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322B1 - defibril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defibrill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9322B1 KR101859322B1 KR1020170032280A KR20170032280A KR101859322B1 KR 101859322 B1 KR101859322 B1 KR 101859322B1 KR 1020170032280 A KR1020170032280 A KR 1020170032280A KR 20170032280 A KR20170032280 A KR 20170032280A KR 101859322 B1 KR101859322 B1 KR 1018593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fibrillation
- unit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power inpu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8000003663 ventricular fibrill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47302 ventricular tachycard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0496 Heart Arres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193 Accelerated Idioventricular Rhyth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281 Ventricular arrhyth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80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321 poly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5—Heart defibrillators for treating atrial fibrillation
-
- A61B5/0402—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75—Power supp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 G06F19/3418—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세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에 제세동 기능을 결합하여 환자가 휴대하면서 응급시 제세동 기능을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제세동 기능을 구비한 제세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ibrill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ibrillation system having a defibrillation function by which a defibrillation function is combin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a patient can carry the defibrillation function directly in an emergency while carrying the patient.
자동제세동기는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으로 심정지가 되어 있는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의 정상 리듬을 가져오게 해주는 도구로, 의학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The automatic defibrillator is a device that allows the patient to be shocked by cardiac arrest due to ventricular fibrillation or ventricular tachycardia to bring the normal rhythm of the heart.
이미 선진국에서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에 자동제세동기를 비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많은 심정지 환자들의 생존율이 극적으로 증가한 것이 많은 연구에서 밝혀져 있다. 국내에서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의해 공공보건의료기관, 구급차, 여객 항공기 및 공항, 철도객차, 20톤 이상의 선박, 다중이용시설에 자동제세동기의 설치가 의무화되었다.In many developed countries, there is an automatic defibrillator in a public place where many people gather, and it has been revealed in many studies that the survival rate of many cardiac arrest patients has dramatically increased. In Korea, according to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automatic defibrillators have been installed in public health medical institutions, ambulances, passenger aircrafts, airports, railway coaches, ships of 20 tons or more, and multiple use facilities.
[선행기술조사문헌][Prior art research literature]
KR 10-2015-0057374KR 10-2015-005737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통신 단말에 제세동 기능을 결합하여 환자가 휴대하면서 응급시 제세동 기능을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제세동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제세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상전이 없는 바다, 산 등의 야외에서 비상시 응급상황에서도 전력의 부족함 없이 작동되는 제세동 시스템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efibrillation function that can directly use a defibrillation function in an emergency while a patient is portable by combining a defibrillation fun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fibrillation system using the same. In particular, it provides a defibrillation system that operates without any power shortage even in emergencies in emergencies such as sea and mountains without phase tran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세동 기능 보조배터리 시스템은 인터페이스부에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직렬 결합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장치에 연결되는 제세동 패치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어 제세동 신호를 제어하는 제세동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보조 배터리 직렬 결합 장치는 여러 다양한 종류의 보조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는 장치로, 보다 높은 전압를 얻을 수 있어 전력의 문제 없이 제세동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The defibrillation-assisted auxiliary batt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fibrillation patch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and a defibrillation patch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control a defibrillation signal, Control applications. The auxiliary battery series coupling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various kinds of auxiliary batteries in series, so that a higher voltage can be obtained, so that the defibrillation device can be driven without power problems.
제세동 패치는 제세동 전극들을 포함하고, 제세동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로 제세동 쇼크를 생성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The defibrillation patch includes defibrillation electrodes and a defibrillation control application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generate a defibrillation shock with the electrical energy of the auxiliary battery.
제세동 패치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ECG)) 전극들 및 제세동 전극들을 포함하며, 어플리케이션은 심전도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분석하고, 전원 공급부의 전원에 따라 최적의 제세동 충격을 생성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defibrillation patch includes electrocardiogram (ECG) electrodes and defibrillation electrodes, and the application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receive and analyze an electrocardiogram sensing signal and generate an optimal defibrillation shock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s power supply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세동 기능 보조배터리 시스템은 상시 휴대하는 보조배터리와 휴대 단말기에 패치를 연결하여 상전이 없는 야외의 응급상황에서도 제세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환자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The defibrillation function auxiliary batt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nect the patches to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portable terminal, which are always carried, to enable defibrillation even in an emergency in an outdoors-free outdoor environment, thereby increasing the survival rate of the patient.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세동 인터페이스부 내부에 있는 전원 공급부의 직류연결 시스템과, 주요 구성요소들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각 부분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상세도이다.
도 4는 전원 입력포트의 구조와 배터리의 출력 단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전원입력포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DC connection system of a power supply unit and main components of the defibrillation interfac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each part.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wer input port and the structur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5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wer input port.
본 발명에서의 제세동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30)은 도 1에서와 같이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 전자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1,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부 를 구성하는 전원공급부의 직류연결 시스템과, 주요 구성요소들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DC connection system of a power supply unit constituting the interfac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jor components thereof.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세동 실행부(10)는 패치(11)와 커넥터(12)를 포함하고, 패치(11)는 커넥터(12)를 통해 제세동 인터페이스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세동 인터페이스부(20)는 이동 통신 단말(30)의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세동 충격을 생성하여 제세동 실행부에 제세동 충격을 공급한다. 이 때, 전원은 제세동 인터페이스부(20)의 전원입력포트(22)에 연결된 보조 배터리(23)로, 통상의 보조배터리가 연결될 수 있다. 전원입력포트(22)에 연결된 보조 배터리(23)들은 보조배터리 상호간 직렬로 연결되며, 이러한 직렬 연결에 의해 통상의 보조배터리의 전압(약 5V)을 상회하는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1, the defibrillation implemen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2는 본 발명의 제세동 인터페이스부(20)를 구성하는 전원 공급부(21)의 직류연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 각각의 다른 전극을 연결하여 전압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보조 배터리(23)의 1개의 극성(예를 들어, +극)이 인접한 다른 보조배터리(23)의 다른 극(예를 들어, -극)에 연결되는 상태로, 상호 연결됨으로써 전원 공급부 전체의 전압은 전원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보조 배터리(23)들 각각의 전압의 합이 된다. 이 도면에서는 5개의 포트를 가진 전원 공급부에 4개의 보조배터리(23)만 연결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direct current connection system of the
도 3은 각 부분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상세도이다.3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each part.
보조 배터리(23)의 정격전압은 통상적으로 5V인 경우가 많지만, 제세동기의 정격전압은 제세동기의 기종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제세동기의 정격전압에 따라 직렬로 연결할 보조 배터리(23)의 수를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원공급부(21)는 연결할 보조 배터리(23) 수만큼의 전원입력포트(22)를 가진다.The rated voltage of the
예를 들어, 제세동기의 정격전압이 15V인 경우, 전원공급부(21)는 하나의 정격전압이 5V인 보조 배터리(23) 3개를 직렬 연결할 수 있도록 3개의 전원입력포트(22)를 가진다. 제세동기의 정격전압이 20V인 경우, 동일한 원리로 4개의 전원입력포트(22)를 가진다. For example, when the rated voltage of the defibrillator is 15V, the
상기와 같이, 전원공급부(21)는 필요한 제세동기의 정격전압에 따라 전원입력포트(22)의 수를 자유롭게 가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다만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제세동기의 정격전압에 따라 전원입력포트(22)의 수를 가감하는 전원공급부(21)로 제세동기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면, 전원공급부(21)가 제세동기의 정격전압의 크기에 따라 전원입력포트(22)의 수를 달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However, if power is supplied to the defibrillator by the
도 4는 전원 입력포트의 구조와 배터리의 출력 단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wer input port and the structur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도 5는 전원입력포트(22)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세도로서, 상기의 불편함을 해결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Fig. 5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전원입력포트(22)는 보조 배터리(23)의 출력단자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원입력포트(22)의 양극(+극) 단자와 음극(-극)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보조 배터리(23)의 출력단자가 삽입되는 경우 전원입력포트의 양극(+극) 단자와 음극(-극) 단자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The
상기 이러한 구조의 전원입력포트(22)는, 전원입력포트의 개구부 반대편에 인접한 전원입력포트(22)의 측면부의 구멍에 일단이 탄성체(41)와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이 한 쪽으로 경사지게 가공된 돌기부(42)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41)는 스프링과 같은 부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도체이다. 상기 돌기부(42)는 전기가 통하는 전도체이며 구리와 같은 금속일 수 있다. The
보조 배터리 출력단자가 전원입력포트(22)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탄성체(41)의 탄성에 의해 돌기부(42)가 상기 측면부의 구멍 밖으로 돌출된다. 보조 배터리(23)의 출력단자(43)가 전원입력포트(22)에 삽입이 될 경우 상기 출력단자(43)가 상기 돌기부(42)의 경사면과 접촉하게 되고 삽입이 계속 진행될 경우 출력단자(43)가 상기 돌기부(4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돌기부(42)를 상기 구멍 안쪽 방향으로 밀게 되는데, 이러한 미는 힘으로 상기 돌기부(42)는 상기 탄성체(4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구멍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auxiliary battery output terminal is not inserted into the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입력포트(22)의 양극(+극)은 전원입력포트(22)의 개구부의 반대편 중앙에 위치하며, 전원입력포트(22)의 음극(-극)은 전원입력포트(22)의 측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양극과 음극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상기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는 전원입력포트(22) 부분은 모두 전기가 통하는 전도체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sitive (+) pole of the
또한 일 실시예의 의하면, 상기 전원입력포트(22)에 연결되는 배터리의 출력단자는 상기 출력단자의 측면부가 음극(-극)으로 되어 있고, 상기 출력단자의 중앙부는 양극(+극)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양극과 음극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상기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는 상기 출력단자 부분은 모두 전기가 통하는 전도체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connected to the
보조 배터리의 출력단자가 전원입력포트(22)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측면부의 구멍 밖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전원입력포트(22)의 양극(+극)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전원입력포트(22)의 양극(+극)과 음극(-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Wh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auxiliary battery is not inserted into the
보조 배터리의 출력단자가 전원입력포트(22)에 삽입되는 경우 출력단자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돌기부가 구멍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전원입력포트(22)의 양극(+극)과 음극(-극)은 전기적으로 차단되게 되고, 대신 상기 전원입력포트(22)의 음극과 상기 출력단자의 음극이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전원입력포트(22)의 양극과 상기 출력단자의 양극이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Wh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auxiliary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상기의 구조에 의해, 가령 하나 또는 복수의 보조 배터리(23)의 출력단자를 전원입력포트(22)에 삽입하지 않더라도 상기 전원입력포트(22)의 양극과 음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입력포트(22)에 삽입되어 있는 나머지 모든 보조 배터리(23)는 직렬로 연결되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even if the output terminal of one or more
또한 상기의 구조에 의해, 복수의 보조 배터리(23)의 출력단자가 모두 상기 모든 전원입력포트(22)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든 전원입력포트(22)의 양극과 음극이 전기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전원입력포트(22)에 삽입된 모든 복수의 보조 배터리(23)들은 역시 직렬로 연결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all the output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상기 구조로 인해, 제세동기의 정격전압에 따라 전원공급부(21)의 전원입력포트(22)의 수를 가감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고, 가령 전원입력포트(22) 수를 5개 정도 가진 전원공급부(21) 하나 만으로 정격전압 25V 이하의 모든 제세동기들에 적용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함이 있게 된다. This structure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increasing / decreasing the number of the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응급환자가 발생할 경우, 커넥터(12)를 통하여 패치(11)를 제세동 인터페이스부(20)에 연결하고, 제세동 인터페이스부(20)를 이동통신 단말(30)에 연결하면 제세동 어플리케이션(32)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패치(11)를 응급환자에게 부착하면, 패치(11)의 심전도 전극이 심전도 신호를 감지하여 제세동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30)의 제세동 어플리케이션(32)에 전달된다. 제세동 어플리케이션(32)에서 이 신호를 분석하고,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적절한 제세동 충격을 제세동 실행부(10)에 보내도록 제세동 인터페이스부(20)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를 받은 제세동 인터페이스부(20)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입력포트(22)에 연결된 복수 개의 보조배터리(23)의 전력을 이용하여 제세동 생성부가 제세동 충격을 생성하여 제세동 실행부(10)에 전달되고, 상기 제세동 실행부(10)에 의해 환자에게 전달된다. 이 어플리케이션(32)은 심전도 신호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거나, 메인 제어부(31)가 이제 충격이 필요한 리듬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또는 조작자가 작동중지 버튼을 누른 경우에 종료된다. The
또한 메인 제어부(31)는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3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적하여, 해당 위치정보를 응급 구조 신호와 함께 의료 기관으로 전송한다. 이때, 긴급 구조 신호 이외에 사용자의 심전도 상태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GPS 또는 와이파이(WIFI) 무선 AP 정보, 4G, LTE, LTE-A, 5G 망의 기지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Also, the main control unit 31 track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상기 의료 기관은 병원 또는 119 등과 같이 의료 또는 응급 구조 기관일 수 있으며, 이러한 의료 기관은 응급 구조 신호와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3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응급 처리 또는 응급 구조를 보다 효과적으로 신속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의료 기관에서 환자의 상태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The medical institution may be a medical institution or an emergency rescue institution such as a hospital or a medical institution 119. The medical institution receives the emergency rescue signal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동시에 심전도 신호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응급 의료기관에 전송하여, 빠른 응급 처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32)은 가능한 경우 최소 1시간 분량의 심전도 감지 신호를 저장하고, 응급상황이 지난 후에 다시 확인할 수 있어 전문기관에서 후속조치를 할 때 더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At the same time, if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the user's positional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 to enable quick first aid treatment. The application 32 can store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for at least one hour, if possible, and can check again after the emergency situation has elapsed, so that more detaile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when a specialist institution takes a follow-up action.
응급상황 후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시 볼 때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32)으로 확인할 수 있고, PC로 옮겨서 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ECG 데이터와 다른 환자 및 장비 성능 변수를 다시 볼 수 있고, 또한 이 프로그램은 Windows 98, Windows 2000을 비롯한 다양한 Windows 플랫폼 외 기타 다른 PC기반 운영체제에서 실행할 수 있다.When the data stored after the emergency situation is viewed again, it can be confirmed by the mobile application 32 and transferred to the PC. In the latter case, ECG data and other patient and device performance variables can be viewed again, and the program can run on a variety of Windows-based and other PC-based operating systems, including Windows 98 and Windows 2000.
제세동 패치(11)를 환자에게 부착시에 첫번째 패치를 환자의 오른쪽 쇄골 바로 아래에 붙이고 두번째 패치를 환자의 왼쪽 가슴 아래에 있는 왼쪽 옆구리 늑골 위에 붙임으로써, 효과적인 분석을 할 수 있다. 이 패치는 접착용 겔이 표면에 분포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다.When attaching the defibrillation patch (11) to the patient, an effective analysis can be performed by attaching the first patch directly underneath the patient's right collarbone and attaching the second patch on the left collarbone below the patient's left chest. This patch has the adhesive gel distributed on the surface, which makes it easy to attach and detach to the user's desired area.
제세동 어플리케이션(32)은 이동 통신 단말(30)에 외부의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defibrillation application 32 can be downloaded from the external management server to the
디스플레이부는 제세동 생성부와 연동하여 심전도의 파형이 표시되는 장치로서, 이동 통신 단말(3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is a device for displaying the waveform of the electrocardiogram in association with the defibrillation generating unit and can use a display module provided in the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의 음성 통화 기능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 통신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급구조 신호,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복수 개의 GPS(Global Position System) 인공위성, 무선 인터넷망, 근거리 통신망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is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n external device, and can us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a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embodiment, the emergency rescue signal, the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may use a plurality of Global Position System (GPS) satellites,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 local area network, and the like.
메모리부는 심전도의 감지 결과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메인 제어부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1)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is a device for stor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electrocardiogram. The memory unit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main control unit, and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The memory unit 161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ROM, and the like.
음향 출력부는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종래 이동 통신 단말에 마련된 음향 출력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 출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전도의 이상 유무 및 제세동 쇼크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는 심전도가 비정상적인 경우, 미리 설정된 심폐소생술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is an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s, and an acoustic output module provid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be notified of the abnormality of the electrocardiogram of the user and the guidance message of the shock shock by using the sound output unit.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 may output prese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formation when the electrocardiogram is abnormal. The sound output unit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진동 발생부는 진동을 발생하는 장치로서, 종래 이동 통신 단말에서 음성 통화 또는 문자 수신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is a device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it is possible to use a vibration generating module that generates vibration when a voice call or a character is receiv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인터페이스부와 휴대단말은 연결 케이블을 통해 유선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Wi-Fi, NFC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and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wired through a connection cable or may be connected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Wi-Fi, or NFC.
메인 제어부(31)의 환자 분석 시스템에서 충격 필요 리듬의 기준을 살펴보면, 피크 대 피크 진폭이 200μ볼트 이상인 경우, 심실 세동으로 분류하여, 충격이 필요한 리듬으로 인식한다. 또 다른 경우로, 심장 박동수가 180bpm 이상이고 피크 대 피크 진폭이 200μ볼트 이상인 경우 심실 빈맥(심실 조동과 다형 심실 빈맥 포함)으로 분류하여, 충격이 필요한 리듬으로 인식한다. 이 외에 정상동 리듬, 미세한 심실 세동(<200μ볼트) 및 일부 느린 심실 빈맥과 무수축을 포함하는 모든 리듬에 대해서는 충격 금지를 권고하도록 한다. In the patient analysis system of the main control unit 31, when the peak-to-peak amplitude is 200 mu volts or more, it is classified as ventricular fibrillation, and it is recognized as a rhythm requiring impact. In another case, if the heart rate is 180 bpm or more and the peak-to-peak amplitude is 200 μV or more, it is classified as ventricular tachycardia (including ventricular rhythm and poly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For all other rhythms, including normal rhythm, fine ventricular fibrillation (<200μ volts), and some slow ventricular tachycardia and no-contraction, we recommend that you avoid impac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10 : 제세동 실행부 11 : 제세동 패치
12 : 커넥터 20 : 제세동 인터페이스부
21 : 전원공급부 22 : 전원 입력 포트
23 : 보조 배터리 30 : 이동통신단말
31 : 메인 제어부 32 : 제세동 어플리케이션
41 : 탄성체 42 : 돌기부
43 : 출력단자10: Defibrillation execution part 11: Defibrillation patch
12: connector 20: defibrillation interface part
21: Power supply unit 22: Power input port
23: auxiliary battery 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1: main control unit 32: defibrillation application
41: Elastic body 42:
43: Output terminal
Claims (7)
상기 제세동 인터페이스부는,
복수의 전원입력포트와, 상기 전원입력포트에 복수의 보조 배터리가 연결될 경우 전체의 보조 배터리가 직렬 연결되는 배터리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메인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세동 실행부 및 제세동 생성부에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메인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세동 충격을 생성하여 상기 제세동 실행부에 공급하는 제세동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메인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제세동 어플리케이션으로 탑재되어, 상기 패치와 커넥터가 상기 제세동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 경우, 자동으로 실행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제세동 실행부 및 제세동 생성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커넥터가 연결 시, 상기 제세동 실행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심전도 신호를 입력 받고, 감지된 심전도 신호의 이상 여부를 분석하여 상기 심전도 신호가 비정상적인 경우, 상기 제세동 생성부에 의해 상기 제세동 충격이 생성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세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포트는, 상기 전원입력포트의 개구부 반대편에 인접한, 전원입력부의 측면부의 구멍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단이 탄성체와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이 한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전도체 돌기부로 구성된 일극과, 상기 전원입력부의 개구부의 반대편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일극과 반대 극성을 가지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전도체 일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단자가 상기 전원입력포트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2개의 반대 극성 일극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단자가 전원입력포트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2개의 반대 극성 일극들이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 시스템.A defibrillation execution unit having a connector at one end and at least one patch at the other end to sense a user's electrocardiogram signal and deliver a defibrillation shock; And a defibrillatio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generate a defibrillation shock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upply a defibrillation shock to the defibrillation execution unit,
The defibrillation interface unit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power input ports and a battery connection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ies are connected in series when the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ies are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port;
A power supply control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defibrillator and the defibrillator by a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fibrill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the defibrillation shock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upplies the defibrillation shock to the defibrillation execution unit,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patch and the connector are connected to the defibrillation interface unit, the defibrillator is automatically executed to supply power to the defibrillator and the defibrillator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ECG signal is abnormal, the ECG signal received by the defibrillator is received and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ECG signal is abnormal. When the ECG signal is abnormal, the control signal The defibrillation system comprising:
Wherein the power input port includes a first electrod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ower input portion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power input port and having a first e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elastic body and the other end inclined to one side, And a conductive electrode which is locat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of the opening and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anode,
Wherein wh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auxiliary battery is not inserted into the power input port, the two opposite polarity po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Wherein wh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auxiliary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power input port, the two opposite polarity poles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심전도 신호를 저장하고, 응급상황이 지난 후에 다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and can check again aft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elapsed.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 단말의 음향 출력부 및 진동 발생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심전도 이상 신호를 알려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pable of informing a user of an abnormal electrocardiogram signal by using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심전도 신호가 비정상적인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응급 의료기관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pable of transmit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 when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is abnormal.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심전도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분석 시스템에서 더 이상 충격이 필요한 리듬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또는 조작자가 작동중지 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자동으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utomatically terminated when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is not detected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nalysis system is no longer in need of a rhythm or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stop button, .
상기 패치는 심전도 전극과, 제세동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patch comprises an electrocardiogram electrode and a defibrillation electrode.
상기 전원입력포트는, 입력포트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보조 배터리가 연결되더라도 전체가 직렬 연결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세동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input port can be connected in series even if a smaller number of auxiliary batteries than the number of input ports are connec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2280A KR101859322B1 (en) | 2017-03-15 | 2017-03-15 | defibrill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2280A KR101859322B1 (en) | 2017-03-15 | 2017-03-15 | defibrillat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9322B1 true KR101859322B1 (en) | 2018-06-27 |
Family
ID=6279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2280A KR101859322B1 (en) | 2017-03-15 | 2017-03-15 | defibrill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9322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53909A1 (en) * | 2011-08-26 | 2013-02-28 | Zoll Medical Corporation | Battery module |
US20150134018A1 (en) * | 2012-03-12 | 2015-05-14 | Sodamed | External cardiac defibrillator system for household use |
KR101546062B1 (en) * | 2013-11-19 | 2015-08-20 | 이광희 | Mobile terminal having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ion and emergency patient saving system using the same |
-
2017
- 2017-03-15 KR KR1020170032280A patent/KR10185932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53909A1 (en) * | 2011-08-26 | 2013-02-28 | Zoll Medical Corporation | Battery module |
US20150134018A1 (en) * | 2012-03-12 | 2015-05-14 | Sodamed | External cardiac defibrillator system for household use |
KR101546062B1 (en) * | 2013-11-19 | 2015-08-20 | 이광희 | Mobile terminal having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ion and emergency patient saving system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350375B2 (en)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how to use it | |
US9138592B2 (en) | Defibrillation system and method and defibrillator electrode device | |
JP7257681B2 (en) | defibrillator | |
EP2408521B1 (en) | External defibrillator | |
AU2017100994B4 (en) | A portable single us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device | |
US9242116B2 (en) | Method of making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
RU2685377C2 (en) | Motion actuated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communicator | |
US10828500B2 (en) | External defibrillator | |
US9636513B2 (en) | Defibrillator device | |
US10960205B2 (en) | Electric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system | |
US20140093853A1 (en) | Cpr training system and methods | |
JP2002360711A (en) | Interface for cardiac defibrillator/pacemaker and portable patient monitor equipped with battery power management | |
US11305117B2 (en) |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treatment system | |
KR101889747B1 (en) | Portabl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
KR101859322B1 (en) | defibrillation system | |
KR20140126649A (en)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Device Using Smart Device | |
KR101328866B1 (en) | Portable device having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ion | |
KR101546062B1 (en) | Mobile terminal having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ion and emergency patient saving system using the same | |
US20200375459A1 (en) | Implantable rechargeable telemetry device | |
KR102685906B1 (en) | Mobile smart healthcare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20230380688A1 (en) | Implantable cardiac monitor | |
CN117618774A (en) | Full wireless neuromuscular stimulator | |
KR101872882B1 (en) | A defibrillator comprising a discharge circuit for driving current reduc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 |
CN118715041A (en) |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 |
KR20140148013A (en) | Iontophoresis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