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494A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caling possible of content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caling possible of conte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7494A KR20130047494A KR1020110112555A KR20110112555A KR20130047494A KR 20130047494 A KR20130047494 A KR 20130047494A KR 1020110112555 A KR1020110112555 A KR 1020110112555A KR 20110112555 A KR20110112555 A KR 20110112555A KR 20130047494 A KR20130047494 A KR 201300474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size
- display screen
- touch
- are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터치를 최소화하면서 컨텐츠의 크기 조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djusting the size of a content while minimizing a touch on a display screen displaying the content.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터치 스크린상에 자신의 두 손가락을 올려놓고,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확대하거나 축소한다.In general, in order to enlarg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the user places his two fingers on the touch screen o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and enlarges or reduces the corresponding content by using two fingers.
이 같은 종래의 컨텐츠 확대 및 축소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직접 터치 스크린상에 올려놓아야 하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에 지문과 같은 손자국이 많이 생길뿐만 아니라 이물질 등이 터치 스크린상에 묻게 될 확률이 높다. 결국, 이 같은 문제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의 터치 감지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enlarging and reducing content, since a user must place his / her finger directly on the touch screen, not only the fingerprints such as fingerprints are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but foreign matters are likely to be buried on the touch screen. . As a result, such a problem causes a problem that the touch sensing function of the touch screen sensing the user's touch is degraded.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종래의 컨텐츠 확대 및 축소 방법은 콘텐츠를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두 손가락의 벌어짐 혹은 모아짐에 대한 균형이 맞아야 가능하다. 즉, 콘텐츠의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한 두 손가락의 벌어짐 혹은 모아짐에 대한 균형이 맞지 않게 되면, 터치 스크린은 해당 콘텐츠의 확대 또는 축소에 대한 터치를 올바르게 감지하지 못하여 동작을 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such a conventional method of enlarging and reducing content may be balanced by spreading or gathering two fingers for enlarging or reducing content. In other words, if the balance between the spreading or pinching of two fingers for enlargement or reduction of content is not balanced, the touch screen does not detect a touch for enlargement or reduction of the content and does not operate or does not want the user. Will be performed.
한편, 종래의 컨텐츠 확대 및 축소 방법은 콘텐츠의 확대와 관련되어 두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즉, 돋보기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으나, 이 같은 종래의 돋보기 기능은 사용자가 확대를 원하는 영역에 대해서 정확한 포인트를 터치해야 한다. 즉, 최소한의 터치로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대해서 확대가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대한 터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게 된다.Meanwhile, the conventional method of enlarging and reducing content may enlarge a specific area desired by a user without using two fingers in connection with enlarging the content. That is, the user can enlarge and display a specific area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magnifier function, but the conventional magnifier function needs to touch an accurate point with respect to the area that the user wants to enlarge. That is, although the user can zoom in on the area desired by the minimum touch, if the touch on the area desired by the user is not made correctly, the touch screen enlarges and displays the area not desired by the us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터치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while minimizing the touch on the display screen, such as a touch screen.
나아가, 본 발명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의 터치를 최소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사용자 지문, 이물질 등이 묻거나 혹은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by minimizing the touch of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user fingerprints, foreign substances, etc. or malfunction on the display scree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사용자의 터치 영역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아웃 라인 영역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연속적으로 감지된 터치 영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컨텐츠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displaying content on a display screen, a sensing unit sensing a user's touch area on the display screen, and an outline area on the display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content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inuously detected touch area.
그리고, 상기 아웃 라인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중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가 기설정된 크기로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outline area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areas positioned at vertices of the display screen and a plurality of second areas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areas, and the controller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first areas. The touch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enlarge and display the content in a preset size when a touch on a different region of the reg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egions is continuously detect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중 서로 다른 제1 영역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의 폭 및 높이 비율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터치 회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touch to a different first area of the plurality of first areas is continuously detected, the controller may enlarge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es while maintaining a width and height ratio of the content. .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중 서로 다른 제2 영역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서로 다른 제2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컨텐츠의 폭 또는 높이를 상기 터치 회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width or height of the content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 second area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es when touches of different second areas of the plurality of second areas are continuously detected. Can be enlarged in stages.
또한, 상기 아웃 라인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2 및 3 영역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를 기설정된 크기로 축소할 수 있다.The outline area may further include a third area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areas ar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third area. When a touch is continuously detected, the content may be reduced to a preset siz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터치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터치를 최소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사용자 지문, 이물질 등이 묻거나 혹은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while minimizing a touch on the display screen displaying content, thereby providing more various UI (User Interface). Can provide.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user fingerprints, foreign substances, etc. or malfunction on the display screen by minimizing the touch on the display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설정된 터치 영역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전체 크기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특정 방향으로 확대하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특정 방향으로 확대하는 또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이 터치될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축소하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touch area set on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gradually expanding an overall size of conten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enlarging a size of conten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pecific direc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ize of conten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is enlarged in a specific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content on a display screen when a first area or a second area is tou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reducing the size of conten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size of conten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tempor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이 터치 명령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device may be a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a touch command, for example, a smartphone. The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컨텐츠를 표시하며,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사용자의 터치 영역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감지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아웃 라인 영역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연속적으로 감지된 터치 영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된 컨텐츠의 크기를 조정한다.The
한편, 전술한 디스플레이 화면은 도 2와 같이 컨텐츠의 확대 혹은 축소를 위한 복수의 터치 영역이 기설정된다.Meanwhile, the aforementioned display screen is preset with a plurality of touch areas for enlarging or reducing cont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설정된 터치 영역에 대한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touch area set on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의 아웃 라인 영역인 기설정된 영역은 제1 영역(1-4), 제2 영역(5-8) 및 제3 영역(9)을 포함한다.As illustrated, the preset area, which is an outline area on the
제1 영역(1-4) 및 제2 영역(5-8)은 컨텐츠의 확대를 위한 터치 영역으로써, 제1 영역(1-4)은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의 꼭지점에 위치하며, 제2 영역(5-8)은 복수의 제1 영역 사이에 위치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1,2) 사이에는 제2 영역(5)이 형성되며, 제1 영역(3,4) 사이에는 제2 영역(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1,3) 사이에는 제2 영역(7)이 형성되며, 제1 영역(2,4) 사이에는 제2 영역(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영역(9)은 컨텐츠의 축소를 위한 터치 영역으로써,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같은 제1 영역(1-4), 제2 영역(5-8) 및 제3 영역(9)은 서로 상이한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의 외각 및 중심 영역에 표시된 색상을 통해 터치할 영역을 선택하여 터치할 수 있다.The first area 1-4 and the second area 5-8 are touch areas for enlarging content, and the first area 1-4 is located at a vertex on the
한편,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영역(1-4) 및 제2 영역(5-8)들 중 서로 다른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가 사용자로부터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감지한다. 사용자로부터 서로 다른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의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따라, 감지된 터치 영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컨텐츠를 단계적으로 확대시킨다. 여기서,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크기 조정 단계 정보는 컨텐츠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확대 혹은 축소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정보이다.Meanwhile, the
이 같이, 제어부(130)에 의해 단계적으로 확대된 컨텐츠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enlarged in stages by the
한편, 감지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제3 영역(9)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단계적으로 축소시킨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제어부(14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단계적으로 크기가 축소된 컨텐츠가 표시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cted through the
이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기설정된 제1,2 영역(1-8) 중 서로 다른 영역이 연속적으로 터치되거나 제3 영역(9)이 연속적으로 터치될 경우,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크기 단계 조정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된 컨텐츠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As such, when different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1-8 preset on the
따라서,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중심 영역에 대한 터치를 최소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묻게되는 사용자 지문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터치에 따른 이물질 혹은 터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by minimizing the touch on the center area on the display scree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user fingerprints buried on the display screen, and at the same time to minimize the foreign matter or touch impact due to the user touch.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터치에 따른 컨텐츠의 확대 혹은 축소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Up to now, each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an enlargement or reduction operation of content according to a touch on a display screen of a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various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전체 크기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of gradually expanding an overall size of conten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영역(1,4)을 연속적으로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120)는 제1 영역(1,4)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졌음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크기 단계 조정 정보에 따라, 제1 단계의 크기로 컨텐츠의 전체 크기가 확대되도록 조정한다. 즉,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크기 단계 조정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폭과 높이의 비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1 단계에 대응하는 크기로 컨텐츠를 확대시킨다.As illustrated,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이후,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1 단계의 크기로 확대 조정된 컨테츠를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는 폭과 높이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단계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전체 확대된 컨텐츠가 표시된다.Thereafter, the
이 같이 제1 단계에 대응하는 크기로 컨텐츠 전체 크기가 확대된 상태에서, 제1 영역(1,4)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제어부(130)는 제2 단계의 크기로 컨텐츠의 전체 크기가 확대되도록 조정한다. 즉,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크기 단계 조정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폭과 높이의 비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단계에 대응하는 크기로 컨텐츠를 확대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1 영역(1,4)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제어부(130)는 컨텐츠의 폭과 높이의 비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해당하는 최대 크기 확대 단계까지 컨텐츠의 전체 크기를 단계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tire size of the content is enlarged to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ep, if the touches to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제1 영역(1,4)을 터치할 경우, 컨텐츠의 폭과 높이의 비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컨텐츠의 전체 크기를 확대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영역(1-4)들 중 서로 다른 제1 영역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의 폭과 높이 비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컨텐츠의 전체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특정 방향으로 확대하는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of enlarging a size of conten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pecific direc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 영역(5,6)을 연속적으로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120)는 제2 영역(5,6)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졌음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크기 단계 조정 정보에 따라, 제1 단계의 크기로 컨텐츠의 전체 높이가 확대되도록 조정한다. 즉,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크기 단계 조정 정보에 따라, 제1 단계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컨텐츠가 상하로 확대되도록 조정한다. As illustrated,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이후,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1 단계의 크기로 상하 확대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는 제1 단계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상하 확대된 컨텐츠가 표시된다.Thereafter, the
이 같이, 제1 단계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컨텐츠의 크기가 상하 확대된 상태에서, 제2 영역(5,6)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제어부(130)는 제2 단계의 크기로 컨텐츠의 크기가 상하 확대되도록 조정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2 단계의 크기로 상하 확대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ize of the content is enlarged up and down by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ep, if the touches on the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2 영역(5,6)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해당하는 최대 크기 확대 단계까지, 컨텐츠의 상하 높이를 단계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touches the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특정 방향으로 확대하는 또다른 예시도이다.5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of enlarging a size of conten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pecific direc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 영역(7,8)을 연속적으로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120)는 제2 영역(7,8)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졌음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크기 단계 조정 정보에 따라, 제1 단계의 크기로 컨텐츠의 크기가 좌우 폭이 확대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제1 단계의 크기로 좌우 폭이 확대된 컨텐츠를 표시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사용자로부터 터치된 제2 영역(7,8) 방향으로 제1 단계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좌우 폭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As illustrated,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이 같이, 제1 단계에 대응하는 크기로 컨텐츠가 좌우 확대된 상태에서, 제2 영역(7,8)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제어부(130)는 컨텐츠가 제2 단계의 크기로 좌우 폭이 확대되도록 조정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제2 단계의 크기만큼 좌우 폭이 확대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사용자로부터 터치된 제2 영역(7,8) 방향으로 제2 단계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좌우 폭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제2 영역(7,8)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기설정된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해당하는 최대 크기 확대 단계까지, 컨텐츠의 좌우 폭을 단계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ents are horizontally enlarged to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age, when the touches to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이 터치될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예시도이다.6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content on a display screen when a first area or a second area is tou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4)들 중 서로 다른 제1 영역이 연속적으로 터치되어 기설정된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해당하는 최대 크기 확대 단계까지 컨텐츠의 전체 크기가 확대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컨텐츠 전체가 표시되지 못하게 된다. 이 같이, 컨테츠의 전체 크기가 최대 크기 확대 단계까지 확대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영역(6,7)을 연속적으로 터치할 수 있다. 이 같이, 제2 영역(6,7)이 연속적으로 터치되면, 제어부(130)는 컨텐츠의 4사분면에 해당하는 A,B,C,D 영역 중, C 영역이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테츠의 4사분면에 해당하는 A,B,C,D 영역 중, C 영역 전체를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한다. 따라서, 도 6의 (b)와 같이, 해당 컨텐츠의 C 영역 전체 및 나머지 영역들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A, different sizes of the first areas 1-4 are continuously touched so that the entire size of the content is increased up to the maximum size expansion step corresponding to the preset size adjustment step information. Can be enlarged. In this case, the entire content cannot be displayed on the
또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영역(4)과 제2 영역(7)을 연속적으로 터치할 수 있다. 이 같이, 제1 영역(4)와 제2 영역(7)이 연속적으로 터치되면, 제어부(130)는 컨텐츠의 4사분면에 해당하는 A,B,C,D 영역 중 C,D 영역이 최대한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컨텐츠의 4사분면에 해당하는 A,B,C,D 영역 중 C,D 영역이 A,B 영역보다 더 많이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user may touch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의 중심 영역을 터치하지 않고도, 제1 영역(1-4) 또는 제2 영역(5-8)을 연속적으로 터치하여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move the content by continuously touching the first area 1-4 or the second area 5-8 without touching the center area o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축소하는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of reducing the size of conten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의 중심 영역은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제3 영역(9)이 형성된다. 따라서, 감지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제3 영역(9)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감지한다. 제3 영역(9)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된 컨텐츠가 단계적으로 축소되도록 조정한다. 즉,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폭과 높이의 비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컨텐츠의 전체 크기가 축소되도록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체 크기가 축소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
실시예에 따라, 제3 영역(9)에 대한 터치가 연속해서 두 번 터치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축소 동작 모드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이 같은 축소 동작 모드에서, 감지부(120)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 내에 제3 영역(9)에 대한 적어도 한 번의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따라, 제1 단계에 해당하는 크기로 컨텐츠의 전체 크기가 축소되도록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단계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전체 크기가 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f it is detected that the touch on the
이후, 감지부(120)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 내에 제3 영역(9)에 대한 적어도 한 번의 터치가 추가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따라, 제2 단계에 해당하는 크기로 컨텐츠의 전체 크기가 축소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축소 동작 모드 상태에서, 감지부(120)를 통해 제3 영역(9)에 대한 적어도 한 번의 터치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감지되면, 기설정된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대응하는 단계만큼 컨텐츠의 전체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Thereafter, when at least one touch on the
지금까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의 중심 영역에 대한 터치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Up to now, various operation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o enlarge or reduce the size of content displayed on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size of conten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표시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기설정된 복수의 터치 영역들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서로 다른 터치 영역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감지한다(S810,S820). 여기서, 기설정된 터치 영역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외곽 영역 및 중심 영역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 영역은 제1 영역(1-4) 및 제2 영역(5-8)이며, 중심 영역은 제3 영역(9)이 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when the user's touch on a plurality of preset touch areas is detected on the display screen displaying the content, the display apparatus detects whether touches on different touch areas are continuously performed (S810 and S820). ). Here, the preset touch area is an outer area and a center area on the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2, the outer areas are the first area 1-4 and the second area 5-8, and the center area is It may be the
제1 영역(1-4) 및 제2 영역(5-8)은 컨텐츠의 확대를 위한 터치 영역으로써, 제1 영역(1-4)은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의 꼭지점에 위치하며, 제2 영역(5-8)은 복수의 제1 영역 사이에 위치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1,2) 사이에는 제2 영역(5)이 형성되며, 제1 영역(3,4) 사이에는 제2 영역(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1,3) 사이에는 제2 영역(7)이 형성되며, 제1 영역(2,4) 사이에는 제2 영역(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영역(9)은 컨텐츠의 축소를 위한 터치 영역이며, 제1 영역(1-4), 제2 영역(5-8) 및 제3 영역(9)은 서로 상이한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210)상의 외각 및 중심 영역에 표시된 색상을 통해 터치할 영역을 선택하여 터치할 수 있다.The first area 1-4 and the second area 5-8 are touch areas for enlarging content, and the first area 1-4 is located at a vertex on the
이 같은 제1,2 및 3 영역(1-9) 중 상이한 터치 영역이 연속적으로 터치된 것으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속적으로 터치된 영역이 제1 영역(1-4)인지를 체크한다(S830). 체크 결과, 제1 영역(1-4) 중 서로 다른 제1 영역이 연속적으로 터치된 것으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의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폭과 높이의 비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전체 크기를 확대시킨다(S840). If it is detected that different touch areas amo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areas 1-9 are continuously touched, the display apparatus checks whether the continuously touched areas are the first area 1-4 (S830). ). 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it is detected that different first areas of the first areas 1-4 are continuously touched, the display apparatus determines the ratio of the width and the height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step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operation S840, the overall size of the content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s enlarged.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영역(1,4)을 연속적으로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영역(1,4)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졌음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장부에 저장된 크기 단계 조정 정보에 따라, 제1 단계의 크기로 컨텐츠의 전체 크기가 확대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state wher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e user may continuously touch the
이 같이 제1 단계에 대응하는 크기로 컨텐츠 전체 크기가 확대된 상태에서, 제1 영역(1,4)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단계의 크기로 컨텐츠의 전체 크기를 확대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1 영역(1,4)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의 폭과 높이의 비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크기 단계 조정 정보에 해당하는 최대 크기 확대 단계까지 컨텐츠의 전체 크기를 단계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entire size of the content is enlarged to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ep, if the touches to the
한편, 체크 결과, 제2 영역(5-8) 중 서로 다른 제2 영역이 연속적으로 터치된 것으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의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폭 또는 높이 비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상하 혹은 좌우로 확대시킨다(S850,S86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cted that different second areas of the second areas 5-8 are continuously touched,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the width or height ratio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step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content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s enlarg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while maintaining the control mode (S850 and S860).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 영역(5,6)을 연속적으로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영역(5,6)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졌음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장부에 저장된 크기 단계 조정 정보에 따라, 제1 단계의 크기로 컨텐츠의 전체 높이를 확대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state wher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e user may continuously touch the
이 같이, 제1 단계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컨텐츠의 크기가 상하 확대된 상태에서, 제2 영역(5,6)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단계의 크기로 컨텐츠의 크기를 상하 확대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2 영역(5,6)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설정된 크기 단계 조정 정보에 해당하는 최대 크기 확대 단계까지, 컨텐츠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상하 확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ize of the content is enlarged up and down by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ep, if the touches to the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 영역(7,8)을 연속적으로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영역(7,8)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졌음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장부에 저장된 크기 단계 조정 정보에 따라, 제1 단계의 크기로 컨텐츠의 크기를 좌우로 확대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ile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e user may touch the
이 같이, 제1 단계에 대응하는 크기로 컨텐츠가 좌우 확대된 상태에서, 제2 영역(7,8)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단계의 크기로 컨텐츠의 크기를 좌우로 확대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로부터 제2 영역(7,8)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기설정된 크기 단계 조정 정보에 해당하는 최대 크기 확대 단계까지, 컨텐츠의 좌우 폭을 확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uches on the
한편, 체크 결과, 제3 영역(9)이 연속적으로 터치된 것으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의 크기 조정 단계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전체 크기를 단계적으로 축소시킨다(S870,S88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cted that the
실시예에 따라, 제3 영역(9)에 대한 터치가 연속해서 두 번 터치된 것으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축소 동작 모드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이 같은 축소 동작 모드에서, 기설정된 시간 내에 제3 영역(9)에 대한 적어도 한 번의 터치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설정된 크기 단계 정보에 따라, 제1 단계에 해당하는 크기로 컨텐츠의 전체 크기를 축소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f it is detected that the touch on the
이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제3 영역(9)에 대한 적어도 한 번의 터치가 추가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설정된 크기 단계 정보에 따라, 제2 단계에 해당하는 크기로 컨텐츠의 전체 크기를 축소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축소 동작 모드 상태에서, 제3 영역(9)에 대한 적어도 한 번의 터치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감지되면, 기설정된 크기 단계 정보에 대응하는 단계만큼 컨텐츠의 전체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Thereafter, when at least one touch 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컨텐츠 크기 조정 방법을 통해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중심 영역에 대한 터치가 최소한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묻게되는 사용자 지문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터치에 따른 이물질 혹은 터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ouch on the center area on the display screen displaying the content is minimized through the content resizing method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fingerprint on the display screen is minim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s touch. It can minimize foreign matter or touch impact.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감지부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210 : 디스플레이 화면110: display unit 120: detection unit
130: control unit 140:
210: display screen
Claims (5)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사용자의 터치 영역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아웃 라인 영역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연속적으로 감지된 터치 영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컨텐츠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contents on a display screen;
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user's touch area on the display scree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the size of the content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inuously detected touch area when a touch on the outline area on the display screen is continuously detec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상기 아웃 라인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중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가 기설정된 크기로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line area,
A plurality of first regions positioned at vertices on the display screen; And
And a plurality of second region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regions.
The control unit,
The display apparatus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unit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size when a touch on a different area of the plurality of first area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areas is continuously detec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중 서로 다른 제1 영역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의 폭 및 높이 비율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터치 회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And when touches with respect to different first areas of the plurality of first areas are continuously detected, escalating stepwis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es while maintaining a width and height ratio of the cont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중 서로 다른 제2 영역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서로 다른 제2 영역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컨텐츠의 폭 또는 높이를 상기 터치 회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When a touch on a different second area of the plurality of second areas is continuously detected, the width or height of the content is enlarged stepwis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es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 second areas. Display device.
상기 아웃 라인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2 및 3 영역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터치가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를 기설정된 크기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line area,
And a third area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gions ar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The control unit,
And when the touch on the third area is continuously detected, the content device is reduced to a preset siz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2555A KR101961875B1 (en) | 2011-10-31 | 2011-10-31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caling possible of cont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2555A KR101961875B1 (en) | 2011-10-31 | 2011-10-31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caling possible of conten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7494A true KR20130047494A (en) | 2013-05-08 |
KR101961875B1 KR101961875B1 (en) | 2019-03-25 |
Family
ID=4865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2555A KR101961875B1 (en) | 2011-10-31 | 2011-10-31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caling possible of conte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1875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41809A (en) * | 2006-11-08 | 2008-05-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in potable terminal |
KR20090089707A (en) * | 2008-02-19 | 2009-08-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zoom in/out using touch-screen |
US20110043538A1 (en) * | 2009-08-18 | 2011-02-24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Method and Arrangement for Zooming on a Display |
KR20110030216A (en) * | 2009-09-17 | 2011-03-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20110078008A (en) * | 2009-12-30 | 2011-07-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controlling data in mobile termina having circle type display unit and mobile terminal thereof |
-
2011
- 2011-10-31 KR KR1020110112555A patent/KR10196187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41809A (en) * | 2006-11-08 | 2008-05-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in potable terminal |
KR20090089707A (en) * | 2008-02-19 | 2009-08-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zoom in/out using touch-screen |
US20110043538A1 (en) * | 2009-08-18 | 2011-02-24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Method and Arrangement for Zooming on a Display |
KR20110030216A (en) * | 2009-09-17 | 2011-03-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20110078008A (en) * | 2009-12-30 | 2011-07-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controlling data in mobile termina having circle type display unit and mobile terminal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1875B1 (en) | 2019-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82067B2 (en) |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an interface based on touch operations | |
KR20150058072A (en) |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virtual keyboard on mobile phone | |
KR2008004180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in potable terminal | |
US932343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ize of displayed objects | |
US9448707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 |
JP2008217704A (en) | Display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 |
JP2016115231A (en) | Object operation system, object operation control program and object operation control method | |
KR102368044B1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thereof | |
KR102326766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selected at least one of keys | |
US9632697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 |
US20110090165A1 (en) | Interface method and display device | |
JP5628991B2 (en) |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 |
JP2015138360A (en) | System, control program, and control method for object manipulation | |
KR20140135884A (en) | Dispal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EP2851772B1 (en) |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emporary computer-readable medium | |
CN104951140A (en) | Touch screen menu displaying method and system | |
KR102135167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KR20150000278A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WO2018179552A1 (en) | ANALYZING DEVICE HAVING TOUCH PANEL DEVICE, IT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KR20130047494A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caling possible of contents | |
JP6631329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 |
KR102124620B1 (en) | A method for temporarily manipulating object based on touch pressure and touch area and a terminal thereof | |
US9143588B2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n enlarged-display function, method for controlling enlarged display, and computer-read-enabled recording medium | |
KR2010010761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 |
US10416884B2 (en) |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software keyboard adap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