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187B1 - Aerosol generating device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0187B1 KR102270187B1 KR1020190094483A KR20190094483A KR102270187B1 KR 102270187 B1 KR102270187 B1 KR 102270187B1 KR 1020190094483 A KR1020190094483 A KR 1020190094483A KR 20190094483 A KR20190094483 A KR 20190094483A KR 102270187 B1 KR102270187 B1 KR 1022701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er
- passage
- air
- aerosol
- he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24F47/008—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와, 케이스의 외부의 공기를 히터로 공급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흐름통로를 포함하고, 공기 흐름통로는 외부에서 히터로 도입된 공기가 히터와 접촉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접촉 유지부를 포함한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case, a heater disposed in the case to heat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o generate an aerosol, and an air flow passage formed inside the case to supply air outside the case to the heater, the air flow passage and a contact maintaining unit for increasing the time during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heater from the outside is in contact with the heater.
Description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질의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relate to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aerosol of high quality.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an alternative method that overcomes the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cigarettes. For exampl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method of generating an aerosol by heating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rather than by burning a cigarette to generate the aerosol.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0733호는 공기가 흐르는 통로 상에 배치된 가열요소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기화기를 설명한다. 이러한 기화기에서는 가열요소와 공기의 접촉 시간이 매우 짧아 풍부한 양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데 어려움이 존재한다.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30733 describes a vaporizer that generates steam using a heating element disposed on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In such a vaporizer,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heating element and the air is very short, so it is difficult to generate an abundant amount of steam.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9064호는 외부 공기를 히터로 도입하기 위한 통로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서는 통로를 통해 히터로 도입된 외부 공기가 짧은 시간동안만 히터와 접촉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히터와 공기의 접촉 시간이 매우 짧아 풍부한 양의 증기를 발생시키기가 어렵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49064 describes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having a passage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a heater. In such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heater through the pass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contacting the heater only for a short time. Due to this,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heater and the air is very short, making it difficult to generate an abundant amount of steam.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9566호는 분무기에서 발생한 증기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노즐 구간의 일부에 나선형 기류를 적용한 담배 흡입장치를 설명한다. 이와 같은 담배 흡입장치의 나선형 기류는 분무기가 증기를 발생하는 동작에 관여하지 않고 분무기에서 발생한 증기와 가열형 담배에서 발생한 연기의 혼합을 촉진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분무기가 증기를 발생하는 과정에서는 외부에서 도입된 공기가 짧은 시간동안만 히터와 접촉함으로 인해 풍부한 양의 증기 발생이 어렵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69566 describes a cigarette inhalation device in which a spiral air flow is applied to a part of a nozzle section that delivers steam generated from a sprayer to a user. The spiral air flow of such a cigarette inhaler does not participate in the operation of the nebulizer generating steam, but only serves to promote mixing of the vapor generated from the nebulizer and smoke generated from the heated cigarette. Therefore,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steam by the atomizer, it is difficult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steam becaus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contacts the heater only for a short time.
실시예들은 풍부한 양의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Embodiments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abundant amount of an aerosol.
실시예들은 또한 양질의 에어로졸을 원활히 생성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Embodiments als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smoothly generating a high quality aerosol.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와, 케이스의 외부의 공기를 히터로 공급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흐름통로를 포함하고, 공기 흐름통로는 외부에서 히터로 도입된 공기가 히터와 접촉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접촉 유지부를 포함한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se, a heater disposed in the case to heat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o generate an aerosol, and an air flow passage formed inside the case to supply air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to the heater, and , the air flow passage includes a contact holding part for increas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ater from the outside is in contact with the heater.
접촉 유지부는 공기 흐름통로와 연결되며 공기 흐름통로의 중심에 대해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공기를 보유할 수 있다.The contact hold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air flow passage and can hold air by extending out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air flow passage.
공기 흐름통로는 히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공기가 히터에 접촉하며 흐르도록 허용하는 가열통로와, 외부의 공기를 가열통로에 전달하는 전달통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접촉 유지부는 가열통로와 전달통로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The air flow passage may include a heating passage that surrounds at least a part of the heater and allows air to flow in contact with the heater, and a transfer passage that transfers external air to the heating passage, and the contact holding unit includes a heating passage and a transfer passage. It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가열통로에 형성되는 접촉 유지부는 가열통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tact holding parts formed in the heating passage may be form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eating passage.
가열통로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접촉 유지부는 히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tact holding parts formed in the heating passage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ith the heater interposed therebetween.
가열통로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접촉 유지부는 히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열통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tact holding parts formed in the heating passage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shifted from each othe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eating passag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ith the heater interposed therebetween.
공기 흐름통로는 히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공기가 히터에 접촉하며 흐르도록 허용하는 가열통로와, 외부의 공기를 가열통로에 전달하는 전달통로를 포함할 수 있고, 히터는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굽힘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접촉 유지부는 가열통로의 적어도 일부분이 히터의 굽힘부를 따라 휘어짐으로써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전환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air flow passage may include a heating passage that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er and allows air to flow while in contact with the heater, and a transfer passage that transfers external air to the heating passage, wherein the heater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bent bent portion. It may include, and the contact holding portion may be formed by a switching reg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ing passage is bent along the bending portion of the heater, whereby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changed.
히터의 굽힘부는 0도 초과 180도 미만의 각도 범위로 절곡될 수 있고, 전환영역도 굽힘부가 절곡되는 각도를 따라 대응하여 절곡될 수 있다.The bent portion of the heater may be bent in an angular range of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180 degrees, and the transition region may also be bent correspondingly along the angle at which the bent portion is bent.
히터의 굽힘부는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될 수 있고, 전환영역도 굽힘부를 따라 대응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The bent portion of the heater may be curved to form an arc shape, and the transition region may also be curved to correspond to the bending portion.
공기 흐름통로는 히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공기가 히터에 접촉하며 흐르도록 허용하는 가열통로와, 외부의 공기를 가열통로에 전달하는 전달통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접촉 유지부는 가열통로의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짐으로써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전환영역에 의해 형성되고, 히터는 가열통로의 전환영역의 공기 흐름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The air flow passage may include a heating passage that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er and allows air to flow in contact with the heater, and a transfer passage that transfers external air to the heating passage, and the contact holding uni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ing passage. A plurality of heaters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from upstream to downstream of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switching region of the heating passage, which is formed by the switching region in which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switched due to this bending.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히터와, 히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공기가 히터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가열통로와 가열통로에 외부의 공기를 전달하는 전달통로를 포함하는 공기 흐름통로를 포함하고, 공기 흐름통로는 외부에서 가열통로로 도입된 공기가 히터와 접촉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접촉 유지부를 포함한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heater for heating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nd a heating path that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er and causes the air to contact the heater so that the aerosol is generated and a delivery path for delivering external air to the heating path and an air flow passage comprising a, and the air flow passage includes a contact holding part for increas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passage from the outside is in contact with the heater.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하면 접촉 유지부가 히터의 주변이나 히터로 공급되는 통로 상에서 공기를 보유함으로 인하여 에어로졸의 발생을 위한 충분한 양과 최적으로 가열된 상태의 공기가 히터에 공급되어 양질의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 sufficient amount and optimally heated air for generating aerosol is supplied to the heater because the contact holding unit holds air around the heater or on the passage supplied to the heater. A high quality aerosol can be generated.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eplaceable cartridge containing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and an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ng stat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emplary operating stat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에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일반적인 정의에 의해서만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그 용어가 갖는 의미와 청구항과 도면과 설명의 전체 내용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elements,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there are also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a specific case,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rresponding descrip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only by the general definition of the term, but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entire content of the claims, drawings and descrip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만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can easily implement it. However,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eplaceable cartridge containing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and an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20)와, 카트리지(20)를 지지하는 본체(10)를 포함한다.The
카트리지(2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카트리지(20)의 일부분이 본체(10)의 수용 공간(19)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20)가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The
*카트리지 내 에어로졸 생성 물질(액상 조성물)*Aerosol-generating substances in the cartridge (liquid composition)
카트리지(20)는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나, 기체 상태나, 겔(gel) 상태 등의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The
액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의 어느 하나의 성분이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quid composi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ny one component of water, a solvent, ethanol, a plant extract, a fragrance, a flavoring agent, and a vitamin mixture, or a mixture of these components. The fragranc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menthol, peppermint, spearmint oil, various fruit flavoring ingredients, and the like. Flavoring agents may include ingredients that can provide a user with a variety of flavors or flavors. The vitamin mixture may be a mixture of at least one of vitamin A, vitamin B, vitamin C, and vitamin E, but is not limited thereto. Liquid compositions may also include aerosol formers such as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임의의 중량비의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액상 조성물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liquid composition may include a solution of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in any weight ratio to which a nicotine salt has been added. The liquid composition may include two or more nicotine salts. Nicotine salts can be formed by adding a suitable acid, including organic or inorganic acids, to nicotine. Nicotine is either naturally occurring nicotine or synthetic nicotine, and may have any suitable weight concentration relative to the total solution weight of the liquid composition.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cid for the formation of the nicotine sal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blood nicotine absorption rate,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카트리지 가열*Cartridge heating
카트리지(20)는 본체(1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 또는 무선 신호 등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카트리지(20)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카트리지(20)는 본체(10)로부터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거나,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하거나,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카트리지(20)가 자체적인 전력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본체(10)로부터 카트리지(20)에 전달되는 전기적인 제어 신호나 무선 신호에 의해 카트리지(20)가 작동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카트리지(20): 액체 저장부 + 무화기(액체 전달 수단+히터)*Cartridge (20): liquid reservoir + atomizer (liquid delivery means + heater)
카트리지(2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액체 저장부(21)와, 액체 저장부(21)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화기(atomize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액체 저장부(21)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는 것은 액체 저장부(21)가 그릇(container)의 용도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단순히 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액체 저장부(21)의 내부에 예를 들어 스펀지(sponge)나 솜이나 천이나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함침(함유)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That the liquid storage unit 21 'accommodates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therein means that the
무화기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액체전달수단(wick; 윅)과, 액체 전달 수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tomiz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iquid delivery means (wick) that absorbs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nd maintains it in an optimal condition for conversion to an aerosol, and a heater that heats the liquid delivery means to generate the aerosol.
액체 전달 수단은 예를 들어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quid delivery means may compris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cotton fibers, ceramic fibers, glass fibers, and porous ceramics.
히터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액체 전달 수단에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하여 구리, 니켈, 텅스텐 등의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예를 들어, 금속 열선(wire),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니크롬선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현되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heater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such as copper, nickel, tungsten, to heat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delivered to the liquid delivery means by generating heat by electrical resistance. The heater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metal wire, a metal hot plate, a ceramic heating element, etc., and is implemented as a conductive filament using a material such as a nichrome wire, or wound around the liquid delivery means or adjacent to the liquid delivery means. can be arranged.
무화기는 또한 별도의 액체 전달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메시 형상(mesh shape)이나 판 형상(plate shape)의 발열체로 구현될 수 있다.The atomizer also has a mesh shape that performs both the function of absorb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and maintaining it in an optimal state for conversion to an aerosol without using a separate liquid delivery means, and the function of generating an aerosol by heat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shape) or a plate-shaped heating element.
*돌출창(21a)*Protrusion window (21a)
카트리지(20)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1)는 본체(10)에 결합할 때에 본체(10)의 홈(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액체 저장부(21)로부터 돌출하는 돌출창(21a)을 포함한다. 마우스피스(22) 및 액체 저장부(21)의 전체가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액체 저장부(21)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돌출창(21a)만이 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The
*접속 단자(10t)*Connection terminal (10t)
본체(10)는 수용 공간(19)의 내측에 배치된 접속 단자(10t)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수용 공간(19)에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가 삽입되면 본체(10)는 접속 단자(10t)를 통하여 카트리지(20)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카트리지(20)의 작동과 관련한 신호를 카트리지(20)에 공급할 수 있다. The
*마우스피스(22), 배출공(22a)* Mouthpiece (22), discharge hole (22a)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의 일측 단부에는 마우스피스(22)가 결합된다. 마우스피스(2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마우스피스(22)는 액체 저장부(21)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22a)을 포함한다. A
*슬라이더(7) 구조*Slider (7) structure
본체(10)에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더(7)는 본체(10)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본체(10)에 결합된 카트리지(20)의 마우스피스(22)의 적어도 일부를 덮거나 마우스피스(22)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슬라이더(7)는 카트리지(20)의 돌출창(21a)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공(7a)을 포함한다.A
슬라이더(7)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양측 단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갖는다. 슬라이더(7)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체(10)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클립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절곡된 판의 구조나, 만곡된 원호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구부러진 반원통 형상 등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슬라이더(7) 기능: 자성체, 위치변화 감지 센서(Hall IC)*Slider (7) function: magnetic material, position change detection sensor (Hall IC)
슬라이더(7)는 본체(10)와 카트리지(20)에 대한 슬라이더(7)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자성체를 포함한다. 자성체는 영구자석이나, 철, 니켈, 코발트, 또는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자성체는 슬라이더(7)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자성체(8a)와, 슬라이더(7)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자성체(8b)를 포함한다.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는 슬라이더(7)의 이동 방향, 즉 본체(10)가 연장하는 방향인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The magnetic material includes two first
본체(10)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더(7)의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된 고정 자성체(9)를 포함한다. 본체(10)의 고정 자성체(9)도 수용 공간(19)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The
슬라이더(7)의 위치에 따라, 고정 자성체(9)와 제1 자성체(8a) 또는 고정 자성체(9)와 제2 자성체(8b)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하여 슬라이더(7)는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본체(10)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더(7)의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의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위치변화 감지 센서(3)를 포함한다. 위치변화 감지 센서(3)는 예를 들어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hall IC)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2 내지 3: 슬라이더 이동 예시, 잔량확인 창* Figures 2 to 3: Example of slider movement, remaining amount check window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ng stat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
도 2에서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와 결합된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덮는 위치로 이동한 작동 상태가 도시되었다. 슬라이더(7)가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덮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22)가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며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In FIG. 2 , an operating state is shown in which the
사용자는 슬라이더(7)의 장공(7a)을 통하여 카트리지의 돌출창(21a)을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카트리지가 보유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를 사용하기 위해서 슬라이더(7)를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user can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held in the cartridge by visually checking the protruding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emplary operating stat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
도 3에서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와 결합된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작동 상태가 도시되었다. 슬라이더(7)가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구강에 마우스피스(22)를 삽입하여 마우스피스(22)의 배출공(22a)을 통해서 배출되는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In FIG. 3, an operating state is shown in which the
슬라이더(7)가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슬라이더(7)의 장공(7a)을 통하여 카트리지의 돌출창(21a)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카트리지가 보유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Even when the
도 4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배터리(11000), 히터(12000), 센서(1300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0), 메모리(15000) 및 제어부(160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설계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may include a battery 11000 , a heater 12000 , a sensor 13000 , a user interface 14000 , a memory 15000 , and a controller 16000 . Howev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4 .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it can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that some of the hardware components shown in FIG. 4 may be omitted or new components may be further added. .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본체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본체 및 카트리지로 구성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체 및 카트리지 각각에 위치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may consist of only the body, and in this case, the hardware component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are located in the body. In another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may be composed of a main body and a cartridge, and hardware component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may be divided into the main body and the cartridge. Alternatively, at least some of the hardware component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may be located in each of the main body and the cartridge.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한정하지 않고, 각 구성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out limiting the space in which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is located.
*배터리(11000)*Battery (11000)
배터리(11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11000)는 히터(1200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 구성들, 즉, 센서(1300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0), 메모리(15000) 및 제어부(160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0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00)는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battery 11000 supplies power used to operat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 That is, the battery 11000 may supply power so that the heater 12000 may be heated. In addition, the battery 11000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other hardware component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that is, the sensor 13000, the user interface 14000, the memory 15000, and the control unit 16000. can The battery 11000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or a disposable battery. For example, the battery 11000 may be a lithium polymer (LiPoly)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히터(12000)*Heater (12000)
히터(12000)는 제어부(1600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100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 히터(12000)는 배터리(1100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하거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장착된 카트리지를 가열할 수 있다.The heater 12000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110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00 . The heater 120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11000 to heat a cigarette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or to heat a cartridge mount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
히터(12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본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본체 및 카트리지로 구성되는 경우, 히터(12000)는 카트리지에 위치할 수 있다. 히터(12000)가 카트리지에 위치하는 경우, 히터(12000)는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110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heater 12000 may be located in the body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 Alternatively,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is composed of a main body and a cartridge, the heater 12000 may be located in the cartridge. When the heater 12000 is positioned in the cartridge, the heater 120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11000 positioned in at least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cartridge.
히터(12000)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12000)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Heater 12000 may be formed of any suitable electrically resistive material. For example, suitable electrically resistive materials include titanium, zirconium, tantalum, platinum, nickel, cobalt, chromium, hafnium, niobium, molybdenum, tungsten, tin, gallium, manganese, iron, copper, stainless steel, nichrome, etc. It may be a metal or metal alloy inclu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heater 12000 may be implemented as a metal hot wire, a metal hot plate on which an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is disposed, a ceramic heating element,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서 히터(12000)는 카트리지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카트리지는 히터(12000), 액체 전달 수단 및 액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전달 수단으로 이동하고, 히터(12000)는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2000)는 니켈크롬과 같은 소재를 포함하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er 12000 may be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cartridge. The cartridge may include a heater 12000 , a liquid delivery means and a liquid reservoir.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liquid storage unit moves to the liquid delivery means, and the heater 12000 may heat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absorbed in the liquid delivery means to generate an aerosol. For example, the heater 12000 may include a material such as nickel chromium and may be wound around the liquid delivery means or disposed adjacent to the liquid delivery means.
다른 실시예에서 히터(12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수용 공간에 궐련이 수용됨에 따라 히터(12000)는 궐련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히터(1200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heater 12000 may heat a cigarett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 As the cigarett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the heater 12000 may be located inside and/or outside the cigarette. Accordingly, the heater 12000 may generate an aerosol by heating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 the cigarette.
한편, 히터(1200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히터(12000)는 궐련 또는 카트리지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 또는 카트리지에는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가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heater 12000 may be an induction heating type heater. The heater 12000 ma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il for heating the cigarette or cartridge in an induction heating manner, and the cigarette or cartridge may include a susceptor capable of being heated by an induction heating heater.
*센서(13000)*Sensor (13000)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에서 센싱된 결과는 제어부(16000)로 전달되고, 센싱 결과에 따라 제어부(16000)는 히터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궐련(또는 카트리지) 삽입 유/무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13000 . The result sensed by the at least one sensor 130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6000, and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the control unit 160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restricts smoking, determines whether or not a cigarette (or cartridge) is inserted, notifica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display.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는 퍼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압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sensor 13000 may include a puff detection sensor. The puff detection sensor may detect the user's puff based on any one of a temperature change, a flow change, a voltage change, and a pressure change.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는 히터(12000)(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가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히터(12000)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대신 히터(12000) 자체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히터(1200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sensor 1300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The temperature sensor may detect a temperature at which the heater 12000 (or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s heate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may include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2000, or instead of including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the heater 12000 itself may serve as a temperature sensor. . Alternatively,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while the heater 12000 functions as a temperature sensor.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는 위치변화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변화 감지 센서는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sensor 13000 may include a position change detection sensor. The position change detection sensor may detect a position change of the slider coupled to be movab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0)*User Interface (1400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0)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싱 모듈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1400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to the user. The user interface 14000 includes a display or lamp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a motor for outputting tactile information,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information, and input/output (I/O) for receiving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or outputting information to the user. ) Interfacing means (eg, button or touch screen) and terminals for data communication or receiving charging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eg,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 (Near-Field Communication, etc.) may include various interfacing means, such as a communication interfacing module for performing.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00)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only some of the various examples of the user interface 14000 exemplified above may be selected and implemented.
*메모리(15000)*Memory (15000)
메모리(15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15000)는 제어부(1600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0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mory 15000 is hardware for storing various data process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 and the memory 15000 may store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6000 and data to be processed. The memory 15000 includes various types of random access memory (RAM), such a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nd the like. It can be implemented in types.
메모리(15000)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The memory 15000 may store the operating tim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the maximum number of puffs, the current number of puffs, at least one temperature profile, and data on the user's smoking pattern.
*제어부(16000)*control unit (16000)
제어부(16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이다. 제어부(16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00 is hardware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 The controller 16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n array of a plurality of logic gates,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 general-purpose microprocessor and a memory in which a program executable in the microprocessor is stored. In addition, it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types of hardware.
제어부(16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분석하고 뒤이어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6000 analyzes a result sensed by the at least one sensor 13000 and controls subsequent processes to be performed.
제어부(16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12000)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히터(120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0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1200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200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00 may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12000 to start or end the operation of the heater 12000 based on a result sensed by the at least one sensor 1300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00 is based on the result sensed by the at least one sensor 13000,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12000 so that the heater 12000 can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ainta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ime when power is supplied.
*크래들(미도시)*Cradle (not shown)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배터리(11000)를 충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크래들 내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래들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배터리(11000)를 충전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4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may constitute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together with a separate cradle. For example, the cradle may be used to charge the battery 1100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 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of the cradle and charge the battery 1100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00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cradle.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관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에 대응할 수 있다.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5 to 9 described below may correspond to a replaceable cartridge containing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 respect to FIGS. 1 to 4 . can
그러나 도 5 내지 도 11에 관한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현 방식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5 내지 도 11에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관한 실시예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된 카트리지를 의미하거나, 카트리지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등을 포함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체를 포괄할 수 있다.However, the embodiments related to FIGS. 5 to 11 are not limited by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 FIGS. 5 to 11 is aerosol generating of the embodiment related to FIGS. 1 to 4 . It means a cartridge included in the device, or may encompass the entire aerosol-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cartridge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110)와, 케이스(100)의 외부의 공기를 히터(110)로 도입하고, 히터(110)에 의해 발생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흐름통로(120)를 포함한다. 공기 흐름통로(120)는 케이스(100)의 외부에서 히터(110)로 도입된 공기가 히터(110)와 접촉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공기를 보유하는 접촉 유지부(130)를 포함한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includes a
공기 흐름통로(120)는 히터(1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공기가 히터(110)에 접촉하며 흐르도록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가열통로(121)와, 케이스(100)의 외부의 공기를 가열통로(121)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통로(122)를 포함한다. 접촉 유지부(130)는 가열통로(121)와 전달통로(122)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도 5에서 접촉 유지부(130)가 가열통로(121)에 형성된 예만 도시되었지만,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촉 유지부(130)는 전달통로(122)에도 형성될 수 있다.The
케이스(10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00)의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전달통로(122)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전달통로(122)와 연결되어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는 가열통로(121)가 형성된다. 가열통로(121)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된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에 의해 형성된다. The
상부벽(135)은 케이스(100)의 내부의 공간의 일부분을 구획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부벽(135)의 중심 부분에는 일단이 전달통로(122)와 연결되고 타단이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개방됨으로써 전달통로(122)를 외부로 연결하는 배출통로(123)가 설치된다.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배출통로(123)가 상부벽(135)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지만, 배출통로(123)의 설치 위치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가열통로(121)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은 배출통로(123)를 통하여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aerosol generated in the
하부벽(136)은 상부벽(135)을 마주보며 상부벽(135)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설치 구조에 의해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사이에 가열통로(121)가 형성된다. The
가열통로(121)에는 히터(110)가 배치된다. 히터(110)는 전기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A
상부벽(135)에는 액체 전달 수단(111)이 연결되어 있다. 액체 전달 수단(111)의 양측 단부는 상부벽(135)을 관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액체 전달 수단(111)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을 흡수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액체 전달 수단(111)을 감싸고 있는 히터(110)에 의해 열이 발생하면 액체 전달 수단(111)이 흡수하여 보유하고 있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이 기화하여 에어로졸이 발생한다.A liquid delivery means 111 is connected to the
도 5에 도시된 히터(110)와 액체 전달 수단(111)의 배치 위치와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10)는 액체 전달 수단(111)에 감기지 않고 액체 전달 수단(1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액체 전달 수단(111)의 구조가 메시(mesh) 형상이나 판(plate) 형상 등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히터(110)와 액체 전달 수단(111)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예를 들어 금속 소재의 메시 형상의 히터로 구현될 수 있다).The arrangement 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전달통로(122)를 통하여 케이스(100)의 외부로부터 케이스(100)의 내부로 도입된 공기가 가열통로(121)로 공급되므로, 가열통로(121)에는 공기가 액체 전달 수단(111)과 히터(110)를 둘러싸서 액체 전달 수단(111)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과 공기가 자연스럽게 혼합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된다.Sinc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케이스(100)의 하측 단부에는 단자(110c)가 설치된다. 단자(110c)는 본체 측의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케이스(100)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단자(110c)는 본체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히터(1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히터(110)의 양측의 단부는 하부벽(136)을 관통하여 단자(11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terminal 110c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접촉 유지부(130)는 공기 흐름통로(120)의 전달통로(122)와 연결되며 전달통로(122)의 중심에 대해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공기를 보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도 5에서 접촉 유지부(130)는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각각에 복수 개가 설치된다. 접촉 유지부(130)는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오목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접촉 유지부(130)는 가열통로(121)의 연장 방향, 즉 히터(110)와 액체 전달 수단(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접촉 유지부(130)는 서로에 대해 이격되게 형성된다.In FIG. 5 , a plurality of
상부벽(135) 및 하부벽(136)의 각각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접촉 유지부(130)는 히터(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가열통로(121)를 형성하는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이 복수 개의 접촉 유지부(130)를 포함함으로써 공기가 가열통로(121)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Since the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에 접촉 유지부(13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면, 전달통로(122)를 통하여 가열통로(121)로 유입된 공기는 사용자의 흡입 동작에 반응하여 배출통로(123)를 통해 케이스(100)의 외부로 빠르게 배출되는 흐름을 형성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가열통로(121)에서 공기와 히터(110)가 접촉하는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고 공기가 곧 바로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히터(110)와 접촉하는 공기가 에어로졸 발생을 위해 충분히 가열된 온도의 분위기를 형성할 수 없다. 이로 인해 히터(110)의 가열 작용에 의해 발생한 에어로졸이 충분히 가열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와 접촉하면서 다시 액적(액체 방울)으로 변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Assuming that the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하면 접촉 유지부(130)가 가열통로(121)에서 히터(110)의 주변의 공기를 가두어 보유함으로써 히터(110)의 주변에 존재하는 공기의 흐름의 일부를 정체 또는 지체시키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히터(110)의 주변의 공기의 온도가 에어로졸 발생을 위해 충분히 높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공기의 흐름의 일부가 정체된다'는 것은 공기의 흐름이 정지, 즉 멈추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공기의 흐름의 일부가 지체된다'는 것은 공기의 흐름이 늦추어져서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또한 접촉 유지부(130)가 히터(110)의 주변의 공기를 보유함으로 인하여 히터(110)의 온도가 상승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가열 작용을 수행하는 동안 히터(110)에 충분한 공기가 곧 바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의 발생을 위한 충분한 양과 최적으로 가열된 상태의 공기가 히터(110)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양질의 에어로졸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접촉 유지부(130)의 설치 위치가 변형되었다.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s generally similar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접촉 유지부(130)는 가열통로(121)를 형성하는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각각에 형성된다. 접촉 유지부(130)는 가열통로(121)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확장됨으로써 공기를 보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접촉 유지부(130)는 복수 개가 형성되며 가열통로(121)에서 히터(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열통로(12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The
이와 같은 접촉 유지부(130)의 배치 구조에 의하면, 히터(110)에 의해 발생한 에어로졸과 가열된 공기의 일부는 상부벽(135)의 하부면에 직접 부딪힌 후 가열통로(121)를 따라 배출통로의 방향으로 흐르기도 하고 가열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상부벽(135)에 형성된 접촉 유지부(130)에 의해 보유됨으로써 양질의 에어로졸 발생을 위한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또한 하부벽(136)에 형성된 접촉 유지부(130)의 위치는 상부벽(135)에 형성된 접촉 유지부(130)의 위치와 어긋나므로, 하부벽(136)의 접촉 유지부(130)가 공기를 보유하는 영역과 상부벽(135)의 접촉 유지부(130)가 공기를 보유하는 영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히터(110)의 연장 방향, 즉 가열통로(121)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가열통로(121)의 전체에서 풍부한 양의 공기가 충분하게 가열된 상태로 접촉 유지부(130)에 의해 보유되어 양질의 에어로졸 발생을 위한 환경이 조성된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달리 배출통로(123)의 위치가 변형되었고 가열통로(121)의 일부분이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different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5 and 6 ,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110)와, 케이스(100)의 외부의 공기를 히터(110)로 도입하고, 히터(110)에 의해 발생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흐름통로(120)를 포함한다. 공기 흐름통로(120)는 케이스(100)의 외부에서 히터(110)로 도입된 공기가 히터(110)와 접촉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공기를 보유하는 접촉 유지부(130)를 포함한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ncludes a
공기 흐름통로(120)는 히터(1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공기가 히터(110)에 접촉하며 흐르도록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가열통로(121)와, 케이스(100)의 외부의 공기를 가열통로(121)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통로(122)를 포함한다. 접촉 유지부(130)는 가열통로(121)와 전달통로(122)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The
케이스(100)는 좌측 벽면에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00)의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전달통로(122)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100)는 우측 벽면에 케이스(100)의 내부의 공기와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123)를 포함한다. 배출통로(123)에는 사용자가 입으로 물 수 있는 마우스피스(123m)가 연결된다. The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전달통로(122)와 연결되어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는 가열통로(121)가 형성된다. 가열통로(121)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된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에 의해 형성된다. A
상부벽(135)은 케이스(100)의 내부의 공간의 일부분을 구획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가열통로(121)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은 배출통로(123)와 마우스피스(123m)를 통하여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ed in the
하부벽(136)은 상부벽(135)을 마주보며 상부벽(135)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설치 구조에 의해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사이에 가열통로(121)가 형성된다. The
가열통로(121)에는 히터(110)가 배치된다. 히터(110)는 전기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히터(110)는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굽힘부(110t)를 포함한다. 가열통로(121)는 히터(110)의 굽힘부(110t)를 따라 휘어짐으로써 가열통로(121)에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영역(121t)을 포함한다.A
상부벽(135)에는 액체 전달 수단(111)이 연결되어 있다. 액체 전달 수단(111)의 양측 단부는 상부벽(135)을 관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액체 전달 수단(111)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을 흡수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액체 전달 수단(111)을 감싸고 있는 히터(110)에 의해 열이 발생하면 액체 전달 수단(111)이 흡수하여 보유하고 있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이 기화하여 에어로졸이 발생한다.A liquid delivery means 111 is connected to the
전달통로(122)를 통하여 케이스(100)의 외부로부터 케이스(100)의 내부로 도입된 공기가 가열통로(121)로 공급되므로, 가열통로(121)에는 공기가 액체 전달 수단(111)과 히터(110)를 둘러싸서 액체 전달 수단(111)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과 공기가 자연스럽게 혼합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된다.Sinc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접촉 유지부(130)는 공기 흐름통로(120)의 가열통로(121)와 연결되며 가열통로(121)의 중심에 대해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공기를 보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접촉 유지부(130)는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각각에 복수 개가 설치된다. 접촉 유지부(130)는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오목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접촉 유지부(130)는 가열통로(121)의 연장 방향, 즉 히터(110)와 액체 전달 수단(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접촉 유지부(130)는 서로에 대해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접촉 유지부(130)는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A plurality of
가열통로(121)의 전환영역(121t)은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에 형성되어 공기를 보유함으로써 히터(110)와 공기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키는 접촉 유지부(130)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가열통로(121)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전환영역(121t)에 부딪혀 전환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유속이 저하되므로 전환영역(121t)은 히터(110)와 공기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키는 접촉 유지부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switching
히터(110)의 굽힘부(110t)는 가열통로(121)의 연장 방향에 대해 0도 초과 180도 미만의 각도 범위로 절곡될 수 있다. "절곡"이라는 것은 히터(110)의 굽힘부(110t)가 구부러진 형상이 미리 정해진 각도를 갖도록 구부러진 것을 의미한다.The
가열통로(121)의 전환영역(121t)도 히터(110)의 굽힘부(110t)의 절곡된 각도 범위에 대응하여 절곡될 수 있다. "전환영역(121t)도 히터(110)의 굽힘부(110t)의 절곡된 각도 범위에 대응하여 절곡"된다는 것은 전환영역(121t)의 절곡된 각도가 반드시 굽힘부(110t)의 절곡된 각도와 동일한 구조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절곡된 굽힘부(110t)를 따라가도록 전환영역(121t)도 미리 정해진 각도범위로 절곡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굽힘부(110t)의 절곡된 각도에 비해 전환영역(121t)의 절곡된 각도가 크거나 작게 설정될 수 있다.The switching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8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유사하지만, 가열통로(121)를 따라서 복수 개의 히터(110a, 110b)가 설치되는 점과 히터(110a, 110b)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이한 영역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a, 160b)이 구분되게 배치되는 점이 변형되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is similar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 but a plurality of
케이스(100)는 케이스(100)의 외부의 공기를 히터(110)로 도입하고 히터(110)에 의해 발생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흐름통로(120)를 포함한다.The
공기 흐름통로(120)는 히터(1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공기가 히터(110)에 접촉하며 흐르도록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가열통로(121)와, 케이스(100)의 외부의 공기를 가열통로(121)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통로(122)를 포함한다. 접촉 유지부(130)는 가열통로(121)와 전달통로(122)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The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이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사이에 가열통로(121)가 형성된다. A
또한 케이스(100)는 우측 벽면에 케이스(100)의 내부의 공기와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123)를 포함한다. 배출통로(123)에는 사용자가 입으로 물 수 있는 마우스피스(123m)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상부벽(135)은 케이스(100)의 내부의 공간의 일부분을 구획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a, 160b)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부벽(135)과 케이스(100)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a, 160b)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독립적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공간이 형성된다. The
도 8에서 두 가지 종류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a, 160b)이 배치되지만, 실시예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a, 160b)의 종류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어서 더 많은 종류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a, 160b)이 케이스(100)와 상부벽(13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two types of aerosol-generating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a, 160b)의 각각은 서로 상이한 소재를 포함함으로써 상이한 향미와 기능의 에어로졸을 발생할 수 있다.Each of the aerosol-generating
가열통로(121)에는 히터(110a, 110b)가 배치된다. 히터(110a, 110b)는 전기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a, 160b)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열통로(121)는 일부 영역이 휘어짐으로써 가열통로(121)에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영역(121t)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a, 160b)의 각각에는 상부벽(135)을 통해 서로 독립된 액체 전달 수단(111)이 연결되고, 히터(110a, 110b)의 각각이 액체 전달 수단(111)의 각각에 서로 독립되게 연결된다. 히터(110a, 110b)의 각각에는 전력 공급부에 의한 전력 공급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히터(110a, 110b)의 각각은 상이한 온도범위와 상이한 형태의 온도 프로파일로 가열될 수 있다.A liquid delivery means 111 independent of each othe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접촉 유지부(130)는 공기 흐름통로(120)의 전달통로(122)와 연결되며 전달통로(122)의 중심에 대해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공기를 보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접촉 유지부(130)는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각각에 복수 개가 설치된다. 접촉 유지부(130)는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오목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접촉 유지부(130)는 전달통로(122)의 연장 방향, 즉 히터(110a, 110b)와 액체 전달 수단(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접촉 유지부(130)는 서로에 대해 이격되게 형성된다.A plurality of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110)와, 케이스(100)의 외부의 공기를 히터(110)로 도입하고, 히터(110)에 의해 발생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흐름통로(120)를 포함한다. 공기 흐름통로(120)는 케이스(100)의 외부에서 히터(110)로 도입된 공기가 히터(110)와 접촉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공기를 보유하는 접촉 유지부(130)를 포함한다.The
공기 흐름통로(120)는 히터(1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공기가 히터(110)에 접촉하며 흐르도록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가열통로(121)와, 케이스(100)의 외부의 공기를 가열통로(121)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통로(122)를 포함한다. 접촉 유지부(130)는 가열통로(121)와 전달통로(122)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The
케이스(10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00)의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전달통로(122)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전달통로(122)와 연결되어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는 가열통로(121)가 형성된다. 가열통로(121)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된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에 의해 형성된다. The
상부벽(135)은 케이스(100)의 내부의 공간의 일부분을 구획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부벽(135)의 중심 부분에는 일단이 전달통로(122)와 연결되고 타단이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개방됨으로써 전달통로(122)를 외부로 연결하는 배출통로(123)가 설치된다.The
가열통로(121)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은 배출통로(123)를 통하여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aerosol generated in the
하부벽(136)은 상부벽(135)을 마주보며 상부벽(135)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설치 구조에 의해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사이에 가열통로(121)가 형성된다.The
가열통로(121)에는 히터(110)가 배치된다. 히터(110)는 전기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히터(110)는 적어도 일부분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되는 굽힘부(110t)를 포함한다.A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은 각각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된다. 따라서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에 의해 형성되는 가열통로(121)도 히터(110)의 굽힘부(110t)에 대응하여 만곡됨으로써 원호 형상을 이루어 가열통로(121)에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만곡부(121c)를 포함한다.The
상부벽(135)에는 액체 전달 수단(111)이 연결되어 있다. 액체 전달 수단(111)의 양측 단부는 상부벽(135)을 관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액체 전달 수단(111)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을 흡수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액체 전달 수단(111)을 감싸고 있는 히터(110)에 의해 열이 발생하면 액체 전달 수단(111)이 흡수하여 보유하고 있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160)이 기화하여 에어로졸이 발생한다.A liquid delivery means 111 is connected to the
전달통로(122)를 통하여 케이스(100)의 외부로부터 케이스(100)의 내부로 도입된 공기가 가열통로(121)로 공급되므로, 가열통로(121)에는 공기가 액체 전달 수단(111)과 히터(110)를 둘러싸서 액체 전달 수단(111)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과 공기가 자연스럽게 혼합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된다.Sinc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가열통로(121)와 히터(110)는 배출통로(123)를 중심으로 상측을 향해 만곡되는 원호형상을 이루므로, 히터(110)에서 발생한 에어로졸과 가열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배출통로(123)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자연스럽고 원활한 공기와 에어로졸의 흐름이 형성된다. Since the
접촉 유지부(130)는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각각에 복수 개가 설치된다. 접촉 유지부(130)는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오목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접촉 유지부(130)는 가열통로(121)의 연장 방향, 즉 히터(110)와 액체 전달 수단(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접촉 유지부(130)는 서로에 대해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접촉 유지부(130)의 각각은 원호 형상을 이루는 상부벽(135)과 하부벽(136)의 각각의 곡면을 따라 연장한다. A plurality of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하면 접촉 유지부(130)가 가열통로(121)에서 히터(110)의 주변의 공기를 가두어 보유함으로써 히터(110)의 주변에 존재하는 공기의 흐름의 일부를 정체 또는 지체시키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히터(110)의 주변의 공기의 온도가 에어로졸 발생을 위해 충분히 높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또한 접촉 유지부(130)가 히터(110)의 주변의 공기를 보유함으로 인하여 히터(110)의 온도가 상승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가열 작용을 수행하는 동안 히터(110)에 충분한 공기가 곧 바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의 발생을 위한 충분한 양과 최적으로 가열된 상태의 공기가 히터(110)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양질의 에어로졸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도면에 도시된 접촉 유지부는 예시적인 것이며, 접촉 유지부의 설치 위치나, 개수나, 크기나, 형상 등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The contact holding parts shown in the drawings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5 to 9 are exemplary,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number, size, shape, and the like of the contact holding par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궐련(cigarette rod) 형상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260)에 봉 형상(또는 침 형상)늘 갖는 히터(210)가 삽입되어, 히터(210)가 궐련 형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260)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the
도 10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케이스(200)와, 케이스(200)에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260)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210)와, 케이스(200)의 외부의 공기를 히터(210)로 공급하는 공기 흐름통로(220)를 포함하고, 공기 흐름통로(220)는 히터(210)로 도입되는 공기가 히터(210)와 접촉하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접촉 유지부(230)를 포함한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includes a
케이스(200)는 궐련 형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260)을 수용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260)이 수용되는 케이스(200)의 내부의 공간에는 전력 공급원(210b)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260)을 가열하는 히터(210)가 배치된다. The
케이스(200)는 케이스(200)의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200)의 내부로 도입하는 전달통로(222)와, 전달통로(222)에 연결되어 공기를 히터(210)와 에어로졸 생성 물질(260)의 사이의 영역으로 공급하는 가열통로(121)를 포함한다. The
접촉 유지부(230)는 공기 흐름통로(220)의 전달통로(222)에 연결되며 전달통로(222)의 중심에 대해 외측으로 확장되는 오목한 홈의 형상으로 구현됨으로써 공기를 보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접촉 유지부(230)의 형상과 배치 위치와 개수 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촉 유지부(230)의 형상, 크기, 개수,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 shape, arrangement position and number of the
전달통로(222)에 접촉 유지부(23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면, 전달통로(222)를 통하여 가열통로(221)로 유입된 공기는 사용자의 흡입 동작에 반응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260)을 통해 외부로 빠르게 배출되는 흐름을 형성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가열통로(221)에서 공기가 히터(210)와 접촉하는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고 공기가 곧 바로 외부로 배출되므로, 히터(210)와 접촉하는 공기가 에어로졸 발생을 위해 충분히 가열된 온도의 분위기를 형성할 수 없다. 이로 인해 히터(210)의 주변의 공기가 충분한 온도에 이르도록 가열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260)로 도입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Assuming that the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하면 접촉 유지부(230)가 전달통로(222)에서 공기를 가두어 보유함으로써 히터(210)의 주변에 존재하는 공기의 흐름의 일부를 정체 또는 지체시키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히터(210)의 주변의 공기의 온도가 에어로졸 발생을 위해 충분히 높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또한 접촉 유지부(230)가 히터(210)의 주변의 공기를 보유함으로 인하여 히터(210)의 온도가 상승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가열 작용을 수행하는 동안 히터(210)에 충분한 공기가 곧 바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의 발생을 위한 충분한 양과 최적으로 가열된 상태의 공기가 히터(210)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양질의 에어로졸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같이 궐련 형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260)에 봉 형상의 히터(210)가 삽입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has a rod-shaped
도 1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케이스(200)와, 케이스(200)에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26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210)와, 케이스(200)에 형성되어 히터(210)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흐름통로(220)를 포함하고, 공기 흐름통로(220)는 외부에서 히터(210)로 도입되는 공기가 히터(210)와 접촉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접촉 유지부(230)를 포함한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includes a
공기 흐름통로(220)는 케이스(200)의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200)의 내부로 도입하기 위해 홀더(200h)와 케이스(200)의 내벽면의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전달통로(222)와, 전달통로(222)에 연결되어 공기를 히터(210)로 전달하는 가열통로(221)를 포함한다.The
케이스(200)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260)을 수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260)을 지지하는 홀더(200h)가 결합된다. 홀더(200h)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260)을 지지함과 아울러 케이스(200)에 결합 가능하고 케이스(20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홀더(200h)와 케이스(200)의 내벽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간에 의한 전달통로(222)가 형성된다. A
접촉 유지부(230)는 공기 흐름통로(220)의 전달통로(222)에 형성된다. 접촉 유지부(230)는 전달통로(222)의 중심에 대해 외측으로 확장되는 오목한 홈의 형상으로 구현됨으로써 공기를 보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접촉 유지부(230)의 형상과 배치 위치와 개수 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촉 유지부(230)의 형상, 크기, 개수,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 shape, arrangement position and number of the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하면 접촉 유지부(230)가 전달통로(222)에서 공기를 가두어 보유함으로써 히터(210)의 주변에 존재하는 공기의 흐름의 일부를 정체 또는 지체시키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히터(210)의 주변의 공기의 온도가 에어로졸 발생을 위해 충분히 높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o those described in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protection defined by the claims.
3: 위치변화 감지 센서 120, 220: 공기 흐름통로
7: 슬라이더 121, 221: 가열통로
7a: 장공 121c: 만곡부
8a: 제1 자성체 121t: 전환영역
8b: 제2 자성체 122, 222: 전달통로
9: 고정 자성체 123m: 마우스피스
10t: 단자 123: 배출통로
10: 본체 130, 230: 접촉 유지부
11: 홈 135: 상부벽
19: 수용 공간 136: 하부벽
20: 카트리지 200: 케이스
21a: 돌출창 200h: 홀더
21: 액체 저장부 210b: 전력 공급원
22: 마우스피스 11000: 배터리
22a: 배출공 12000: 히터
100: 케이스 13000: 센서
110t: 굽힘부 14000: 인터페이스
110c: 단자 15000: 메모리
110, 210, 110a, 110b: 히터 16000: 제어부
111: 액체 전달 수단 5, 100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60, 260, 160a, 160b: 에어로졸 생성 물질3: position
7:
7a:
8a: first
8b: second
9: Fixed
10t: terminal 123: exhaust passage
10:
11: groove 135: upper wall
19: receiving space 136: lower wall
20: cartridge 200: case
21a:
21:
22: mouthpiece 11000: battery
22a: exhaust hole 12000: heater
100: case 13000: sensor
110t: bend 14000: interface
110c: terminal 15000: memory
110, 210, 110a, 110b: heater 16000: control unit
111: liquid delivery means 5, 10000: aerosol generating device
160, 260, 160a, 160b: aerosol generating substances
Claims (11)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의 공기를 상기 히터로 공급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흐름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흐름통로는 외부에서 상기 히터로 도입된 공기가 상기 히터와 접촉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접촉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유지부는 상기 공기 흐름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 흐름통로의 중심에 대해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공기를 보유하고,
상기 공기 흐름통로는 상기 히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공기가 상기 히터에 접촉하며 흐르도록 허용하는 가열통로와, 외부의 공기를 상기 가열통로에 전달하는 전달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유지부는 상기 가열통로와 상기 전달통로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가열통로에 형성되는 상기 접촉 유지부는 상기 가열통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통로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접촉 유지부는 상기 히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case;
a heater disposed in the case to heat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o generate an aerosol; and
Including; and an air flow passage formed inside the case to supply air outside the case to the heater.
The air flow passage includes a contact maintaining unit for increas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ater from the outside is in contact with the heater,
The contact holding part is connected to the air flow passage and holds air by extending out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air flow passage,
The air flow passage includes a heating passage that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er and allows air to flow in contact with the heater, and a transfer passage that transfers external air to the heating passage, and the contact holding unit includes the heating element. It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passage and the transmission passage,
A plurality of the contact holding parts formed in the heating passage are form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eating passage, and the plurality of contact holding parts formed in the heating passage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ith the heater interposed therebetwee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의 공기를 상기 히터로 공급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흐름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흐름통로는 외부에서 상기 히터로 도입된 공기가 상기 히터와 접촉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접촉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유지부는 상기 공기 흐름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 흐름통로의 중심에 대해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공기를 보유하고,
상기 공기 흐름통로는 상기 히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공기가 상기 히터에 접촉하며 흐르도록 허용하는 가열통로와, 외부의 공기를 상기 가열통로에 전달하는 전달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유지부는 상기 가열통로와 상기 전달통로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가열통로에 형성되는 상기 접촉 유지부는 상기 가열통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통로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접촉 유지부는 상기 히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가열통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case;
a heater disposed in the case to heat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o generate an aerosol; and
Including; and an air flow passage formed inside the case to supply air outside the case to the heater.
The air flow passage includes a contact maintaining unit for increas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ater from the outside is in contact with the heater,
The contact holding part is connected to the air flow passage and holds air by extending out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air flow passage,
The air flow passage includes a heating passage that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er and allows air to flow in contact with the heater, and a transfer passage that transfers external air to the heating passage, and the contact holding unit includes the heating element. It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passage and the transmission passage,
A plurality of the contact holding parts formed in the heating passage are form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eating passage,
A plurality of the contact holding parts formed in the heating passage are disposed at positions shif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eating passag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ith the heater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히터는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통로는 상기 가열통로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히터의 상기 굽힘부를 따라 휘어짐으로써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전환영역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7. The method of claim 1 or 6,
wherein the heater comprises a bent portion at least partially curved, and the heating passage comprises a transition reg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ing passage is bent along the bend of the heater, whereby the direction of air flow is diverted.
상기 히터의 상기 굽힘부는 0도 초과 180도 미만의 각도 범위로 절곡되고, 상기 전환영역도 상기 굽힘부가 절곡되는 각도를 따라 대응하여 절곡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The bent portion of the heater is bent in an angular range of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180 degrees, and the transition region is also bent correspondingly along the angle at which the bend is bent.
상기 히터의 상기 굽힘부는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되고, 상기 전환영역도 상기 굽힘부를 따라 대응하도록 만곡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The bending portion of the heater is curved to form an arc shape, and the transition region is also curved to correspond to the bending portion along the bending portion.
상기 가열통로는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짐으로써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전환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가열통로의 상기 전환영역의 공기 흐름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7. The method of claim 1 or 6,
The heating passage includes a switching area in which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switched by bending at least a part of the heating passage, and a plurality of the heaters are disposed in a direction from upstream to downstream of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switching area of the heating passage. generat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4483A KR102270187B1 (en) | 2019-08-02 | 2019-08-02 | Aerosol genera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4483A KR102270187B1 (en) | 2019-08-02 | 2019-08-02 | Aerosol generat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5506A KR20210015506A (en) | 2021-02-10 |
KR102270187B1 true KR102270187B1 (en) | 2021-06-28 |
Family
ID=7456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4483A KR102270187B1 (en) | 2019-08-02 | 2019-08-02 | Aerosol genera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018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9037A (en) * | 2022-07-13 | 2024-01-22 | 주식회사 이엠텍 | Liquid cartridge for aerosol generat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4377916U (en) | 2014-12-08 | 2015-06-10 | 深圳市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 Electronic hookah and heating component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04076A (en) | 2012-07-16 | 2014-01-22 | Nicoventures Holdings Ltd | Electronic smoking device |
MX2017000441A (en) * | 2014-07-11 | 2017-04-27 | Philip Morris Products Sa |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improved air flow control. |
TWI674071B (en) | 2014-12-15 | 2019-10-11 |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 Aerosol-gener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guiding an airflow inside an electrically heated aerosol-generating system |
CN104770878B (en) | 2015-03-23 | 2017-11-24 |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electric heating type cigarette smoking device with electronic cigarette pumping function |
US10306927B2 (en) * | 2016-07-28 | 2019-06-04 | Altria Client Services Llc | Venturi effect-driven formulation delivery in e-vaping devices |
WO2018094641A1 (en) * | 2016-11-24 | 2018-05-31 | 深圳市赛尔美电子科技有限公司 | Heating and non-combusting smoking apparatus and heating component thereof |
KR20180070457A (en) * | 2016-12-16 | 2018-06-26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
2019
- 2019-08-02 KR KR1020190094483A patent/KR10227018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4377916U (en) | 2014-12-08 | 2015-06-10 | 深圳市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 Electronic hookah and heating component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5506A (en) | 2021-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00048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252458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2272404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2420138B1 (en) |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2281295B1 (en) | Cartridg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necting heating element with terminal | |
KR102374705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20210010182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220113314A (en) |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102270187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2272402B1 (en) | Replaceable cartridge containing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the cartridge | |
KR20210011827A (en) | Heating assembly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heat conducting element | |
KR102272407B1 (en) |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mouthpiece changing function | |
KR102329282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2330807B1 (en) |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same | |
KR102258050B1 (en) |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 |
KR102286582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vely using cigarette and cartridge | |
KR102327561B1 (en) |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leakage preventing function | |
KR102278591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2330808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210127418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2286581B1 (en) | Converter for charging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for charg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2286583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2258049B1 (en) |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 |
KR102540371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EP3817585B1 (en) | Cartridg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