적으로 습한 잎 담배 또는 다른 적합한 고체 에어로졸성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기재를 일반적으로 150℃ 내지 350℃ 범위의 온도까지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 또는 증기를 생성한다. 그러한 에어로졸 기재를 태우거나 연소시키지 않고 가열하는 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성분은 포함하지만, 태우고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독성 및 발암성 부산물은 포함하지 않는, 에어로졸을 방출한다. 또한, 담배 또는 다른 에어로졸성 재료를 가열함으로써 생성되는 에어로졸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태움 및 연소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탄맛 또는 쓴맛을 포함하지 않고, 따라서 그러한 기재는, 좀 더 사용자의 구미에 맞는 연기 및/또는 증기를 생성하기 위해 그러한 재료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설탕 및 다른 첨가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장치에서, 에어로졸 기재는, 예를 들어 가열 챔버 내의, 가열 요소에 의해서 가열된다. 에어로졸 기재는 에어로졸의 생성을 통해서 소비되고, 규칙적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가열 챔버 내의 에어로졸 기재를 교체하는 편리한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evices of this type generally produce an aerosol or vapor by heating an aerosol substrate comprising moist leaf tobacco or other suitable solid aerosol material to a temperature generally in the range of 150°C to 350°C. Heating such aerosol substrates, with or without burning, releases an aerosol that contains the components desired by the user, but not the toxic and carcinogenic by-products of burning and burning. In addition, aerosols produced by heating tobacco or other aerosolized materials generally do not contain burnt or bitter tastes that can result from burning and combustion, which can be objectionable to the user, and thus such descriptions are more user-friendly. It does not require sugar and other additives normally added to such materials to produce a pleasing smoke and/or vapor. In such devices, the aerosol substrate is heated by a heating element, for example in a heating chamber. Aerosol substrates are consumed through the creation of aerosols and must be replaced regularly. 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convenient way to replace the aerosol substrate within the heating chamber.
또한, 주어진 양의 에어로졸 기재로부터 더 많은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따라 에어로졸을 더 효율적으로 생성하도록 에어로졸 기재를 가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desirable to produce more aerosol from a given amount of aerosol substrate, and thus to provide an apparatus capable of heating the aerosol substrate to more efficiently produce the aerosol.
제1 양태에 따라, 이하의 개시 내용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서 기재를 수용하고 가열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챔버로서, 적어도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 장타원형 하우징; 에어로졸 생성 챔버를 덮는 폐쇄 위치 및 에어로졸 생성 챔버를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에 있을 수 있는 커버; 및 기재를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 트레이로서, 커버에 연결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트레이는 기재를 수용할 수 있고, 수용된 기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챔버의 외측에 위치되며,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수용된 기재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 내에 완전히 수용되고 가열 요소와 접촉되며; 커버는 회전에 의해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트레이는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가열 요소를 향해서 그리고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병진 운동되고, 그에 따라 트레이에 의해서 유지되는 기재가 가열 요소와 접촉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the following disclosure provides an aerosol-generating device,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aerosol-generating chamber configured to receive and heat a substrate to generate an aerosol,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comprising at least a heating element; chamber; oblong housing; a cover which can be in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and an open position exposing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and a tray configured to receive and hold a substrate, connected to the cover; When the cover is in the open position, the tray is capable of receiving a substrate, the received substrate being positioned at least partially outside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and when the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contained substrate is completely contained within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and heated. is in contact with the element; The cover can be moved from an open position to a closed position by rotation, whereby the tray is transl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owards the heating element an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hereby moving the tray A substrate held by the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트레이는, 사용된 기재를 트레이로부터 제거하고 미사용 기재를 트레이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에어로졸 기재 소모품을 교체하기 위한 직관적이고 견고한 방식을 제공한다. 커버를 폐쇄함으로써, 기재는 이어서 에어로졸 생성 챔버 내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기재를 올바른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하는 단순하고 직관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챔버 내로의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서, 기재는 가열 요소와 접촉되고, 그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효율을 개선한다.The tray provides an intuitive and robust way to change aerosol-based consumables by removing the used substrate from the tray and placing the unused substrate on the tray. By closing the cover, the substrate is then mov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providing a simple and intuitive way for the user to position the substrate in the correct position. Also, by moving the tray into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the substrat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thereby improving the aerosol generating efficiency.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 트레이는 기재를 트레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In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the tray comprises means for securing the substrate to the tray.
이는, 기재가 고정되고 트레이에 대해서 이동하지 않게 보장한다. 따라서,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기재는 항상 가열 요소에 대해서 정확한 위치에 있고 가열 요소와 접촉되며, 그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효율이 개선된다.This ensures that the substrate is fixed and does not move relative to the tray. Thus, when the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substrate is always in the correct position relative to and in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thereby improving the aerosol generating efficiency.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 고정 수단은, 기재의 각각의 함몰부와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이다.In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ans is at least one protrusion engageable with each depression of the substrate.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을 실현하는 내구적이고, 직관적이며, 단순한 방식을 제공한다.This provides a durable, intuitive and simple way of realizing fixa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4 양태에서, 함몰부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로 기재를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In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ression may be formed by stamping the substrate with one or more protrusions.
제4 양태에 따라, 생산 중에 함몰부를 기재 내에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고, 그에 따라 하나의 생산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기재의 비용-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어서, 전술한 함몰부와 동일한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트레이 상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가요성 기재를 "스탬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depression in the substrate during production, and thus the cost-effectiveness of the substrate can be increased by omitting one production step. The flexible substrate can then be “stamped” using the protrusions on the tray to serve the same purpose as the depression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선행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5 양태에서,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트레이가 이동하는 것은 에어로졸 생성 챔버의 경사 벽에 의해서 이루어진다.In a fifth aspec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aspects of the invention, the movement of the tray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is effected by an inclined wall of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경사 벽은 트레이를 희망 위치를 향해서 안내하기 위한 단순하고 내구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경사 벽은, 기재가 가열 요소와 접촉되는 것 및/또는 가열 요소를 향해서 프레스되는 것(press)을 보장하고, 그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효율을 개선한다.The inclined wall provides a simple and durable way to guide the tray towards the desired location. The slanted wall thus ensures that the substrate is in contact with and/or pressed towards the heating element, thereby improving the aerosol generation efficiency.
본 발명의 선행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6 양태에서, 트레이의 횡단면은 대체로 L-형상의 구성을 가지며, L-형상의 긴 다리부는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짧은 다리부는 긴 다리부로부터 가열 요소를 향해서 연장된다.In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aspects, the cross section of the tray has a generally L-shaped configuration, and the long legs of the L-shape are orient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short legs extend from the long legs toward the heating element.
L-형상 트레이는, 트레이 위에 배치된 기재가 트레이로부터 아래로 활주되지 않게 보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기재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이러한 기재는 이어서 L-형상 트레이의 짧은 다리부에 의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됨에 따라, 짧은 다리부는 장치를 용이하게 핸들링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는 직관적인 핸들링 방식을 제공하는 한편, 장치의 에어로졸 생성 효율을 개선한다.The L-shaped tray ensures that substrates placed on the tray do not slide down from the tray. Additionally, the short legs allow for easy handling of the device, as the user can easily insert the substrate and this substrate is then held in place by the short legs of the L-shaped tray. Thus, it provides an intuitive handling scheme while improving the aerosol generating efficiency of the device.
본 발명의 선행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7 양태에서, 커버는, 커버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hinge)에 의해서 하우징에 연결된다.In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s connected to the housing by a hinge enabling rotation of the cover.
하우징에 대한 연결은,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커버가 분실되지 않게 보장한다. 회전 힌지는 사용자가 장치를 핸들링하는 직관적인 방식을 제공한다.The connection to the housing ensures that the cover is not lost when the device is not in use. The swivel hinge provides an intuitive way for the user to handle the device.
본 발명의 선행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8 양태에서, 커버는 폐쇄 위치를 향해서 편향된다.In an eighth aspec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aspects of the invention the cover is biased towards the closed position.
이는, 기재가 삽입된 후에 장치가 적절히 폐쇄되도록 보장한다. 또한, 이는 촉각적인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is ensures that the device is properly closed after the substrate is inserted. Also, it provides tactile feedback to the user.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9 양태에서, 편향은 스프링에 의해서 실현된다.In a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lection is realized by a spring.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편향을 위한 단순하고, 내구적이며, 비용-효율적인 방식을 제공한다.This provides a simple, durable and cost-effective way for deflec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선행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10 양태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커버의 회전이 트레이의 병진 운동을 초래하도록, 트레이가 커버에 연결된다.In a tenth aspec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aspects the tray is connected to the cover such that rotation of the cover about the hinge results in translation of the tray.
이는, 기재를 가열 요소에 대한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직관적이고 견고한 방식을 제공한다.This provides an intuitive and robust way to place the substrate in the correct position relative to the heating element.
본 발명의 제10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11 양태에서, 트레이와 커버 사이의 연결은 제2 힌지에 의해서 실현되고, 제2 힌지는, 커버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된다.In an el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y and the cover is realized by a second hinge, the second hinge being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the hinge enabling rotation of the cover .
이는, 기재를 가열 요소에 대한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직관적이고 견고한 방식을 제공한다.This provides an intuitive and robust way to place the substrate in the correct position relative to the heating element.
본 발명의 제10 양태 내지 제12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12 양태에서, 커버의 회전이 레버에 의해서 트레이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된다.In a twel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enth to twelf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ion of the cover is converted into translational motion of the tray by the lever.
이는, 기재를 가열 요소에 대한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직관적이고 견고한 방식을 제공한다.This provides an intuitive and robust way to place the substrate in the correct position relative to the heating element.
본 발명의 선행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13 양태에서, 트레이는, 커버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리고 커버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반대 방향으로 하우징의 중심을 향해서 이동한다.In a thi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y is provided along the length of the housing as the cover moves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and the cover moves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when moving toward the center of the hous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는, 기재를 가열 요소에 대한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직관적이고 견고한 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이는 사용된 기재를 미사용 기재로 교체하기 위한 용이한 방식을 제공한다.This provides an intuitive and robust way to place the substrate in the correct position relative to the heating element. In addition, it provides an easy way to replace a used substrate with an unused substrate.
본 발명의 선행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14 양태에서, 기재는, 커버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짧은 다리부에 의해서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이동된다.In a fou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is moved away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by the short legs when the cover is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are moved
이는 사용된 기재를 미사용 기재로 교체하기 위한 용이한 방식을 제공한다.This provides an easy way to replace a used substrate with an unused substrate.
본 발명의 선행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15 양태에서, 기재는, 기재를 트레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서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우징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이동된다.In a fif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is moved away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by the means for securing the substrate to the tray.
이는 기재가 가열 요소에 대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보장하고, 그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효율을 개선한다.This ensures that the substrate is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relative to the heating element, thereby improving aerosol generation efficiency.
본 발명의 선행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16 양태에서, 기재는 판, 패드, 또는 디스크의 형상을 갖는다.In a six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has the shape of a plate, pad, or disk.
그러한 형상을 가지는 기재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실질적으로 편평한 가열 요소와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영구적인 접촉을 보장하고 에어로졸 생성 효율을 개선한다. 또한, 가열 요소와 접촉되는 표면과 기재의 부피 사이의 비율이 비교적 크고, 그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효율을 추가적으로 높인다.A substrate having such a shape is substantially flat and can be easily contacted with the substantially flat heating element, thereby ensuring permanent contact and improving aerosol generation efficiency. In addition, the ratio betwee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and the volume of the substrate is relatively large,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aerosol generating efficiency.
본 발명의 제16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17 양태에서, 기재는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가지고, 커버의 폐쇄 위치에서, 하부 표면은 트레이의 긴 다리부와 접촉되고 상부 표면은 가열 요소와 접촉된다.In a seven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ix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wherein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cover, the low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long legs of the tray and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do.
이러한 양태에 의해서, 기재는 트레이와 가열 요소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고, 가열 요소를 향한 트레이의 긴 다리부의 이동에 의해서 가열 요소를 향해서 프레스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효율이 개선된다.With this aspect, the substrate can be clamped between the tray and the heating element, and can be pressed towards the heating element by movement of the long legs of the tray towards the heating element. Thus, the aerosol generating efficiency is improved.
본 발명의 제16 양태 또는 제17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18 양태에서, 트레이에 의해서 수용될 때 기재의 측면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짧은 다리부와 접촉된다.In an eigh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ixteenth aspect or the seven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substrate is in contact with the short legs when received by the tray.
이는 사용자가 기재를 트레이 상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게 하는 직관적이고 견고한 방식을 제공한다. 짧은 다리부에 의해서 기재를 제 위치에서 유지함으로써, 가열 요소에 대한 기재의 위치가 고정되고, 그에 따라 또한 장치의 에어로졸 생성 효율을 개선한다.This provides an intuitive and robust way for the user to accurately place the substrate on the tray. By holding the substrate in place by the short legs,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relative to the heating element is fixed, thereby also improving the aerosol generating efficiency of the device.
도 1은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2는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3은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고 기재가 장치 내에 삽입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횡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트레이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횡단면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6은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횡단면 측면도로 도시한다.1 show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a side view, with the cover in an open position.
2 show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a side view, with the cover in a closed position.
3 show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the cover in an open position and the substrate inserted into the device.
4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tray.
5 shows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in a cross-sectional side view, with the cover in an open position.
6 show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a cross-sectional side view, with the cover in a closed position.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면에 관한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은 개략적인 것이고, 치수의 비율 등이 실제와 다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dentical or similar reference numbers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par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 is schematic and the ratio of dimensions may differ from the actual one.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형상을 갖는, 실질적으로 입방형인 기재(11)와 함께 일을 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인 예에서, 기재(11)의 크기는 18 x 12 x 1.2 mm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기재의 길이는 40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2 mm,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4 mm,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15 mm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기재의 폭은 30 내지 6 mm,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8 mm,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 mm,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9 mm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기재의 높이는 3 내지 0.5 m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0.6 mm, 더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0.8 mm,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0.9 mm이다.The
에어로졸 기재는 예를 들어 니코틴, 담배 및/또는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는, 조각형 담배, 과립형 담배, 담배 잎 및/또는 재구성된 담배와 같은 다양한 재료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폴리올, 예를 들어 소르비톨,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트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 비-폴리올, 예를 들어 1가 알코올, 락트산과 같은 산, 글리세롤 유도체, 트리아세틴과 같은 에스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글리세린 또는 식물성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에어로졸 생성제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롤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혼합물일 수 있다. 기재는 또한 겔화제, 결합제, 안정화제, 및 습윤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가 기재를 통해서 유동할 수 있고 그렇게 유동할 때 에어로졸을 수집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 기재는 다공성일 수 있다. 기재는 예를 들어 발포체, 또는 패킹된 스트랜드 또는 섬유일 수 있다. 기재는 압출 및/또는 롤링 프로세스를 통해서 안정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기재는 하나의 공기 유동 채널 또는 다수의 공기 유동 채널을 제공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유동 채널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공기 유동 채널과 정렬되어, 가열 챔버를 통한 공기 유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재는 무피복(bare) 외부 표면으로 노출된다. 대안적으로, 기재는 에어로졸 생성 기재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공기 투과성 랩퍼(wrapper)를 포함할 수 있다. 랩퍼는 예를 들어 종이 및/또는 부직-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 base may include, for example, nicotine, tobacco and/or an aerosol former. Tobacco can take the form of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pieced tobacco, granulated tobacco, tobacco leaves and/or reconstituted tobacco. Suitable aerosol formers include polyols such as sorbitol, glycerol, and glycols such as propylene glycol or triethylene glycol; non-polyols such as monohydric alcohols, acids such as lactic acid, glycerol derivatives, esters such as triacetin, triethylene glycol diacetate, triethyl citrate, glycerin or vegetable glycerin. In some embodiments, the aerosol generating agent can be glycerol, propylene glycol, or a mixture of glycerol and propylene glycol. The substrate may also include at least one of a gelling agent, a binder, a stabilizer, and a wetting agent. The aerosol substrate may be porous so that air can flow through the substrate and collect the aerosol as it flows. The substrate may be, for example, a foam or packed strands or fibers. The substrate may be formed into a stable shape through an extrusion and/or rolling process.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may be shaped to provide a single air flow channel or multiple air flow channels. These air flow channels can be aligned with the air flow channel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increase the air flow through the heating chamber. The substrate is exposed with a bare outer surface. Alternatively, the substrate may include an air permeable wrapper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The wrapper may include, for example, paper and/or non-woven fabric.
에어로졸 생성 챔버(15)는 단순히 하우징(2)의 내부 체적부일 수 있으나, 에어로졸 생성 챔버(15)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회로소자 및 전력 공급원(미도시)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요소가 에어로졸 생성 챔버(15) 내에서 제공되는 열로부터 절연되도록, 하우징(11) 내에서 절연 외장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열가소성체 또는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임의의 강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절연 외장은 열 변형 또는 용융을 방지하기 위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폴리아미드(PA)와 같은 내열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내열성 재료는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또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과 같은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super engineering plastic)일 수 있다.The aerosol-generating
기재(11)를 수반하는 트레이(5)를 에어로졸 생성 챔버(15) 내로 삽입함으로써, 기재(11)가 에어로졸 생성 챔버(15) 내에 배치된다. 기재는, 커버(7)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트레이 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5)가 에어로졸 생성 챔버(15) 내로 삽입될 때, 트레이(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1)가 에어로졸 생성 챔버(15) 내에서 유지되는 위치로 안내된다. 그러나,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5)는 또한, 기재(11)가 트레이(5) 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다.By inserting the
에어로졸의 생성을 위해서 기재(11)가 가열되는 동안 또는 그러한 시간 후에, 공기가 마우스피스(3)를 향해서 구동되어 에어로졸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공기는 사용자 흡입에 의해서 구동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해서, 공기를 마우스피스(3)를 향해서 펌핑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During or after a period of time when the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는 장타원형 하우징(2), 및 생성된 에어로졸을 장치의 외부로 흡입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3)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가 개방 위치를 향해서 회전되기 때문에, 트레이(5)가 노출된다. 트레이(5)는, 사용자에 의해서 삽입될 수 있는 기재를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6) 또는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7)는, 이를 힌지(16)를 중심으로 회전 방향(8)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도 2는 도 1에서와 동일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2에서, 커버(7)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15)를 덮는 폐쇄 위치에 있다. 폐쇄 위치로부터, 커버는, 회전 방향(8)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개방 위치로 다시 이동될 수 있다.FIG. 2 shows the same embodiment of the
도 3은 커버(7)가 개방 위치에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실시형태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커버(7)는 제1 힌지(16)에 의해서 하우징(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1 힌지(16)는, 커버(7)에 단단히 연결될(rigidly connected) 수 있는 회전 요소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커버, 레버, 또는 기타에 직접 배치될 수 있는 힌지와 같은, 다른 해결책도 가능하다.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힌지(16)는 폐쇄 위치를 향해서 편향되는 스프링에 의해서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장치(1)는 사용자에 의해서 능동적으로 개방되어야 하나, 커버(7)가 사용자에 의해서 개방 위치에서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 스프링에 의해서 폐쇄될 것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hinge 16 may be loaded by a spring biased towards a closed position. Thus, the
다른 실시형태에서, 중력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힌지(16)를 폐쇄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힌지(16)는 폐쇄 위치를 향해서 편향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커버(7)를 회전 방향(8)으로 힌지(16)를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커버(7)를 폐쇄 위치로 능동적으로 가져가야 한다.In other embodiments, other means may be provided for biasing the
제1 힌지(16)로부터 이격된 제2 힌지(17)를 통해서, 레버(13)의 제1 단부가 회전 요소(1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13)의 제2 단부는 제3 힌지(18)에 의해서 트레이(5)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 방향(8)을 따른 커버(7)의 회전 중에, 레버(13)는 장치의 중심을 향해서 밀리고, 그에 따라 트레이를 동일 방향으로 민다.Via a
에어로졸 생성 챔버(15)는, 기재(11)를 가열하고 그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0)를 포함한다. 가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가열 요소, 예를 들어 저항형 가열 요소이나, 에어로졸 생성 챔버(15)에 열을 공급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의 가열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가열 요소(10)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구성을 가지나, 일부 실시형태에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가열 요소(10)는 분리 가능 배터리, 재충전 가능 배터리 또는 기타와 같은 전원에 의해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가열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기 회로소자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고 그에 따라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에서, 트레이(5)는 긴 다리부(21) 및 짧은 다리부(22)를 갖는 L-형상의 구성을 갖는다. 짧은 다리부(22)는 기재(11)의 아래에 배치되어 기재가 중력으로 인해서 아래로 활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긴 다리부는 기재(11)의 편평한 표면과 접촉되어 가열 요소(10)에 대한 기재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긴 다리부(21)는 기재(11) 내의 각각의 함몰부(23)에 록킹(lock) 되도록 구성된 돌출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요성 기재가 사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L-형상 트레이(5)의 긴 다리부(21)에 의해서 기재(11)에 압력이 인가될 때 함몰부(23)가 스탬핑에 의해서 기재(11) 내에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은 기재(11)가 가열 요소(10)에 대해서 정확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보장하고, 또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 중에 기재가 트레이(5)와 함께 다시 상승되도록 보장한다. 이는, L-형상의 트레이(5)를 포함하지 않는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특히 중요하다.As shown in FIG. 4 , in some embodiments,
커버(7)가 회전 방향(8)으로 회전될 때, 회전 요소(19)의 회전은, 이격된 힌지들(16 및 17)에 의해서 장치(1)의 중심을 향해서 이동하는 트레이(5)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된다. 트레이(5)가 장치(1)의 중심을 향해서 병진 운동됨에 따라, 이는 경사 벽(12)에 접근한다. 상기 경사 벽(12)은 트레이(5)를 하우징(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하우징(2)의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그리고 가열 요소(10)를 향해서 이동시킨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면, 트레이는 가열 요소(10)에 매우 근접한 위치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기재(11)는 상기 가열 요소(10)와 접촉되고 상기 가열 요소(10)를 향해서 프레스될 수 있다.When the
도 5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준비 상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를 도시하고, 이러한 준비 상태에서 커버(7)는 폐쇄 위치에 있고 기재(11)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15)의 내측에 위치된다. 여기에서 기재는 가열 요소(10)에 의해서 가열되고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은 이어서 마우스피스(3)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5 shows the aerosol-generating
도 6은 커버(7)가 개방 위치에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를 도시한다. 사용자에 의한 에어로졸의 소비 후에, 상기 사용자는 반대 회전 방향(28)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커버(7)를 개방 위치로 다시 가져갈 수 있다. 회전 요소(19)는 다시 회전을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고, 트레이가 에어로졸 생성 챔버로부터 상승되게 한다. L-형상 트레이(5)의 짧은 다리부(22) 및/또는 트레이의 돌출부(6) 그리고 기재(11) 내의 함몰부(23)에 의해서, 기재(11)는 트레이와 함께 에어로졸 생성 챔버(15)의 외부로 상승된다. 그로부터, 기재(11)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고, 미사용 기재로 교체될 수 있다.6 shows the aerosol-generating
1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하우징
3
마우스피스
5
트레이
6
돌출부
7
커버
8
회전 방향
10
가열 요소
11
기재
12
경사 벽
13
레버
15
에어로졸 생성 챔버
16
제1 힌지
17
제2 힌지
18
제3 힌지
19
회전 요소
21
긴 다리부
22
짧은 다리부
23
함몰부
28
반대 회전 방향1 aerosol generating device
2 housing
3 mouthpiece
5 tray
6 protrusion
7 cover
8 rotation directions
10 heating element
11 materials
12 inclined wall
13 lever
15 aerosol generating chamber
16 first hinge
17 second hinge
18 third hinge
19 rotating elements
21 long legs
22 short legs
23 depression
28 reverse rotation direction
Claims (15)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서 기재(11)를 수용하고 가열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챔버(15)로서, 적어도 가열 요소(1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15);
장타원형 하우징(2);
상기 에어로졸 생성 챔버(15)를 덮는 폐쇄 위치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챔버(15)를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에 있을 수 있는 커버(7); 및
상기 기재(11)를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 트레이(5)로서, 상기 커버(7)에 연결되는, 트레이(5)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7)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트레이(5)는 상기 기재(11)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수용된 기재(1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챔버(15)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7)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수용된 기재(11)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챔버(15) 내에 완전히 수용되고 상기 가열 요소(10)와 접촉되며;
상기 커버(7)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트레이(5)는 상기 하우징(2)의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가열 요소(10)를 향해서 그리고 상기 하우징(2)의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병진 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트레이(5)에 의해서 유지되는 기재(11)가 상기 가열 요소(10)와 접촉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A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n aerosol-generating chamber (15) configured to receive and heat a substrate (11) to generate an aerosol,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15) comprising at least a heating element (10);
an oblong housing (2);
a cover (7) which can be in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5) and in an open position exposing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5); and
a tray (5) configured to receive and hold the substrate (11), connected to the cover (7);
contains;
When the cover 7 is in the open position, the tray 5 can receive the substrate 11 , which is at least partially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chamber 15 . positioned, when the cover (7)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received substrate (11) is completely received within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15) and in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10);
The cover 7 can be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by rotation, so that the tray 5 moves longitudinally of the housing 2 and towards the heating element 10 and the An aerosol-generating device (1) translat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 whereby a substrate (11) held by the tray (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10) .
상기 트레이(5)는 상기 기재(11)를 상기 트레이(5)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According to claim 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wherein the tray (5) comprises means for securing the substrate (11) to the tray (5).
상기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기재(11)의 각각의 함몰부와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6)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According to claim 2,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wherein the means for fixing is one or more protrusions (6) engageable with each depression of the substrate (11).
상기 함몰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6)로 상기 기재(11)를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According to claim 3,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wherein the depression may be formed by stamping the substrate (11) with the one or more protrusions (6).
상기 하우징(2)의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트레이(5)가 이동하는 것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챔버의 경사 벽(12)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wherein the movement of the tray (5)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 is effected by an inclined wall (12) of the aerosol-generating chamber.
상기 트레이(5)의 횡단면이 대체로 L-형상의 구성을 가지며, 상기 L-형상의 긴 다리부(21)는 상기 하우징(2)의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짧은 다리부(22)는 상기 긴 다리부(21)로부터 상기 가열 요소(10)를 향해서 연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cross section of the tray 5 has a generally L-shaped configuration, the long legs 21 of the L-shape are orient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 and the short legs 22 ) extends from the long legs (21) towards the heating element (10).
상기 커버(7)는, 상기 커버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2)에 연결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wherein the cover (7) is connected to the housing (2) by means of a hinge enabling rotation of the cover.
상기 커버(7)는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해서 편향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wherein the cover (7) is biased towards the closed position by means of a spring.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커버(7)의 회전이 상기 트레이(5)의 병진 운동을 초래하도록, 상기 트레이(5)가 상기 커버(7)에 연결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wherein the tray (5) is connected to the cover (7) such that rotation of the cover (7) about the hinge results in a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tray (5).
상기 트레이(5)와 상기 커버(7) 사이의 연결이 제2 힌지에 의해서 실현되고,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커버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힌지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y (5) and the cover (7) is realized by a second hinge, which is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the hinge enabling rotation of the cover,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 One).
상기 커버(7)의 회전이 레버(13)에 의해서 상기 트레이(5)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wherein rotation of the cover (7) is converted by a lever (13) into translational motion of the tray (5).
상기 트레이(5)는, 상기 커버(7)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하우징(2)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리고 상기 커버(7)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반대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의 중심을 향해서 이동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The tray 5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 when the cover 7 moves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and the cover 7 moves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an aerosol-generating device (1), which moves towards the center of the housing (2)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상기 기재(11)는, 상기 커버(7)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짧은 다리부(22)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2)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이동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The substrate 11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 by the short legs 22 when the cover 7 moves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an aerosol-generating device (1), moved away from the
상기 기재(11)는, 상기 기재(11)를 상기 트레이(5)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2)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이동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wherein the substrate (11) is moved away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 by means for securing the substrate (11) to the tray (5). (One).
상기 기재(11)는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가지고, 상기 커버(7)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하부 표면은 상기 트레이(5)의 긴 다리부(21)와 접촉되고 상기 상부 표면은 상기 가열 요소(10)와 접촉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According to claim 14,
The substrate 11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cover 7, the low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long legs 21 of the tray 5 and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 contact with (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0200346.3 | 2020-10-06 | ||
EP20200346 | 2020-10-06 | ||
PCT/EP2021/077294 WO2022073929A1 (en) | 2020-10-06 | 2021-10-04 | Aerosol genera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9383A true KR20230079383A (en) | 2023-06-07 |
Family
ID=7275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11692A KR20230079383A (en) | 2020-10-06 | 2021-10-04 | aerosol generating device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000141A1 (en) |
EP (1) | EP4225081A1 (en) |
JP (1) | JP2023543832A (en) |
KR (1) | KR20230079383A (en) |
TW (1) | TW202228538A (en) |
WO (1) | WO2022073929A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881737B2 (en) * | 2012-09-04 | 2014-11-11 | R.J. Reynolds Tobacco Company | Electronic smoking article comprising one or more microheaters |
WO2016023172A1 (en) * | 2014-08-12 | 2016-02-18 | 刘水根 | Tobacco evaporator |
GB2534214B (en) * | 2015-01-19 | 2017-08-02 | Ngip Res Ltd | Aerosol-generating device |
-
2021
- 2021-10-04 JP JP2023519639A patent/JP2023543832A/en active Pending
- 2021-10-04 KR KR1020237011692A patent/KR20230079383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10-04 EP EP21786493.3A patent/EP4225081A1/en active Pending
- 2021-10-04 US US18/030,713 patent/US20240000141A1/en active Pending
- 2021-10-04 TW TW110136930A patent/TW202228538A/en unknown
- 2021-10-04 WO PCT/EP2021/077294 patent/WO202207392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225081A1 (en) | 2023-08-16 |
JP2023543832A (en) | 2023-10-18 |
TW202228538A (en) | 2022-08-01 |
WO2022073929A1 (en) | 2022-04-14 |
US20240000141A1 (en) | 2024-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46427B1 (en) |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multi-purpose computing device | |
US20180279682A1 (en) | Cartridge, battery assembly and electronic cigarette | |
KR102689191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flat heater | |
JP2022515366A (en) | Electronic cigarettes and cartridges for electronic cigarettes | |
TW201433269A (en) | Heating assembly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 |
KR20230015377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230079383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CN111165894A (en) | Aerial fog generating device | |
CN210017861U (en) | Electronic cigarette holder convenient to dismantle | |
US20230363449A1 (en) | Aerosol Generation Device | |
KR20230080427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US20230276851A1 (en) |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Sleeve Cover | |
EP3981267B1 (en) |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ejection mechanism | |
CN220458605U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tomizer and power supply mechanism | |
CN221265244U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US20220053828A1 (en) | Insert for Use with Vaporizer Device | |
US20230240361A1 (en) | Aerosol Generation System, Device | |
KR20210132188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