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582B1 -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 Google Patents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582B1
KR100730582B1 KR1020060114405A KR20060114405A KR100730582B1 KR 100730582 B1 KR100730582 B1 KR 100730582B1 KR 1020060114405 A KR1020060114405 A KR 1020060114405A KR 20060114405 A KR20060114405 A KR 20060114405A KR 100730582 B1 KR100730582 B1 KR 100730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tophoresis
skin
unit
electrode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철
박동순
Original Assignee
아람휴비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람휴비스(주) filed Critical 아람휴비스(주)
Priority to KR1020060114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582B1/ko
Priority to EP07808131A priority patent/EP2089103B1/en
Priority to CN2007800429918A priority patent/CN101541373B/zh
Priority to US12/515,269 priority patent/US8204587B2/en
Priority to JP2009538302A priority patent/JP5254243B2/ja
Priority to PCT/KR2007/004338 priority patent/WO200806294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4Shape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8Electrical supply
    • A61N1/3787Electrical supply from an external energy sou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나 패치에 탈부착할 수 있고, 이온토포레시스 시술 전에 피부 상태를 미리 진단한 다음, 피부 상태에 따라 전류량을 변화시켜 피부에 기능성 화장품이나 약품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흡수시키되, 여러 쌍의 전극을 적용하여 전극 쌍 간에 발생하는 간섭전류를 이용함으로써 유효성분의 흡수를 더욱 향상시켜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마스크 또는 패치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전극과, 상기 마스크 또는 패치의 소정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은, 무접점충전방식에 의해 전원을 충전하는 무선충전부와; 상기 무선충전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작동하며,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주파수 및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드라이브와; 상기 제어드라이브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에 정전류를 전달해주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으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임피던스값을 입력받는 피부진단측정부와; 상기 피부진단측정부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온토포레시스, 칩 모듈, 피부진단, 마스크, 패치, 전기이중충(EDL)콘덴서, 비접점충전, 간섭현상, 간섭파

Description

이온토포레시스 장치{An apparatus for iontophoresi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충전시 충전장치와 무선충전부 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이용하여 이온토포레시스를 실시했을 때 전극 쌍 간에 발생하는 간섭전류의 발생방향 및 간섭파현상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을 마스크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을 패치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이용하여 이온토포레시스를 실시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충전기 200 :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
202 : 하우징 210 : 무선충전부
212 : 전원감시부 214 : 전원공급부
216 : 충전장치 220 : 마이크로 프로세서
230 : 표시부 240 : 제어드라이브
250 : 출력부 252 : 제1출력부
254 : 제2출력부 262 : 피부진단측정부
264 : 출력전류감시부 270 : A/D 변환기
300 : 마스크 또는 패치 301, 302, 303, 304, 305, 306 : 전극
본 발명은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나 패치에 탈부착할 수 있고, 이온토포레시스 시술 전에 피부 상태를 미리 진단한 다음, 피부 상태에 따라 전류량을 변화시켜 피부에 기능성 화장품이나 약품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흡수시키되, 여러 쌍의 전극을 적용하여 전극 쌍 간에 발생하는 간섭전류를 이용함으로써 유효성분의 흡수를 더욱 향상시켜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게 되면 피부 상층의 표피는 화장품을 독소로 인지하고 분자 크기, 생체 특성 및 생화학현상 등의 영향으로 화장품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피부에 실질적으로 흡수되는 화장품의 양은 매우 적다.
이에 피부에서의 화장품이나 약물 등의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은 피부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하를 가진 약물이나 화장품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전기 반발력에 의해 피부로 침투되게 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이러한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은 피부 미백 효능 물질인 비타민C를 피부에 흡수시켜 기미를 개선하거나 피부 노화방지 물질을 피부에 흡수시켜 주름살의 발생을 억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효과 또한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시중에는 항산화와 피부보호 기능이 우수한 화장성분을 얼굴 전체에 바르고 난 뒤, 눈 밑 광대뼈부위에 미세한 전류가 흐르는 패치를 붙여 피부 주위에 전기장을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가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온토포레시스 수단은 주로 일회용 마스크나 패치로 생산되고 있는데, 여기에는 전극 및 전지가 함께 내장되어 있어 생산하는데 비용이 증가하고, 전류의 세기가 정해져 있어 전류의 세기가 너무 강한 경우에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전류의 세기가 낮은 경우에는 효능을 전혀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610252호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키는 전극과 탈부착이 가능하며, 전지가 수용되는 전지하우징과, 사용자의 피부로 투입되는 활성물질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전류의 세기 를 조절할 수 있는 전기회로가 구비된 전지유닛에 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지유닛은 전극과 탈부착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는 있지만,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따라 전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피부 상태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시술 중 일정한 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감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온토포레시스 시술 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전극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상태에 적합한 최적의 전류량을 발생시켜 약물이나 화장품의 유효성분이 사용자의 피부 내로 흡수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마스크 또는 패치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전극과, 상기 마스크 또는 패치의 소정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은, 무접점충전방식에 의해 전원을 충전하는 무선충전부와; 상기 무선충전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작동하며,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주파수 및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드라이브와; 상 기 제어드라이브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에 정전류를 전달해주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으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임피던스값을 입력받는 피부진단측정부와; 상기 피부진단측정부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충전시 충전장치와 무선충전부 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크게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마스크나 패치(300)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전류를 흘려주는 전극들(301, 302)과, 마스크나 패치(300)의 소정 부위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극들(301, 30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로 이루어진다.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은 하우징(202) 내부에 충전기(100)에 비접점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충전부(210)와, 무선충전부(210)에 연결되어 무선충전부(210)에 전원이 충전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전원감시부(212)와, 무선충전부(210)에 연결되어 무선충전부(210)에 충전된 전원을 각 장치들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14)와, 전원공급부(21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와,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의 명령에 따라 최적의 전압, 전류량 및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어드라이브(240)와, 제어드라이브(2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최적의 출력값을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전극(301, 302)으로 출력시키는 출력부(250)와, 출력부(250)에 연결되어 전극(301, 302)을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임피던스, 즉 사용자의 피부 저항을 입력받는 피부진단측정부(262)와, 피부진단측정부(262)에 입력된 수치를 아날로그 데이터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마이크로 프로세서(220)로 피드백시키는 A/D 변환기(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에는 출력부(250)에 연결되어 전극(301, 302)을 통해 측정된 출력전류값을 입력받는 출력전류감시부(26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출력전류감시부(264)에서는 출력부(250)를 통해 정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감시하여 오류 발생 시 마이크로 프로세서(220)를 통하여 정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출력값을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진단측정부(262)는 이온토포레시스 시술 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전극을 통해 생체 임피던스, 즉 피부 저항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피부 내에 수분이나 유분의 함유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따라 적절한 전류량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는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어 출력부(250)를 통해 정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류, 전압 및 주파수를 조절하고, 출력방법을 제어 한다. 이온토포레시스를 수행하기 전에는 출력부(250)에서 피부진단측정부(262)로 입력된 사용자의 피부 저항치를 A/D 변환기(270)를 거쳐 마이크로 프로세서(220)로 피드백시켜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적합한 전류량을 출력할 수 있도록 전류, 전압 및 주파수를 설정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220)는 이온토포레시스를 수행하는 중에는 출력전류감시부(264)를 통해 출력부(250)를 통해 정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측정하여 측정된 전류값을 입력받아 정전류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전류, 전압 및 주파수를 보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에는 온(on)/오프(off) 상태를 보여주고, 피부진단 상태를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의 표시부(23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230)는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 액정화면(liquid crystal display : LCD) 또는 EL(electro luminescence) 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스로 발광하는 LED나 EL 소자 등을 사용하는 것이 사용상태를 표시하는데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를 더욱 유리하게 한다. LED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진단 상태에 따라 출력부(250)를 통해 흘려주는 전류량을 달리함으로써 이러한 상태를 여러 개의 LED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도 있고, 또는 여러 가지 색을 낼 수 있는 하나의 LED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온/오프 상태나 피부진단 상태 이외에도 충전시에는 충전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으며, 사용중에는 LED를 깜빡이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방전 정도를 나타낼 수도 있다.
표시부(230)의 소정 위치에는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의 전원을 온/ 오프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은 비교적 소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하나의 전원스위치를 이용하여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원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원이 들어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여 이온토포레시스를 수행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프로그램을 설정해놓을 수도 있다.
도 2는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을 충전기(100)에 인접시켜 비접촉 무선 충전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방법은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충전기(100)를 교류 전원(AC)에 연결하면 교류가 트랜스 및 정류기를 거쳐 직류 에너지로 되고, 고주파 공진회로기를 거쳐 공진된 승압의 정현파로 변환되어 1차코일(L1)을 흐르게 되는데, 무선충전부(210) 내의 2차코일(L2)이 인접하게 되면, 1차코일(L1)과 2차코일 간에 유도전류가 발생하여 1차코일(L1)을 흐르던 전류가 2차코일(L2) 및 평활정류기를 거쳐 직류성분으로 변환되어 충전장치(216)에 충전되게 된다.
여기에서 충전장치(216)로는 일반적인 충전지나 콘덴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충전지나 콘덴서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충전지와 콘덴서를 병용할 수도 있다. 충전장치(216)에 사용되는 콘덴서는 고용량의 전기이중층(Electric Duel Layer ; EDL) 콘덴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기이중층 콘덴서는 일반전지에 비하여 크기가 소형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을 소형으로 제작하는데 유리하다.
이러한 무선충전방식은 비록 충전효율이 그리 높지는 않으나 이온토포레시스에 사용되는 소비전력이 상대적으로 그리 크지 않으므로, 짧은 시간의 충전만으로도 칩 모듈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충분히 충전할 수 있는 한편, 비접촉방식으로 충전을 하기 때문에 칩 모듈에 별도의 접점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더욱 유리하게 하고 충전이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이용하여 이온토포레시스를 실시했을 때 전극 쌍 간에 발생하는 간섭전류의 발생방향 및 간섭파현상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과는 출력부의 개수와 마스크 또는 패치(300)에 형성되는 전극의 개수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는 두 쌍의 전극(303, 304, 305, 306)을 사용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출력부(252) 및 제2출력부(254)에 연결되는 각 전극 쌍 간에 발생하는 간섭현상을 이용함으로써 이온토포레시스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이렇게 두 쌍의 전극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 출력방법을 제어하여 다양한 구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는데, 이는 제1출력부(252)와 제2출력부(254)로 출력되는 주파수, 전압값 및 전류값을 각각 같거나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또는 패치(300)에 장착되어 있는 전극들(303, 304, 305, 306)은 제1출력부(252)나 제2출력부(254) 중 어디에 연결하여도 상관없다.
도 1과 도 3에서는 각각 한 쌍과 두 쌍의 전극을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시술 부위나 목적에 따라서 전극의 개수는 변동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을 마스크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을 패치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을 마스크 또는 패치(300)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과 마스크 또는 패치(300) 간에는 별도의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어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의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마스크 또는 패치(300)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전극으로 흐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은 화장품이나 약물의 이온성분에 따라 또는 용도에 따라 개별로 구성하여 이온성분 또는 용도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은 모든 구성요소들을 하나의 칩 상에 집적하여 구성함으로써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의 생산을 단순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이용하여 이온토포레시스를 실시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마스크 또는 패치(300)에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을 장착하고, 마스크 또는 패치(300)를 얼굴이나 피부에 부착시킨다.
그런 후에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전원을 켠다.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에 전원이 들어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임피던스, 즉 피부 저항을 측정하여 피부상태를 진단한다. 이는 사용자의 피부에 약한 전류를 흘려주어 체내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체내의 수분 양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에 수분이 많으면 전류가 흐르는 통로가 넓어져 저항치가 적게 나오고, 피부에 수분이 적으면 전류가 흐르는 통로가 좁아져 저항이 크게 되므로 이를 통해 피부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양을 알아낼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 저항값은 마스크 또는 패치(300) 내에 내장되어 있는 전극을 통해 측정되며, 이는 출력부(250)를 통해 피부진단측정부(262)를 거쳐 A/D 변환기(270)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 전달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는 피부진단측정부(262)로부터 전달된 피부 저항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상태에 적합한 최적의 전압, 전류 및 주파수를 설정하 여 제어드라이브(240)에 전달하면, 제어드라이브(240)에서는 최적의 전압, 전류 및 주파수를 갖는 출력값을 출력부(250)를 통해 출력시키고, 출력부(250)에 연결되어 있는 전극(301, 302)을 통해 정전류를 흘려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을 수행한다. 이때, 두 쌍의 전극을 사용하는 경우 각 출력부에 연결되는 전극 쌍 간에 간섭전류가 발생하여 이온토포레시스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을 수행하면서 전극(301, 302)을 통해 정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측정하여 출력부(250)를 통해 출력전류감시부(264)로 측정치를 전달하고, 출력전류감시부(264)에 전달된 측정치를 A/D 변환기(270)로 전달하여 아날로그 데이터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마이크로 프로세서(220)로 전달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는 이상 유무를 감지하여 이상이 감지되면 출력부(250)에서 정전류가 흐르도록 전압, 전류 및 주파수를 보정한다.
프로그래밍된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이 완료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20)에서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공급부(214)에 명령을 내린다.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의 전원이 꺼지면, 사용자는 마스크 또는 패치(300)에서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을 분리하고,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200)을 충전기(100)에 인접시켜 다시 재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 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미리 진단한 후 진단된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알맞은 최적의 전류량을 이용하여 이온토포레시스를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쌍의 전극을 이용하여 각 전극 쌍 간에 발생하는 간섭현상을 통해 이온토포레시스 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사용자의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0)

  1.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마스크 또는 패치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전극과, 상기 마스크 또는 패치의 소정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은,
    무접점충전방식에 의해 전원을 충전하는 무선충전부와;
    상기 무선충전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작동하며,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주파수 및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드라이브와;
    상기 제어드라이브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에 정전류를 전달해주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으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임피던스값을 입력받는 피부진단측정부와;
    상기 피부진단측정부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하는 A/D 변환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칩 모듈에는,
    상기 출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으로부터 측정된 출력전류값을 입력받는 출력전류감시부가 추가로 구비되어, 검출된 출력전류값을 상기 A/D 변환기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칩 모듈은 장치의 동작 상태 및 피부진단 상태를 보여주는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부는 충전수단으로 충전지 또는 콘덴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부는 충전수단으로 충전지와 콘덴서를 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전기이중층(Electic Dual Layer : EDL) 콘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별도로 제어할 수 있는 제1출력부와 제2출력부로 나뉘어 구성되고, 상기 전극은 두 쌍의 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출력부와 제2출력부에는 상기 두 쌍의 전극이 각각 한 쌍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토포레시스용 칩 모듈은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칩 상에 집적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1020060114405A 2006-11-20 2006-11-20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100730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405A KR100730582B1 (ko) 2006-11-20 2006-11-20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EP07808131A EP2089103B1 (en) 2006-11-20 2007-09-07 An apparatus for iontophoresis
CN2007800429918A CN101541373B (zh) 2006-11-20 2007-09-07 用于离子电渗疗法的设备
US12/515,269 US8204587B2 (en) 2006-11-20 2007-09-07 Apparatus for iontophoresis
JP2009538302A JP5254243B2 (ja) 2006-11-20 2007-09-07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PCT/KR2007/004338 WO2008062943A1 (en) 2006-11-20 2007-09-07 An apparatus for iontophore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405A KR100730582B1 (ko) 2006-11-20 2006-11-20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582B1 true KR100730582B1 (ko) 2007-06-20

Family

ID=38372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405A KR100730582B1 (ko) 2006-11-20 2006-11-20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04587B2 (ko)
EP (1) EP2089103B1 (ko)
JP (1) JP5254243B2 (ko)
KR (1) KR100730582B1 (ko)
CN (1) CN101541373B (ko)
WO (1) WO2008062943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403B1 (ko) * 2012-11-06 2015-07-03 한국과학기술원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WO2015167037A1 (ko) * 2014-04-29 2015-11-05 주식회사 케이헬쓰웨어 이온토포레시스 투약 장치 및 투약 방법
KR20160001579U (ko) * 2014-11-03 2016-05-13 (주)아모레퍼시픽 무선전기 공급을 받아 작동되는 침패치를 부착한 마스크팩
KR101776473B1 (ko) * 2016-03-21 2017-09-19 박은홍 마스크 팩용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방법
KR20180047088A (ko) * 2016-10-31 2018-05-1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상태 측정 장치, 그를 이용한 피부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06574A (ko) 2019-07-09 2021-01-19 오경진 일회용 약물 전달 패치 탈부착형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20210035710A (ko) * 2019-09-24 2021-04-0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전기 자극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KR20210035713A (ko) * 2019-09-24 2021-04-0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전기 자극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지방분해 장치
KR102447720B1 (ko) 2021-06-25 2022-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용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81914A1 (en) * 2010-12-28 2013-10-24 Terumo Kabushiki Kaisha Transdermal drug administration device
US10201703B2 (en) * 2012-02-02 2019-02-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Integrated surface stimulation device for wound therapy and infection control
EP2949359A4 (en) * 2013-01-23 2016-09-14 Terumo Corp MEDICAMENTAL ADMINISTRATION AND CONTROL PROCEDURE
WO2014125518A1 (ja) * 2013-02-18 2014-08-21 テルモ株式会社 薬剤投与装置、薬剤投与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
GB201415611D0 (en) * 2014-09-03 2014-10-15 Univ Strathclyde Apparatus for topical application of material
FR3048363A1 (fr) * 2016-03-04 2017-09-08 Oreal Article cosmetique electrique a pile repositionnable
WO2017213442A1 (ko) * 2016-06-08 2017-12-14 주식회사 아모센스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이온토포레시스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기기
GB2554455A (en) * 2016-09-29 2018-04-04 Feeligreen Sa Skin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y of an active ingredient into the human skin by means of iontophoresis, using an array of electrodes
CN106512205B (zh) * 2016-11-03 2019-02-05 杭州益贴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助眠美容功能的面膜控制装置及其使用方法
WO2019060332A1 (en) 2017-09-19 2019-03-28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Veteran Affairs FLEXIBLE IMPLANTABLE FABRIC STIMUL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US11124901B2 (en) 2017-11-27 2021-09-21 First Step Holdings, Llc Composite fabric, method for forming composite fabric, and use of a composite matter fabric
KR20190116749A (ko) * 2018-04-05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센서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08853720A (zh) * 2018-05-16 2018-11-23 邱骅轩 一种用于美容领域的自适应透皮离子电渗法导入系统
US10279176B1 (en) 2018-06-11 2019-05-07 First Step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absorption of medications and cosmeceuticals through the skin of the user
CN109364373B (zh) * 2018-12-24 2022-11-11 李新虹 一种基于透入疗法的面瘫恢复护理装置
KR102357602B1 (ko) * 2020-10-13 2022-02-07 (주) 레지에나 시트 마스크 장치
KR102715110B1 (ko) * 2021-07-22 2024-10-11 (주) 레지에나 시트 마스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1451A (ko) * 1995-01-18 1998-05-15 스티븐 에프. 스톤 재사용 가능한 절전 제어기가 구비된 전자 운송 장치(Electrotransport Device Having Reusable Controller Power Saver)
KR19980702570A (ko) * 1995-03-24 1998-07-15 스톤 스티븐 에프 전자이송 공급장치 및 그의 표시방법
KR19990022342A (ko) * 1995-06-05 1999-03-25 스톤 스티븐 에프. 펜타닐과 서펜타닐을 경피성 일렉트로트랜스포트 투여하기위한 장치
JP2001095928A (ja) 1999-08-25 2001-04-10 Becton Dickinson & Co イオン導入法による薬剤投入装置
KR20010070084A (ko) * 1999-09-20 2001-07-25 나까도미 히로다카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62564A (en) * 1983-09-01 1989-10-31 Minoru Sasaki Iontophoresis device
US5042975A (en) * 1986-07-25 1991-08-27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Iontotherapeutic device and process and iontotherapeutic unit dose
JPH0345271A (ja) * 1989-07-12 1991-02-26 Teijin Ltd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デバイス
US5047007A (en) * 1989-12-22 1991-09-10 Medtro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ulsed iontophoretic drug delivery
US5254081A (en) * 1991-02-01 1993-10-19 Empi, Inc. Multiple site drug iontophoresi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5450845A (en) * 1993-01-11 1995-09-19 Axelgaard; Jens Medical electrode system
US6141582A (en) * 1995-08-31 2000-10-3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Ltd. Iontophoresis system and its control process of current
RU2090613C1 (ru) 1995-09-01 1997-09-20 Каньчжэн Ю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Цзя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натурального информационного пита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ому объекту "биотрон-цзян"
US5688232A (en) * 1995-09-28 1997-11-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ontophoretic drug delivery device having an improved controller
US5926642A (en) 1995-10-06 1999-07-20 Advanced Micro Devices, Inc. RISC86 instruction set
US6319241B1 (en) * 1998-04-30 2001-11-20 Medtronic, Inc. Techniques for positioning therapy delivery elements within a spinal cord or a brain
US6148232A (en) * 1998-11-09 2000-11-14 Elecsys Ltd. Transdermal drug delivery and analyte extraction
US6597946B2 (en) * 1998-11-09 2003-07-22 Transpharma Ltd. Electronic card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and analyte extraction
US6119038A (en) * 1998-11-20 2000-09-12 Proventure, Llc Handheld skin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20010002513A (ko) 1999-06-15 2001-01-15 김영환 기지국 관리 시스템에서 기지국 위치 정보 출력 방법
CA2409603A1 (en) * 2000-05-22 2001-11-29 Merck & Company,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a pharmaceutical agent delivery system
EP1339312B1 (en) * 2000-10-10 2006-01-04 Microchips, Inc. Microchip reservoir device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of power and data
US6823202B2 (en) * 2002-04-01 2004-11-23 Iomed, Inc. Iontophoretic power supply
US7630759B2 (en) * 2002-05-20 2009-12-08 Epi-Sci, Ll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electrophysiological changes in pre-cancerous and cancerous breast tissue and epithelium
KR100965239B1 (ko) * 2003-08-20 2010-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광 블록
KR100522927B1 (ko) * 2004-03-03 2005-10-19 주식회사 프라임 메디텍 이온 마스크
KR100610252B1 (ko) 2004-07-01 2006-08-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100610253B1 (ko) * 2004-10-12 2006-08-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EP1944057A4 (en) * 2005-09-30 2009-02-18 Tti Ellebeau Inc IONTOPHORESIS DEVICE FOR MONITORING THE DOSE AND TIME OF ADMINISTRATION OF A SLEEP-INDUCING AND ANALYTICAL AGENT
MX2008010340A (es) * 2006-02-09 2008-11-18 Deka Products Lp Sistemas y metodos para el suministro de fluido.
WO2009026139A1 (en) * 2007-08-17 2009-02-26 Isis Biopolymer Llc Iontophoretic drug delivery system
US20090149800A1 (en) * 2007-12-10 2009-06-11 Isis Biopolymer Llc Iontophoretic drug delivery device and software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1451A (ko) * 1995-01-18 1998-05-15 스티븐 에프. 스톤 재사용 가능한 절전 제어기가 구비된 전자 운송 장치(Electrotransport Device Having Reusable Controller Power Saver)
KR19980702570A (ko) * 1995-03-24 1998-07-15 스톤 스티븐 에프 전자이송 공급장치 및 그의 표시방법
KR19990022342A (ko) * 1995-06-05 1999-03-25 스톤 스티븐 에프. 펜타닐과 서펜타닐을 경피성 일렉트로트랜스포트 투여하기위한 장치
JP2001095928A (ja) 1999-08-25 2001-04-10 Becton Dickinson & Co イオン導入法による薬剤投入装置
KR20010070084A (ko) * 1999-09-20 2001-07-25 나까도미 히로다카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403B1 (ko) * 2012-11-06 2015-07-03 한국과학기술원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WO2015167037A1 (ko) * 2014-04-29 2015-11-05 주식회사 케이헬쓰웨어 이온토포레시스 투약 장치 및 투약 방법
KR20160001579U (ko) * 2014-11-03 2016-05-13 (주)아모레퍼시픽 무선전기 공급을 받아 작동되는 침패치를 부착한 마스크팩
KR200483166Y1 (ko) * 2014-11-03 2017-04-21 (주)아모레퍼시픽 무선전기 공급을 받아 작동되는 침패치를 부착한 마스크팩
KR101776473B1 (ko) * 2016-03-21 2017-09-19 박은홍 마스크 팩용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방법
KR20180047088A (ko) * 2016-10-31 2018-05-1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상태 측정 장치, 그를 이용한 피부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92816B1 (ko) * 2016-10-31 2018-08-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상태 측정 장치, 그를 이용한 피부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06574A (ko) 2019-07-09 2021-01-19 오경진 일회용 약물 전달 패치 탈부착형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20210035710A (ko) * 2019-09-24 2021-04-0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전기 자극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KR20210035713A (ko) * 2019-09-24 2021-04-0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전기 자극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지방분해 장치
KR102285202B1 (ko) * 2019-09-24 2021-08-04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전기 자극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KR102285205B1 (ko) * 2019-09-24 2021-08-04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전기 자극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지방분해 장치
KR102447720B1 (ko) 2021-06-25 2022-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용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1373B (zh) 2012-12-05
CN101541373A (zh) 2009-09-23
EP2089103A4 (en) 2010-09-29
EP2089103A1 (en) 2009-08-19
EP2089103B1 (en) 2012-12-05
JP2010510023A (ja) 2010-04-02
US8204587B2 (en) 2012-06-19
JP5254243B2 (ja) 2013-08-07
US20100241057A1 (en) 2010-09-23
WO2008062943A1 (en) 200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582B1 (ko)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US8731657B1 (en) Multi-mode microcurrent stimulus system with safety circuitry and related methods
KR102008869B1 (ko) 휴대용 hifu 스킨케어 디바이스
BRPI0713151A2 (pt) sistema neuro-estimulatório não invasivo
CN108578891B (zh) 一种疼痛电脉冲治疗仪的硬件电路
KR101649603B1 (ko) 멀티 교차 전극을 갖는 고주파 미용장치
US20170095660A1 (en) Iontophoresis injection device and injection method
KR20110018021A (ko) 이종 광조사 휴대용 피부 트리트먼트 장치
CN111714084B (zh) 皮肤美容仪器及其控制方法
KR20090091496A (ko) 고주파와 광원을 이용한 심부치료기
KR100992931B1 (ko) 신체심부 측정진단 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의료용 투열기
US9889296B2 (en) Signal adjustment for electrotherapy
CN110380519B (zh) 一种心脏起搏器的无线充电系统及其充电方法
KR102056014B1 (ko) Hifu 스킨케어 디바이스용 카트리지
KR102341817B1 (ko) 스마트 스킨 케어 디바이스의 구동 제어 방법
CN219149005U (zh) 电子设备
TW201431578A (zh) 電池內置型攜帶式高頻治療器
CN213347460U (zh) 一种多功能盆底肌康复训练器
JP5737766B2 (ja) 携帯用電源装置
US20160059020A1 (en) Battery pack for electrotherapy devices
KR102341818B1 (ko) 스마트 스킨 케어 디바이스
CN116549847A (zh) 一种经皮电、近红外线软组织损伤理疗电极及理疗装置
KR20190062643A (ko) 안경타입 피부미용 장치
KR101666420B1 (ko)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
CN219398730U (zh) 一种可无线控制的光电热理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