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6109B1 -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Google Patents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6109B1 KR102716109B1 KR1020230175984A KR20230175984A KR102716109B1 KR 102716109 B1 KR102716109 B1 KR 102716109B1 KR 1020230175984 A KR1020230175984 A KR 1020230175984A KR 20230175984 A KR20230175984 A KR 20230175984A KR 102716109 B1 KR102716109 B1 KR 1027161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osmotic pressure
- substrate
- pressure sensor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959 polymer blend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3076 target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1100000040 eye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847 impedanc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530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03445 Ascite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567 ascitic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90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92 cell lys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75 cerebrospinal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381 plasm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79 redox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 sw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79 synovial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0 biocompati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01N13/04—Investigating osmotic effec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한면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기판의 한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절연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잉크는,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하도록 구성된 눈물 삼투압 센서, 이를 이용한 전기 전도도 측정 방법,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including a first substrate,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an insulating ink configur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r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herein the insulating ink is configur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method for measuring electrical conductivity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눈물 삼투압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전기 전도도는, 수용액 속에서 이동 가능한 이온 농도의 측정을 위한 척도로서 이용되고 있다. Electrical conductivity is used as a measure of the concentration of mobile ions in an aqueous solution.
눈물 삼투압 센서는 통상 적어도 2개의 전극을 가지고 있으며, 수용액과 접하는 적어도 2개의 전극 사이의 전류 혹은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전극 사이에 존재하는 수용액의 전기 전도도, 임피던스 혹은 저항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typically has at least two electrodes and is designed to measur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mpedance or resistance of the aqueous solution present between the electrodes by measuring the current or voltage between the at least two electrodes in contact with the aqueous solution.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된 사항들이 선행기술로 존재한다고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invention has been written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invention are recognized as prior art.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2 전극 전도도 센서의 경우, 전극 물질이 (예를들어, 금, 그래핀, 탄소 나노 튜브) 기판에 증착되는 과정 중에 발생된 수많은 전극 물질의 계면들 또는 전극 물질 증착의 결함으로 인해 분극 현상이 발생되어 전도도 측정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인지하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recognized that in the case of a two-electrode conductivity sensor, errors in conductivity measurement occur due to polarization phenomena occurring at numerous interfaces of electrode materials or defects in electrode material deposition during the process of depositing electrode materials (e.g., gold, graphene, carbon nanotubes) on a substrate.
나아가,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전기 전도도 측정센서의 구리 전극을 절연 잉크를 통해 용액과의 접촉을 막음으로써 전극이 박리되는 문제의 발생 빈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urthermo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problem of electrode peeling is reduced by preventing the copper electrode of the electric conductivity measuring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contacting the solution through insulating ink.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도도 측정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점까지의 임피던스(ohm) 편차가 최소화되는 눈물 삼투압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the impedance (ohm) deviation from the time of conductivity measurement to a specific time point is minimiz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술한 눈물 삼투압 센서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asks of the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을 포함하는 눈물 삼투압 센서가 제공된다. 이때, 눈물 삼투압 센서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한면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기판의 한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절연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잉크는,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하도록 구성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including a substr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includes a first substrate,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an insulating ink configur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r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herein the insulating ink is configur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의 한면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용액이 담길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절연 잉크를 둘러싸는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urther includes a second substrat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pace surround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ink so that the solution can be contained therei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액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공간에 유입되도록, 상기 공간의 한면에 적어도 두 개의 미세유체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bstrate is configur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space, and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two microfluidic channels on one side of the space so that the solution flows into the space by capillary a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상부까지만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액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공간에 유입되도록, 상기 공간의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공간의 다른 일면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세유체채널과는 상이한 미세유체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bstrate is configur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space, but is configured to cover only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one side of the space is open so that the solution can flow into the space by capillary phenomenon, and may further include a microfluidic channel different from the at least two microfluidic channels on the other side of the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은, 상기 제1 기판의 위에 배치되는 제1층 및 상기 제1층의 위에 배치되는 제2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layer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layer disposed on the first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층은, 금, 니켈, 팔라듐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ayer may be made of gold, nickel, palladium or an alloy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절연 잉크는, 상기 용액으로부터 상기 제1층과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ink may be configured to block contact with the first layer from the solu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절연 잉크는, 상기 제1층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제2층의 측면 및 상기 제2층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ㄱ'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ink may be formed in an 'ㄱ' shape that surrounds a side surface of the first layer and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laye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절연 잉크는, 상기 제1층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제2층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제2층의 측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ink may be formed to surrou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layer, surround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layer, and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절연 잉크는, 에폭시 또는 에폭시를 포함하는 폴리머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ink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epoxy or a polymer mixture containing epox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의 노출된 부분 상에 상기 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may be further included on an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눈물 삼투압 센서를 이용한 전기 전도도 측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측정 방법은, 용액을 눈물 삼투압 센서에 배치하는 단계,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용액의 전기 전도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method for measuring electrical conductivity using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e measuring method includes a step of placing a solution in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 step of measuring impedance of a first electrode portion and a second electrode portion, and a step of determining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olution based on the impedance.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눈물 삼투압 센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제1 기판의 한 면에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배치하되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일부분에 대한 마스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의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 기판 상에 절연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rrang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on one side of a first substrate,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the step of creating a mask for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tep of applying an insulating ink on the first substrate except for the area of the mask.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스크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상측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 can be formed to have a smaller upper area tha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의 한 면에 제2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용액이 담길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절연 잉크를 둘러싸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rranging a second substrate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wherein the second substrate may have a space surround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ink so that the solution can be contained therei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액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공간에 유입되도록, 상기 공간의 한면에 적어도 두 개의 미세유체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bstrate is configur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space, and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two microfluidic channels on one side of the space so that the solution flows into the space by capillary a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절연 잉크는, 상기 용액으로부터 상기 제1층 과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ink may be configured to block contact between the solution and the first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층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제2층의 측면 및 상기 제2층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ㄱ'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formed in an 'ㄱ' shape that wraps a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layer and wraps a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lay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절연 잉크는, 상기 제1층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제2층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제2층의 측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ink may be formed to surrou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layer, surround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layer, and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layer.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은, 절연 잉크를 전극에 도포함으로써, 구리 전극의 용액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PCB기판과 전극이 박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신호 측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peeling of a PCB substrate and an electrode due to contact with a copper electrode solution by applying insulating ink to the electrode,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signal measurement.
이에, 본 발명은 눈물 삼투압 센서로서 전도도 측정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 수질센서, pH센서, 삼투압센서, 용존산소센서와 같은계측 분야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conductivity measurement as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nd thus has the effect of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to measurement fields such as water quality sensors, pH sensors, osmotic pressure sensors, and dissolved oxygen sensor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물 삼투압 센서 및 이의 구성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가 추가된 눈물 삼투압 센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도도 측정 절차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눈물 삼투압 센서 제조 절차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1 and FIG. 2 illustrate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nd it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6 illustrat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s with added componen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an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ment proced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and 9 exemplarily illustrate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이점,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 advantages of the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illustra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the terms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it includes a case where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there is a specifically explicit description.
구성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The individual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technical 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본 명세서의 해석의 명확함을 위해,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하기로 한다.For clarity in the interpretation of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defined below.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전기 전도도 (electrical conductivity)"는, 물질이나 유체가 전하를 운반할 수 있는 정도, 즉 전류의 양 또는 전류를 전달하는 능력의 척도를 의미한다. 전기 전도도는 전기저항률(resistivity, 단위 ohm*m)의 역수이며, 전기 전도도의 단위에는 지멘스(S, siemens)/m 또는 1/Ωm가 사용된다. As used herein, the term "electrical conductivity" means a measure of the degree to which a substance or fluid can carry an electric charge, i.e., the amount of electric current or the ability to transmit electric current. Electrical conductivity is the reciprocal of electrical resistivity (unit: ohm*m), and the unit of electrical conductivity is Siemens (S, siemens)/m or 1/Ωm.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임피던스(impedance)”는, 전기 교류회로에서 전압이 가해졌을 때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임피던스 Z는 전압을 V(V), 전류를 I(A)라고 하면 단위는 Ohm(Ω기호는 Z가 쓰이며, 전압 E에 의해서 흐르는 전류를 I라고 하면 Z=E/I(Ω로 구해지며, 전기 전도도의 역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임피던스”는 전기 전도도를 의미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erm “impedance”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mean the degree to which the flow of current is impeded when voltage is applied in an electric AC circuit. Impedance Z, when voltage is V (V) and current is I (A), has a unit of Ohm (Ω). The symbol Z is used, and when the current flowing by the voltage E is I, it is calculated as Z = E / I (Ω), and can be the reciprocal of electrical conductivity. Therefore, the term “impedance”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mean electrical conductivity.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눈물 삼투압 센서"는, 전기 전도도 또는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s used herein may mean a sensor that measures electrical conductivity or impedanc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용액"은 유체 내 전해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변, 세포 용해물, 전혈, 혈장, 혈청, 침, 안구액, 뇌척수액, 땀, 젖, 복수액, 활액 및 복막액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용액은 눈물 또는 눈물막(tear fil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용액”은 본 발명의 눈물 삼투압 센서의 "측정 대상 유체"와 동의어로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는 측정 대상 유체 내 전해 물질의 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The term "solution" as used herein may be a solution containing an electrolyte substance in a fluid. For example, it may be urine, cell lysate, whole blood, plasma, serum, saliva, ocular fluid, cerebrospinal fluid, sweat, milk, ascites fluid, synovial fluid, and peritoneal fluid. Preferably, the solution may be tears or a tear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Furthermore, "solution" may be defined as synonymous with the "measurement target fluid" of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represent the concentration of an electrolyte substance in the measurement target fluid.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도도를 이용한 눈물 삼투압 센서는, 눈물 삼투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총칭으로, 기판,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도말된 용액 내에서 전극 간의 전위차, 저항 또는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삼투압을 분석하는 전기 화학적 기술이 적용된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Furthermore,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using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neral term for a sensor for measuring tear osmotic pressure, and may mean a sensor to which an electrochemical technique is applied that analyzes osmotic pressure by measuring a potential difference, resistance, or impedance between the electrodes in a solution smear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ncluding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판"은, 용액의 전기 전도도 측정을 위한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는 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기판의 소재는, 폴리에틸렌 테리프탈레이트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이미드 (polyimide, PI), 폴리스타이렌 (polystyrene, PS),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PC), 테프론(Teflon), 에폭시(epoxy), 유리, 종이 및 세라믹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term "substrate" as used herein may mean a plate on which electrodes for measur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a solution are formed. 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may be at least one of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imide (PI), polystyrene (PS), polyethylenenaphthalate (PEN), polycarbonate (PC), Teflon, epoxy, glass, paper, and ceramic.
그러나, 기판의 소재는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용액 내 표적 물질의 농도의 변화에 따른 임피던스가 발생하는 전극들이 배치 가능한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on which electrodes that generate impedanc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ubstance in the solution can be placed.
이때, 상기 전극들은 하나의 기판 상에 프린팅이 가능하며 추가로, 도금 기법, 스퍼터링 기법, evaporation 기법, 포토리소그래피 및 에칭 기법에 의해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극들은 보다 다양한 방법에 의해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odes can be printed on a single substrate, and additionally, can be arranged on the substrate by a plating technique, a sputtering technique, an evaporation technique, a photolithography technique, and an etching techniqu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lectrodes can be arranged on the substrate by more diverse method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전극"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전도성 전극을 의미한다. The term "electrode" as used herein means a conductive electrode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예를 들어, 제1 전극은, 금 전극 또는 니켈, 팔라듐을 포함하는 금 전극 및 구리 전극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은, 용액의 바이오 마커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은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may be composed of a gold electrode or a combination of a gold electrode including nickel and palladium and a copper electrode. In this case, the electrode may perform a function of measuring a biomarker in the solution. Here, the first electrode may als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ing.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극(polarization)”은, 전극 표면에서의 전자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아 전압이 떨어지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The term “polarization” as used herein may refer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voltage drops due to the movement of electrons on the electrode surface not being smooth.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임피던스 측정부”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임피던스, 저항 또는 전위차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유닛 (unit) 일 수 있다. 이러한 임피던스 측정부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임피던스, 저항 또는 전위차를 측정하도록, 용액과 반응하는 단과 상이한 단에 연결될 수 있다. The term “impedance measuring unit”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a unit configured to measure impedance, resistance, or potential difference by being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is impedance measuring unit may be connected to a different end from the end reacting with the solution so as to measure the impedance, resistance, or potential differenc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출력부”는 임피던스, 저항 또는 전위차를 기초로 용액 내 표적 물질의 농도를 변환해주도록 구성된 유닛일 수 있다. 이때, 출력부는 임피던스 측정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측정된 용액의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목표 물질의 농도를 추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output unit” may be a unit configured to convert the concentration of a target substance in a solution based on impedance, resistance, or potential difference. At this time, the output unit may be connected to an impedance measuring unit, and may estimate and provide th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ubstance based on the impedance of the solution measured by the impedance measuring unit.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부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용액 내 표적 물질의 농도를 제공하는 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는, 용액의 임피던스, 저항 또는 전위차를 표적 물질의 농도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utput unit may be a display devic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etc.,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it provides th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ubstance in the solution. For example, the out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vert an impedance, resistance, or potential difference of the solution into a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ubstanc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용자”는 눈물 삼투압 센서를 이용해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이용하는 개체를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user” as used herein may refer to an entity that measures electrical conductivity using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nd uses the valu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절연 잉크'는 SR(Solder Resist)로서, 기판의 회로를 보호해주는 절연 잉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절연 잉크의 공정은 LPSM(Liquid Imaging Solder Resist), DFSM(Dry-film Solder Resist), 액상 에폭시 솔더 레지스트, 상하 솔더 레지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insulating ink'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mean SR (Solder Resist), an insulating ink that protects the circuit of a substrate. At this time, the process of the insulating ink may include LPSM (Liquid Imaging Solder Resist), DFSM (Dry-film Solder Resist), liquid epoxy solder resist, upper and lower solder resist, etc.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눈물 삼투압 센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물 삼투압 센서 및 이의 구성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1 and FIG. 2 illustrate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nd it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눈물 삼투압 센서(100)는, 제1 기판 (110), 제1 기판의 한면에 배치되는 제1 전극(121), 제1 기판(110)의 한 면에 배치되고, 제1 전극(11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전극(122),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22)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22)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절연 잉크(130)를 포함한다. 이때, 절연 잉크(130)는 제1 전극(121), 제2 전극(122)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눈물 삼투압 센서(100)의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 간의 전기 전도도 측정 시점으로부터 10초 이내의 임피던스 편차는 5% 이내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100) includes a first substrate (110), a first electrode (12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a second electrode (122)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11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110), and an insulating ink (130) configur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2) or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2). At this time, the insulating ink (130) may be configur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2). Here, an impedance deviation within 10 seconds from the time of measuring electrical conductivity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2) of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100) may be within 5%.
이때, 임피던스 편차는 전기 전도도 측정 기간(10초) 동안 측정된 임피던스 측정값 중에서 시작점(0초)에서의 임피던스 측정값(단위 ohm)과 대비하여 편차가 가장 큰 임피던스 측정값을 시작점에서의 임피던스 측정값으로 나누고, 이 비율에 100을 곱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기호는 %를 포함한 다양한 단위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임피던스 편차는 전기 전도도 편차를 의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mpedance deviation can mean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impedance measurement value with the largest deviation (unit: ohm) compared to the impedance measurement value (unit: ohm) at the starting point (0 seconds) among the impedance measurement values measured dur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ment period (10 seconds) by the impedance measurement value at the starting point, and multiplying this ratio by 100. Various units including % can be used as the symbol. Meanwhile, the impedance deviation can mea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deviation.
한편, 절연 잉크(130)는, 용액이 담길 수 있도록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을 둘러싼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nsulating ink (13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pace surrounding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2) so that the solution can be contained.
또한,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22)은 제1 기판 위에 배치되는 제1층, 산화환원 반응에 안정적이고, 화학적 변화에 안정적인 물질로 구성된 제2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22)의 제1층은 구리, 제2층은 금, 니켈, 팔라듐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2) may include a first layer disposed on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layer composed of a material that is stable to redox reactions and stable to chemical changes. For example, the first layer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2) may be composed of copper, and the second layer may be composed of gold, nickel, palladium, or an alloy thereof.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용액은 유체 내 전해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변, 세포 용해물, 전혈, 혈장, 혈청, 침, 안구액, 뇌척수액, 땀, 젖, 복수액, 활액 및 복막액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용액은 눈물 또는 눈물막(tear fil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olution containing an electrolyte substance in a fluid. For example, it may be urine, cell lysate, whole blood, plasma, serum, saliva, ocular fluid, cerebrospinal fluid, sweat, milk, ascites fluid, synovial fluid, and peritoneal fluid. Preferably, the solution may be tears or a tear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눈물 삼투압 센서(100)는, 전기 전도도 또는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눈물 삼투압 센서(100)는 눈물 삼투압 측정센서를 포함한 삼투압 측정센서, 수질센서, 용존산소센서, pH센서 등 전기 전도도 측정 방식의 센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눈물 삼투압 측정센서에 이용될 수 있다.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a sensor that measures electrical conductivity or impedance. Furthermore,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sensors of an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ment method, such as an osmotic pressure measurement sensor including a tear osmotic pressure measurement sensor, a water quality sensor, a dissolved oxygen sensor, a pH sensor, and the like, and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preferably be used in a tear osmotic pressure measurement sensor.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도도를 이용한 눈물 삼투압 센서는, 눈물 삼투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총칭으로, 기판,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도말된 용액 내에서 전위차, 저항 또는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삼투압을 분석하는 전기 화학적 기술이 적용된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Furthermore,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using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neral term for a sensor for measuring tear osmotic pressure, and may mean a sensor to which an electrochemical technique is applied that analyzes osmotic pressure by measuring a potential difference, resistance, or impedance in a solution smear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ing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도 2a를 참조하면, 눈물 삼투압 센서(100)의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22)는 2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21)은 제1층(121-1), 제2층(121-2)으로 구성되고, 제2 전극(122)는 제1층(122-1), 제2층(122-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121)의 제1층(121-1) 및 제2 전극(122)의 제1층(122-1)은 제2층과 기판과의 결합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21)의 제1층(121-1) 및 제2 전극(122)의 제1층(122-1)은 구리 전극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2) of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100) may be composed of two layers.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composed of a first layer (121-1) and a second layer (121-2), and the second electrode (122) may be composed of a first layer (122-1) and a second layer (122-2). Here, the first layer (121-1)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first layer (122-1) of the second electrode (122) may be configured for bonding the second layer to the substrate. For example, the first layer (121-1)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first layer (122-1) of the second electrode (122) may be copper electrodes.
한편, 제1 전극(121)의 제2층(121-2) 및 제2 전극(122)의 제2층(122-2)은 산화환원 반응에 안정적이고, 화학적 변화에 안정적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21)의 제2층(121-2) 및 제2 전극(122)의 제2층(122-2)은 금, 니켈, 팔라듐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21)의 제2층(121-2) 및 제2 전극(122)의 제2층(122-2)은 금 전극일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layer (121-2)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layer (122-2) of the second electrode (122) may be composed of a material that is stable to redox reactions and stable to chemical changes. At this time, the second layer (121-2)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layer (122-2) of the second electrode (122) may be composed of gold, nickel, palladium, or an alloy thereof. For example, the second layer (121-2)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layer (122-2) of the second electrode (122) may be gold electrodes.
도 2b를 참조하면, 눈물 삼투압 센서(100)의 단면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눈물 삼투압 센서(100)는 기판(110), 제1층(121-1), 제2층(121-2) 및 절연 잉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 잉크(130)는 제1층(121-1) 및 제2층(121-2)의 측면보다 높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절연 잉크(130)는 제2층(121-2)의 일부분을 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 잉크(130)는 용액과 제1층(121-1)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a cross-section of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100)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At this time,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100) may include a substrate (110), a first layer (121-1), a second layer (121-2), and an insulating ink (130). Here, the insulating ink (130) may be configured higher than the sides of the first layer (121-1) and the second layer (121-2). At this time, the insulating ink (130) may be configured to expose a part of the second layer (121-2). Here, the insulating ink (130) may be configured to block contact between the solution and the first layer (121-1).
다른 예로는, 절연 잉크(130)는 제1층(121-1)의 측면을 감싸고, 제2층(121-2)의 측면 및 제2 층(121-2)의 상면 중 일부분을 감싸는 'ㄱ'자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nsulating ink (130) may be configured in an 'ㄱ' shape that wraps around the side of the first layer (121-1), the side of the second layer (121-2), and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121-2).
이로 인해, 눈물 삼투압 센서(100)는 제1층과 용액과의 접촉을 절연 잉크를 통해 차단함으로써, 제1층이 용액으로 인해 산화되어 신호 측정에 문제가 발생하는 점을 방지하였으므로, 눈물 삼투압 센서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Due to this,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100) blocks contact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olution through the insulating ink, thereby preventing the first layer from being oxidized by the solution, which causes problems in signal measurement, and thus the accuracy of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can be improved.
또한, 눈물 삼투압 센서(100)는 제1층의 측면을 절연 잉크로 둘러쌈으로써, 제1층과 용액과의 접촉으로 인한 전극 박리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눈물 삼투압 센서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100) can prevent electrode peeling caused by contact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olution by surrounding the side of the first layer with insulating ink, thereby enhancing the durability of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가 추가된 눈물 삼투압 센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ures 3 to 6 illustrat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s with added componen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제1 기판의 노출된 부분 상에 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10)를 더 포함하는 눈물 삼투압 센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3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further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31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 solution on an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온도가 높아지면 전기 전도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전도도 측정 시 온도 센서에 의해 온도에 따른 전기 전도도 수치를 보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lectrical conductivity can increase as temperature increase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 according to temperature can be corrected by a temperature sensor when measuring electrical conductivity.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눈물 삼투압 센서는, 제1 기판의 한 면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기판은 용액이 담길 수 있도록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절연 잉크를 둘러싸는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illustrated in FIGS. 4 and 5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bstrat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In this case, the second substrate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pace surround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ink so that a solution can be contained therein.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를 참조하면, 눈물 삼투압 센서는 제2 기판(440)이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기판(440)은 전극에 용액이 접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눈물 삼투압 센서는 내부 공간 일면에 미세유체채널(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눈물 삼투압 센서는 모세관 작용을 위해 내부 공간의 다른 면에 다른 미세유체채널(420, 430)이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substrate (440) cover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t this time, the second substrate (440) has a space formed inside so that the solution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At this time,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may have a microfluidic channel (410) formed on one side of the internal space. At this time,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may have another microfluidic channel (420, 43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rnal space for capillary ac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물 삼투압 센서를 통한 눈물 삼투압 측정 시, 모세관 현상을 통해 용액인 눈물 샘플은 미세유체채널 (410) 로 인입되면서, 내부 공간에 있던 공기는 다른 면의 미세유체채널 (420, 430) 로 유출되게 된다. 이를 통해, 눈물 샘플과 같은 소량의 샘플도 외부 유출없이 전극이 위치한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measuring tear osmotic pressure using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ar sample as a solution is drawn into the microfluidic channel (410) through capillary phenomenon, and air in the internal space flows out to the microfluidic channel (420, 430) on the other side. Through this, even a small amount of sample, such as a tear sample, can be drawn into the internal space where the electrode is located without external leakage.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눈물 삼투압 센서는 미세유체채널(510, 520, 530), 제2 기판(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눈물 삼투압 센서는 제2 기판(540)이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눈물 삼투압 센서는 내부 공간 일면에 형성된 미세유체채널(510)을 통해 액체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illustrated in FIG. 5 may further include microfluidic channels (510, 520, 530) and a second substrate (540). At this time,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substrate (540) cover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Here,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may allow liquid to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microfluidic channel (51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ternal space.
한편, 도 5에 도시된 눈물 삼투압 센서의 제2 기판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상부까지만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형성된 상부가 개방된 면은 용액 채취 또는 도말 시 용액이 손실될 확률을 줄여줄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substrate of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illustrated in Fig. 5 is configured to cover only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he upper surface formed thereby with an open top can reduce the probability of solution loss during solution collection or smearing.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눈물 삼투압 센서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한 면에 안구 손상 방지 코팅(6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구 손상 방지 코팅(610)은 부드러운 소재의 고분자로 구성되어 안구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인한 사용자의 안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손상 방지 코팅(610)은 친수성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생체 적합성 물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illustrated in FIG. 6 may further include an eye damage prevention coating (610)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t this time, the eye damage prevention coating (610) may be made of a soft polymer material to prevent eye damage to the user due to a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ye. For example, the eye damage prevention coating (610) may be made of hydrophilic polyurethane, silicon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any one of biocompatible materials.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전도도 측정 절차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7 illustrates an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ment proced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전기 전도도 측정을 위해 먼저 용액을 눈물 삼투압 센서의 전극 부위에 배치한다(S710). 이때, 용액은 눈물, 눈물막 등을 포함한 적은 양의 시료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o measure electrical conductivity, a solution is first placed on the electrode portion of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S710). At this time, the solution may be a small amount of sample including tears, tear film, etc.
다음으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임피던스가 측정된다(S720). 이때,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임피던스는 임피던스 측정부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Next, the impedanc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measured (S720). At this time, the impedanc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an be measured through an impedance measuring unit.
다음으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용액의 전기 전도도가 결정된다(S730)Nex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olu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impedanc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S730).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눈물 삼투압 센서 제조 절차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S. 8 and 9 exemplarily illustrate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눈물 삼투압 센서의 제조 방법은, 먼저 제1 기판 상에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한다(S810). 이때,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용액의 바이오마커를 측정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구리 전극 층 및 금 전극 층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first places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part from each other on a first substrate (S810).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a biomarker of a solution. 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figured as two layers.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a copper electrode layer and a gold electrode layer.
보다 상세하게는, 도 9를 참조하면, 눈물 삼투압 센서 제조 방법은 제1 기판(910)의 한 면에 제1 전극(911) 및 제2 전극(91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눈물 삼투압 센서 제조 방법은 제1 전극(911) 및 제2 전극(912)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9,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 first electrode (911) and a second electrode (912)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a first substrate (910). At this time,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the first electrode (911) and the second electrode (912) may be plac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다시 도 8로 돌아와서, 눈물 삼투압 센서 제조 방법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일부분에 대한 마스크를 생성한다(S820). 이때, 마스크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상측 면적보다 작게 생성될 수 있다.Returning to FIG. 8 aga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creates a mask for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S820). At this time, the mask may be created to be smaller than the upper area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보다 상세하게는, 도 9를 참조하면, 눈물 삼투압 센서 제조 방법은 눈물 삼투압 센서에 대한 마스크(92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911)에 대한 마스크(921)는 제1 전극(91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9,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can generate a mask (920) for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t this time, the mask (921) for the first electrode (911) can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electrode (911).
다시 도 8로 돌아와서, 눈물 삼투압 센서 제조 방법은 마스크의 영역을 제외한 제1 기판 상에 절연 잉크를 도포한다(S830). 이때, 절연 잉크는 에폭시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눈물 삼투압 센서는 절연 잉크 도포 후 경화를 통해 측면이 보호될 수 있다.Returning to Fig. 8,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pplies insulating ink on the first substrate excluding the area of the mask (S830). At this time, the insulating ink may include a material such as epoxy. Here,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may be protected on the side through curing after applying the insulating ink.
보다 상세하게는, 도 9를 참조하면, 눈물 삼투압 센서 제조 방법은 제1 기판 상에 절연 잉크(930)를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물 삼투압 센서 제조 방법은 제1 기판 상에 페이스트를 도포 후 스퀴지로 밀어내는 공정을 통해 절연 잉크를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절연 잉크(930)는 에폭시 등의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9,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may apply insulating ink (930) on a first substrate. For exampl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may apply insulating ink through a process of applying paste on a first substrate and then pushing it out with a squeegee. At this time, the insulating ink (930) may be compos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epoxy.
눈물 삼투압 센서 제조 방법은 절연 잉크 도포 후 경화시킬 수 있다. 이때, 경화된 눈물 삼투압 센서는 절연 잉크(940)와 전극(941)이 표면에 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눈물 삼투압 센서는 절연 잉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전극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센서의 경계면을 보호할 수 있다.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can be manufactured by curing after applying insulating ink. At this time, the cured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can have insulating ink (940) and electrodes (941) exposed on the surface. As a result, th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can protect the boundary surface of the sensor by reducing the size of the electrod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ulating ink.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눈물 삼투압 센서
110: 제1 기판
121: 제1 전극
121-1: 제1 전극의 제1층
121-2: 제1 전극의 제2층
122: 제2 전극
122-1: 제2 전극의 제1층
122-2: 제2 전극의 제2층
130: 절연 잉크100: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110: 1st substrate
121: First electrode
121-1: First layer of the first electrode
121-2: Second layer of the first electrode
122: Second electrode
122-1: First layer of the second electrode
122-2: Second layer of the second electrode
130: Insulating ink
Claims (20)
상기 제1 기판의 한면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기판의 한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절연 잉크; 및
용액이 담길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절연 잉크를 둘러싸는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잉크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용액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공간에 유입되도록, 상기 공간의 한면에 적어도 두 개의 미세유체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의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공간의 다른 일면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세유체채널과는 상이한 미세유체채널을 더 포함하는, 눈물 삼투압 센서.1st substrate;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Insulating ink configur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r a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 second substrate is configured to have a space surround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ink so that a solution can be contained therein.
The insulating ink is configur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wherein the second substrate further includes at least two microfluidic channels on one side of the space so that the solution flows into the space by capillary action, and one side of the space is open and further includes a microfluidic channel different from the at least two microfluidic channels on the other side of the space.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의 한면에 배치되는,
눈물 삼투압 센서.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cond substrat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공간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상부까지만 덮도록 구성되는,
눈물 삼투압 센서.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second substrate,
It is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above space,
It is configured to cover only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은,
상기 제1 기판의 위에 배치되는 제1층; 및
상기 제1층의 위에 배치되는 제2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눈물 삼투압 센서.In the first paragraph,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first layer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layer disposed above the first layer.
상기 제2층은, 금, 니켈, 팔라듐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눈물 삼투압 센서.In paragraph 5,
The second layer is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made of gold, nickel, palladium or an alloy thereof.
상기 절연 잉크는,
상기 용액으로부터 상기 제1층과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눈물 삼투압 센서.In paragraph 5,
The above insulating ink,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block contact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olution.
상기 절연 잉크는,
상기 제1층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제2층의 측면 및 상기 제2층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ㄱ'자의 형태로 형성된, 눈물 삼투압 센서.In paragraph 5,
The above insulating ink,
Wrapping the side of the first layer above,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formed in the shape of the letter 'ㄱ' that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laye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상기 절연 잉크는,
상기 제1층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제2층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제2층의 측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눈물 삼투압 센서.In paragraph 5,
The above insulating ink,
Wrapping the side of the first layer above,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that wraps a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layer and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layer.
상기 절연 잉크는,
에폭시 또는 에폭시를 포함하는 폴리머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눈물 삼투압 센서.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insulating ink,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epoxy or a polymer mixture comprising an epoxy.
상기 제1 기판의 한면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기판의 한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절연 잉크; 및
상기 제1 기판의 노출된 부분 상에 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잉크는,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하도록 구성된, 눈물 삼투압 센서.1st substrate;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Insulating ink configur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r a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on the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wherein the insulating ink is configur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용액의 전기 전도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도 측정 방법. A step of placing a solution in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to 9;
A step of measuring the impedance of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A method for measuring electrical conductivity, comprising: a step of determining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olution based on the impedance.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일부분에는,
마스크가 생성되되,
상기 절연 잉크는,
상기 마스크의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 기판 상에 도포되는, 눈물 삼투압 센서.In the first paragraph,
Part of the first electrode and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A mask is created,
The above insulating ink,
A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pplied on the first substrate excluding the area of the mas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75984A KR102716109B1 (en) | 2023-12-06 | 2023-12-06 |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75984A KR102716109B1 (en) | 2023-12-06 | 2023-12-06 |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16109B1 true KR102716109B1 (en) | 2024-10-11 |
Family
ID=93118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75984A KR102716109B1 (en) | 2023-12-06 | 2023-12-06 |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6109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5605A (en) * | 2012-06-01 | 2013-12-11 | 주식회사 아이센스 | Electrochemical biosensor with improved accuracy |
KR20150132125A (en) * | 2013-02-28 | 2015-11-25 | 더 유니버시티 오브 노쓰 캐롤라이나 엣 채플 힐 | Nanofluidic devices with integrated components for the controlled capture, trapping, and transport of macromolecules and related methods of analysis |
JP2017090429A (en) * | 2015-11-11 | 2017-05-25 | ▲き▼芯科技股▲ふん▼有限公司 |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sensing test piece |
KR20210141041A (en) * | 2020-05-15 | 2021-11-23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measuring osmolarity |
-
2023
- 2023-12-06 KR KR1020230175984A patent/KR10271610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5605A (en) * | 2012-06-01 | 2013-12-11 | 주식회사 아이센스 | Electrochemical biosensor with improved accuracy |
KR20150132125A (en) * | 2013-02-28 | 2015-11-25 | 더 유니버시티 오브 노쓰 캐롤라이나 엣 채플 힐 | Nanofluidic devices with integrated components for the controlled capture, trapping, and transport of macromolecules and related methods of analysis |
JP2017090429A (en) * | 2015-11-11 | 2017-05-25 | ▲き▼芯科技股▲ふん▼有限公司 |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sensing test piece |
KR20210141041A (en) * | 2020-05-15 | 2021-11-23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measuring osmolarit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30535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flex circuit technology to create an electrode | |
US10620151B2 (en) | Electrochemical sensor, and a method of forming an electrochemical sensor | |
WO2009144869A1 (en) | Method for detecting or quantitating target substance by using electrochemical measurement device, electrochemical measurement device, and electrode plate for electrochemical measurement | |
US11322806B2 (en) | Sensored battery electrode | |
KR101527707B1 (en) | Sensor for mesuring concentration of hydrogen 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20150346138A1 (en) | Photopatternable glass micro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 |
CN104215676B (en) | Micro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gas detector | |
KR102716109B1 (en) | Tear osmotic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JP5758490B2 (en) | Small reference electrode | |
CN102770756B (en) | Laminated electrochemical sensor with controlled variation of working electrode | |
US11846598B2 (en) | Reference electrode | |
CN112738987B (en) | Printed circuit boar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hip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08490031B (en) | Flexible gas sensor packaging structure and packaging method thereof | |
TWI274154B (en) | Electrochemical biosensor | |
TW201925772A (en) | Array sensing electrode,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sensing platform | |
US20150068893A1 (en) | Biosensor test strip for biosensor test device | |
WO2021070870A1 (en) | Electrochemical sensor | |
WO2024180331A1 (en) | Nanopore sensor device | |
CN116165259A (en) | Microelectrode thin film processing method based on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process | |
WO2024180329A1 (en) | Nanopore sensor device | |
WO2024180332A1 (en) | Nanopore sensor device | |
KR20240162769A (en) | Bio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CN114660136A (en) | Electrochemical dissolved oxygen sens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JPS61164147A (en) | Ion selective electrode device | |
KR20120015119A (en) | Multi-function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