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2324A - Earmicphone - Google Patents
Earmic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72324A KR20080072324A KR1020070010889A KR20070010889A KR20080072324A KR 20080072324 A KR20080072324 A KR 20080072324A KR 1020070010889 A KR1020070010889 A KR 1020070010889A KR 20070010889 A KR20070010889 A KR 20070010889A KR 20080072324 A KR20080072324 A KR 200800723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rophone
- coupled
- ear
- connector
- u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1은 종래 이어마이크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ear microphone.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마이크폰(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Figure 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도3은 도2에 도시된 제어부재(120)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10 : 커넥터, 120 : 조절부재,110: connector, 120: adjusting member,
130 : 이어폰부재, 121 : 볼륨조절부.130: earphone member, 121: volume control unit.
S : 스피커, M : 마이크,S: speaker, M: microphone,
SW : 스위치, ZD : 제너다이오드,SW: Switch, ZD: Zener Diode,
R : 저항, C : 콘덴서. R: resistor, C: capacitor.
본 발명은 주변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입을 통해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상대측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귀를 통해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상대측으로 제공하도록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이어마이크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 microphone in which a user can arbitrarily select to provide a voice signal provided through his mouth to the other party or a voic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ear to the other party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일반적으로 이어마이크폰은 음향의 청취와 음성신호의 통신을 위해 음향기기 나 휴대폰과 같은 외부기기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사용되어 진다.In general, the ear microphone is worn on the user's ear while being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ound device or a mobile phone for listening to sound and communicating voice signals.
도1은 종래 이어마이크폰(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마이크폰(10)은 외부기기(1)와 결합되는 커넥터(11)와, 이어마이크폰의 사용모드를 설정함과 더불어 이어마이크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12) 및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음성출력 또는 음성입력처리를 수행하는 이어폰부재(1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여기서, 상기 이어폰부재(13)는 사용자의 양쪽 귀에 착용되는 제1 및 제2 이어폰부(13A,13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이어폰부(13A)에는 제1 스피커(S1)와 마이크(M)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이어폰부(13B)에는 제2 스피커(S2)가 구비된다. 즉, 외부기기(1)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는 제1 및 제2 이어폰부(13A,13B)에 구비된 제1 및 제2 스피커(S1,S2)를 통해 사용자의 귀로 송출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귀의 외이도를 통해 마이크(M)로 전달되어 외부기기(1)로 제공된다. Here, the
또한, 상기 제어부재(12)는 상기 커넥터(11)에 결합된 외부기기(1)와 연동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다시말해, 청취모드인지 통신모드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부(12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재(12)는 모드선택부(12a)의 선택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S1,S2)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와 마이크(M)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송수신처리를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그러나, 상기 이어마이크폰(10)의 마이크(M)는 사용자의 귀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기적으로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외부기기(1)로 제공하게 되는 바, 이 경우 외부 소음이 차단되는 장점은 있으나, 상대방의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가 코막힌 소리로 제공되어 상대방이 듣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microphone M of th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통신모드에서 사용자에 선택에 따라 주변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사용자의 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하고, 주변 소음이 없는 곳에서는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이어마이크폰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provides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user's ear to an external device in a place where the ambient noise is sever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 the communication mode, Its technical purpose is to provide an ear microphone which can provide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 user's mouth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은 외부기기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와, 이어마이크폰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 및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음성출력 또는 음성입력처리를 수행하는 이어폰부재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이어폰부재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형상으로 제1 스피커와 지향특성을 갖는 제1 마이크가 구비되는 제1 이어폰부와, 제2 스피커가 구비되는 제2 이어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재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무지향성의 제2 마이크를 구비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마이크와 제2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커넥터로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r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nector for coupl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control member for overall control of the ear microphone and earphones worn on the user's ears to perform voice output or voice input processing The member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upled through a cable, the earphone member is a shape that is worn on the user's ear, the first earphone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microphone having a directivity with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speaker is provided It consists of two earphones, the control member is provided with a non-directional second microphon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optionally provide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to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witch fo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접지단과, 일단이 커넥터와 결합되면서 그 타단은 제1 및 제2 스피커와 결합되는 스피커 출력단 및, 일단이 커넥터와 결합 되면서 그 타단은 제1 및 제2 마이크와 결합되는 마이크 입력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이크 입력단은 제1 마이크와 제2 마이크의 일단이 마이크선택 스위치와 결합되고, 마이크선택 스위치의 타단은 커넥터와 결합됨과 더불어, 제1 마이크와 제2 스위치 사이의 전송로상에는 이득조절용 저항과 콘덴서와 직렬접속된 저항이 병렬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mber has a ground end,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connector,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peaker output end and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connector and the other end and the first and second microphones; Composed of a microphone input coupled, the microphone inpu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and the microphone selection switch, the other end of the microphone selection switch is coupled to the connector, between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switch The gain control resistor and the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capacitor is configured to be coupled in parallel on the transmission path.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선택 스위치는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hone selection switch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lide switch.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선택 스위치와 커넥터 사이의 전송로상에는 타단이 접지되면서 이어마이크폰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스위치가 병렬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is grounded on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icrophone selection switch and the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ear microphone is coupled in paralle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출력단에 결합된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의 타단은 볼륨조절부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speaker coupled to the speaker output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 combination with the volume control unit.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주변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귀로부터 제공되는 주변 소음이 차단된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하고, 주변 소음이 약한 곳에서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함으로써, 통화상대자가 사용자의 코막힘소리를 들음으로 인해 느끼는 불쾌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이어마이크폰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 in a place where the ambient noise is severe, the external device provides a voice signal, which is worn on the user's ear and cuts off the ambient noise provided from the ear,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place where the ambient noise is weak. By providing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ar microphone that allows the call partner to minimize the discomfort felt by hearing the user's stuffy nose.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마이크폰(100)은 외부기기(1)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110)와, 이어마이크폰(1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120) 및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음성출력 또는 음성입력처리를 수행하는 이어폰부재(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110)와 제어부재(120) 및 이어폰부재(130)는 소정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커넥터(110)는 외부기기(1)와 접속가능한 각종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10)는 외부기기(1)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재(120)로 제공하고, 제어부재(120)를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외부기기(1)로 제공한다. The
상기 제어부재(120)는 제2 마이크(M2)와 상기 이어폰부재(130)에 구비된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부(12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마이크(M2)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무지향성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이어폰부재(130)는 사용자의 양쪽 귀에 착용되는 형상의 제1 및 제2 이어폰부(131,13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이어폰부(131)에는 제1 스피커(S1)와 제1 마이크(M1)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이어폰부(132)에는 제2 스피커(S2)가 구비된다. 제1 마이크(M)는 사용자가 말을 할때 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신호로서 제공받는 것으로, 지향성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기기(1)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는 제1 및 제2 이어폰부(131,132)에 구비된 제1 및 제2 스피커(S1,S2)를 통해 사용자의 귀로 송출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귀의 외이도를 통해 제1 마이크(M1)로 전달되어 외부기기(1)로 제공된다.The
도3은 도2에 도시된 제어부재(120)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재(120)는 접지단과, 일단이 커넥터(110)와 결합되면서 그 타단은 제1 및 제2 스피커(S1,S2)와 결합되는 스피커 출력단 및, 일단이 커넥터(110)와 결합되면서 그 타단은 제1 및 제2 마이크(M1,M2)와 결합되는 마이크 입력단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스피커 출력단은 커넥터(110)와 제2 스피커(S2) 사이의 전송로 상에 분압저항(R1,R2)가 결합되고, 커넥터(110)와 제1 스피커(S1) 사이의 전송로 상에 분압저항(R3,R4)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S1,S2)의 일단은 볼륨조절부(121)와 결합된다. 볼륨조절부(121)는 가변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저항값에 따라 제1 및 제2 스피커(S1,S2)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변경시키게 된다.The speaker output terminal has a voltage divider (R1, R2) is coupled to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상기 마이크 입력단은 제1 마이크(M1)와 제2 마이크(M2)의 일단이 제2 스위치(SW2)와 결합되고, 제2 스위치(SW2)의 타단은 커넥터(110)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마이크(M2)와 제2 스위치(SW2) 사이의 전송로상에는 리플방지를 위한 평활콘덴서(C1,C2)가 병렬접속된다. 그리고, 제1 마이크(M1)와 제2 스위치(SW2)사이의 전송로상에는 리플방지를 위한 평활콘덴서(C3)가 병렬접속됨과 더불어, 이득조절용 저항(R6)과 콘덴서(C4)와 직렬접속된 저항(R7)이 병렬로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콘덴세(C4)와 저항(R7)는 제1 마이크(M1)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서 고조파에 의한 노이즈성분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콘덴서(C4)와 저항(R7)사 이의 접속노드는 접지된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치(SW2)는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성되어 그 위치에 따라 제1 또는 제2 마이크(M1,M2)로부터 유입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커넥터(110)로 제공한다.One end of the first microphone M1 and the second microphone M2 is coupled to the second switch SW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SW2 is coupled to the
또한, 마이크 입력단은 커넥터(110)와 제2 스위치(SW2) 사이의 전송로상에 타단이 접지되면서 저항(R5)와 직렬접속된 제1 스위치(SW1)가 결합됨과 더불어, 이 제1 스위치(SW1)와 병렬접속되면서 타단이 접지되는 제너다이오드(ZD)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치(SW1)는 이어마이크폰(100)의 동작모드, 예컨대 청취모드와 통신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is coupled to the first switch SW1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resistor R5 while the other end is grounded on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이어마이크폰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ear microphon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외부기기(1)에 커넥터(110)를 결합시키고 이어폰부재(130)를 자신의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신이 받고자 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대응되도록 제어부재(120)에 구비된 제1 스위치(SW1)를 온/오프시켜 이어마이크폰(100)의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예컨대, 청취모드의 경우 제1 스위치(SW1)를 온(ON)상태로 설정하여 제1 또는 제2 마이크(M1,M2)로부터 유입되는 신호를 차단하고, 통화모드의 경우 제1 스위치(SW1)를 오프(OFF)상태로 설정하여 제1 또는 제2 마이크(M1,M2)로부터 유입되는 신호를 커넥터(110)로 제공한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couples the
사용자가 제1 스위치(SW1)를 오프(OFF)상태로 하여 통화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한 곳의 주변 소음을 고려하여 음성신호 입력수단을 제1 마이크(M1)로 할 것인지 혹은 제2 마이크(M2)로 할 것인지 선택한다. 즉, 사용자는 주변 소음이 심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제2 스위치(SW2)를 조절하여 귀로부터 제 공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제1 마이크(M1)를 선택하고, 주변 소음이 심하지 않을 경우 제2 스위치(SW2)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입을 통해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제2 마이크(M2)를 선택하게 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user sets the call mode with the first switch SW1 OFF, the user decides whether the voice signal input means is the first microphone M1 in consideration of the ambient noise of the pl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Or whether the second microphone M2 is used. That is, the user selects the first microphone M1 that receives the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ear by adjusting the second switch SW2 when the ambient noise is considered to be severe, and the second switch (if the ambient noise is not severe). SW2) is selected to select the second microphone M2 that receives the voic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user's mouth.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주변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귀에 착용되어 귀로부터 제공되는 주변 소음이 차단된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하고, 주변 소음이 약한 곳에서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하도록 된 이어마이크폰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a voice signal, which is worn on the ear and blocked by the ambient noise provided from the ear, is provided to the external device in a place where the ambient noise is sever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place where the ambient noise is weak from the user's mouth.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ar microphone which is to provide the provided audio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즉, 사용자는 주변 소음이 심하지 않는 곳에서는 자신의 입에서 나온 음성신호를 상대측으로 제공함으로써, 통화상대자가 사용자의 코막힘소리를 듣게 되는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user can minimize the discomfort that the call partner hears the stuffy nose of the user by providing the voice signal from his mouth to the other side where the ambient noise is not sever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변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귀로부터 제공되는 주변 소음이 차단된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하고, 주변 소음이 약한 곳에서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함으로써, 통화상대자가 사용자의 코막힘소리를 들음으로 인해 느끼는 불쾌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이어마이크폰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mbient noise is severe, the external device provides a voice signal that is worn on the user's ear and blocks the ambient noise provided from the ear, and the user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ambient noise is weak. By providing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mouth to the external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ar microphone that allows the call partner to minimize the discomfort felt by hearing the user's stuffy nos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0889A KR20080072324A (en) | 2007-02-02 | 2007-02-02 | Earmic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0889A KR20080072324A (en) | 2007-02-02 | 2007-02-02 | Earmicpho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2324A true KR20080072324A (en) | 2008-08-06 |
Family
ID=3988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0889A KR20080072324A (en) | 2007-02-02 | 2007-02-02 | Earmic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72324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3467B1 (en) * | 2010-05-24 | 2011-03-25 | 신두식 | Earmicrophone |
KR101045965B1 (en) * | 2010-04-19 | 2011-07-04 | 신두식 | Uses the grade signal of the speaker echo actual condition removal technique of the microphone phone |
WO2011132845A2 (en) * | 2010-04-19 | 2011-10-27 | Shin Do Sik | Ear microphone |
KR101109748B1 (en) * | 2010-11-05 | 2012-02-24 | 신두식 | Microphone |
US20150043741A1 (en) * | 2012-03-29 | 2015-02-12 | Haebora |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
WO2021020686A1 (en) * | 2019-07-30 | 2021-02-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Headset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hereto |
-
2007
- 2007-02-02 KR KR1020070010889A patent/KR20080072324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611439A (en) * | 2010-04-19 | 2016-05-25 | 海宝拉株式会社 | Ear microphone |
KR101045965B1 (en) * | 2010-04-19 | 2011-07-04 | 신두식 | Uses the grade signal of the speaker echo actual condition removal technique of the microphone phone |
WO2011132845A2 (en) * | 2010-04-19 | 2011-10-27 | Shin Do Sik | Ear microphone |
WO2011132845A3 (en) * | 2010-04-19 | 2011-12-15 | Shin Do Sik | Ear microphone |
CN105611439B (en) * | 2010-04-19 | 2019-01-11 | 海宝拉株式会社 | headset |
KR101023467B1 (en) * | 2010-05-24 | 2011-03-25 | 신두식 | Earmicrophone |
KR101109748B1 (en) * | 2010-11-05 | 2012-02-24 | 신두식 | Microphone |
CN104396275A (en) * | 2012-03-29 | 2015-03-04 | 海宝拉株式会社 |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
US20160196834A1 (en) * | 2012-03-29 | 2016-07-07 | Haebora |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
US9654858B2 (en) * | 2012-03-29 | 2017-05-16 | Haebora |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
US9743172B2 (en) * | 2012-03-29 | 2017-08-22 | Haebora |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
CN104396275B (en) * | 2012-03-29 | 2017-09-29 | 海宝拉株式会社 | Use the wire and wireless earphone of insert type microphone in ear |
US20150043741A1 (en) * | 2012-03-29 | 2015-02-12 | Haebora |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
WO2021020686A1 (en) * | 2019-07-30 | 2021-02-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Headset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hereto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48617B2 (en) | Bluetooth earphone | |
US8218799B2 (en) | Non-occluding audio headset positioned in the ear canal | |
CN103260101B (en) | noise canceling system | |
CN110915238B (en) | Speech intelligibility enhancement system | |
CN201197140Y (en) | Wireless playing headphone | |
US20070297634A1 (en) | Earphone system with usage detection | |
KR101381289B1 (en) | Wire and wireless earset using in ear-type microphone | |
US20150215701A1 (en) | Automatic sound pass-through method and system for earphones | |
US20070254725A1 (en) | Cellular telephone cable assembly | |
KR101348505B1 (en) | Earset | |
US9542957B2 (en) | Procedure and mechanism for controlling and using voice communication | |
CN102972043B (en) | Headset | |
WO2008139931A1 (en) | Earphone microphone | |
JP2010527541A (en) | Communication device with ambient noise reduction function | |
EP1385324A1 (en) | A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effect of background noise | |
US20080240477A1 (en) | Wireless multiple input hearing assist device | |
WO2009155255A1 (en) | An acoustical measuring/estimation device | |
CN105554664A (en) | Headset based soun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headset | |
US20090154738A1 (en) | Mixable earphone-microphone device with sound attenuation | |
Tikander et al. | An augmented reality audio headset | |
KR20080072324A (en) | Earmicphone | |
KR101045965B1 (en) | Uses the grade signal of the speaker echo actual condition removal technique of the microphone phone | |
KR101092957B1 (en) | Microphone | |
EP2362677B1 (en) | Earphone microphone | |
KR101595270B1 (en) | Wire and wireless ears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