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500B1 - A method and a apparatus of communication at local area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A method and a apparatus of communication at local area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6500B1 KR101076500B1 KR1020040044204A KR20040044204A KR101076500B1 KR 101076500 B1 KR101076500 B1 KR 101076500B1 KR 1020040044204 A KR1020040044204 A KR 1020040044204A KR 20040044204 A KR20040044204 A KR 20040044204A KR 101076500 B1 KR101076500 B1 KR 1010765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 short
- signal
- range
-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와 리시버를 별도 무선주파수를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용으로 겸용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여 이동통신을 위한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에 접속하고 이동통신할 것인지와 할당된 주파수로 근거리 통신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리시버부에 부착되어 근거리 통신신호를 소정 주파수로 무선송신하는 근거리 무선송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음성 신호를 입력하고, 마이크부에 부착되어 소정 주파수의 근거리 통신신호를 무선수신하는 근거리 무선수신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icrophone and a recei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mobile terminal are use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using a separate radio frequenc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nnects to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for mobile communication.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connect and perform mobile communication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at an assigned frequency, and output a mobile communication voic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ttach the receiver unit to a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And a short range wireless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a short range wireless receiver for inputting a mobile communication voic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ttached to a microphone to wirelessly receiv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ignal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Description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식 설명도, 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기능 구성도,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식 설명도, 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기능 구성도,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법 순서도. 5 is a flowchart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105 : 휴대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100, 105: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 메모리부 130 : 표시부 140 : 제어부120: memory unit 130: display unit 140: control unit
150 : 키패드부 160 : 근거리 무선송신부 170 : 근거리 무선수신부150: keypad 160: short-range wireless transmitter 170: short-range wireless receiver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리시버부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송신부를 추가 구성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부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수신부를 추가 구성하여, 별도 할당된 무선주파수로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단말기라고 기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a wireless transmitter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is additionally configured in a recei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receiver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is further configured for a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rt-ran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separately allocated radio frequency.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described as a portable terminal.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어디든지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The mobile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UE: USER EQUIPMENT) freely moves within the service area formed by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RAN: RADIO ACCESS NETWORK) of the registered system and monitors and monitors the mobile switching center (MSC). It is a high-tec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allows individuals to carry with them at any time while always carrying a wireless connection through a communication path established by control and switching.
상기 휴대단말기(UE)는,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즉시 상대방과 통신하는 장점이 있으나, 통신비용이 비교적 비싸고, 일반적으로 통신장비는, 실제 통신에 운용되는 시간이 적으며, 대부분 시간을 대기상태로 운용하므로 이용률이 낮다. The mobile terminal (UE) has the advantage of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party anytime and anywhere while moving, but the communication cost is relatively expensive, in general, communication equipment, less time to operate in actual communication, most of the time operating in the standby state Therefore, the utilization rate is low.
상기와 같이 낮은 이용률을 높이고,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실생활의 응용성 및 편리성을 높이는 동시에, 통신 이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ncrease the low utilization rate, increase the applicability and convenience of real life using a mobile terminal, and promote communication us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provided.
상기 부가서비스는, 크게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과 휴대단말기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내장상태로 제공하는 것이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내장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에는, 일 예로, 카메라, 블루투스, 무선랜, 라디오, 게임, 전자계산기, 달력, 시계, 착신벨 설정 등이 있으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에는, 문자메시지, 영상 메시지, 온라인 게임, 무선인터넷 접속, 발신자 확인 등등이 있고,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어 추가된다. The additional services are largely developed and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provided by a portable terminal manufacturer and provided in a built-in state. The additional services developed and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producer may include, for example, a camera. , Bluetooth, wireless LAN, radio, game, electronic calculator, calendar, clock, ringtone setting, etc. What mobile service provider develops and provides, such as text message, video message, online game, wireless internet access, caller Confirmation and the like, and the additional service is constantly being developed and added new functions.
상기와 같은 부가서비스 중에서 블루투스(BLUETOOTH)는,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하는 것으로, 상기 적외선 송수신장치와 해당 리시버 및 마이크를 별도로 추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휴대단말기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가격이 비싸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Among the additional services described above, Bluetooth (BLUETOOTH)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using infrared (IRRA: INFRARED DATA ASSOCIATION), and since the infrared transceiver and the receiver and microphone must be additionally provided,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complicated. And the price is expensive.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비용을 싸게하면서 근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has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while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reducing the cost.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also.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식을 설명하면, 휴대단말기(MS)(10, 15)는 해당 기지국(RAN)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기 기지국(RAN)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접속하고 통신한다. Referring to FIG. 1,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The mobile station (MS) 10 and 15 may move freely in a service area formed by a corresponding base station RAN, and the base station RA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desired party anytime, anywhere.
상기 휴대단말기(10, 15)는, 기지국(RAN)을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 등록된 상대방과, 원거리에 있거나 근거리에 있거나 관계없이, 이동통신 방식으로 무선접속하여 이동통신을 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방식이란 GSM 방식이나 PCS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10, 15)는, 근거리에 있으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되었거나 가입되어 있지 않거나 관계없이, 상대방 휴대단말기(10, 15)와 적외선(IRDA) 통신방식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통신한다. 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적외선 방식으로 근거리에 인접한 상대방 휴대단말기와 통신하는 경우는, 별도의 통신비용이 필요하지 않으나, 적외선으로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부와, 상기 블루투스 방식으로 송신과 수신하는 해당 입출력부를 추가 구비하여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handheld terminal adjacent to the near field in the infrared method, a separate communication cost is not required, but a Bluetooth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ignal in the infrared field, and a corresponding input / output unit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 the Bluetooth method. Additional parts shall be provided.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구성이 복잡하여지고, 가격이 비싸지며 부피를 작게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mplicated, the price is high, and the volume is difficult to be reduced.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휴대단말기(MS)는, 제어부(30)의 제어로 운용되는 무선통신부(70)를 통하여 해당 기지국(RAN)과 무선접속하고, 가입 등록된 상대방 휴대단말기(MS)와 무선접속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30)의 제어를 받는 블루투스부(20)를 통하여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근거리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와 적외선(IRDA)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The mobile terminal MS wirelessly connects to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RAN through the
상기 제어부(30)는, 메모리부(40)의 해당 운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읽어 휴대단말기(MS)를 운용하고, 상기 무선통신부(70)를 통하여 이동통신하는 경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입출력부(60)를 이용하여 음성, 문자신호가 포함되는 데이터,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방식의 통신을 선택적으로 진행하며, 상기 블루투스부(20)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는, 스피커(SPEAKER)로 이루어지고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리시버(RECEIVER)와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MIC)가 별도로 구비되고 할당되는 근거리 데이터 입출력부(50)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The
즉, 음성 통신을 하기 위한 리시버와 마이크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입출력부(60)와 근거리 데이터 입출력부(50)에 각각 구비되고, 무선통신부(70)를 통하여 이동통신하는 경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입출력부(60)로 통신하며, 블루투스부(20)를 통하여 근거리 통신하는 경우는 근거리 데이터 입출력부(50)로 통신한다. That is, a receiver and a microphone for voice communication are provided in the multimedia data input /
따라서, 이동통신과 적외선 통신을 위하여, 각각의 리시버와 마이크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휴대단말기 생산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since the receiver and the microphone must be provide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infrared communic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cost of the portable terminal increases.
또한, 각각의 리시버와 마이크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부피가 커지므로 소형화하지 못하며, 외형 설계가 미려하지 못하고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creased by the receiver and the microphone, so that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not be miniaturized.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기능 리시버에 할당된 주파수 신호 무선송신 기능부를 추가하고,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에 할당된 주파수 신호를 무선수신하는 기능부를 추가하여 리시버와 마이크를 이동통신과 근거리 통신에서 겸용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moves a receiver and a microphone by adding a frequency signal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unit allocated to a speaker function receiv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of a mobile terminal, and adding a function unit for wirelessly receiving a frequency signal allocated to a microphone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to be used in both communication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여 이동통신을 위한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에 접속하고 이동통신할 것인지와 할당된 주파수로 근거리 통신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리시버부에 부착되어 근거리 통신신호를 소정 주파수로 무선송신하는 근거리 무선송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음성 신호를 입력하고, 마이크부에 부착되어 소정 주파수의 근거리 통신신호를 무선수신하는 근거리 무선수신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for mobile communication by wirelessly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perform mobile communication in a short range at an assigned frequency.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communicate and executing a corresponding control, a short range wireless transmitter for outputting a mobile communication voic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ttached to a receiver unit to wirelessly transmit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ignal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a short range wireless receiver configured to input a mobile communication voic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to be attached to a microphone to wirelessly receiv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 이동통신하는 경우에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이동통신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로 근거리 통신하는 경우에 근거리 무선송신부와 근거리 무선수신부를 제어하여 할당된 소정 주파수로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근거리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 to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In the cas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above process, the method compris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process of controlling a short-range wireless transmitter and a short-range wireless receiver to wirelessly connect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식 설명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법 순서도 이다. 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un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of a mobile terminal.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식을 설명하면, 제1 휴대단말기(100)가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상대방 제2 휴대단말기(105)와 통신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제1 휴대단말기(100)의 근거리 무선송신부로부터 할당된 소정 주파수에 의한 무선신호를 송신하면, 제2 휴대단말기(105)의 근거리 무선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송신에 의한 통신이 진행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first
상기 제1 휴대단말기(100)와 제2 휴대단말기(105)는, 본 발명 기술이 적용되는 동일한 기능의 휴대단말기이며, 상기 제2 휴대단말기(105)의 근거리 무선송신부로부터 소정 주파수에 의하여 무선송신되는 신호는 제1 휴대단말기(100)의 근거리 무선수신부에서 무선수신하므로, 근거리 양방향 통신을 진행한다. The first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short range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동통신 기지국(RAN)과 무선접속하여 이동통신을 위한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110)와, A
상기 무선통신부(110)에 접속하고 이동통신할 것 인지와 할당된 주파수로 근거리 통신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로 이동통신하는 경우에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기지국(RAN)과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며, 근거리 무선송신부(160)를 제어하여 무선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근거리 무선수신부를 제어하여 주변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며; 휴대단말기로 근거리 통신하는 경우에 근거리 무선송신부(160)를 제어하여 할당된 소정 무선 주파수로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되는 통신신호를 무선송신하고, 근거리 무선수신부(170)를 제어하여 할당된 소정 무선주파수의 통신신호를 무선수신하여 제어부(140)에 출력하는 제어부(140)와, It is connected to the
상기 제어부(140)에 접속하여 휴대단말기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120)와, A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운용정보와 수신 문자메시 지와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130)The
상기 제어부(140)에 접속하여 다이얼링 신호와 제어명령과 메시지를 입력하는 키패드부(150)와, A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근거리 통신신호를 소정 주파수로 무선송신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가 이동통신하는 경우,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무선수신되어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휴대단말기가 근거리 통신하는 경우, 입력된 통신신호를 할당된 소정 주파수로 무선송신하는 근거리 무선송신부(160)와, The mobile terminal outputs a mobile communication voice signal under a control of the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음성 신호를 입력하고 소정 주파수의 근거리 통신신호를 무선수신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가 이동통신하는 경우, 주위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고, 휴대단말기가 근거리 통신하는 경우, 할당된 소정 주파수의 통신신호를 무선수신하는 근거리 무선수신부(17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By inputting a mobile communication voic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4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해당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이 인가되면, 메모리부(120)로부터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읽어 로딩하므로 이동통신 서비스와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운용한다. The
일 예로, 상기 제어부(140)는, 키패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이동통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도록 하고, 이동통신 방식 무선통신신호를 할당된 해당 무선 주파수 신호로 송수신하므로 이동통신이 진행된다. For example, if the
상기 이동통신이 진행되는 동안에 무선통신부(110)가 기지국(RAN)으로부터 무선수신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스피커(SPEAKER)로 동작하는 근거리 무선송신부(160)에 인가되므로 음성 신호가 출력되고, 휴대단말기 주변에서 발생되는 음성 신호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로 마이크(MIC: MICROPHONE) 기능을 하는 근거리 무선수신부(170)에서 입력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제어부(140)에 출력하므로,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하여 기지국에 무선송신되는 양방향 이동통신이 진행된다.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is in progress, the voice signal input by the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키패드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휴대단말기로 근거리 통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동작하지 않는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송신부(160)를 제어하여 할당된 소정 무선 주파수 신호로 해당 통신신호를 무선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수신부(170)를 제어하여 할당된 소정 무선주파수 신호로 해당 통신신호를 무선수신하도록 한다. When the
상기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신호는 음성 신호와 각종 데이터 신호가 포함되며, 음성 신호로 통신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수신부(170)가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로 동작하는 동시에 별도 할당된 소정 무선 주파수 신호로 전송되는 신호를 무선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송신부(160)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기능과 통신신호를 별도 할당된 소정 무선 주파수 신호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 includes a voice signal and various data signals. When communicating with a voice signal, the short
즉, 상기 근거리 무선수신부(170)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제어부(140)에 인가되고 해당 처리를 통하여 근거리 무선송신부(160)에 인가되며, 상기 신호를 입력하는 근거리 무선송신부(160)는 할당된 소정 무선 주파수 신호로 무선송신하며, 상기와 같이 근거리 무선송신부로부터 무선송신되는 신호는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무선수신부(170)에서 무선수신하고, 제어부(140)에 인가되어 해당 처리하므로 음성 신호가 검출되며, 상기 수신되어 검출된 음성 신호는 근거리 무선송신부(160)에 인가되어 해당 스피커로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That is,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short
상기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는,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가 상기 근거리 무선송신부(160)에 인가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송신부(160)는 할당된 소정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송신하며, 상기와 같이 무선송신되는 데이터 신호는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무선수신부(170)에서 수신하고 제어부(140)에 인가되므로 해당 처리된다. In the case of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 a data signal output from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리시버와 마이크를 이동통신용과 근거리 통신용으로 겸용 사용하는 장점과 휴대단말기의 크기를 줄이고 비용을 싸게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dvantages such as using a receiver and a microphone for both mobile communication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reducing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reducing the cost.
이하,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휴대단말기로 이동통신하는 경우에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40)에 의하여 이동통신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이동통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기지국(RAN)과 무선접속하고 통신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과정과, In the case of mobile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wirelessly connect with the base station and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the mobile communication by the
상기 이동통신과정의 휴대단말기로 근거리 통신하는 경우에 근거리 무선송신부와 근거리 무선수신부를 제어하여 할당된 소정 주파수로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40)에 의하여 근거리 통신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근거리 통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근거리 무선송신부(160)와 근거리 무선수신부(170)를 제어하여 할당된 소정 주파수로 근거리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근거리통신과정으로 구성된다. In the cas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process, the wireless short-range transmitter and the short-range wireless receiver are controlled to wirelessly connect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40)는, 입력되는 해당 제어명령을 분석 판단하여, 이동통신을 하는지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이동통신을 하는 경우는,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기지국과 무선접속하여 해당 통신신호를 이동통신 방식으로 무선송수신 하도록 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송신부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기능의 리시버로 동작하도록 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수신부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로 동작하도록 하므로, 이동통신을 진행한다(S110). The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 제어부(140)는 입력되는 해당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근거리 통신을 하는지 판단하고(S120), 상기 판단(S120)에서 근거리 통신을 하는 경우, 무선통신부(110)는 오프(OFF) 제어하여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송신부(160)를 제어하여 송신기능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수신부(170)를 제어하여 수신기능부가 각각 활성화되도록 하므로, 별도 할당된 소정 무선 주파수 신호로 근거리 통신을 한다(S130). In addition, the portable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 선택에 의하여 이동통신과 근거리 통신하는 경우, 별도 할당된 무선 주파수로 근거리 무선통신하고, 이동통신용 리시버와 마이크를 해당 제어에 의하여 공용 사용하므로, 상기 리시버와 마이크를 근거리 통신용으로 별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cas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mobile communication by selection with a mobile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at a separately allocated radio frequency,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receiver and the microphone are commonly used by the corresponding contro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ceiver and the microphone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separately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 선택에 의하여 이동통신과 근거리 통신을 겸용하는 경우, 이동통신용 리시버와 마이크를 공용사용하고, 적외선을 사용하지 않으며 별도 할당된 무선 주파수로 통신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크기를 줄이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both mobile communication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are selected by a portable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receiver and the microphone are shared and do not use infrared rays. There is an industrial use effect to reduce the size and reduce the size.
또한, 휴대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외관 설계를 미려하게 하여 선호도를 제고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reduced,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in terms of enhancing the design preference by enhancing the appearance design.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4204A KR101076500B1 (en) | 2004-06-15 | 2004-06-15 | A method and a apparatus of communication at local area for mobile phone |
CNA2005100003265A CN1713543A (en) | 2004-06-15 | 2005-01-06 |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4204A KR101076500B1 (en) | 2004-06-15 | 2004-06-15 | A method and a apparatus of communication at local area for mobile 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9025A KR20050119025A (en) | 2005-12-20 |
KR101076500B1 true KR101076500B1 (en) | 2011-10-24 |
Family
ID=3571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44204A KR101076500B1 (en) | 2004-06-15 | 2004-06-15 | A method and a apparatus of communication at local area for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6500B1 (en) |
CN (1) | CN1713543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9665B1 (en) * | 2005-08-09 | 2008-03-05 | 한국과학기술원 | An apparatus for mobile telephone terminal consisting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and a method for calling and receiving of telephone communication |
CA2642468C (en) * | 2006-04-24 | 2016-09-13 | Nokia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e and control near field communication for a mobile multifunctional device when the device is uncharged or only partially charged |
KR100779901B1 (en) * | 2006-05-30 | 2007-11-28 | (주)트루모바일 | Mobile terminal having using zigbee communication function and data service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
CN102026322A (en) * | 2009-09-23 | 2011-04-20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Method and system for voice switching |
KR101034496B1 (en) * | 2010-05-04 | 2011-05-17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with enhanced security |
CN102457308A (en) * | 2011-12-13 | 2012-05-16 | 陈涛 | High-spee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
CN106223200B (en) * | 2016-07-31 | 2017-12-15 | 江苏智光创业投资有限公司 | A kind of glass suspension bridge bridge floor spacing zone transparent attribute switching system based on termina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5731B1 (en) * | 2000-12-20 | 2002-12-27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Mobile communication terninal able to local are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
-
2004
- 2004-06-15 KR KR1020040044204A patent/KR10107650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
- 2005-01-06 CN CNA2005100003265A patent/CN1713543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5731B1 (en) * | 2000-12-20 | 2002-12-27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Mobile communication terninal able to local are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9025A (en) | 2005-12-20 |
CN1713543A (en) | 2005-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73137B2 (en) | Audio headset | |
KR100640483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hanging telephony mode of mobile terminal | |
KR10130745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luetooth auto pairing in Mobile terminal | |
US8238967B1 (en) | Controlling a wireless device with a wireless headset | |
CN110650405A (en) | Wireless earphone control system,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 |
KR2011000493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egementing volume of wirelees connection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076500B1 (en) | A method and a apparatus of communication at local area for mobile phone | |
KR10079012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alling | |
KR20030049529A (en) | Voice alarm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
JP2002291044A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 |
US20050079899A1 (en) | Wireless earphone with built-in mobile communications module and dial-up method of the same | |
KR100383593B1 (en) | Remote controll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70080011A (en) | Method and circuit for embodiment ear mike phone of stereo earphone in communication apparatus | |
KR20020014249A (en) |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phone by use of the bluetooth | |
KR101366313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 | |
KR19990049847A (en) |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mobile phone | |
KR20050095485A (en) |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phone remotely | |
KR10060612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byuse of dtmf i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722790B1 (en) | Pendent kitt equippted with a push-to-talk ser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050040544A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group calls and its method | |
KR2004003801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gent in mobile phone | |
KR100675158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ternet bank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 |
KR20090091928A (en) |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odule and user interface module comprised in the terminal device, dat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for the terminal device | |
KR100703386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of wireless terminal in external device | |
KR100594461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MS message transferring function using a voice di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