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879B1 - bracket for orthodontics - Google Patents
bracket for orthodontic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8879B1 KR101988879B1 KR1020170102186A KR20170102186A KR101988879B1 KR 101988879 B1 KR101988879 B1 KR 101988879B1 KR 1020170102186 A KR1020170102186 A KR 1020170102186A KR 20170102186 A KR20170102186 A KR 20170102186A KR 101988879 B1 KR101988879 B1 KR 1019888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member
- slot groove
- groove
- locking protrusion
- slo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5—Locking by ro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부재의 단부를 슬롯홈의 내주면에 록킹 결합방식으로 결합시켜 교정용 와이어가 브라켓 몸체의 슬롯홈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교정용 와이어의 고정방식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액티브타입 또는 패시브타입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치아에 부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전면에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홈의 내측에 상기 교정용 와이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홈의 하측에 마련된 하부 전면의 좌,우 양측에 커버부재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브라켓 몸체와; 상기 브라켓 몸체의 하부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탄력적으로 휘어지며 외부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슬롯홈 내부로 진입 가능한 자유단이 되어 상기 타단부의 터치에 따른 외부 가압력에 따라 패시브 위치 또는 액치브 위치로 교번되게 회전 이동하여 제1,2록킹돌기에 선택적으로 록킹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브라켓 몸체 상부 전면에 형성된 제2록킹돌기보다 슬롯홈의 입구로부터 이격되도록 슬롯홈의 요입홈 측과 근접된 위치의 슬롯홈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록킹돌기와; 상기 제1록킹돌기보다 슬롯홈의 개구된 입구측과 근접된 위치의 슬롯홈 내주면에 상기 제1록킹돌기의 단부 길이보다 더 길게 돌출 형성되는 제2록킹돌기; 및 상기 커버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제1,2록킹돌기중 하나에 결합시 결합 위치를 선택하도록 상기 슬롯홈 내로 진입되는 커버부재의 타단부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ot groove by the locking coupling method, and the fixing method of the calibration wire in the state where the calibration wire is accommodated in the slot groove of the bracket body is an active type or a passive type as necessary. It relates to an orthodontic bracket with improved structure for selec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attached to the user's teeth; Slot groove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a calibration wire is inserted into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a recess groove is formed in the slot groove so as to allow movement of the calibration wire, and the lower front surface is provided below the slot groove. A bracket body having guide grooves into which one end of the cover member is fitt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One end is fixed to the guide groove formed on the lower front of the bracket body, the other end is elastically bent and becomes a free end that can enter the slot groove by an external pressing force, the passive posi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pressing force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other end Or a cover member which is selectively locked to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by alternately rotating in an actuated position; A first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ot groove at a position proximate to the concave groove side of the slot groov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let of the slot groove tha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body; A second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longer than an end lengt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ot groove closer to the opening inlet side of the slot groove tha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an angl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n angle of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to be entered into the slot groove so as to select a coupling position when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버부재의 단부를 슬롯홈의 내주면에 록킹 결합방식으로 결합시켜 교정용 와이어가 브라켓 몸체의 슬롯홈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교정용 와이어의 고정방식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액티브타입 또는 패시브타입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bracket, and in particular, the end of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ot groove in a locking coupling manner so that the user can fix the orthodontic wire in a state where the calibration wire is accommodated in the slot groove of the bracket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bracket having improved structure so that it can be selected as an active type or a passive type as needed.
일반적으로 치아의 불균일한 치열 상태 또는 부정교합(치아의 물림이 맞지 않는 상태)의 원인은 치아 자체의 발육이상, 턱뼈의 발육이상, 어릴 때 손가락을 빠는 등의 나쁜 습관, 또는 나쁜 식습관 등으로 인해 치아가 제자리에서 바르게 자라지 못하게 됨에서 기인한다.In general, the cause of uneven teeth or malocclusion (tooth bite misalignment) of teeth is due to bad habits such as abnormal teeth development, jawbone development, finger sucking in childhood, or bad eating habits. This is due to the inability of the teeth to grow properly in place.
인체의 구강 내에 존재하는 치아들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기형 요인에 의해서 치아 배열(tooth arrangement,치열)이 고르지 못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렇게 치열이 고르지 못한 상태를 부정교합(malocclusion)이라 하는데, 이러한 부정교합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외모에 악영향을 미치는 심미적인 문제와, 음식 섭취나 부정확한 발음의 언어 구사 등 기능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치열의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치과 치료 수단으로서 치열 교정기가 이용되고 있다.Teeth present in the oral cavity of the human body may have an uneven tooth arrangement due to a congenital or acquired malformation factor. This uneven state is called malocclusion, which leads to aesthetic problems that adversely affect the appearance of human life and to functional problems such as food intake or poorly spoken language. . Accordingly, orthodontics are used as a dental treatment means for correcting malocclusion of orthodontics.
종래 치열교정용 브라켓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7925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등록일자 : 2013.11.0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치아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갖는 부착패드; 상기 부착패드의 부착면 반대측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와이어삽입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삽입부재; 상기 와이어삽입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삽입슬롯의 개방측을 개폐하는 슬롯개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삽입부재는 상기 부착패드의 부착면 반대측에 일체로 이격 지지되고; 상기 슬롯개폐부재는 상기 와이어삽입부재의 외주에 동심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튜브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삽입슬롯에 대응하는 와이어삽입구가 전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327925 "Self-Ligation Orthodontic Bracket" (Registration Date: 2013.11.05), the attachment pad having an attachment surface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A wire insertion member positioned opposite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and having a wire insertion slo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slot opening / closing member which rotates relative to the wire insertion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open side of the wire insertion slot; The wire insertion member is integrally spaced apart from and opposite to an attachment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The slot opening and closing member has a tubular shap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re insertion member, the wire insertio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wire insertion slo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in the full length direction.
상기 선행기술은 슬롯에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슬롯개폐부재(커버부재)가 구비되어 있다.The prior art is provided with a slot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ver member)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wire in the slot.
기존 치과 교정용 브라켓의 다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6942호 "치과교정용 브라켓"(등록일자 : 2014.01.2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치아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제1결합편;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 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제2결합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편의 상부와 제2결합편의 상부 모두에는 돌기부 또는 함요부가 형성되거나, 제1결합편의 상부와 제2결합편의 상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함요부가 형성되는 것이다.Another prior art of the orthodontic bracket is disclos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356942 "Orthodontic Bracket" (registration date: 2014.01.22), the base portion attached to the tooth; A body portion formed on the base portion; A first coupling piece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a second coupling piece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wherein bo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piec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are provided with protrusions or recesses, or an upper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iece. Any on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iec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other one.
기존 치열교정용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를 고정하는 방식에 따라 패시브 타입(passive type)과 액티브(active type)타입으로 구분된다.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s are classified into passive type and active type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xing the orthodontic wire.
그런데, 액티브형 교정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가 슬롯홈 내에서 커버에 의해 고정되는 반면에, 패시브형 교정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가 커버가 결합된 슬롯홈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이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However, the active calibration bracket has a structural feature in which the calibration wire is fixed by the cover in the slot groove, while the passive calibration bracket is accommodated so that the calibration wire can flow freely in the slot groove to which the cover is coupled. Have
그런데, 사용자는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하기 전에 액티브형 또는 패시브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치아에 부착하게 되는 데, 사용자에 따라 액티브형이나 패시브형이 부적합하여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한 번 부착된 브라켓을 교체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active type or the passive type to attach the bracket to the tooth before attaching the bracket to the tooth. However, there is a concern that the user may experience discomfort due to the inappropriate type of the active type or the passive typ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bracket once attached.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커버부재의 단부를 슬롯홈의 내주면에 록킹 결합방식으로 결합시켜 교정용 와이어가 브라켓 몸체의 슬롯홈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교정용 와이어의 고정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is to combine the end of the cover member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ot groove in a locking coupling manner to correct the calibration wire is accommodated in the slot groove of the bracket body It is to provide an orthodontic bracket with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fixing method of the dragon wir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치아에 부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전면에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홈의 내측에 상기 교정용 와이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홈의 하측에 마련된 하부 전면의 좌,우 양측에 커버부재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브라켓 몸체와; 상기 브라켓 몸체의 하부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탄력적으로 휘어지며 외부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슬롯홈 내부로 진입 가능한 자유단이 되어 상기 타단부의 터치에 따른 외부 가압력에 따라 패시브 위치 또는 액치브 위치로 교번되게 회전 이동하여 제1,2록킹돌기에 선택적으로 록킹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브라켓 몸체 상부 전면에 형성된 제2록킹돌기보다 슬롯홈의 입구로부터 이격되도록 슬롯홈의 요입홈 측과 근접된 위치의 슬롯홈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록킹돌기와; 상기 제1록킹돌기보다 슬롯홈의 개구된 입구측과 근접된 위치의 슬롯홈 내주면에 상기 제1록킹돌기의 단부 길이보다 더 길게 돌출 형성되는 제2록킹돌기; 및 상기 커버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제1,2록킹돌기중 하나에 결합시 결합 위치를 선택하도록 상기 슬롯홈 내로 진입되는 커버부재의 타단부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슬롯홈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타단부가 상기 제1록킹돌기에 접촉되어 지지될 경우 상기 교정용 와이어에 접촉되고 타단부측으로 꺾여지는 변곡부와 상기 변곡부로부터 연장되고 외부 가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슬롯홈 내측으로 휘어져 상기 제1,2록킹돌기 중 하나에 접촉되도록 자유단이 되는 타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se portion attached to the user's teeth; Slot groove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a calibration wire is inserted into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a recess groove is formed in the slot groove so as to allow movement of the calibration wire, and the lower front surface is provided below the slot groove. A bracket body having guide grooves into which one end of the cover member is fitt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One end is fixed to the guide groove formed on the lower front of the bracket body, the other end is elastically bent and becomes a free end that can enter the slot groove by an external pressing force, the passive posi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pressing force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other end Or a cover member which is selectively locked to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by alternately rotating in an actuated position; A first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ot groove at a position proximate to the concave groove side of the slot groov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let of the slot groove tha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body; A second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longer than an end lengt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ot groove closer to the opening inlet side of the slot groove tha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an angl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n angle of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which is entered into the slot groove to select a coupling position when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The member has one end portion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coupled to the guide groove, the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one end portion and inclined into the slot groove,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calibration wire when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inflection portion bent to the other end sid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from the inflection portion and the free end to be bent into the slot groove in contact wit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jections as the external pressing force is transmitted.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요입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교정용 와이어에 접촉되며, 상기 교정용 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 가압력에 의해 수축되고, 상기 외부 가압력이 해소될 경우 복원되어 상기 교정용 와이어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이다.The angle adjusting means is disposed in the concave groove, is in contact with the calibration wire, contracted by the external press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calibration wire, and restored when the external pressing force is released to restore the original calibration wire. I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for returning to the position.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제1록킹돌기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슬롯홈의 내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타단부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 가압력에 의해 부피가 축소되고, 외부 가압력이 해소될 경우 복원되면서 상기 커버부재의 타단부를 제2록킹돌기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부여하는 탄성지지재가 더 구비된다The angle adjusting means i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ot groove located inward than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and the volume is reduced by the external press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and restored when the external pressing force is solved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support for imparting a force for pushing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towar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side.
상기 커버부재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The cover memb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상기 가이드홈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이다.The guid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가이드홈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와, 상기 커버부재의 타단부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에 간섭되는 제2걸림돌기로 구성된다.Further comprising a separation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over member from being separ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guide groove,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are respectively formed to protrude inwar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groove facing each other; The second end of the cover member protrudes to the outside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consists of a second locking projection which interferes with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2록킹돌기에 지지된 커버부재의 타단부를 한번 누르게 되면 커버부재의 타단부가 제2록킹돌기로부터 분리되면서 슬롯홈의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제1록킹돌기에 지지되고, 다시 가압력을 커버부재의 타단부에 전달하게 되면 제1록킹돌기에 지지된 커버부재의 타단부가 분리되면서 제2록킹돌기에 지지되는 2버튼 타입으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커버부재의 타단부를 터치하는 횟수에 따라 제1,2록킹돌기 중 하나에 지지되어 커버부재의 타단부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치아 교정시 커버부재의 타단부가 액티브 또는 패시브 타입으로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supported by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once,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while being rotated inside the slot groove and supported b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When the press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supported b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is separated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a two-button type supported by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t is supported b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jec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o touch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can be adjusted, and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can be selectively adjusted to the active or passive type during orthodontic teeth, the user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또한, 본 발명의 제1,2록킹돌기는 브라켓 몸체의 상부 전면과 연결되는 슬롯홈의 일측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제1록킹돌기의 단부는 커버부재의 타단부 각도 전환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라운드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록킹돌기의 단부 길이가 상기 제1록킹돌기의 단부 길이보다 더 길게 내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커버부재의 타단부가 슬롯홈의 외측으로 회전하는 중에 제1록킹돌기의 단부에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외부 가압력에 의한 커버부재의 타단부 회전시 커버부재의 타단부가 제2록킹돌기측으로 용이하게 회전되어 액티브 타입에서 패시브타입으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je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ot groove connected to the upper front of the bracket body, the end of the first locking projections to minimize interference when switching the other end angle of the cover member It is formed in a rounded structure, and as the end length of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protrudes inward longer than the end length of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the first locking while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is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slot groove When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is rotated by the external pressing force while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the end of the protrusion,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is easily rotated to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side,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switched from the active type to the passive type.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커버부재의 타단부가 제1록킹돌기에 지지되는 액티브 위치에서 탄성지지재의 복원력이 더해짐에 따라 제2록킹돌기에 지지되는 패시브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되므로,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액티브 또는 패시브 타입으로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ver member is easily moved from the active position supported b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to the passive position supported by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s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upport member is added, Accordingly, it can be easily switched to the active or passive type has the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커버부재의 타단부가 액티브 위치에서 패시브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커버부재의 타단부가 패시브 위치에서 액티브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버부재가 브라켓 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이탈방지수단을 나타낸 도면.1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moved from the active position to the passive position.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quentially moved from the passive position to the active posi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bracket body.
5 is a view showing the departure-avoidanc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의 치아에 부착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전면에 교정용 와이어(50)가 삽입되는 슬롯홈(230)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홈(230)의 내측에 상기 교정용 와이어(5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요입홈(231)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홈(230)의 하측에 마련된 하부 전면(220)의 좌,우 양측에 커버부재(300)의 일단부(310)가 끼워지는 가이드홈(221)이 형성된 브라켓 몸체(200)와; 상기 브라켓 몸체(200)의 하부 전면(2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1)에 일단부(310)가 고정되고 타단부(330)가 탄력적으로 휘어지며 외부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슬롯홈(230) 내부로 진입 가능한 자유단이 되어 상기 타단부(330)의 터치에 따른 외부 가압력에 따라 패시브 위치 또는 액치브 위치로 교번되게 회전 이동하여 제1,2록킹돌기(410,420)에 선택적으로 록킹 결합되는 커버부재(300)와; 상기 브라켓 몸체(200) 상부 전면(210)에 형성된 제2록킹돌기(420)보다 슬롯홈(230)의 입구로부터 이격되도록 슬롯홈(230)의 요입홈(231) 측과 근접된 위치의 슬롯홈(230)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록킹돌기(410)와; 상기 제1록킹돌기(410)보다 슬롯홈(230)의 개구된 입구측과 근접된 위치의 슬롯홈(230) 내주면에 상기 제1록킹돌기(410)의 단부 길이보다 더 길게 돌출 형성되는 제2록킹돌기(420); 및 상기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상기 제1,2록킹돌기(410,420)중 하나에 결합시 결합 위치를 선택하도록 상기 슬롯홈(230) 내로 진입되는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다.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후면이 사용자의 치아(T)에 달라붙도록 부착되고, 전면에 브라켓 몸체(200)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1, the
상기 브라켓 몸체(200)는 전면에 교정용 와이어(50)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요홈 형태의 슬롯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은 상기 슬롯홈(230)을 기준으로 상부 전면(210)과 하부 전면(220)로 구분된다.The
상기 커버부재(300)는 일단부(310)가 브라켓 몸체(200)의 하부 전면(22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330)가 자유단이 되어 상기 슬롯홈(230) 내로 진입되도록 탄력적으로 휘어짐이 가능하며 외부 가압력에 의해 슬롯홈(230) 내부로 진입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The
상기 커버부재(30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부(310)가 상기 굴곡진 브라켓 몸체(200)의 하부 전면(220)에 고정되고, 타단부(330)가 슬롯홈(230)의 입구측으로 진입되어 슬롯홈(230)에 수용된 교정용 와이어(50)에 접촉되도록 휘어지며 타단이 상기 제1,2록킹돌기(410,420) 중 하나에 끼워지도록 꺽여진 구조로 형성된다.The
즉,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브라켓 몸체(200)의 하부 전면(220)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221)에 끼워져 결합되는 일단부(310)와, 상기 일단부(3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슬롯홈(230)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21)을 가지며 타단부(330)가 상기 제1록킹돌기(410)에 접촉되어 지지될 경우 상기 교정용 와이어(50)에 접촉되고 타단부(330)측으로 꺾여지는 변곡부(320)와, 상기 변곡부(320)로부터 연장되고 외부 가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슬롯홈(230) 내측으로 휘어져 상기 제1,2록킹돌기(410,420) 중 하나에 접촉되도록 자유단이 되는 타단부(330)로 구성된다.That is, the
상기 가이드홈(221)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구조로서, 커버부재(300)의 진입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The
상기 제1록킹돌기(410)는 상기 브라켓 몸체(200) 상부 전면(210)측에 형성된 제2록킹돌기(420)보다 슬롯홈(230)의 입구로부터 이격되어 슬롯홈(230)의 요입홈(231) 측과 근접된 위치의 슬롯홈(230)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록킹돌기(420)는 상기 제1록킹돌기(410)보다 슬롯홈(230)의 개구된 입구측과 근접된 위치의 슬롯홈(230)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록킹돌기(420)의 단부 길이(L1)가 상기 제1록킹돌기(410)의 단부 길이보다 더 길게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More preferably, the end length L1 of the
이로 인해 상기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제1록킹돌기(410)로부터 분리되어 외측으로 회전하는 중에 제2록킹돌기(420)의 단부에 접촉되어 제2록킹돌기(420)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As a result,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록킹돌기(410)의 단부는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 각도 전환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접촉되는 부위 면적을 줄이기 위해 라운드진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Preferably, the end of the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2록킹돌기(420)에 지지된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를 한번 누르게 되면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제2록킹돌기(420)로부터 분리되면서 슬롯홈(230)의 내측으로 회전 이동되면서 제1록킹돌기(410)에 지지되고, 다시 가압력을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에 전달하게 되면 제1록킹돌기(410)에 지지된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분리되면서 제2록킹돌기(420)에 지지되는 2버튼 타입으로 교번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한편, 본 발명의 제1,2록킹돌기(410,420)는 커버부재(300)의 타단부를 액티브 또는 패시브 위치에 따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제1,2록킹돌기(410,420) 대신에 슬롯홈(230)의 내측면에 커버부재(300)의 타단부가 끼워지는 제1,2록킹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슬롯홈(230)의 요입홈(231) 내에 배치되고, 상기 교정용 와이어(50)에 접촉되며, 상기 교정용 와이어(50)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 가압력에 의해 수축되고, 상기 외부 가압력이 해소될 경우 복원되어 상기 교정용 와이어(5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510)가 구비된 것이다.The angle adjusting means is disposed in the
상기 탄성부재(510)는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 및 교정용 와이어(50)를 통해 외부 가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부피가 수축되면서 교정용 와이어(50)가 슬롯홈(230)의 요입홈(231)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슬롯홈(230)의 요입홈(231) 측으로 더 회전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형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상기 탄성부재(510)는 일 예로 스프링을 채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재(510)는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제1록킹돌기(410)에 지지되는 액티브 위치에서 제2록킹돌기(420)에 지지되는 패시브 위치로 회전되는 중에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를 제1록킹돌기(410)로부터 일시적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가압하는 힘이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를 통해 탄성재에 전달됨에 따라 부피가 축소되면서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 각도가 슬롯홈(230)의 요입홈(231) 측으로 더 젖혀지도록 함으로써,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제1록킹돌기(410)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s a result, the
즉,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탄성재에 접촉되고 가압됨에 따라 탄성부재(510)가 수축되면서 부피가 축소되고 탄성부재(510)의 부피 축소량만큼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슬롯홈(230)의 요입홈(231) 측으로 더 진입되면서 제1록킹돌기(410)로부터 분리되고, 이후에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가압력이 해소됨에 따라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제2록킹돌기(420)에 간섭되도록 지지된다. That is, as the
상기 커버부재(300)는 타단부(330)측에 슬롯홈(230)의 외측에서 사선방향으로 외부 가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제1,2록킹돌기(410,420)로부터 분리되고, 가압력이 해소됨에 따라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다.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300)가 상기 가이드홈(221)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6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이탈방지수단(600)은 상기 가이드홈(221)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610)와, 상기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610)에 간섭되는 제2걸림돌기(620)로 구성된다.4 and 5,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ng means 600 which prevents the
상기 제1걸림돌기(610)는 커버부재(300)의 하측 이동시 커버부재의 타단부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620)에 간섭되어 커버부재(300)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first catching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탈방지수단(600)은 커버부재(300)가 가이드홈(221)의 하측으로 빠져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Accordingly,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면에 브라켓 몸체(200)가 결합된 베이스부(100)를 각각의 치아에 부착시키고 브라켓 몸체(200)의 전면에 요홈지게 형성된 슬롯홈(230)에 교정용 와이어(50)를 진입시켜 수용시킨 후에, 커버부재(300)의 일단부(310)를 각각의 브라켓 몸체(200)의 하부 전면(2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1)에 끼워서 결합시키고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를 슬롯홈(230)의 내측으로 진입시켜 제1,2록킹돌기(410,42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킨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이때,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는 제1,2록킹돌기(410,420)의 단부 중 하나에 접촉되어 간섭되도록 지지되는 구조로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제1록킹돌기(410)에 지지되도록 결합될 경우,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교정용 와이어(50)에 접촉되면서 슬롯홈(230) 내에서의 교정용 와이어(50)의 유동을 억제시키는 액티브 타입으로 교정용 와이어(50)가 고정된다.When the
이와 반대로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제2록킹돌기(420)에 지지되도록 결합될 경우에는,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슬롯홈(230)의 입구를 폐쇄하면서 슬롯홈(230) 내에서의 교정용 와이어(50)의 유동이 가능한 패시브 타입으로 결합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커버부재의 타단부가 액티브 위치에서 패시브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를 액티브 위치에서 패시브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의 외측에서 가압력을 전달하도록 터치하면, 도 2a에서와 같이 제1록킹돌기(410)에 지지된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교정용 와이어(50)를 통해 가압력이 탄성부재(510)에 전달되어 탄성부재(510)가 수축되고, 탄성부재(510)의 수축된 변위만큼 교정용 와이어(50)가 슬롯홈(230)의 요입홈(231) 내로 진입되어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회전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생기게 되며, 커버부재(300)의 타단부가 제1록킹돌기(410)로부터 분리된다.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sequentially moving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from the active position to the passive position. The
이후에, 앞서 제1록킹돌기(410)로 분리되었던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에 가압력을 해소하게 되면, 도 2b에서와 같이, 수축되어 있던 탄성부재(510)가 원래 부피로 복원되면서 복귀동작되는 교정용 와이어(50)를 매개로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를 외측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외측으로 회전되는 힘에 의해 제1록킹돌기(410)의 단부를 통과한 후에 제2록킹돌기(420)에 걸려 지지된다.Subsequently,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to the
또한, 도 2b에서와 같이 제2록킹돌기(420)에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지지될 경우, 커버부재(300)의 타단부가 교정용 와이어(50)에 접촉되지 않고 교정용 와이어(50)가 슬롯홈(230) 내에서 유동 가능한 패시브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패시브 위치에서 액티브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를 패시브 위치에서 액티브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의 외측에서 가압력을 전달하도록 터치하면, 도 3a에서와 같이 제2록킹돌기(420)에 지지되어 있던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제2록킹돌기(420)로부터 분리되어 변곡부(320)가 교정용 와이어(50)에 접촉되면서 교정용 와이어(50)를 요입홈(231) 내로 진입시키게 된다.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sequentially moving the
이때, 교정용 와이어(50)로 전달된 가압력은 탄성부재(510)를 수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to the
이후에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는 가압력이 해소됨에 따라,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록킹돌기(410)측으로 회전되면서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제1록킹돌기(410)에 지지되어 액티브위치에 위치하게 된다.Thereafter, as the
이때,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액티브 위치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커버부재(300)의 변곡부(320)는 교정용 와이어(50)에 접촉되어 교정용 와이어(50)의 슬롯홈(230) 내 유동을 억제하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이후에,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를 한번 더 가압력을 전달하도록 터치시 제1록킹돌기(410)에 지지된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다시 제2록킹돌기(420)측으로 회전되는 동작방식을 갖는다.Subsequently, the
또한, 상기한 제1록킹돌기(410)의 단부가 간섭되지 않도록 라운드진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 회전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end of the
이때, 탄성부재(510)는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제1록킹돌기(4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되는 중에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를 통해 외부 가압력이 교정용 와이어(50)를 통해 탄성부재(510)측으로 전달됨에 따라, 전달된 외부 가압력에 의해 탄성부재(510)의 부피가 축소되면서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회전 가능한 공간을 만들어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후, 탄성부재(510)는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를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이 해소될 경우, 원래 부피로 복원되는 특성을 갖는다.Thereafter,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를 터치하는 횟수에 따라 제1,2록킹돌기(410,420) 중 하나에 지지되어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치아 교정시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액티브 또는 패시브 타입으로 선택적으로 교번되게 회전 이동하여 조절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of cours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50 : 교정용 와이어 100 : 베이스부
200 : 브라켓 몸체 210 : 상부 전면
220 : 하부 전면 221 : 가이드홈
230 : 슬롯홈 231 : 요입홈
300 : 커버부재 310 : 일단부
320 : 변곡부 321 : 경사면
330 : 타단부 410 : 제1록킹돌기
420 : 제2록킹돌기 510 : 탄성부재
600 : 이탈방지수단 610 : 제1걸림돌기
620 : 제2걸림돌기50: calibration wire 100: base portion
200: bracket body 210: upper front
220: lower front 221: guide groove
230: slot groove 231: recessed groove
300: cover member 310: one end
320: inflection portion 321: inclined surface
330: other end 410: first locking protrusion
420: second locking projection 510: elastic member
600: departure prevention means 610: first locking projection
620: second jamming projection
Claims (5)
상기 베이스부(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전면에 교정용 와이어(50)가 삽입되는 슬롯홈(230)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홈(230)의 내측에 상기 교정용 와이어(5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요입홈(231)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홈(230)의 하측에 마련된 하부 전면(220)의 좌,우 양측에 커버부재(300)의 일단부(310)가 끼워지는 가이드홈(221)이 형성된 브라켓 몸체(200)와;
상기 브라켓 몸체(200)의 하부 전면(2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1)에 일단부(310)가 고정되고 타단부(330)가 탄력적으로 휘어지며 외부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슬롯홈(230) 내부로 진입 가능한 자유단이 되어 상기 타단부(330)의 터치에 따른 외부 가압력에 따라 패시브 위치 또는 액티브 위치로 교번되게 회전 이동하여 제1,2록킹돌기(410,420)에 선택적으로 록킹 결합되는 커버부재(300)와;
상기 브라켓 몸체(200) 상부 전면(210)에 형성된 제2록킹돌기(420)보다 슬롯홈(230)의 입구로부터 이격되도록 슬롯홈(230)의 요입홈(231) 측과 근접된 위치의 슬롯홈(230)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록킹돌기(410)와;
상기 제1록킹돌기(410)보다 슬롯홈(230)의 개구된 입구측과 근접된 위치의 슬롯홈(230) 내주면에 상기 제1록킹돌기(410)의 단부 길이보다 더 길게 돌출 형성되는 제2록킹돌기(420); 및
상기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가 상기 제1,2록킹돌기(410,420)중 하나에 결합시 결합 위치를 선택하도록 상기 슬롯홈(230) 내로 진입되는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가이드홈(221)에 끼워져 결합되는 일단부(310)와, 상기 일단부(3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슬롯홈(230)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21)을 가지며 타단부(330)가 상기 제1록킹돌기(410)에 접촉되어 지지될 경우 상기 교정용 와이어(50)에 접촉되고 타단부(330)측으로 꺾여지는 변곡부(320)와 상기 변곡부(320)로부터 연장되고 외부 가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슬롯홈(230) 내측으로 휘어져 상기 제1,2록킹돌기(410,420) 중 하나에 접촉되도록 자유단이 되는 타단부(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A base portion 100 attached to the user's teeth;
The slot groove 23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0 and the calibration wire 50 is inserted in the front surface, and the calibration wire 50 is movable inside the slot groove 230. A guide groove 221 is formed so that the recess groove 231 is formed and the one end 310 of the cover member 300 is fitt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front surface 220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slot groove 230. A formed bracket body 200;
One end portion 310 is fixed to the guide groove 221 formed on the lower front surface 220 of the bracket body 200, and the other end portion 330 is elastically bent and moved into the slot groove 230 by an external pressing force. The cover member 300 which is a freely accessible end and is selectively locked to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410 and 420 by alternately rotating to move to a passive position or an active posi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touch of the other end 330. )Wow;
The slot groove of the position closer to the inlet groove 231 side of the slot groove 23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let of the slot groove 230 tha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4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210 of the bracket body 200. 230, a first locking protrusion 410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rounded at an end thereof;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longer than an end lengt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410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ot groove 230 at a position closer to the opened inlet side of the slot groove 230 tha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410. Locking protrusion 420; And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300 is entered into the slot groove 230 to select a coupling position when the other end 330 of the cover member 300 is coupl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410 and 420. 330, the angl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angle; includes,
The cover member 300 has one end portion 310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guide groove 221 and an inclined surface 321 extending from the one end portion 310 and inclined into the slot groove 230. When the end 330 is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410, the inflexion part 320 and the inflection part 320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calibration wire 50 and are bent toward the other end 330.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other end 330 is extended to the outside and the free end to be in contact wit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jections (410,420) as the external press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lot groove (230) .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요입홈(231)내에 배치되고, 상기 교정용 와이어(50)에 접촉되며, 상기 교정용 와이어(50)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 가압력에 의해 수축되고, 상기 외부 가압력이 해소될 경우 복원되어 상기 교정용 와이어(5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5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gle adjusting means is disposed in the concave groove 231, is in contact with the calibration wire 50, is contracted by an external press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calibration wire 50, the external pressing force is to be eliminated If restored, the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510) for returning the orthodontic wire (50)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커버부재(30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member 300 is an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상기 가이드홈(221)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groove 221 is orthodontic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are formed.
상기 커버부재(300)가 상기 가이드홈(221)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6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이탈방지수단(600)은 상기 가이드홈(221)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610)와,
상기 커버부재(300)의 타단부(330)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610)에 간섭되는 제2걸림돌기(6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member 3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departure prevention means 600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from the lower side of the guide groove 221,
The detachment preventing means 600 and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s 610 are formed to protrude inwar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groove 221 facing each other, and
Orthodontic brack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ver member 300,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s 620 protruding outwar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interfere with the first locking projections (6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2186A KR101988879B1 (en) | 2017-08-11 | 2017-08-11 | bracket for orthodontic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2186A KR101988879B1 (en) | 2017-08-11 | 2017-08-11 | bracket for orthodontic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7390A KR20190017390A (en) | 2019-02-20 |
KR101988879B1 true KR101988879B1 (en) | 2019-09-30 |
Family
ID=6556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2186A KR101988879B1 (en) | 2017-08-11 | 2017-08-11 | bracket for orthodontic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887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9805B1 (en) * | 2019-09-09 | 2021-01-29 | 주식회사 디오 | orthodontic digital turbo bracke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03305A (en) * | 1996-11-12 | 2001-03-13 | ヴードーリス,ジョン,シー. | Orthodontic bracket |
JP2001104340A (en) | 1999-10-08 | 2001-04-17 | Tomii Kk | Orthodontic bracket and tool therefor |
JP2015531303A (en) * | 2012-10-09 | 2015-11-02 |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7925B1 (en) | 2011-12-20 | 2013-11-13 | 김미경 | Self-ligating lingual bracket |
KR101356942B1 (en) | 2012-08-21 | 2014-01-29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Orthodontic bracket |
US9943383B2 (en) * | 2014-12-19 | 2018-04-17 | Ormco Corporation | Biased pivoting slide orthodontic bracket |
-
2017
- 2017-08-11 KR KR1020170102186A patent/KR10198887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03305A (en) * | 1996-11-12 | 2001-03-13 | ヴードーリス,ジョン,シー. | Orthodontic bracket |
JP2001104340A (en) | 1999-10-08 | 2001-04-17 | Tomii Kk | Orthodontic bracket and tool therefor |
JP2015531303A (en) * | 2012-10-09 | 2015-11-02 |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7390A (en) | 2019-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3239B1 (en) | Self Ligature Bracket for Orthodontics | |
JP2007319693A (en) | Self-ligating bracket and use of the bracket in orthodontics operation | |
US11617634B2 (en) | Orthodontic bracket having ligating member | |
KR102455441B1 (en) | slide typ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with interchangeable wire seating block | |
JP2018516693A (en) | Self-ligating bracket | |
KR101988879B1 (en) | bracket for orthodontics | |
KR102605863B1 (en) | Self-ligating bracket with ligation member | |
US8932053B2 (en) | Assembly formed by a bracket, a clip and a base for an orthodontic apparatus, and orthodontic apparatus comprising same | |
JP2023551941A (en) |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 |
WO2017104690A1 (en) | Lens holder and injector for intraocular lens | |
KR101538007B1 (en) | Bracket for othodontic treatment | |
TWI782296B (en) | Orthodontic bracket | |
US12127908B2 (en) | Self-ligating bracket for orthodontics | |
KR102366596B1 (en) | orthodontic bracket | |
WO2023241619A1 (en) | Orthodontic apparatus | |
KR20180024258A (en) | Device for preventing thumb sucking | |
CN212547220U (en) | Orthodontic appliance | |
KR101698126B1 (en) | Self Ligature Bracket for Orthodontics | |
KR102552734B1 (en) |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 |
CN113349962A (en) | Orthodontic appliance | |
KR102450201B1 (en) | Dental Orthodontic Bracket | |
CN210144772U (en) | Dental correcting device | |
CN221470021U (en) | Shell-shaped dental instrument | |
KR20240057774A (en) | dental braces | |
JP2019529005A (en) |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coplanar sp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