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545A -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program written in a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program written in a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545A
KR20180066545A KR1020160167500A KR20160167500A KR20180066545A KR 20180066545 A KR20180066545 A KR 20180066545A KR 1020160167500 A KR1020160167500 A KR 1020160167500A KR 20160167500 A KR20160167500 A KR 20160167500A KR 20180066545 A KR20180066545 A KR 20180066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rigger area
output
area
graphic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32675B1 (en
Inventor
윤철민
Original Assignee
윤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철민 filed Critical 윤철민
Priority to KR102016016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675B1/en
Publication of KR20180066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5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6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apable of setting a trigger area and output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an input touching a set trigger reg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terminal includes: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and a control part which controls the output of a document through the touch screen, sets a trigger region in the document, and outputs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region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when the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trigger region is received after the setting of the trigger region is completed.

Description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PROGRAM WRITTEN IN A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의 응답에 따라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apable of setting a trigger area and outputting content according to a response of an input touching a set trigger are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기술 발전에 의해, PC를 벗어나 다양한 전자기기가 증가하였다. 일 예로, 핸드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을 주 입력원으로 삼는 터치 기반의 PC 도 등장하였다.Due to technological advances, various electronic devices have increased beyond the PC. For example, not only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tablet PCs, but also touch-based PCs which use touch input as a main input source have appeared.

새롭게 등장한 이들 단말기에서 역시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문서의 열람 및 편집 기능을 지원한다. 다만, 이들 단말기에서는, 기존 PC에서 이용되었던 워드 프로세서를 단순 포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These new terminals also support document viewing and editing for user convenience. However, in these terminals, a word processor used in a conventional PC is simply ported and used.

이에, 기존 PC 뿐만 아니라, 새롭게 등장한 단말기에서도 효율적으로 문서의 열람 및 편집이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user interface capable of efficiently browsing and editing documents not only in existing PCs but also in newly appeared terminals.

본 개시는 문서를 터치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is intended to provide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outputting content in response to touching a document.

나아가, 본 개시는 컨텐트를 출력을 트리거할 수 있는 영역 또는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disclosure is intended to provide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by which a user can freely adjust an output area of content or an area capable of triggering output of the content.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possible.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subject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are to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는,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문서에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트리거 영역의 설정이 완료된 이후,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트리거 영역과 연계되어 있는 컨텐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ocument to be outputted through the touch screen, setting a trigger area in the document,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when a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trigger area is received.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문서에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영역의 설정이 완료된 이후,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트리거 영역과 연계되어 있는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the steps of outputting a document through a touch screen, setting a trigger area in the document, and inputting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after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is completed And outputting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features briefly summarized above for this disclosure are only exemplary aspect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sclosure which follow,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disclosure.

본 개시는 문서를 터치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is effective to provide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outputting a content in response to touching a document.

나아가, 본 개시는 컨텐트를 출력을 트리거할 수 있는 영역 또는 컨텐트의 출력 영역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disclosure is effective to provide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by which a user can freely adjust an output region of content or an output region of content to be output.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from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의 편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편집이 완료된 문서의 트리거 영역을 이용한 컨텐트 출력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트리거 영역에 연계할 컨텐트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 크기가 조절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컨텐트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컨텐트 출력 영역의 설정이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독립적인 관계를 가질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컨텐트 출력 영역의 설정이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종속적 관계에 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컨텐트 출력 영역을 통해 컨텐트가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컨텐트가 회전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컨텐트의 출력이 중단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트리거 영역이 오버랩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diting process of a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output process using a trigger area of a document that has been edited.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lecting a content to be linked to a trigger area.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trigger area are adjusted through the graphic object.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content linked to a trigger area is output.
7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setting of the content output area has a relation independent of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etting of the content output area is in a dependent relationship with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content is output through a content output area.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ntent is rotated and output.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output of the content is interrupted.
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ase where trigger areas overlap.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rather unclear.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May also be includ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having "another element, it is meant to include not only excluding another element but also another element .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elements, etc.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us, within the scope of this disclosure,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ponent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re intended to clearly illustrate each feature and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components are separate. That is,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into one hardware or software unit, or a single component may be distributed into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units. Thus, unless otherwise noted, such integrated or distributed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is disclosure.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essential components, and some may be optional components. Thus, embodiments consisting of a subset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lso, embodiments that includ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element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는 문서 편집 툴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문서 편집 툴은 문서 내,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트리거 영역에 컨텐트를 연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문서 편집이 완료된 이후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문서 편집 툴 및 이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pplication providing a document editing tool and a terminal capable of driving the application. The document editing tool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sets a trigger area in a document and plays a role of linking the content to the trigger area. When the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trigger area is received after the document editing is completed,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can be output. Hereinafter, a terminal capable of driving a document editing tool and an application supporting the document edit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랩톱(Laptop) 또는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이동형 단말기일 수도 있고, PC(Personal Computer) 또는 스마트 TV 등의 고정형 단말기일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되는 도면 및 실시예들에서는 단말기가 이동형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laptop or a PDA, or a fixed terminal such as a PC (personal computer) or a smart TV have.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in the following figures and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부(110), 카메라(120), 마이크(130), 사용자 입력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음향 출력부(160), 메모리(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1,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camera 120, a microphone 130, a user input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 sound output unit 160, a memory 170, And a control unit 180.

통신부(110)는 단말기가 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110)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유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LTE, HSDPA 또는 CDMA 등 이동 통신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무선 인터넷 모듈은 Wireless LAN(Wi-Fi) 등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 방식은, LAN, USB, HDMI, RGB 또는 DVI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enables the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anoth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perform communication in a wireless manner or may perform communication in a wired manner. For example, in order to perform communication in a wireless manner,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less Internet modul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uch as LTE, HSDPA or CDMA,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LAN (Wi-Fi) or the like. The wired method may include LAN, USB, HDMI, RGB or DVI.

카메라(120)는 영산 신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하고, 마이크(130)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camera 120 plays a role of receiving an output signal, and the microphone 130 receives an audio signal.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단말기의 외부에 드러난 버튼 형태의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0)와 터치 입력부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 이와 같은 구조를 '터치스크린'이라 호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 구조에서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드래그 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터치 입력 수신이 가능하다. The user input unit 140 plays a role of receiving a user input. The user input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utton-shaped input unit displayed on the outside of the terminal and a touch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a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display unit 150. The touch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touch sensors. In this case, when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touch input unit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this structure can be called a 'touch screen'. In such a touch screen structure, various types of touch input can be received by selecting or dragging object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sing a pointer.

사용자 입력부(140)는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모션 센서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카메라(1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특정 제스처를 취하였는지 기초로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The user inpu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motion sensor for receiving the gesture input. At this time, the motion sensor may include a gyro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capable of sensing movement of the terminal. 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analyze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120 to determine whether a gesture input has been received based on whether the user has taken a particular gesture.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는 터치스크린을 통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동작하는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되는 실시예들의 터치 입력은, 단말기 외부에 노출된 버튼을 터치(또는 푸쉬)하는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operates based on various user inputs through the touch scree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touch input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replaced with an input or a gesture input touching (or pushing) a butt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디스플레이부(150)는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0)는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기 실행 화면 상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등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150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0 outputs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terminal, a user interface on the execution screen, or a graphic user interface.

음향 출력부(160)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ound output unit 160 plays a role of outputting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70.

메모리(17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데이터 및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하드디스크, SSD (Solid State Disk), 플래시 메모리(170)(Flash Memory), 카드 타입의 저장 장치(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70) 등),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ROM (Read 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를 통해 원격으로 액세스 할 수 있는 웹 스토리지 역시, 메모리(170)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The memory 170 stores data for application execution and data processed at the terminal. The memory 170 may be a hard disk, a solid state disk (SSD), a flash memory 170, a card type storage device (for example, SD or XD memory 170) ) Or a read only memory (ROM). Web storage that can be remotely access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also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memory 170. [

제어부(18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단말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control unit 180 may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that ar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can execute the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170. [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n arithmetic / control unit such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 GPU (Graphic Processing Unit),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or an MPU (Micro Processing Unit).

단말기가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구현 형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가 불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을 기초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inal does not have to include all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nd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may not be includ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문서는, 워드 프로세서를 통해 생성된 문서뿐만 아니라, 이미지 또는 전자책 등도 포함한다. 일 예로, 문서는, 프리젠테이션 문서(예를 들어, ppt(x)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스프레드 시트 문서(예를 들어, xsl(x)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워드프로세싱 문서(예를 들어, doc(x), hwp 또는 pdf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이미지(jpg, gif, tif 또는 bmp 등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또는 전자책(epub 등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열거된 예시 이외에도,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포맷들이,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문서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The documen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a document generated through a word processor but also an image or an electronic book. For example, the document may be a presentation document (e.g., a file having an extension of ppt (x)), a spreadsheet document (e.g., a file having an extension of xsl (A file having an extension of doc (x), hwp or pdf), an image (a file having an extension of jpg, gif, tif or bmp) or an electronic book can do. In addition to the listed examples, data formats that can be processed by a terminal may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docu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문서가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경우, 문서의 편집은 문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지에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When the document includes a plurality of pages, the editing of the documen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t least one or more pages included in the documen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의 편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울러, 도 3은 편집이 완료된 문서의 트리거 영역을 이용한 컨텐트 출력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diting process of a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output process using a trigger area of the edited document.

문서가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문서의 편집은 문서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지에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할 트리거 영역 및 컨텐트 출력 영역의 설정은 문서를 구성하는 복수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에만 적용될 수도 있고, 문서를 구성하는 복수 페이지 중 일부에 대해 일괄 적용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 문서의 편집은 문서를 구성하는 복수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When the documen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ges, the editing of the documen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t least one or more pages constituting the document. For example,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and the content output area to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pages constituting a document, or may be applied to a part of a plurality of pages constituting a document .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t is assumed that editing of a document is applied to only one of a plurality of pages constituting a document.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문서가 선택될 수 있다(S201, S301). 문서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문서를 실행하고, 선택된 문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0)에는 문서의 특정 페이지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문서의 특정 페이지는 문서의 첫번째 페이지, 트리거 영역이 설정되어있는 첫번째 페이지, 최근 문서가 실행되었을 때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되었던 페이지 또는 최근 문서가 실행되었을 때, 마지막으로 트리거 영역에 관련한 설정이 변경되었던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document can be selected by the user or automatically (S201, S301). When a document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80 executes the selected document and controls the selected document to be displayed. At this time, a specific page of the document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0. [ Here, a specific page of the document is a page in which the first page of the document, the first page in which the trigger area is set, the page that was last displayed when the last document was executed or the last document was executed, Page, < / RTI >

단말기는 편집 모드 또는 뷰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다. 편집 모드는 문서에 트리거 영역에 관련한 설정을 추가 또는 변경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뷰어 모드는 문서를 출력하면서, 문서 내 설정되어 있는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그 응답으로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컨텐트가 출력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단말기가 편집 모드에 놓였을 때 동작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단말기가 뷰어 모드에 놓였을 때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The terminal may be placed in either the edit mode or the viewer mode. The editing mode indicates a state in which a document can be added or changed with respect to the trigger area. In the viewer mode, when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trigger area set in the document is received while a document is output,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ontent can be output. Fig. 2 shows the operation when the terminal is put into the edit mode, and Fig. 3 shows the operation when the terminal is put into the viewer mode.

문서의 특정 페이지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편집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이는 특정 페이지에 트리거 영역에 관련한 설정을 추가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 문서의 특정 페이지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뷰어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이는 특정 페이지에 삽입된 트리거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When entering a edit mode while a specific page of a document is being output, this indicates that the setting relating to the trigger area can be added or changed on a specific page. On the other hand, when entering a viewer mode while a specific page of a document is being output, this indicates that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can be output using the trigger area inserted in a specific page.

편집 모드 및 뷰어 모드 사이의 전환은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란, 편집 모드 또는 뷰어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버튼을 터치 하는 입력, 기 설정된 패턴을 갖는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문서의 편집이 가능한 편집 모드 하에서 동작하는 동안, 슬라이드 쇼를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편집 모드가 종료되고 뷰어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또는 슬라이드 쇼가 진행되는 동안 슬라이드 쇼를 종료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뷰어 모드가 종료되고 편집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The switching between the editing mode and the viewer mode can be switched by a predetermined user input. Here, the predetermined user input may be an input for touching a button for entering an editing mode or a viewer mode, a touch input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a gesture input, or the like. For example, while operating under an editable edit mode of a document, if a user input for starting a slide show is received, the edit mode may be terminated and the viewer mode may be executed. Or if a user input for ending the slide show is received while the slide show is in progress, the viewer mode may be terminated and the edit mode may be executed.

이하, 편집 모드 및 뷰어 모드 하에서의 단말기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the edit mode and the viewer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에 앞서,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에 연계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특정할 수 있다(S202). Prior to setting the trigger area, the controller 180 can specify the content to be linked to the trigger area (S202).

일 예로, 도 4는트리거 영역에 연계할 컨텐트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or example, FIG. 4 shows an example of selecting content to be linked to a trigger area.

제어부(180)는 문서가 출력되는 동안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트리거 영역에 연계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output of a menu to select the content to be linked to the trigger area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received while the document is output.

일 예로, 문서의 임의 위치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또는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4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에 연계하고자 하는 컨텐트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41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input that touches an arbitrary position of a document is received, or when a control menu for selecting the content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wants to link to the trigger area So that the menu 410 for selecting the content can be displayed.

트리거 영역에 연계될 수 있는 컨텐트는, 이미지, 동영상, 음악, 문서, 웹 사이트 또는 문서 내 특정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메뉴를 통해, 메모리(17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이 선택되거나 카메라(120)를 통해 사진을 촬영함으로써, 트리거 영역에 연계하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이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메뉴의 첫번째 항목부터 여섯번째 항목은 각각, 이미지, 동영상, 음악, 문서, 웹 사이트 또는 문서 내 특정 페이지를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content that may be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may include images, movies, music, documents, websites, or specific pages within a document. As an example, through the menu, an image file stored in the memory 170 may be selected or an image file to be linked to the trigger area may be selected by taking a picture through the camera 120. For example, the first to sixth items of the menu may be for selecting images, movies, music, documents, websites, or specific pages in a document, respectively.

상기 메뉴를 통해, 메모리(17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이 선택되거나 카메라(120)를 통해 동영상을 촬영함으로써, 트리거 영역에 연계하고자 하는 동영상 파일이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메뉴를 통해, 메모리(170)에 저장된 음악 파일이 선택되거나 마이크(130)를 통해 음악 파일을 녹음함으로써, 트리거 영역에 연계하고자 하는 음악 파일이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메뉴를 통해, 메모리(170)에 저장된 문서 파일을 선택함으로써, 트리거 영역에 연계하고자 하는 문서 파일이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메뉴를 통해 IP(Internet Protocal) 주소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가 특정됨으로써, 트리거 영역에 연계하고자 하는 웹 사이트가 특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메뉴를 통해 문서 내 특정 페이지가 선택되거나 특정 페이지를 식별하는 페이지 번호가 입력됨으로써, 트리거 영역에 연계하고자 하는 문서 내 특정 페이지가 특정될 수 있다. A moving picture file stored in the memory 170 may be selected through the menu or a moving picture file to be linked to the trigger area may be selected by photographing the moving picture through the camera 120. [ For example, a music file stored in the memory 170 may be selected through the menu, or a music file to be linked to the trigger area may be selected by recording a music file through the microphone 130. As an example, a document file to be linked to the trigger area can be selected by selecting a document file stored in the memory 170 via the menu. For example, by specifying an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or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address through the menu, a web site to be linked to the trigger area can be specified. For example, a specific page in the document may be selected through the menu or a page number identifying the specific page may be input, thereby specifying a specific page in the document to be linked to the trigger area.

트리거 영역에 연계하고자 하는 컨텐트가 선택되면, 문서 내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가 출력될 수 있다.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S203).When a content to be linked to the trigger area is selected, a graphic object for setting a trigger area in the document can be outpu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trigger area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graphic object (S203).

일 예로, 도 5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 크기가 조절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왼쪽 도면은 편집 모드 하에서 문서에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오른쪽 도면은 편집 모드가 종료되었을 때, 문서에 삽입되는 트리거 영역을 식별 표시한 예이다. 아울러, 도 5의 왼쪽 도면에서 점선의 윤곽선은 이전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 크기를 나타내고, 도 5의 오른쪽 도면에서 점선의 윤곽선은 트리거 영역을 나타낸다.For example,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position and size of a trigger area are adjusted through a graphic objec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the left drawing shows an example of setting a trigger area in a document under the edit mode, and the right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rigger area inserted in the document is identified and displayed when the editing mode ends. 5, the outline of the dotted line represents the position or size of the previous graphic object, and the outline of the dotted line in the right drawing of FIG. 5 represents the trigger area.

편집모드 하에서, 트리거 영역(520)에 연계하고자 하는 컨텐트가 특정되면, 제어부(180)는 도 5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520)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51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래픽 오브젝트(510)는 도 5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520)에 연계된 컨텐트의 미리보기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오브젝트(510)의 형태는 도 5의 (a)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그래픽 오브젝트(510)는 트리거 영역(520)에 연계된 컨텐트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그림 또는 트리거 영역을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다각형 형태의 그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If the content to be linked is specified in the trigger area 520 in the edit mode,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graphic object 510 to set the trigger area 52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a) )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ted. Graphics object 510 may include a preview image of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rigger area 52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a). The form of the graphic object 510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Fig. 5 (a). In one example, the graphical object 510 may include a picture for identifying the type of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520, or a polygonal picture for visually identifying the trigger area.

그래픽 오브젝트(510)의 위치 및 크기는 트리거 영역(520)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5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510)의 변경된 위치를 따라 트리거 영역(520)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의 (b)에서, 그래픽 오브젝트(510)의 좌측 상단 좌표가 (x1, y1) 으로부터 (x2, y2) 로 변경되었다면, 트리거 영역(520)의 좌표도 (x1, y1) 으로부터 (x2, y2) 으로 변경될 수 있다.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graphic object 510 may correspond to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trigger area 520. In one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he graphic object 510 changes,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B, the position of the trigger area 520 along the changed position of the graphic object 510 may also be changed have. 5 (b), if the upper left coordinate of the graphic object 510 is changed from (x1, y1) to (x2, y2), the coordinate (x1, y1) (x2, y2).

도 4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그래픽 오브젝트(510)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510)의 변경된 크기에 맞춰 트리거 영역(520)의 크기도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의 (c)에서, 그래픽 오브젝트(510)의 가로 길이 및 세로길이가 각각 △w, △h 만큼 변경되었다면, 트리거 영역(520)의 크기도 △w, △h 만큼 변경될 수 있다. The size of the trigger area 520 may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size of the graphic object 510 when the size of the graphic object 510 is change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For example, in FIG. 4C, if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graphic object 510 are changed by? W and? H, respectively, the size of the trigger area 520 can also be changed by? W and? H have.

편집 모드가 종료되어 뷰어 모드로 전환된 이후, 문서에 삽입된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S302),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3).If the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trigger area inserted in the document is received after the edit mode is terminated and the viewer mode is switched (S302),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is output (S303).

일 예로, 도 6은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컨텐트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or example,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content linked to a trigger area is output.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문서에는 2개의 트리거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고, 각 트리거 영역의 위치 및 크기는 도 6의 (a)에 도시된 예와 같다고 가정한다. 아울러, 2개의 트리거 영역 중 제1 트리거 영역(610)은 제1 이미지(615)와 연계된 상태이고, 제2 트리거 영역(620)은 제2 이미지(625)와 연계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wo trigger areas are set in the document, and that the position and size of each trigger area are the same as the example shown in Fig. 6 (a). It is also assumed that the first trigger area 610 of the two trigger areas is associated with the first image 615 and the second trigger area 620 is associated with the second image 625.

뷰어 모드로 전환된 경우, 트리거 영역은 감춰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여기서, 감춰진 상태란 트리거 영역이 투명한 상태여서, 사용자가 트리거 영역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단말기가 편집 모드 하에 놓일 경우, 트리거 영역은 사용자가 그래픽 오브젝트에 의해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상태인 반면, 단말기가 뷰어 모드 하에 놓일 경우, 트리거 영역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술 또는 후술될 도면에서는 필요에 따라 트리거 영역을 점선으로 식별 표시하기로 한다.When switched to viewer mode, the trigger area can be placed in a hidden state. Here, the hidden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trigger region is transparent so that the user can not visually identify the trigger region. That is, when the terminal is placed under the edit mode, the trigger area is a state that the user can visually identify by the graphic object. On the other hand, if the terminal is placed in the viewer mode, the trigger area is in a state that the user can not visually identify . Howev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rigger area is to be distinguished and displayed as a dotted line as necessary in the drawings described above or in the drawings described later.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터치 지점이 트리거 영역에 포함되어 있고, 터치된 트리거 영역에 이미지가 연계되어 있다면,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트리거 영역(6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6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이미지(615)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2 트리거 영역(62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6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2 이미지(62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trigger area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content linked to the trigger area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For example, if the user's touch point is included in the trigger area and the image is linked to the touched trigger area, 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image to be output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 Accordingly, when a user input touching the first trigger area 610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first image 615 to be outpu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B . 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input touching the second trigger area 620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second image 620 to be outpu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C .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트리거 영역에 동영상이 연계되어 있다면,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동영상을 재생 및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트리거 영역에 음악이 연계되어 있다면,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음악을 재생 및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트리거 영역에 웹 사이트가 연계되어 있다면,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웹 사이트에 연결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트리거 영역에 문서 내 특정 페이지가 연계되어 있다면,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특정 페이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f the moving image is linked to the trigger area, the controller 180 can reproduce and output the moving image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that touches the trigger area. Alternatively, if the music is linked to the trigger area, the controller 180 can reproduce and output the music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Alternatively, if the web site is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the control unit 180 may output a screen linked to the web site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that touches the trigger area. Alternatively, if a specific page in the document is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o output a specific pag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hat touches the trigger area.

도 6의 (b) 및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경우, 제어부(180)는 이미지를 전체 화면 또는 부분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가 부분 화면으로 출력된다는 것은, 이미지가 문서의 일부 영역과 오버랩되는 영역 상에 오버레이 출력되는 것을 의미한다.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6 (b) and 6 (c), when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trigger area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80 may output the image as a full screen or a partial screen. Here, the fact that the image is output to the partial screen means that the image is overlaid on an area overlapping with a partial area of the document.

도 6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이미지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이미지의 출력 위치를 별도로 지정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도 6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미지를 부분 화면으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트리거 영역과는 별개로, 이미지 출력 영역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뷰어 모드 하에서, 이미지를 부분 화면으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편집 모드 하에서 이미지를 출력하고자 하는 영역이 별도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b), when an image linked to the trigger area is to be output in full screen, it is not necessary to specify the output position of the image separately. However, in the case of outputting an image as a partial screen,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C, it is necessary to set the image output area separately from the trigger area. Accordingly, in the viewer mode, when it is desired to output an image as a partial screen,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set an area to output an image under the edit mode.

이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컨텐트가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경우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컨텐트는, 이미지, 동영상, 문서, 웹 사이트 또는 문서 내 특정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is may be true not only for images but also for content that can be visually identified by the user in association with the trigger area. Here, the content that can be visually identified by the user may include an image, a moving image, a document, a web site, or a specific page in a document.

이하, 편집 모드 하에서 컨텐트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setting the content output area under the edit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컨텐트의 출력 영역의 설정은,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독립적일 수도 있고,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종속적일 수도 있다. 컨텐트 출력 영역의 설정이 트리거 영역의 설정에 종속적인 경우, 컨텐트 출력 영역의 위치 또는 크기 변화는 트리거 영역의 위치 또는 크기 변화에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The setting of the output area of the content may be independent of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or may be dependent on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When the setting of the content output area is dependent on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the position or size change of the content output area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r size change of the trigger area.

일 예로, 도 7은 컨텐트 출력 영역의 설정이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독립적인 관계를 가질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왼쪽 도면은 편집 모드 하에서 트리거 영역 및 컨텐트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오른쪽 도면은 편집 모드가 종료되었을 때, 문서에 삽입되는 트리거 영역 및 컨텐트 출력 영역을 식별 표시한 예이다.For example, FIG. 7 shows a case where the setting of the content output area has a relation independent of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left drawing shows an example of setting the trigger area and the content output area under the editing mode, and the right drawing shows the trigger area and the content output area inserted in the document when the editing mode ends, It is an example.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할 것인지 또는 부분 화면으로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컨텐트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도 7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710)만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그래픽 오브젝트(710)는 도 7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과 연계된 컨텐트의 미리보기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 그래픽 오브젝트의 형태는 도 7의 (a)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그래픽 오브젝트는 그래픽 트리거 영역과 연계된 컨텐트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그림 또는 트리거 영역을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다각형 형태의 그림을 포함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80 can set whether to output the content linked to the trigger area in the full screen or the partial screen, based on the user input. In the case where the content linked to the trigger area is set to be output in full screen, only the graphic object 710 for setting the trigger area can be outpu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a). At this time, the graphic object 710 may include a preview image of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a). However, the shape of the graphic objec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Fig. 7 (a). For example, the graphic objec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a picture for identifying the type of content associated with the graphic trigger area, or a polygonal picture for visually identifying the trigger area.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컨텐트를 부분 화면으로 출력할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기존의 그래픽 오브젝트(710)와는 별개로, 트리거 영역 또는 컨텐트 출력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720)가 추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의 (b)에서는 기존 컨텐트의 미리보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그래픽 오브젝트(710)와는 별개로, 컨텐트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그림을 포함하는 그래픽 오브젝트(720)가 추가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A graphical object 720 for setting a trigger area or a content output area may additionally be output separately from the existing graphic object 710 when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is set to be output as a partial screen. For example, in FIG. 7B, a graphic object 720 including a picture for identifying the type of content is additionally output in addition to the graphic object 710 including the preview image of the existing content. .

기존 그래픽 오브젝트(710)는 트리거 영역 및 컨텐트 출력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데 이용되고, 새롭게 추가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720)는 트리거 영역 및 컨텐트 출력 영역 중 다른 하나를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제1 그래픽 오브젝트라 호칭하고, 컨텐트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제2 그래픽 오브젝트라 호칭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 7의 (b)에서, 새롭게 등장한 그래픽 오브젝트(720)가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인 것이라 가정하고, 기존의 그래픽 오브젝트(710)가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인 것이라 가정한다.The existing graphical object 710 is used to set either the trigger area and the content output area and the newly added graphical object 720 can be used to set the other of the trigger area and the content output area.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aphic object used for setting the trigger area is referred to as a first graphic object, and the graphic object used for setting the content output area is referred to as a second graphic object. In FIG. 7B, it is assumed that the newly introduced graphic object 720 is the first graphic object, and the existing graphic object 710 is the second graphic object.

제어부(180)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 크기를 바탕으로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및 크기를 바탕으로 컨텐트 출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변경 또는 크기 변경은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변경 또는 크기 변경 역시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The control unit 180 may set a trigger area based on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first graphic object and set a content output area based on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second graphic object. At this time, the repositioning or resizing of the first graphic object has no effect on the second graphic object, and the repositioning or resizing of the second graphic object also has no effect on the first graphic object.

일 예로, 도 7의 (c)에서,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트리거 영역(73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대응하고,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은 컨텐트 출력 영역(740)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에 대응한다. 7C,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graphic object corresponds to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trigger area 730, and changing the size of the second graphic object corresponds to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ntent area < RTI ID = 0.0 > 740). ≪ / RTI >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독립적으로 컨트롤하여 트리거 영역 및 컨텐트 출력 영역을 설정하는바, 컨텐트 출력 영역의 설정은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독립적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trigger area and the content output area are set by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first graphic object and the second graphic object, and the setting of the content output area may be considered to be independent of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도 8은 컨텐트 출력 영역의 설정이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종속적 관계에 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etting of the content output area is in a dependent relationship with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트리거 영역(830)은 제1 그래픽 오브젝트(820)에 의해 설정되고, 컨텐트 출력 영역(840)은 제2 그래픽 오브젝트(810)에 의해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한다.It is assumed that the trigger area 830 is set by the first graphic object 820 and the content output area 840 is set by the second graphic object 810. [

컨텐트 출력 영역이 트리거 영역에 종속적인 경우,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다른 하나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If the content output area is dependent on the trigger area, changing the position of either the first graphic object or the second graphic object may also affect the other.

일 예로,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그래픽 오브젝트(820)의 위치가 (△x, △y) 만큼 변경되는 경우, 제2 그래픽 오브젝트(810)의 위치도 (△x, △y) 만큼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리거 영역(830)의 위치가 변경된 만큼 컨텐트 출력 영역(840)의 위치 또한 변경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graphic object 820 is changed by (x, y),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8A and 8B, the second graphic object 810, (X, y).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content output area 840 can be changed as much as the position of the trigger area 830 is changed.

아울러, 제1 그래픽 오브젝트(820) 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810) 중 어느 하나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은 다른 하나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그래픽 오브젝트(820)의 크기가 (△w, △h) 만큼 변경될 경우, 제2 그래픽 오브젝트(810)의 크기도 (△w, △h) 만큼 변경될 수 있다. In addition, changing the size of one of the first graphic object 820 or the second graphic object 810 may affect the other. As an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first graphic object 820 is changed by (? W,? H), the size of the second graphic object 810 ( DELTA w, DELTA h).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그래픽 오브젝트(820)의 크기가 (△w, △h) 만큼 변경될 경우, 제1 그래픽 오브젝트(820)의 크기 및 제2 그래픽 오브젝트(810)의 크기 사이의 비율값에 기초하여, 제2 그래픽 오브젝트(810)의 크기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2 그래픽 오브젝트(810)의 크기가 제1 그래픽 오브젝트(820)의 크기 대비 2배인 경우, 제1 그래픽 오브젝트(820)의 크기가 (△w, △h) 만큼 변경될 경우, 제2 오브젝트(810)의 크기는 (2△w, 2△h) 만큼 변경될 수 있다.Or the size of the first graphic object 820 and the size of the second graphic object 810 when the size of the first graphic object 820 is changed by (? W,? H) Based on the ratio value, the size of the second graphic object 810 may change.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second graphic object 810 is twice the size of the first graphic object 820 and the size of the first graphic object 820 is changed by (? W,? H) 2 The size of the object 810 can be changed by (2? W, 2? H).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 크기가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 크기에 따라 종속적으로 변경되는 바, 컨텐트 출력 영역의 설정은 트리거 영역의 설정과 종속적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Since the position or size of the second graphic object is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r size of the first graphic object, the setting of the content output area may be considered to be dependent on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컨텐트 출력 영역을 트리거 영역과 종속적으로 설정할 것인지 또는 독립적으로 설정할 것인지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컨텐트 출력 영역이 트리거 영역과 종속적 또는 독립적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트리거 영역의 설정 변경에 따라 컨텐트 출력 영역의 설정을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Whether to set the content output area dependent on the trigger area or independently can be changed by user setting.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80 can determine whether to change the setting of the content output area according to the setting change of the trigger area, depending on whether the content output area is set depending on the trigger area or not.

트리거 영역 및 컨텐트 출력 영역의 설정이 완료되고, 편집 모드가 종료되면, 제어부(180)는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트 출력 영역의 설정에 따라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and the content output area is completed and the editing mode ends, the control unit 180 can output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content output area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일 예로, 도 9는 컨텐트 출력 영역을 통해 컨텐트가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트리거 영역(910) 및 컨텐트 출력 영역(920)은 도 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다고 가정한다.For example, FIG. 9 shows an example in which content is output through a content output area.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trigger area 910 and the content output area 920 are as shown in Fig. 9 (a).

트리거 영역(9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도 9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컨텐트 출력 영역(920)의 위치 및 컨텐트 출력 영역(920)의 크기에 맞춰 컨텐트(93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a user input touching the trigger area 910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content 930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tent output area 920 and the size of the content output area 92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have.

컨텐트 출력 영역에 맞춰 컨텐트를 출력하는 경우, 컨텐트 출력 영역의 크기가 작다면, 컨텐트도 작은 크기로 출력될 수 밖에 없다. 컨텐트의 크기가 과도하게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텐트 출력 영역의 크기는 소정 크기 이하로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When outputt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 output area, if the size of the content output area is small, the content also has to be output in a small size. In order to prevent the size of the content from becoming excessively small, the size of the content output area may not be set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일 예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예에서,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기 설정된 크기 이하로 설정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어부(180)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크기 이하로 설정되더라도, 제어부(180)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트 출력 영역은 기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7 and 8, even when a user input for setting a second graphic object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graphic object is a predetermined siz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t. Or the second graphic object is set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content output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aphic object to be not less than a predetermined size.

컨텐트 출력 영역의 크기가 컨텐트의 종횡비(aspect ratio, 또는 해상도)와 불일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컨텐트 왜곡을 줄이기 위해, 제어부(180)는 컨텐트 출력 영역의 종횡비가 컨텐트의 종횡비에 일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80 may set the aspect ratio of the content output area to match the aspect ratio of the content in order to reduce the content distortion that occurs as the size of the content output area is inconsistent with the aspect ratio or resolution of the content.

일 예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예에서,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가로 크기가 변경된 경우, 컨텐트 종횡비에 맞춰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세로 크기도 변경될 수 있다.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가 동시에 변경된 경우, 가로 및 세로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컨텐트 종횡비에 따라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기준이 되는 값은 가로 및 세로 중 디폴트로 설정된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가로 및 세로 중 변화폭이 큰 것일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7 and 8, when the horizontal size of the second graphic object is changed, the vertical size of the second graphic object may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aspect ratio. When the horizontal size and vertical size of the second graphic object are changed at the same time, the size of the second graphic objec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nt aspect ratio based on either the horizontal or vertical. At this time, the reference value may be any on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faults, o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ariation may be large.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컨텐트의 종횡비와 컨텐트 출력 영역의 종횡비가 서로 반대의 관계를 갖는 경우, 제어부(180)는 컨텐트를 회전시켜 컨텐트 출력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종횡비가 반대라는 것은, 컨텐트는 세로 길이보다 가로 길이가 더 큰데 반해, 컨텐트 출력 영역은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더 큰 경우 또는 컨텐트는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더 큰데 반해, 컨텐트 출력 영역은 세로 길이보다 가로 길이가 더 큰 경우를 나타낸다.If the aspect ratio of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and the aspect ratio of the content output area have opposite relationships, the control unit 180 may rotate the content and output the content to the content output area. Here, when the aspect ratio is opposite, the content output area is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r the content is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whereas the content is larger in width than the vertical length, And the horizontal length is larger than the vertical length.

일 예로, 도 10는 컨텐트가 회전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다.In one example, Fig.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ntent is rotated output.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0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트리거 영역(1010)에 연계된 원본 컨텐트는 세로 길이보다 가로 길이가 긴 이미지(1030)인 것으로 가정한다. 아울러, 컨텐트 출력 영역(1020)은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긴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origin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101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A, is an image 1030 whose width is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ntent output area 1020 is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뷰어 모드 하에서, 트리거 영역(101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경우, 제어부(180)는 컨텐트 출력 영역(1020)을 통해,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텐트의 종횡비와 컨텐트 출력 영역(1020)의 종횡비가 서로 반대의 관계를 가지므로, 제어부(18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컨텐트(1030)가 90도 회전한 상태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viewer mode, when a user input that touches the trigger area 1010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through the content output area 1020. [ At this time, since the aspect ratio of the content and the aspect ratio of the content output area 1020 are inversely related to each other,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1030 is rotated 90 degrees,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It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output in one state.

이때, 컨텐트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것인지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것인지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ther to rotate the content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may be adjusted by user setting.

컨텐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컨텐트와 연계되어 있는 트리거 영역 또는 컨텐트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경우, 컨텐트의 출력이 중단될 수 있다. When a user input that touches the trigger area or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ontent is received while the content is being output, the output of the content may be interrupted.

일 예로, 도 11은 컨텐트의 출력이 중단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or example, FIG. 1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output of the content is interrupted.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트리거 영역(1110) 및 컨텐트 출력 영역(1120)은 도 11의 (a)에 도시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트리거 영역(1110)에 연계되어 있는 컨텐트(1130)는 이미지인 것으로 가정한다. 트리거 영역(1110)에 연계된 이미지(1130)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와 연계되어 있는 트리거 영역(1110) 또는 상기 이미지(1130)(즉, 컨텐트 출력 영역(1120))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경우, 제어부(180)는 도 11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이미지(1130)의 출력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trigger area 1110 and the content output area 1120 are in the state shown in Fig. 11 (a). It is assumed that the content 1130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1110 is an image. A user who touches the trigger area 1110 or the image 1130 (i.e., the content output area 1120) associated with the image while the image 1130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1110 is being output, When an input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image 1130 to be interrupte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1 (b).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컨텐트가 출력된 이래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컨텐트의 출력을 중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80 may stop the output of the content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content was output. Here, the preset tim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제1 컨텐트가 출력되고 있을 때, 제2 컨텐트와 연계된 제2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컨텐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제2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first content associated with the first trigger area is being output, and the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second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the second content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outputs the first content And control so that the second content is output.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에 연계된 제1 컨텐트가 출력되고 있을 때, 제2 컨텐트와 연계된 제2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1 컨텐트 및 제2 컨텐트의 출력 영역이 중첩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컨텐트의 출력을 중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2 컨텐트의 출력 영역이 제1 컨텐트의 출력 영역과 일정 부분 오버랩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2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컨텐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제2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컨텐트의 출력 영역이 제1 컨텐트의 출력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컨텐트의 출력을 유지하면서 제2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컨텐트가 추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first content associated with the first trigger area is being output, and the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second trigger area associated with the second content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that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The output of the first content may be discontinu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output area of the content is overlapped. For example, when the output area of the second content overlaps with the output area of the first content, the controller 180 stops outputting the first content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selecting the second trigger area, 2 content can be output. Alternatively, when the output area of the second content does not overlap with the output area of the first content,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utput of the second content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that selects the second trigger area while maintaining the output of the first content. The content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further output.

편집 모드 하에서, 문서(바람직하게는 문서의 특정 페이지)에는 복수의 트리거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복수의 트리거 영역이 상호 오버랩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문서에 제1 트리거 영역 및 제2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트리거 영역과 제2 트리거 영역이 상호 오버랩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Under the edit mode, a plurality of trigger areas can be set in a document (preferably a specific page of the document).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trigger areas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When setting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second trigger area in the document,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first trigger area and the second trigger area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복수의 트리거 영역이 상호 오버랩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의해 둘 이상의 트리거 영역이 오버랩되는 위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트리거 영역 각각에 연계된 컨텐트를 동시에 출력하거나, 복수의 트리거 영역 각각에 연계된 컨텐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80 may allow a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to overlap each other. In this case, when a position where two or more trigger regions overlap each other is selected by user input, the content link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including the selected position is simultaneously output, or the content associated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trigger regions is sequentially Can be output.

일 예로, 도 12는 트리거 영역이 오버랩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or example, FIG. 12 show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rigger areas overlap.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문서에는 도 12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일정 부분 중첩되는 2개의 트리거 영역(제1 트리거 영역(1210) 및 제2 트리거 영역(1220))이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ocument includes two trigger regions (first trigger region 1210 and second trigger region 1220) overlapping a certain portion,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 (a) .

제1 트리거 영역(1210) 및 제2 트리거 영역(1220)이 오버랩되는 위치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12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트리거 영역(1210)에 연계된 제1 컨텐트(1215) 및 제2 트리거 영역(1220)에 연계된 제2 컨텐트(1225)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that touches the overlapping position of the first trigger area 1210 and the second trigger area 1220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first trigger area 1210 and the second trigger area 1220, The first content 1215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1210 and the second content 1225 associated with the second trigger area 1220 can be simultaneously output.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도 12의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1 트리거 영역(1210)에 연계된 제1 컨텐트(1215)를 우선 출력한 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2 트리거 영역(1220)에 연계된 제2 컨텐트(1225)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2의 (c)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2 컨텐트(1225)가 출력됨에 따라, 제1 컨텐트(1215)의 출력은 중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1 컨텐트(1215)의 출력이 유지되면서, 제2 컨텐트(1225)가 새롭게 출력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80 first outputs the first content 1215 associated with the first trigger area 1210, as in the example shown in (c) of FIG. 12, The second content 1225 associated with the second trigger area 1220 may be outpu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C, although the output of the first content 1215 is shown as being interrupted as the second content 1225 is output, while the output of the first content 1215 is maintained, The second content 1225 may be newly output.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그래픽 오브젝트을 이용하여, 트리거 영역 또는 컨텐트 출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트리거 영역 또는 컨텐트 출력 영역의 설정이 반드시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exemplified that the trigger area or the content output area can be set using the graphic object. However,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or the content output area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done through the graphic object.

트리거 영역 또는 컨텐트 출력 영역은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가 편집 모드 상태일 때, 터치스크린을 터치 및 드래그 이동하는 포인터의 궤적이 다각형 모양을 띠는 경우, 제어부(180)는 포인터의 드래그 이동 궤적에 맞춰 트리거 영역 또는 컨텐트 출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트리거 영역 또는 컨텐트 출력 영역은, 트리거 영역 또는 컨텐트 출력 영역의 위치 또는 크기를 특정하기 위한 메뉴(예를 들어, 수치 입력 메뉴) 등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이처럼, 트리거 영역 또는 컨텐트 출력 영역의 설정은, 본 개시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은 당업자라면 고안해 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igger area or the content output area can be set through predetermined user input.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is in the editing mode and the pointer of the pointer for touching and dragging the touch screen has a polygonal shape, the controller 180 sets the trigger area or the content output area in accordance with the trajectory of the drag movement of the pointer . Alternatively, the trigger area or the content output area may be set by a menu (for example, a numerical value input menu) for specifying the position or size of the trigger area or the content output area. As such,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or the content output area can be accomplished by various methods that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re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단말기가 뷰어 모드로 동작할 경우, 트리거 영역은 감춰진 상태에 놓이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트리거 영역을 감춰진 상태로 설정할 경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트리거 영역을 알고 있어야만, 적절히 트리거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트리거 영역의 위치를 정확히 알고 있지 못한다면, 문서에 삽입된 트리거 영역을 적절히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en the terminal operates in the viewer mode, the trigger area is described as being in the hidden state. However, when the trigger area is set in a hidden state, the trigger area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only if the user knows the preset trigger area. Accordingly, if the user does not know the position of the trigger area correctly,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trigger area inserted in the document can not be used properl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단말기가 뷰어 모드로 동작한다 하더라도,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경우, 트리거 영역이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트리거 영역의 윤곽을 표시하거나, 트리거 영역이 반투명 상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controller 180 can control the trigger area to be visually identified and displayed even when the terminal operates in the viewer mode, when a preset user input is received. For example, when the preset user input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80 may display an outline of the trigger area or control the trigger area to be displayed in a translucent state.

다른 예로, 단말기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말기에 저장된 문서를 출력 하도록 설정된 경우(예를 들어, 미러링(Mirroring) 상태)의 예를 살펴본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는 트리거 영역이 감춰진 상태에 놓이도록 제어하고, 단말기를 통해서는 트리거 영역이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가 프로젝터, 스마트 TV, 모니터 등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는 트리거 영역이 시각적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반면, 단말기를 통해서는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상태로 트리거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a separate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is set to output a document stored in the terminal (for example, a mirroring stat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trigger area to be hidden through the display device, and controls the trigger area to be visually identified and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Specifically, when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a display device such as a projector, a smart TV, or a monitor, the trigger area is visually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while a trigger area is displayed can do.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exemplary methods of this disclosure are represented by a series of acts for clarity of explanation, they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order in which the steps are performed, and if necessary, each step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 a different order. In order to implemen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illustrative steps may additionally include other steps, include the remaining steps except for some steps, or may include additional steps other than some step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are not intended to be all-inclusive and are intended to illustrate representative aspects of the disclosure, and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dependently or in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A general processor,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microprocessor, and the like.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be accorded the broadest interpretation as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oftware or machine-executable instructions (e.g., operating system, applications, firmware, Instructions, and the like are stored and ar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executable on the device or computer.

110 : 통신부
120 : 카메라
130 : 마이크
140 : 사용자 입력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음향 출력부
170 : 메모리
180 : 제어부
110:
120: camera
130: microphone
140: user input section
150:
160:
170: memory
180:

Claims (11)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문서에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트리거 영역의 설정이 완료된 이후,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트리거 영역과 연계되어 있는 컨텐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And
Controls a document to be output through the touch screen,
Setting a trigger area in the document,
When the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trigger area is received after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is completed, the controller outputs,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Lt; / RTI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상기 트리거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sets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trigger area according to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first graphic objec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가 부분 화면 또는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추가 출력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whether to output a second graphic objec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ontent is set to be output as a partial screen or a full screen.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가 추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컨텐트가 출력되는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컨텐트가 부분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또는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의해 지정된 컨텐트 출력 영역의 위치 및 크기에 맞춰 상기 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second graphic object is additionally output, any one of the first graphic object and the second graphic object is used to set an area where the content is output, and the other is used to set the trigger area .
When the content is set to be output to the partial scree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tent to be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content output area designated by the first graphic object or the second graphic object,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So as to control the terminal.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의 위치 및 크기는, 다른 하나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sition and size of any one of the first graphic object and the second graphic object ar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ther one of the first graphic object and the second graphic objec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컨텐트의 미리보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graphic object and the second graphic object includes a preview image of the conten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의 종횡비와 상기 컨텐트 출력 영역의 종횡비가 서로 반대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가 상기 컨텐트 출력 영역 상에 회전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If the aspect ratio of the content and the aspect ratio of the content output area are opposite to each othe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tent to be rotated and output on the content output are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리거 영역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문서 상에서 상기 트리거 영역이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prevent the trigger area from being visually identified and displayed on the document when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is comple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문서를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트리거 영역이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되지 않는 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서는 상기 트리거 영역이 시각적으로 식별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When the display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s set to output the document,
In the display device, the trigger area is not visually identified,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gger area is visually identifi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문서에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영역의 설정이 완료된 이후,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트리거 영역과 연계되어 있는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Outputting a document through a touch screen;
Setting a trigger area in the document; And
Outputting a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when a user input for touching the trigger area is received after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is completed
And controlling the terminal.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문서에 트리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영역의 설정이 완료된 이후, 상기 트리거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트리거 영역과 연계되어 있는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
를 수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Outputting a document through a touch screen;
Setting a trigger area in the document; And
Outputting a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igger area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when a user input for touching the trigger area is received after the setting of the trigger area is completed
Lt; RTI ID = 0.0 > medium. ≪ / RTI >
KR1020160167500A 2016-12-09 2016-12-09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program written in a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19326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00A KR101932675B1 (en) 2016-12-09 2016-12-09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program written in a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00A KR101932675B1 (en) 2016-12-09 2016-12-09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program written in a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45A true KR20180066545A (en) 2018-06-19
KR101932675B1 KR101932675B1 (en) 2019-03-20

Family

ID=6279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500A KR101932675B1 (en) 2016-12-09 2016-12-09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program written in a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675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14A1 (en)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is recorded
WO2020059913A1 (en)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same method is recorded therein
KR20200033640A (en)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KR20200033639A (en)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CN112527161A (en) * 2019-09-18 2021-03-19 富士施乐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N113168286A (en) * 2019-07-16 2021-07-23 株式会社因爱宝哇呜 Terminal, control method for th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255B1 (en) * 2007-06-04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JP2011043895A (en) * 2009-08-19 2011-03-03 Fuji Xerox Co Ltd Document processor and document processing program
KR20150044540A (en) * 2013-10-1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nformation list in electronic device
JP2016071638A (en) * 2014-09-30 2016-05-09 Kddi株式会社 Source terminal, display control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20160097924A (en) * 2015-02-10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255B1 (en) * 2007-06-04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JP2011043895A (en) * 2009-08-19 2011-03-03 Fuji Xerox Co Ltd Document processor and document processing program
KR20150044540A (en) * 2013-10-1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nformation list in electronic device
JP2016071638A (en) * 2014-09-30 2016-05-09 Kddi株式会社 Source terminal, display control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20160097924A (en) * 2015-02-10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14A1 (en)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is recorded
WO2020059913A1 (en)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same method is recorded therein
KR20200033640A (en)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KR20200033639A (en)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인에이블와우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CN113168286A (en) * 2019-07-16 2021-07-23 株式会社因爱宝哇呜 Terminal, control method for th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US20210389849A1 (en) * 2019-07-16 2021-12-16 Enable Wow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is recorded
US11592963B2 (en) * 2019-07-16 2023-02-28 Enable Wow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is recorded
CN112527161A (en) * 2019-09-18 2021-03-19 富士施乐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675B1 (en)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675B1 (en)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program written in a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EP2811731B1 (en) Electronic device for editing dual image and method thereof
KR20140128207A (en) user terminal device with a p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32066A (en) Method for screen mirroring, and source device thereof
US201900650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249652B2 (en) Touch func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400978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ttribute of specific object in web page in electronic device
WO201316834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7016314A (en) Display system,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terminals, and program
US11169700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7057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CN110909274A (en) Page brow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644850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60132478A1 (en) Method of displaying memo and device therefor
US20230123119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is recorded
US20220121355A1 (en)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is recorded
KR102223554B1 (en)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JP622289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2016038619A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23553B1 (en)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KR201500120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ouping icons displayed on user termianl,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553661B1 (en)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ting the method
KR20230135845A (en) Terminal, method for contrlling therefor
KR102102889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097696B1 (en) Method of controlling touch fun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