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930A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the korean alphabet in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the korean alphabet in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930A
KR20080070930A KR1020070008833A KR20070008833A KR20080070930A KR 20080070930 A KR20080070930 A KR 20080070930A KR 1020070008833 A KR1020070008833 A KR 1020070008833A KR 20070008833 A KR20070008833 A KR 20070008833A KR 20080070930 A KR20080070930 A KR 20080070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keypad
vowel
consonan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8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0930A/en
Publication of KR2008007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9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A device and a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a portable terminal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input Hangul through a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by dynamically changing a software keypa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depending on user operation. A touch screen outputs data for an area in which pen-down is generated by a user, pen staying time, a pen dragging area to a controller(200) when an Hangul input event occurs, and changes/displays a keypad according to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processes a function for changing consonant and vowel keypads according to the data received from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determines input of a double consonant by checking whether the pen staying time of the pen touching the touch screen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onsonant keypad is displayed in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o display the different vowel keypad from the current vowel keypad by checking a dragging position of the touching pen when the vowel keypad is displayed in the touch screen.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THE KOREAN ALPHABET IN PORTABLE TERMINAL}Korean input method and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THE KOREAN ALPHABET IN PORTABLE TERMINAL}

도 1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그래픽 키보드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도면,1 illustrates a graphical keyboard layou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구성을 도시하는 도면,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3A and 3B illustrate a Hangul input procedure using a soft keypad of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소프트 키패드의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도면, 및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yout of a soft keypa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input operation using a soft keypad of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소프트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in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using a soft keypad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기능 및 정보처리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동시에 소형, 경량화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추세에 따라 다양한 입력 키들의 구비가 어려워졌으며 이에 상기 소형화상태에서도 정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방법이 연구 및 제공되고 있다. 그 예로서 현재 터치스크린을 입력수단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다. Recently, portable terminals provide various functions and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s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and are also becoming small and light.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trend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difficult to provide various input keys. Accordingly, various methods for easily inputting information even in the miniaturization state have been researched and provided. As an example, a portab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as an input means is currently provided.

상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기능, 즉,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touch screen provides a function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touch screen, that is, a function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keyboar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키보드를 거의 그대로 옮겨놓고 펜으로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방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한된 터치스크린 영역에 모든 키를 디스플레이해야하기 때문에 키의 크기가 작아져 사용자가 키를 정확히 선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키의 배치는 손가락을 모두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기존의 키보드와 유사하기 때문에 하나의 펜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FIG. 1,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touch screen uses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by touching a pen with a keyboard almost replaced as it is on the touch screen. However, the above-described method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select a key accurately because the size of the key is small because all keys must be displayed in the limited touch screen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keys is similar to a conventional keyboar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ll of the finge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put of characters with one pen is not efficien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되는 소프트 키패드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by dynamically changing a soft keypad displayed on a screen of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방법은, 한글 입력 이벤트가 발생될 시, 터치스크린에 자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여 펜 다운이 발생된 위치에 해당하는 자음 키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자음 키의 주변에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다운된 펜이 상기 모음 키패드에 드래그 되었을 시, 상기 펜이 드래그된 위치에 해당하는 모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angul input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when the Hangul input event is generated, by displaying a consonant keypad on the touch screen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pen down occurs Process of inputting a key, displaying a vowel keypad around the input consonant key, and inputting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pen is dragged when the down pen is dragged to the vowel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는, 한글 입력 이벤트가 발생될 시, 사용자에 의해 펜 다운이 발생되는 영역, 상기 펜이 머무르는 시간 및 상기 펜이 드래그되는 영역의 데이터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키패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자음 키패드와 모음 키패드를 변경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angul input device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area where the pen down occurs by the user when the Hangul input event occurs, the time the pen stays and the pen Outputting data of the dragged area to the controller, and processing a touch screen for changing and displaying a keypad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function for changing a consonant keypad and a vowel keypad according to data input from the touch scree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자음과 모음이 분리된 소프트 키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음 키와 모음 키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Hereinaft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dynamically changing a consonant key and a vowel key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by using a soft keypad in which a consonant and a vowel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re separated in a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200), 위치확인부(202), 터치스크린(204), 메모리(2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ontroller 200, a positioning unit 202, a touch screen 204, and a memory 206.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2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204)에 디스플레이된 소프트 키패드의 키에 펜 다운(혹은 터치)이 발생될 시,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된 영역의 키를 입력받아 한글의 음소를 조합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소프트 키패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204)에 디스플레이되는 키보드 레이아웃을 의미하며,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 영역마다 특정 키 값과 매핑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위치확인부(202)를 포함하여 상기 소프트 키패드에 펜 다운 혹은 펜 드래그가 발생되는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해당영역에 매핑된 키 값에 따라 상기 한글의 음소를 조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확인부(202)는 상기 터치스크린(204)으로부터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된 좌 표에 해당하는 좌표 데이터를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된 영역에 매핑된 키 값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unit (MPU: Micro-Processer Unit) 2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the softw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0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en down (or touch) is generated on a key of a keypad, a function of combining a phoneme of Hangul is controlled by receiving a key of an area where the pen down is generated. Her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soft keypad refers to a keyboard layou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04. The soft keypa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mapped to a specific key value in each area. Therefore, the control unit 200 includes the positioning unit 202 to check the position where the pen down or the pen drag occurs on the soft keypad to combine the phonemes of the Hangul according to the key value mapped to the corresponding area. Control and handle the functions for entering characters. Here, the positioning unit 202 may check the key value mapped to the area where the pen down is generated by receiving coordinat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where the pen down is generated from the touch screen 204. .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터치스크린(204)에 디스플레이된 자음 키에 펜 다운이 발생될 시, 펜이 다운되어 머무르는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검사하여 기준시간을 초과할 시, 상기 자음 키를 해당 쌍자음으로 변환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펜 다운된 자음 키의 주변에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소프트 키패드 변환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In addition, when the pen down occurs in the consonant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04, the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the pen stays down to exceed the reference time, and exceeds the reference time. Converts to a corresponding consonant, and controls and processes a soft keypad conversion function that displays a vowel keypad around the pen-down consonant key as shown in FIG. 4B.

상기 터치스크린(204)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정보들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결과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204)는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된 좌표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204)에 가해지는 공간좌표데이터와 상기 공간좌표데이터의 연속적인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200)가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204)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자음 키와 모음 키의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키패드의 입력으로 조합된 한글을 디스플레이한다. The touch screen 204 recognizes input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converts the recognition result into data and outputs the data to the controller 200. That is, the touch screen 204 provides the controller 200 with the coordinate data of the pen down. Here, the data consists of spatial coordinate data applied from the user to the touch screen 204 and state data indicating whether the spatial coordinate data is continuously generated. The data is formed in a form that the controller 200 can recognize and process, and may include information of a specific area input by the user.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204 displays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by displaying the keypad of the consonant key and the vowel ke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 Hangul combined with input.

상기 메모리(206)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 시스템 파 라미터 및 기타 저장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기 설정된 소프트 키패드를 저장하고, 상기 소프트 키패드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하여 한글을 조합하고 입력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The memory 206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emporary data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system parameters and other storage data. In particular, the preset soft keypad is sto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oft keypad is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o store a program for combining and inputting Hangul.

도 3a와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3A and 3B illustrate a Hangul input procedure using a soft keypad of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1단계에서 한글 입력 이벤트가 발생되면 303단계로 진행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204)을 통해 자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자음 키패드에 펜 다운이 발생되는지 검사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Hangul input event occurs in step 301,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303 and displays a consonant keypad through the touch screen 204 as shown in FIG. 4A. In step 305, the portable terminal checks whether a pen down occurs in the consonant keypad by the user.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되어 펜이 머무르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펜이 머무르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하기 311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펜이 머무르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9단계에서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된 영역의 자음이 쌍자음 변환이 가능한 자음인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된 영역의 키가 상기 쌍자음 변환이 불가능한 자음일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펜 다운이 발생된 위치에 해당하는 자음을 입력한다. When the pen down occurs,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307 to check whether the pen down occurs and the time the pen stays exceeds a preset time. If the pen dwell time does not exceed a preset time,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311. On the other hand, when the time the pen stays exceeds a preset time, the portabl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consonant in the region where the pen is down is consonant capable of converting the consonant in step 309. If the key of the area where the pen-down has occurred is a consonant that is not condensed with the consonant,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311 and inputs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pen-down location.

한편,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된 위치의 키가 상기 쌍자음 변환이 가능한 자음일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33단계에서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된 위치의 자음 키에 해당하는 쌍자음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펜 다운이 발생되어 펜이 머무르는 시 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된 위치의 자음 키가 'ㄱ, ㄷ, ㅂ, ㅅ, ㅈ'중 어느하나 일 시, 상기 자음에 해당하는 쌍자음 'ㄱ→ㄲ, ㄷ→ㄸ, ㅂ→ㅃ, ㅅ→ㅆ, ㅈ→ㅉ' 을 입력한다.When the key of the pen down position is a consonant capable of converting the consonants, the portable terminal inputs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key of the pen down position in step 333. For example, when the pen down occurs and the time the pen stays exceeds a preset time and the consonant key at the position where the pen down occurs is any one of 'B, C, ㅂ, ㅅ, ㅈ', the consonant Enter the two consonants corresponding to 'ㄱ → ㄲ, ㄷ → ㄸ, ㅂ → ㅃ, ㅅ → ㅉ, ㅈ → ㅉ'.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펜 업이 발생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펜 업이 발생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대한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In step 313, the portable terminal checks whether a pen up occurs by the user. If the pen up occurs, the portable terminal terminates the algorithm for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펜 업이 발생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204)에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7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204)에 터치 된 펜이 드래그 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펜이 드래그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3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n up does not occur,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315 and displays a vowel keypad on the touch screen 204 as shown in FIG. 4B. In operation 317,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pen touched by the user is dragged on the touch screen 204. If the pen is not dragged, the portable terminal returns to step 313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again.

한편, 상기 펜이 드래그 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펜이 드래그된 위치를 확인하고, 321단계에서 상기 펜이 드래그된 위치의 키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키패드가 아닌 다른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키인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다른 모음 키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 모음 키(도 4b)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모음 키를 의미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펜 드래그된 위치의 키가 다른 모음 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키가 아닐 시, 즉, 상기 펜 드래그된 위치의 키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모음의 키일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하기 329단계로 진행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n is dragged,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319 to check the position where the pen is dragged, and in step 321 the key of the position where the pen is dragged is different from the displayed keypad. Check if the key is for display. Here, the other vowel key means a vowel key that is not displayed on the basic vowel key (Fig. 4B) as shown in Fig. 4C. If the key of the pen dragged position by the user is not a key for displaying another vowel key, that is, when the key of the pen dragged position is a key of the displayed vowel, the portable terminal performs step 329. Proceed to

한편, 상기 사용자에 의해 펜 드래그된 위치의 키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키패 드가 아닌 다른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키일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23단계로 진행하여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25단계에서 상기 드래그된 펜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모음 키 영역으로 다시 드래그 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펜이 다시 드래그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1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펜이 다시 드래그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2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펜이 드래그된 위치를 확인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key of the pen dragged position by the user is a key for displaying a vowel keypad other than the displayed keypad,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323, as shown in FIG. Display. In operation 325,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dragged pen is dragged back to the displayed collection key area. If the pen is not dragged again, the portable terminal returns to step 313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again.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n is dragged again,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327 and checks the position where the pen is dragged.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29단계에서 확인된 위치에 해당하는 모음을 입력하고, 3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한글 입력 이벤트가 종료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이벤트가 종료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고 상기 이벤트가 종료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대한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Thereafter, the portable terminal inputs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dentified in step 329, and proceeds to step 331 to check whether the Hangul input event ends. When the event does not end, the portable terminal returns to step 303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again and when the event ends, the portable terminal terminates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자음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된 터치스크린(도 4a)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영역에 펜이 다운될 시, 상기 'ㄱ' 키의 주변에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키가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상기 다운된 펜이 상기 모음 키 중 'ㅏ'영역에 드래그되면 상기 'ㄱ'과'ㅏ'가 조합된 '가'가 입력된다. 다른 예로, 자음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된 터치스크린(도 4a)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ㄱ' 영역에 펜이 다운되고 디스플레이된 모음 키패드 중 '+'(현재 디스플레이된 키패드가 아닌 다른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키)영역에 드래그될 시, 상기 디스플레이된 모음 키패드는 다른 모음 키패드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사용 자에 의해 상기 펜이 다시 'ㅟ' 영역에 드래그될 시, 상기 'ㄱ'과 'ㅟ'가 조합된 '귀'가 입력된다.For example, when the pen is down in the region 'a' as shown in FIG. 5a on the touch screen (FIG. 4a) where the consonant keypad is displayed, a key for inputting a vowel around the 'a' key is provided. Is displayed. Then, when the down pen is dragged to the 'ㅏ' area of the vowel key, 'ga' combined with the 'ㄱ' and 'ㅏ' is input.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5B on the touch screen (FIG. 4A) on which a consonant keypad is displayed, a pen is down in the 'AB' area and '+' (the vowel keypad other than the currently displayed keypad) is displayed. When dragged to an area), the displayed vowel keypad is displayed after being changed to another vowel keypad, and when the pen is dragged back to the 'ㅟ' area by the user, 'Ear' with 'ㅟ' combined is entered.

여기서, 모음 키패드의 레이아웃은 사용자 또는 개발자에 의해 변경 및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모음 키패드의 레이아웃은 상기 도 4b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초성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되어 디스플레이하는 방식 외에 각 초성 별 모음 빈도 수에 따라 상기 모음을 재배치하는 방식도 적용가능할 것이다.Here, the layout of the collection keypad may be changed and set by a user or a developer. The layout of the vowel keypad may be applicable to a method of rearranging the vowel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llection of each constellation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applying and displaying the same for all consonants as shown in FIG. 4B or 4C.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자음과 모음이 분리된 소프트 키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음 키와 모음 키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기존의 키보드 레이아웃에 비해 디스플레이되는 키 숫자를 줄여 화면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펜의 이동 거리가 짧아 빠른 입력이 가능하며, 키보드 레이아웃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 펜이 아닌 손가락을 이용하여도 정확한 입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oft keypad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displayed on a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to dynamically change consonant keys and vowel keys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reby inputting Korean characters. Compared to this, the number of displayed keys can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screen, and the pen movement distance is short, so that the user can input quickly, and the keyboard layout can be enlarged.

Claims (17)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한글 입력 이벤트가 발생될 시, 터치스크린에 자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여 펜 다운이 발생된 위치에 해당하는 자음 키를 입력하는 과정과,When the Hangul input event occurs, displaying the consonant keypad on the touch screen to input the consonant key corresponding to the pen down location, 상기 입력된 자음 키의 주변에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Displaying a vowel keypad around the input consonant key; 상기 다운된 펜이 상기 모음 키패드에 드래그 되었을 시, 상기 펜이 드래그된 위치에 해당하는 모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down pen is dragged to the vowel keypad, inputting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pen is dragg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 키를 입력하는 과정은,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nsonant key,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되어 펜이 머무르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pen down occurs and the time the pen stays exceeds a preset time; 상기 펜이 머무르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을 시,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된 영역의 자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putting consonants of an area where the pen down occurs when the pen dwell time does not exceed a preset tim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펜이 머무르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시, 상기 펜 다운이 발 생된 영역의 자음이 쌍자음 변형이 가능한 자음인지 확인하는 과정과,When the pen dwell time exceeds a preset time, determining whether the consonant in the pen-down area is consonant capable of double consonant deformation; 상기 쌍자음 변형이 가능한 자음일 시, 해당 쌍자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consonant is capable of modifying the consonant, inputting the corresponding consonan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쌍자음 변형이 불가능한 자음일 시,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된 영역의 자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consonant is impossible to modify the consonant, inputting a consonant in the pen-down region.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쌍자음 변형이 가능한 자음은, ㄱ, ㄷ, ㅂ, ㅅ, 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onsonant capable of modifying the consona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c, k, k, k.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음을 입력하는 과정은, 상기 펜 다운이 발생되어 드래그된 위치의 키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키패드가 아닌 다른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키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The inputting of the vowel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pen-down is generated and the key of the dragged position is a key for displaying a vowel keypad other than the displayed keypad; 상기 드래그된 위치의 키가 상기 다른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키가 아닐 시, 상기 드래그된 위치의 모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putting the vowel of the dragged position when the key of the dragged position is not a key for displaying the other vowel keypad.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드래그된 위치의 키가 상기 다른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기 키일 시, 상기 다른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Displaying the other vowel keypad when the key of the dragged position is a key for displaying the other vowel keypad; 상기 펜이 다른 모음 키패드에 다시 드래그될 시, 상기 다른 모음 키패드에서 상기 드래그된 위치의 모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pen is dragged again to another vowel keypad, inputting the vowel of the dragged position on the other vowel keypad.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다른 모음 키패드는, 상기 기본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모음 키패드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모음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said other vowel keypad is a vowel key that is not displayed on said vowel keypad that is displayed by defaul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음 키패드의 레이아웃은, 사용자 또는 개발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layout of the vowel keypad can be set and changed by a user or a developer.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한글 입력 이벤트가 발생될 시, 사용자에 의해 펜 다운이 발생되는 영역, 상기 펜이 머무르는 시간 및 상기 펜이 드래그되는 영역의 데이터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키패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과,When a Hangul input event occurs, data of an area where a pen down is generated by the user, a time that the pen stays, and an area where the pen is dragged is output to the controller, and the keypad is ch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With touch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자음 키패드와 모음 키패드를 변경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control unit for processing a function for changing the consonant keypad and the vowel keypad according to data input from the touch screen.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자음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일 시, 상기 터치스크린에 다운된 펜이 머무르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검사하여, 쌍자음 입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a double consonant is input when the consonant keypa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y checking whether the pen stayed down on the touch screen exceeds a preset time.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어부는, 펜 다운이 발생되어 상기 자음 키가 입력되었을 시, 상기 입력된 자음 키의 주변에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vowel keypad around the input consonant key when a pen down occurs and the consonant key is input.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다운된 펜이 업 되었을 시, 상기 자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consonant keypad when the down pen is up while the vowel keypad is displayed.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모음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일 시, 상기 터치스크린에 다운된 펜이 드래그된 위치를 검사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된 모음 키패드가 아닌 다른 모음 키패드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n the vowel keypa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o display a vowel keypad other than the currently displayed vowel keypad by checking a dragged position of the pen down on the touch screen. Device.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된 펜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모음 키패드에 드래그 될 시, 상기 펜이 드래그된 위치의 모음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input a vowel at a position at which the pen is dragged when the down pen is dragged to the displayed vowel keypad.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다른 모음 키패드는, 상기 기본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모음 키패드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모음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other vowel keypad is a vowel key not displayed on the vowel keypad displayed by default.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모음 키패드의 레이아웃은, 사용자 또는 개발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layout of the vowel keypad 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set and changed by the user or developer.
KR1020070008833A 2007-01-29 2007-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the korean alphabet in portable terminal KR200800709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833A KR20080070930A (en) 2007-01-29 2007-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the korean alphabet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833A KR20080070930A (en) 2007-01-29 2007-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the korean alphabet in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930A true KR20080070930A (en) 2008-08-01

Family

ID=39881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833A KR20080070930A (en) 2007-01-29 2007-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the korean alphabet in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0930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383B1 (en) * 2007-07-27 2009-06-25 하동원 Method and Apparatus of Inputting Han Gul Character
KR20100061058A (en) * 2008-11-28 2010-06-07 제이씨현시스템주식회사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KR101046914B1 (en) * 2010-11-03 2011-07-07 우순조 Recursive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11102689A3 (en) * 2010-02-19 2012-01-05 Soon Jo Woo Multilingual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17155268A1 (en) * 2016-03-07 2017-09-14 우순조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extended keypad including target character and subsequent character, and computing device performing same
CN108885502A (en) * 2016-03-07 2018-11-23 禹舜朝 Utilize the characters input method comprising target character and the expanded keypad of successive character and the computer installation for executing i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383B1 (en) * 2007-07-27 2009-06-25 하동원 Method and Apparatus of Inputting Han Gul Character
KR20100061058A (en) * 2008-11-28 2010-06-07 제이씨현시스템주식회사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WO2011102689A3 (en) * 2010-02-19 2012-01-05 Soon Jo Woo Multilingual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046914B1 (en) * 2010-11-03 2011-07-07 우순조 Recursive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17155268A1 (en) * 2016-03-07 2017-09-14 우순조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extended keypad including target character and subsequent character, and computing device performing same
CN108885502A (en) * 2016-03-07 2018-11-23 禹舜朝 Utilize the characters input method comprising target character and the expanded keypad of successive character and the computer installation for executing it
US10592105B2 (en) 2016-03-07 2020-03-17 Soon Jo Woo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extended keypad including target character and subsequent character, and computing device perform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4306B2 (en) Translation of directional input to gesture
JP4213414B2 (en) Function re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8700996B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input management
KR200800418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in potable terminal
EP2696270A1 (en) Touch panel device, display method therefor, and display program
KR20110018075A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20160202903A1 (en) Human-Computer Interface for Graph Navigation
WO2004079557A1 (en)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s and reduced keyboard systems
KR20080029028A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CN103970283A (e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for virtual keyboard operated with two hands
KR2008007093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the korean alphabet in portable terminal
WO20171863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input management
KR201200978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xt in terminal
KR100414143B1 (en) 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
KR10130734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key using multi touch point and method thereof
WO2014045414A1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control program
KR20110082956A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KR10090438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Inputting Han Gul Character
KR100784260B1 (en) Let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terminal unit useing touch pad
JP5032624B2 (en) Mobile terminal and character string expression changing method in mobile terminal
US20150347004A1 (en) Indic language keyboard interface
KR20100045617A (en)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utilizing a multi-touch sensing touch screen
KR2010006719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device with touch screen
KR20090012196A (en) Hangul character input method and its input device
KR101255801B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hangu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