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568B1 - disposable safety syringe - Google Patents
disposable safety syrin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6568B1 KR100566568B1 KR1020040014356A KR20040014356A KR100566568B1 KR 100566568 B1 KR100566568 B1 KR 100566568B1 KR 1020040014356 A KR1020040014356 A KR 1020040014356A KR 20040014356 A KR20040014356 A KR 20040014356A KR 100566568 B1 KR100566568 B1 KR 1005665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cylinder
- fitting
- needle
- adap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using additional parts, e.g. clamping rings or collets
- A61M5/345—Adaptors positioned between needle hub and syringe nozz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61M2005/5073—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by breaking or rupturing the connection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안전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주사바늘이 고정된 주사바늘 고정관을 실린더에 결합할 때 변형성이 민감한 오링을 사용하지 않고 중간부재인 어덥터관과 끼움관을 사용하여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결합부분 실링을 완벽하게 이루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safety syringe, the coupling portion of the needle fixing tube using the adapter tube and the fitting tube of the intermediate member without using a deformable sensitive O-ring when coupling the needle fixed tube fixed needle to the cylinder The seal is perfected.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일단인 전방쪽과 타단인 후방쪽이 개방된 상태로 연통된 실린더(101)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부에는 실린더(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쪽 및 후방쪽으로 선택 이동될 수 있도록 밀대(103)가 끼워지며, 상기 밀대의 전방쪽 둘레부분에는 밀대(103)의 전,후방 이동시 실린더(101)와 기밀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면서 압축력을 제공하거나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피스톤(104)이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중 일단인 전방쪽에 끼워져 실린더의 공간부와 연통된 상태의 어덥터관(105)과, 상기 어덥터관의 전방쪽 끝단 중심부분에 어덥터관(105)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은 가진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어덥터관 내부와 연통된 상태의 주사액 배출관(106)과, 상기 어덥터관(105)의 내경부로 끼워져 어덥터관을 실린더(101) 쪽으로 가압시켜 주면서 어덥터관(105)과 실린더(101)를 기밀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끼움관(107)과, 상기 어덥터관(105)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관(106)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주사바늘(108)이 고정된 주사바늘 고정관(109)과, 상기 밀대(103)의 전방쪽 끝단 중심부분에 그 후방쪽의 축방향 중심선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주사를 위해 밀대(103)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켰을 때는 끝부분이 끼움관(107)을 완전히 통과하여 주사액 배출관(106)의 내경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주사액 배출관의 특정부위를 편심 가압시켜 주는 가압편(112)과, 주사 완료후 전방쪽으로 이동되어 있던 밀대(103)를 다시 후방쪽으로 잡아당겨 이동시킬 때 상기 어덥터관(105)에 끼워진 끼움관(107)을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시켜 주는 끼움관 이동수단과, 상기 어덥터관(105)에 끼워진 끼움관(107)이 후방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밀대(103)를 계속 후방쪽으로 잡아당겨 이동시킬 때 그 이동되는 어느 순간부터 어덥터관(105)을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시켜 주는 어덥터관 이동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제공한 것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ylinder portion 101 having a space therein and communicated in a state where the front side at one end and the rear side at the other end are opened, and the space portion in the cylinder is for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101. The push rod 103 is fitted to be selectively moved to the side and the rear, and the front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push rod provides a compressive force while moving together in the airtight contact state with the cylinder 101 dur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push rod 103. Or the piston 104 is coupled to provide a suction force, the adapter tube 105 in the state of be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space portion of the cylinder and fitted to the front side of one of the space portion in the cylinder 101, and the front side of the adapter tube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 pipe 106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adapter pipe 105 are formed in the state protruded in the stat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adapter tube 105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adapter tube, A fitting tube 107 which presses the adapter tube toward the cylinder 101 and keeps the adapter tube 105 and the cylinder 101 in an airtight state, and an injection liquid discharge tube 106 formed in the adapter tube 105. The needle fixed tube 109 coupled to the needle 108 fixed to the needle 108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pusher 103 formed in the inclined state of the axial center line of the rear side thereof in an inclined state to perform the injection. When the push rod 103 is moved forward to the front end portion is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fitting pipe 107 is located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 pipe 106, the pressure piece 112 for eccentrically pressing the specific portion of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 pipe And a fitting tube moving means for moving the fitting tube 107 inserted into the adapter tube 105 to the rear when the pushing rod 103, which has been moved to the front after completion of the injection, is moved backward. remind When the fitting pipe 107 inserted in the tubular pipe 105 is moved to the rear in the state that the push rod 103 continues to be pulled to the rear to move the rear tube 105 together from the moment at which it is moved It is to provide a disposable safety syringe including an adapter tube moving means.
주사기, 안전주사기, 주사바늘Syringe, syringe, needle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주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monly used disposable syringe
도 2a 내지 2b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종단면도Figures 2a to 2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o explain the state of use of a disposable syringe generally used
도 3은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isposable safety syringe
도 4a 내지 4e는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4a to 4e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a conventional disposable safety syringe
도 5는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구성요소인 주사바늘 고정관와 밀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needle pinned tube and the push rod as a component of a conventional disposable safety syringe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osable safety syri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Figure 7 i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disposable safety syri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8f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종단면도8a to 8f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isposable safety syri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요부 구성요소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main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safety syri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ly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 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osable safety syrin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Figure 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disposable safety syrin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요부 구성요소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main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safety syrin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ly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실린더 101a. 끼움홈101.
101b. 요입홈 103. 밀대101b.
104. 피스톤 105. 어덥터관104. Piston 105. Adapter tube
105a. 제2걸림턱 105b. 끼운돌기105a. Second catching
105c. 돌출편 106. 주사액 배출관105c.
107. 끼움관 107a. 제1걸림턱107. Fitting
107b. 제2걸림돌기 107c. 제1경사면107b.
107d. 제2경사면 108. 주사바늘107d. Second
109. 주사바늘 보호관 112. 가압편109.
112a. 제1걸림돌기112a. First jamming protrusion
본 발명은 일회용 주사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주사후에 는 주사바늘을 실린더 내의 공간부로 인입시켜 상기 주사바늘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주사기를 사용후 폐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나 환자가 주사바늘에 찔리는 일이 없도록 함은 물론 폐기된 주사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주사바늘에 찔리는 일이 없도록 한 일회용 안전주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disposable syringes, and more particularly, after the injection, the needle is inserted into the space within the cylinder so that the needl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or patient injects the syringe in the process of discarding the syringe after 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safety syringe that prevents the needle from being stuck in the needle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discarded syringe as well as preventing the needle being stuck.
일반적으로 일회용 주사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전방쪽에는 결합관(2)이 단차진 상태로 형성된 실린더(1)가 있고,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부에는 실린더(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밀대(3)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밀대의 전방쪽에는 밀대(3)의 전,후방이동시 실린더(1)와 기밀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면서 압축력을 제공하거나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피스톤(4)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에 형성된 결합관(2)에는 바깥쪽에서 주사바늘 고정관(5)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에는 사용시 환자의 피부속으로 꽂히도록 주사바늘(6)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5)에는 주사바늘(6)을 완전히 감싼상태에서 보호하도록 분리가능하게 주사바늘 보호캡(7)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In general, a disposable syringe has a
이와 같은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use of such a general disposable syringe is as follows.
첨부된 도 2a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주사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하기 전 피스톤이 구비된 밀대가 후방쪽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는 실린더(1) 내의 공간부중 밀대(3)에 결합된 피스톤(4)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부분에 주사액이 흡입되어 채워져 있다.2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enerally used disposable syringe, in which a push rod with a piston is moved to the rear side before injection, in which state the push rod is coupled to the space-
상기에서 실린더(1) 내의 공간부로 주사액이 흡입되어 채워지도록 하기 위해 서는 그 이전에 사용자(의사나 간호사)가 주사바늘 고정관(5)에 고정된 상태의 주사바늘(5)을 보호하고 있는 주사바늘 보호캡(7)을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5)에서 분리시켜 상기 주사바늘(6)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실린더(1)의 공간부에 끼워진 밀대(3)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주사바늘(6)의 끝단이 주사액통(도시는 생략함)에 채워져 있는 주사액에 잠기도록 한 다음 상기 밀대(3)를 다시 후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밀대와 함께 피스톤(4)이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상기에서 밀대(3)에 결합된 피스톤(4)이 밀대(3)의 잡아당김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1) 내의 공간부로 흡입력이 제공됨에 따라 이 과정에서 주사액통에 채워져 있는 주사액이 주사바늘 고정관(5)에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6)을 통해 흡입되어 실린더(1) 내의 공간부에 채워짐은 이해 가능하다.In order to inject the injection liquid into the space in the
상기 도 2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린더(1)를 환자쪽인 전방쪽으로 이동시켜 주사바늘(6)을 환자의 피부 속으로 꽂아 넣은 다음 밀대(3)를 밀어서 상기 밀대에 구비되어 있는 피스톤(4)을 전방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실린더(1) 내의 공간부중 피스톤(4)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부분에 압축력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1) 내의 공간부에 채워져있는 주사액이 압축력을 받으면서 실린더(1)에 형성된 결합관(2)을 빠져나가고, 상기 결합관을 빠져나간 주사액은 계속해서 주사바늘 고정관(5)에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6)을 통해 환자의 피부속으로 들어가는 투약이 이루어 지는데, 이 상태가 첨부된 도 2b이다.In the state as shown in FIG. 2A, the user moves the
또한 주사기의 사용후에는 분리되었던 주사바늘 보호캡(7)을 실린더(1)의 결 합관(2)에 결합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관(5)에 다시 결합시켜 상기 주사바늘 보호캡(7)이 주사바늘(5)을 완전히 감싼상태에서 보호하도록 한 다음 폐기하면 된다.In addition, after the use of the syringe, the needle protection cap (7), which was separated, is re-engaged with the needle fixing tube (5) coupled to the coupling tube (2) of the cylinder (1). The needle (5) must be completely wrapped and then discarded.
상기에서 설명된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는 사용후 폐기할 때 주사바늘 보호캡(7)으로서 주사바늘 고정관(5)에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6)을 완전히 감싸도록 보호한 다음 폐기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인 의사나 간호사가 주사바늘(6)에 찔리는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를 에이즈 환자 등과 같이 전염성 병원균을 갖고 있는 환자 등에 사용한 상태라면 안전사고의 심각성은 더더욱 커질 것이라 생각된다.The general disposable syringe described above is a situation in which the disposable disposable syringe is protected after being completely covered with the
한편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상기한 의료용 폐기물은 전문 폐기물 처리업체에 맡겨져 처리되고 있음을 감안 할 때 이 과정에서 주사바늘(6)을 보호하고 있는 주사바늘 보호캡(7)이 분리되면서 폐기물을 처리하는 작업자가 상기 주사바늘(6)에 찔리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도 상기한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problem does not occur in the process of using a disposable syringe, since the medical waste is handled by a specialized waste disposal company, the needle protection cap that protects the
따라서 의료용 기계, 기구물을 제조하는 업계에서는 상기한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회용으로 사용하면서도 사용후 폐기하는 과정에서 주사바늘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개발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Therefore, in the industry of manufacturing medical machinery and apparatu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general disposable syringes, the disposable safety syringes which are used for single use and do not cause accidents caused by needles in the process of disposal after use are widely used. There is a situation.
그럼 여기서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o here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5 attached to the conventional disposable safety syringe as follows.
일단 및 타단이 연통된 상태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전방쪽에는 결합관(12)이 단차진 상태로 형성된 실린더(11)가 있고,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부에는 실린더(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밀대(13)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밀대의 전방쪽에는 밀대(13)의 전,후방이동시 실린더(11)와 기밀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면서 압축력을 제공하거나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피스톤(14)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1)에 형성된 결합관(12) 내에는 그 전방쪽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주사바늘 고정관(15)이 실린더(11) 내의 공간부쪽에서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실린더(11) 외부 노출부분인 전방쪽에는 사용시 환자의 피부속으로 꽂히도록 주사바늘(16)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11)의 전방쪽에 형성된 결합관(12)의 외측에는 주사바늘(16)을 감싼상태에서 보호하도록 주사바늘 보호캡(17)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밀대(13)중 피스톤(14)과 가까운 부분에는 상기 밀대(13)를 꺾어 쉽게 부러뜨릴 수 있도록 절단홈(18)이 형성되어 있다.One end and the other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pace portion and the front side has a cylinder (11) formed in the stepped state of the
한편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5)의 후방쪽 외측 둘레에는 실린더(11)에 결합관(12)을 단차지게 형성함에 따라 일체화된 단턱부에 걸리도록 플랜지(15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5)이 실린더(11)에 형성된 결합관(12) 내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5)의 전방쪽 이동이 플랜지(15a)에 의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고, 상기 실린더(11)에 형성된 결합관(12)의 내경에는 오링(19)이 끼워져 있는데, 이는 주사바늘 고정관(15)이 실린더(11)에 형성된 결합관(1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오링(19)이 결합관(12)과 주사바늘 고정관(15) 사이의 틈새를 기밀상태로 유지시켜 주기 위함에 있다.Meanwhile, a
또한 주사바늘 고정관(15)의 후방쪽 끝단 내경부에는 서로 대향되게 한쌍의 걸림턱(15b)이 형성되어 있고, 밀대(13)의 전방쪽 끝단에는 상기 밀대를 전방쪽으로 완전히 미는 어느 순간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5)의 내경부에 형성된 걸림턱(15b)과의 간섭을 이기고 끼워져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걸림편(13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턱(15b)중 걸림편(13a)과 마주보는 부분 및 상기 걸림편중 걸림턱(15b)과 마주보는 부분은 상기 걸림편(13a)이 걸림턱(15b)의 간섭력을 이기고 주사바늘 고정관(15)의 후방쪽 내경부로 끼워질 때 접촉에 따른 간섭력을 가급적 적게받도록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a pair of locking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using a conventional disposable safety syring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첨부된 도 4a는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하기 전 밀대와 함께 피스톤이 후방쪽으로 이동된 상태도인데, 이 상태에서는 실린더(11) 내의 공간부중 밀대(13)에 결합된 피스톤(14)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부분에 주사액이 흡입되어 채워져 있고, 상기 실린더(11) 내의 공간부로 주사액이 흡입되어 채워지도록 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는 기 설명된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의 과정을 참고하면 충분히 이해 가능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4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isposable safety syringe, in which the piston is moved to the rear side together with the push rod before injection, in this state the
상기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린더(11)를 손으로 잡고 환자쪽으로 이동시켜 주사바늘 고정관(15)에 고정된 주사바늘(16)을 환자의 피부 속으로 꽂아 넣은 다음 밀대(13)를 밀어 상기 밀대와 함께 피스톤(14)을 전방쪽으로 이동시키면 실린더(11) 내의 공간부중 피스톤(14)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부분에 압축력이 제 공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11) 내의 공간부로 채워져 있는 주사액이 압축력을 받게 되는데, 상기 실린더(11)의 전방쪽에 형성된 결합관(12) 내에는 주사바늘(16)을 고정한 상태로 주사바늘 고정관(15)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실린더(11) 내의 공간부에 채워진 주사액은 계속해서 주사바늘(16)을 통해 환자의 피부속으로 들어가는 투약이 이루어 지고, 상기 주사액의 투약이 완료된 상태가 도 4b이다.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A, the user grabs the
상기에서 실린더(11)에 형성된 결합관(12) 내에 주사바늘 고정관(15)이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후방쪽 외측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15a)가 실린더(11)에 결합관(12)을 단차지게 형성함에 따라 일체화된 단턱부에 걸려 있게 되므로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5)의 전방쪽 이동이 상기 플랜지(15a)에 의해 제한되어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실린더(11)에 형성된 결합관(12)의 내경에 끼워져 있는 오링(19)이 상기 결합관(12)과 주사바늘 고정관(15) 사이의 틈새를 기밀상태로 유지시켜 주므로 밀대(13)의 전방쪽 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11) 내의 공간부에 채워져 있던 주사액이 상기 실린더를 빠져나가면서 투약이 이루어질 때 외부로 쉽게 새어나가거나 하지는 않는다.In the state in which the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주사액이 환자에게 투약 완료된 상태는 결국 밀대(13)와 함께 피스톤(14)이 전방쪽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대(13)의 전방쪽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13a)이 재질자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주사바늘 고정관(15)의 후방쪽 내경부 둘레에 서로 대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5b)의 걸림력을 이기고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5)의 내경부로 끼워져 들어가 상기 걸림턱(15b)에 걸려 있게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injection solution is administered to the patient by this process, the
상기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실린더(11)를 환자와 반대쪽으로 이동시켜 환자의 피부에 꽂혀있는 주사바늘(16)을 빼냄과 동시에 한손으로 상기 실린더(11)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밀대(13)를 후방쪽으로 강하게 잡아당기면 상기 밀대의 전방쪽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13a)이 주사바늘 고정관(15)의 후방쪽 내경부로 끼워져 상기 후방쪽 내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5b)에 걸려 있음에 따라 상기 밀대(13)는 주사바늘 고정관(15)와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되면서 도 4c와 같이 실린더(11) 내의 공간부로 완전히 들어가 위치되고, 이 경우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5)에 고정된 주사바늘(16)도 실린더(11) 내의 공간부로 완전히 들어가 위치되는데,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5)이 실린더(11) 내의 공간부로 완전히 들어가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5)는 그 후방쪽 끝단이 밀대(13)의 전방쪽 끝단에 걸려있는 상태임에 따라 편심된 무게중심으로 인해 상기 밀대와의 걸림점인 후방쪽 끝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중력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5)에 고정된 주사바늘(16)의 전방쪽 끝단만이 실린더(11)의 내경부에 접촉되므로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5)와 주사바늘(16)은 비스듬한 상태의 경사를 유지하게 된다.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B, the
이후 밀대(13)에 형성되어 있는 절단홈(18)이 실린더(11)의 후방쪽 바깥쪽에 근접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밀대(13)를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몇번 반복해서 누르게 되면 그 누르는 힘에 의해 밀대(13)의 절단홈(18)부분이 도 4d와 같이 절단되고, 상기 밀대가 절단된 이후에는 실린더(11)의 빠깥쪽 부분 밀대를 상기 절단부분이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전방쪽에서 결합관(12)을 통해 도 4e와 같이 꼽아 넣어 폐기 과정에서 실린더(11) 내의 공간부로 들어가 있던 주사바늘(16)이 상기 결합관(12)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는 일이 없도록 한다.Then, the cutting
따라서 주사바늘(16)은 어떠한 경우에도 실린더(11)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함에 따라 사용후 주사기를 폐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주사바늘(16)에 찔리는 일이 없음은 물론 폐기된 주사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폐기물을 처리하는 작업자가 주사바늘(16)에 찔리는 일도 없으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되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일회용 안전주사기는 주사바늘 고정관(15)와 결합관(12) 사이를 기밀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실링하도록 오링(19)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safety syringe has been using the O-
첫째, 오링(19)은 적은 외부 압력에 의해서도 매우 민감한 변형성을 갖는 부품임을 감안할 때 주사기의 조립을 위해 각종 부품이 자동 조립라인을 통해 정렬되는 과정에서는 물론 상기 정렬된 오링(19)을 실린더(11)의 결합관(12)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쉽게 찌그러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오링(19)이 결합관(12) 내로 안정되게 삽입되지 못함에 따라 불량율이 높아짐은 물론 상기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의 복잡한 부가장치를 조립라인에 구비시켜야 함에 따라 비용부담이 가중되면서 제품의 단가가 올라간다.First,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O-
둘째, 오링(19)의 불량상태는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지 않은 상태가 대부분이므로 상기 불량상태의 오링이 사용될 확율이 높고, 이 경우에는 조립 완료된 주사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주사액이 새어나가 환자에게 불안감을 안겨주게 된다.Second, since the defective state of the O-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사바늘이 고정된 주사바늘 고정관을 실린더에 결합할 때 변형성이 민감한 오링을 사용하지 않고 중간부재인 어덥터관과 끼움관을 사용하여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결합부분 실링을 완벽하게 이루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when using the needle fixed tube fixed needle to the cylinder using a deformable sensitive O-ring without using an intermediate member adapter tube and fitting tube The purpose is to achieve a perfect sealing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needle holding tube.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일단인 전방쪽과 타단인 후방쪽이 개방된 상태로 연통된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부에는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쪽 및 후방쪽으로 선택 이동될 수 있도록 밀대가 끼워지며, 상기 밀대의 전방쪽 둘레부분에는 밀대의 전,후방 이동시 실린더와 기밀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면서 압축력을 제공하거나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피스톤이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부중 일단인 전방쪽에 끼워져 실린더의 공간부와 연통된 상태의 어덥터관과, 상기 어덥터관의 전방쪽 끝단 중심부분에 어덥터관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은 가진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어덥터관 내부와 연통된 상태의 주사액 배출관과, 상기 어덥터관의 내경부로 끼워져 어덥터관을 실린더 쪽으로 가압시켜 주면서 어덥터관과 실린더를 기밀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끼움관과, 상기 어덥터관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관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주사바늘이 고정된 주사바늘 고정관과, 상기 밀대의 전방쪽 끝단 중심부분에 그 후방쪽의 축방향 중심선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주사를 위해 밀대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켰을 때는 끝부분이 끼움관을 완전히 통과하여 주사액 배출관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주사액 배출관의 특정부위를 편심 가압시켜 주는 가압편과, 주사 완료후 전방쪽으로 이동되어 있던 밀대를 다시 후방쪽으로 잡아당겨 이동시킬 때 상기 어덥터관에 끼워진 끼움관을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시켜 주는 끼움관 이동수단과, 상기 어덥터관에 끼워진 끼움관이 후방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밀대를 계속 후방쪽으로 잡아당겨 이동시킬 때 그 이동되는 어느 순간부터 어덥터관을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시켜 주는 어덥터관 이동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ylinder having a space therein and communicate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of one end and the rear end of the other end is open, the space in the cylinder in the front and re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The push rod is fitted to be selectively moved, and the front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push rod is coupled to the piston to provide a compressive force or a suction force while moving together in airtight contact with the cylinder when the push rod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e adapter tube is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one end of the space in the cylinder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space of the cylinder, and the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adapter tube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adapter tube to form the protrusion tube.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 tu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adapter tube are inserted into the cylinder tube toward the cylinder. A fitting tube that pressurizes the tube while keeping the cylinder and the cylinder in a gastight state, a needle fixing tube which is coupled to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 tube formed in the adapter tube and fixed with a needle, and a central portion at the front end of the push rod. The rear axial centerline is formed in an inclined state so that when the push rod is moved forward for the injection, the end portion is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fitting tube and is located in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 pipe to pressurize a specific portion of the injection liquid discharge pipe. When the pressing piece and the push rod which has been moved to the front sid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jection are pulled back to move the fitting tube moving means for moving the fitting tube fitted to the adapter tube to the rear side, and the fitting tube fitted to the adapter tube is When moving the push rod to the rear while moving backward May be accomplished by providing a disposable safety syring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hayeoseo including eodeopteo tube moving means that moves towards the rear together eodeopteo tube from one point to be moved.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6 내지 도 9과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6 to 9 and the attached FIGS. 10 to 12, which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as follows.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에에 따른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며, 도 8a 내지 8f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요부 구성 요소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일단과 타단이 연통된 상태에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일단인 전방쪽에는 결합관(102)이 단차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101)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부에는 실린더(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선택 이동될 수 있도록 밀대(103)가 끼워지며, 상기 밀대의 전방쪽 둘레에는 밀대(103)의 전,후방이동시 실린더(101)와 기밀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면서 압축력을 제공하거나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피 스톤(104)이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중 일단인 전방쪽에는 실린더의 공간부와 연통된 상태로 어덥터관(105)이 끼워지며, 상기 어덥터관의 전방쪽 끝단 중심부분에는 어덥터관(105)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은 가진 상태에서 상기 어덥터관과 연통된 상태로 주사액 배출관(106)이 돌출 형성된다.Attached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osable safety syri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disposable safety syri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a to 8f is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isposable safety syrin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main components of the disposable safety syrin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e end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또한 어덥터관(105)의 내경부에는 어덥터관(105)을 실린더(101) 쪽으로 가압시켜 어덥터관(105)과 실린더(101)가 기밀상태로 유지되도록 끼움관(107)이 끼워지고, 상기 어덥터관(105)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관(106)에는 주사바늘(108)이 고정된 상태의 주사바늘 고정관(109)이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에는 주사바늘(108)을 보호하도록 주사바늘 보호캡(11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밀대(103)중 피스톤(104)과 가까운 부분에는 사용후 폐기 과정에서 상기 밀대(103)를 꺾을 때 쉽게 부러지면서 절단되도록 절단홈(11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ner tube portion of the
상기 밀대(103)의 전방쪽 끝단에는 그 축방향 중심선이 경사진 상태로 가압편(112)이 형성되어 밀대(103)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켰을 때 상기 가압편(112)의 끝부분이 끼움관(107)을 통과하여 어덥터관(105)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관(106)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주사액 배출관(106)이 가압편(112)의 편심가압력을 받도록 한다.At the front end of the
상기 끼움관(107)의 내경부에는 둘레를 따라 제1걸림턱(107a)이 형성되고, 가압편(112)의 외경부에는 적소에는 제1걸림돌기(112a)가 형성되어 주사 완료후 전방쪽으로 이동되어 있던 밀대(103)를 다시 후방쪽으로 잡아당겨 이동시킬 때 상기 걸림돌기(112a)가 걸림턱(107a)에 걸리면서 어덥터관(105)에 끼워진 끼움관(107)을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시켜 줌에 따라 어덥터관(105)의 실린더(101)쪽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어덥터관(105)과 실린더(101) 사이의 기밀도 해제되도록 한다.A first catching
상기에서 가압편(112)의 외경부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112a)는 탄성력을 갖도록 함에 바람직 한데, 이는 주사를 위해 밀대(103)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킴에 따라 가압편(112)이 끼움관(107)의 내경부를 통과할 때 상기 제1걸림돌기(112a)가 끼움관(107)에 초기 접촉되면서 간섭되더라도 탄성력으로 가압편(112)의 외경부에 밀착되어 그 간섭력을 원활히 이기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The first locking projection (112a)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어덥터관(105)의 내경부에는 둘레를 따라 제2걸림턱(105a)이 형성되고, 끼움관(107)의 외경부에는 둘레를 따라 제2걸림돌기(107b)가 형성되어 밀대(103)의 계속적인 후방이동에 의해 끼움관(107)이 함께 이동할 때 제2걸림돌기(107b)가 제2걸림턱(105a)에 걸리면서 어덥터관(105)을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시켜 줌에 따라 상기 끼움관(107)과 어덥터관(105)이 동시에 실린더(101)의 내경부로 완전히 들어가도록 한다.In addition, a second catching
상기에서 끼움관(107)의 외경부 둘레중 어덥터관(105)에 형성된 제2걸림턱(105a)에 접촉될 부분에는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더 작아지는 테이퍼형의 제1경사면(107c)을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끼움관(107)을 어덥터관(105)의 내경부로 끼우는 과정에서 상기 끼움관(107)이 제2걸림턱(105a)에 초기 접촉되면서 간섭될 때 제1경사면(107c)으로 인해 그 간섭력을 원할히 이기도록 하기 위함에 있고, 상기 끼움관(107)의 외경부 둘레중 어덥터관(105)의 후방쪽 끝단에 접촉될 부분에는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더 작아지는 테 이퍼형의 제2경사면(107d)을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끼움관(107)을 어덥터관(105)의 내경부로 끼우는 과정에서 상기 끼움관(107)이 어덥터관(105)에 초기 접촉되면서 간섭될 때 제2경사면(107d)으로 인해 그 간섭력을 원활히 이기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The tapered first
그리고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중 어덥터관(105)이 끼워질 부분에는 그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의 끼움홈(101a)이 형성되고, 어덥터관(105)의 외경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의 끼움돌기(105b)가 형성되어 상기 어덥터관(105)을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끼운 상태에서는 상기 끼움돌기(105b)가 끼움홈(101a)으로 끼워짐에 따라 이후 어덥터관(105)에 원주방향 회전력이 부여되더라도 상기 어덥터관은 실제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A portion of the space in the
한편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중 어덥터관(105)이 끼워질 부분의 후방쪽에는 둘레를 따라 반원형의 요입홈(101b)이 형성되고, 상기 어덥터관(105)의 외경부중 후방쪽에는 어덥터관이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끼워져 있을 때 요입홈(101b)과 마주보도록 둘레를 따라 반원형의 돌출편(105c)이 형성되어 끼움관(107)이 어덥터관(105)의 내경부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어덥터관이 실린더(101) 쪽으로 가압될 때 상기 돌출편(105c)은 요입홈(101b)으로 수용되므로 인해 어덥터관(105)과 실린더(101)의 기밀유지가 더욱 향상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 semicircular recessed
상기한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어덥터관(105)의 전방쪽 끝단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관(106)에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관(109)이 끼워져 결합되는데, 이때 그 결합력 향상 및 사용상의 편리성 확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처럼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의 외측 둘레면중 후방쪽인 어덥터관(105) 결합부분 끝단에 대략 타원형의 플랜지(109a)가 형성되고, 실린더(101)에 형성된 결합관(102)의 내경부에는 나선상태로 나선돌기(102b)가 형성되어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을 플랜지(109a)에 의해 결합관(102)의 나선돌기(102b)에 나사조임함에 따라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이 주사액 배출관(106)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결합관(102)을 실린더(101)의 일단인 전방쪽에 상기 실린더와 단차진 상태로 직접 형성하는 대신 도 10 내지 도 12에 다른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관(102)을 어덥터관(105)에 직접 형성시키고, 상기 어덥터관에 형성된 결합관(102)의 내경부에는 나선상태로 나선돌기(102b)를 형성시켜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을 플랜지(109a)에 의해 결합관(102)의 나선돌기(102b)에 나사조임함에 따라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이 주사액 배출관(106)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여도 본 발명의 사용에는 큰 문제가 없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injection
한편, 본 발명 구성요소인 끼움관(106)의 후방쪽 끝단면인 피스톤(104) 대향면은 그 외경부 쪽에서 내경부 쪽으로 파여지게 경사진 형태로 되고, 상기 피스톤(104)의 전방쪽 끝단면인 끼움관(106) 대향면은 그 외경부 쪽에서 내경부 쪽으로 돌출되게 경사진 형태로 되어 상기 피스톤(104)이 밀대(103)의 전방쪽 이동에 의해 함께 전방쪽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104)의 돌출된 경사부분이 끼움관(106)의 파여진 경사부분으로 정확이 수용되도록 하는데, 이는 후술하 는 본 발명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 과정에서 밀대(103)와 함께 피스톤(104)이 전방쪽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력을 제공할 때 실린더(101) 내에 채워져 있는 주사액이 상기 끼움관(106) 쪽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실린더(101)를 모두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조립 과정을 간략하게 참고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Prior to explaining the us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osable safety syring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riefly describe the assembly process.
어덥터관(105)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관(106)이 실린더(101)를 향한 상태로 하여 상기 실린더의 후방쪽에 나란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어덥터관(105)을 전방쪽으로 이동시켜 주면 어덥터관은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끼워 넣어진 후 계속해서 상기 실린더의 일단인 전방쪽에 형성된 결합관(102)과 근접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어덥터관(105)의 외측둘레부분이 실린더(101) 내의 내경부 둘레와 근접상태로 가볍게 접촉되어 있게 된다.When the injection
상기에서 어덥터관(105)이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중 어덥터관(105)이 끼워질 부분에는 그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의 끼움홈(101a)이 형성되어 있고, 어덥터관(105)의 외경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의 끼움돌기(105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끼움돌기(105b)는 끼움홈(101a)으로 끼워질 수 밖에 없는데, 이는 후술하는 과정에서 어덥터관(105)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관(106)으로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관(109)을 끼워 결합시킬 때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을 회전시킴에 따라 그 회전력이 주사액 배출관(106)를 통해 어 덥터관(105)까지 전달되더라도 상기 어덥터관은 실제로 원주방향 회전이 어떠한 경우에도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이 주사액 배출관(106)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는 것이다.In the state where the
이후 끼움관(107)을 실린더(101)의 후방쪽에서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부로 집어 넣어 전방쪽으로 이동시켜 주면 그 이동되는 어느 순간부터 상기 끼움관(107)이 어덥터관(105)의 내경부로 끼워지기 시작하는데, 이때 상기 어덥터관(105)의 내경부에는 후방쪽 둘레를 따라 제2걸림턱(105a)이 형성되어 있고, 끼움관(107)의 외경부에는 전방쪽 둘레를 따라 제2걸림돌기(107b)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제2걸림돌기는 제2걸림턱(105a)에 일단 걸리면서 간섭되고, 이후 작업자가 끼움관(107)을 전방쪽으로 더 밀어 이동시켜 주면 상기 제2걸림돌기(107b)는 재질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제2걸림턱(105a)의 간섭력을 이기게되므로 상기 끼움관(107)은 더 전방쪽으로 이동되면서 어덥터관(105)의 내경부에 완전한 상태로 끼워진다.Thereafter, the
상기에서 끼움관(107)이 어덥터관(105)의 내경부로 끼워질 때 제2걸림돌기(107b)가 제2걸림턱(105a)의 접촉에 따른 간섭력을 이길 수 있는 것은, 상기 끼움관(107)의 외경부 둘레중 어덥터관(105)에 형성된 제2걸림턱(105a)에 초기 접촉될 제2걸림돌기(107b) 형성부분에는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더 작아지는 테이퍼형의 제1경사면(107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능함은 이해 가능하다.When the
한편 끼움관(107)이 어덥터관(105)의 내경부로 끼워지는 과정에서 제2걸림돌기(107b)가 제2걸림턱(105a)의 간섭력을 이긴 이후 상기 끼움관(107)이 어덥터관(105)에 완전히 끼워지기 전에는 상기 끼움관(107)의 외경부 후방쪽 둘레부분이 어덥터관(105)의 내경부 후방쪽 끝단 둘레에 접촉되면서 일단 걸리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끼움관(107)의 외경부 후방쪽 둘레부분에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더 작아지는 테이퍼형의 제2경사면(107d)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끼움관(107)이 어덥터관(105)의 내경부로 완전히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어덥터관과의 접촉에 따른 간섭력 문제는 발생되지 않게된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이와 같이하여 끼움관(107)이 어덥터관(105)의 내경부로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상기 끼움관(107)은 어덥터관(105)의 후방부분을 실린더(101) 쪽으로 가압시켜주게 되므로 상기 어덥터관(105)과 실린더(101) 사이가 기밀상태로 유지되어 이후 주사기의 사용 과정에서 밀대(103)가 전방쪽으로 이동하면서 주사액을 밀어내기 위한 압축력을 제공할 때 상기 주사액이 어덥터관(105)과 실린더(101) 사이로 새어나가지는 않는데, 이 경우에는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중 어덥터관(105)이 끼워질 부분의 후방쪽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의 요입홈(101b)으로 상기 어덥터관(105)의 외경부중 후방쪽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의 돌출편(105c)이 끼워져 수용되므로 상기 돌출편이 패킹 역할을 하게 되어 어덥터관(105)과 실린더(101)의 기밀유지가 더욱 향상되고, 이에 따라 주사액이 어떠한 경우에도 어덥터관(105)과 실린더(101) 사이를 통해 새어나가는 일은 없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에 어덥터관(105)이 끼워져 조립되고, 상기 어덥터관으로 끼움관(107)이 끼워져 조립되고 나면, 상기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피스톤(104)이 구비됨과 함께 절단홈(111)이 형성되어 있는 밀대(103)를 끼워 넣으면 되고, 이후 실린더(101)의 전방쪽 외측에서 상기 어덥터관(105)에 형성되어 있는 주사액 배출관(106)으로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관(109)를 끼워 결합시킨 다음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에 주사바늘 보호캡(110)을 결합시켜 상기 주사바늘 보호캡이 주사바늘(108)을 감싼상태로 보호하도록 하면 되는데, 상기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관(109)을 어덥터관(105)의 주사액 배출관(106)에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주사바늘 보호캡(110)을 주사바늘 고정관(109)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본 발명 안전주사기를 처음 조립할 때 실시하여도 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사용자가 본 발명 안전주사기를 사용하기 바로 직전 단계에서 실시하여도 된다.Through this process, after the
상기에서 어덥터관(105)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관(106)에 주사바늘 고정관(109)을 결합할 때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을 곧바로 주사액 배출관(106)에 끼워도 되지만 결합력 향상과 사용상의 편리성 확보를 위해서는 도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의 외측 둘레면중 후방쪽인 주사액 배출관(106) 결합부분 끝단에 형성된 대략 타원형의 플랜지(109a)와 실린더(101)에 일단 전방쪽에 단차진 상태로 일체 형성된 결합관(102)의 내경부에 나선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나선돌기(102b)를 이용함이 바람직 할 것임은 물론 도면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의 외측 둘레면중 후방쪽인 주사액 배출관(106) 결합부분 끝단에 형성된 대략 타원형의 플랜지(109a)와 어덥터관(105)에 후방쪽에 실린더(101)와 단차진 상태로 일체 형성된 결합관(102)의 내경부에 나선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나선돌기(102b)를 이용함이 바 람직 할 것인데, 상기 플랜지(109a)와 나선돌기(102b)를 이용하여 주사바늘 고정관(109)을 어덥터관(105)의 주사액 배출관(106)에 결합할 때에는 먼저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을 결합관(102) 내로 끼워 넣어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에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 플랜지(109a)의 서로 대향되는 두 부분이 상기 결합관(102)의 내경부에 나선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나선돌기(102b)에 일단 간섭되도록 한 다음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고,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의 조임방향 회전시에는 플랜지(109a)가 나선돌기(102b)에 안내되면서 조여짐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이 후방쪽인 실린더(101) 쪽으로 이동되므로 결국 상기 어덥터관(105)의 주사액 배출관(106)에 주사바늘 고정관(109)이 결합되는 것이다.When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조립은 사람이 인위적으로 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 짐은 이해 가능하다.Although th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osable safety syringe described above may be artificially made by a person, it is understood that most of the assembly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a mechanical devic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상기 본 발명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주사바늘(108)을 보호하고 있는 주사바늘 보호캡(110)을 전방쪽인 실린더(101)와 멀어지는 쪽으로 잡아당겨 상기 주사바늘 보호캡(110)이 주사바늘 고정관(109)에서 분리되면서 주사바늘(108)의 보호상태를 해제하는 사전 과정을 미리 거쳐야 한다.Referring to the us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osable safety syringe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for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osable safety syringes first to protect the
첨부된 도 8a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하기 전 밀대와 함께 피스톤이 후방쪽으로 이동된 상태도인데, 이 상태에서는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중 밀대(103)에 구비된 피스톤(104)을 기준으 로 도면상 좌측부분에 주사액이 흡입되어 채워져 있고, 상기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주사액이 흡입되어 채워지도록 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는 기 설명된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의 과정을 참고하면 충분히 이해 가능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8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posable safety syri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iston is moved backward with a push rod before injection, in this state, a space-
상기 도 8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린더(101)를 손으로 잡고 환자쪽으로 이동시켜 주사바늘 고정관(109)에 고정된 주사바늘(108)이 환자의 피부 속으로 꽂아 넣어 지도록 한 다음 밀대(103)를 밀어 상기 밀대와 함께 피스톤(101)을 전방쪽으로 이동시키면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중 피스톤(104)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부분에 압축력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채워져 있는 주사액이 압축력을 받게 되는데, 이때 상기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중 전방쪽에 결합되어 있는 어덥터관(105)은 조립과정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끼움관(107)으로 인해 실린더(101)와의 사이가 기밀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상기 실린더(101)를 빠져나간 주사액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고 계속해서 어덥터관(105)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관(106)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고, 이 배출되는 주사액은 계속해서 주사바늘 고정관(109)에 고정된 주사바늘(108)을 통해 환자의 피부속으로 들어가는 투약이 이루어 지며, 상기 주사액의 투약이 완료된 상태는 밀대(103)가 전방쪽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로서 도 8b에 잘 나타나 있다.In the state as shown in FIG. 8A, the user grasps the
한편 상기 도 8b와 같은 상태에서는 끼움관(107)의 후방쪽 끝단면인 피스톤(104) 대향면이 그 외경부 쪽에서 내경부 쪽으로 파여지게 경사진 형태로 되고, 상기 피스톤(104)의 전방쪽 끝단면인 끼움관(107) 대향면은 그 외경부 쪽에서 내경부 쪽으로 돌출되게 경사진 형태로 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피스톤(104)의 돌출 된 경사부분이 끼움관(107)의 파여진 경사부분으로 정확이 수용되어 있는데, 이는 그 이전 과정, 다시말해 피스톤(104)이 밀대(103)에 의해 전방쪽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실린더(101)의 내경부에 압축력이 제공될 때 상기 실린더(101) 내에 채워져 있는 주사액이 끼움관(107)의 파여진 경사부분으로 인해 상기 경사부분을 따라 자연스럽게 중심부 쪽으로 모여지게 하고, 이로 인해 실린더(101) 내의 주사액이 상기 끼움관(107) 쪽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실린더(101)를 빠져나가므로 결국 밀대(103)가 전방쪽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로 주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101) 내에 주사액이 남아 있거나 하지는 않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8B, the opposite surface of the
상기 과정에 의해 주사액이 환자에게 투약 완료된 상태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밀대(103)가 전방쪽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로서, 이때에는 첨부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대(103)의 전방쪽 끝단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가압편(112)이 끼움관(107)의 내경부를 통해 어덥터관(105)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관(106)의 내경부로 끼워져 있게되므로 상기 가압편(112)의 끝단이 주사액 배출관(106)의 특정 부위에 접촉되어 있게 되는데, 상기 가압편(112)이 끼움관(107)의 내경부를 통해 주사액 배출관(106)의 내경부로 끼워져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편(112)의 후방쪽 축방향 중심선이 어느 한쪽으로 경사진 상태임을 감안할 때 상기 주사액 배출관(106)은 가압편(112)의 편심가압력을 받아 한쪽으로 기울어질려는 힘을 가지고 있을 뿐 실제로는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The state in which the injection solution is administered to the patient by the above process is a state in which the
한편 본 발명의 도면과 그에 따른 구성 설명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주사 액 배출관(106)의 내경부중 가압편(112)의 끝단이 접촉될 부분에는 둘레를 따라 걸림턱을 형성시키고, 상기 가압편(112)의 끝단에는 걸림턱보다 그 전방쪽에 위치되도록 걸림돌기를 형성시키면 이후 과정에서 밀대(103)를 후방쪽으로 잡아당겨 이동시킴에 따라 가압편(112)이 함께 이동할 때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걸리면서 주사액 배출관(106)에 후방쪽 이동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결국 어덥터관(105)의 후방쪽 이동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according to the portion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상기 도 8b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린더(101)를 환자와 반대쪽으로 이동시켜 환자의 피부에 꽂혀있는 주사바늘(108)을 빼냄과 동시에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밀대(103)를 잡아당겨 후방쪽으로 이동시켜 주면 상기 밀대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편(112)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가압편(112)의 외경부 적소에 형성되어 있는 제1걸림돌기(112a)가 끼움관(107)의 내경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걸림턱(107a)에 걸려 있음에 따라 상기 밀대(103)의 후방 이동력이 가압편(112)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112a)를 통해 끼움관(106)으로 편심되게 전달되므로 상기 끼움관이 도 8c와 같이 일차적으로 어덥터관(105)의 내경부에서 어느정도 빠져나오게 되고, 이 경우에는 끼움관(106)에 의해 어덥터관(105)으로 전달되는 실린더(101)쪽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이어서 상기 어덥터관(105)은 결합관(102)과의 기밀 접촉도 이미 해제된 상태에 있다.In the state shown in FIG. 8B, the user moves the
이후 밀대(103)를 더 잡아당겨 후방쪽으로 이동시키면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밀대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편(112)도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가압편에 의해 끼움관(107)도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끼움관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어 느 순간 끼움관(107)의 외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걸림돌기(107b)가 어덥터관(105)의 내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걸림턱(105a)에 걸리므로 이때부터는 상기 끼움관(107)이 어덥터관(105)을 후방으로 끌고 나오는 상태가 되고, 이 경우 상기 어덥터관에 형성되어 있는 주사액 배출관(106)에는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관(109)가 끼워져 있음에 따라 결국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은 주사바늘(108)이 고정된 상태 그대로 어덥터관(105)과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하여 도 8d와 같이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완전히 들어가 위치된다.Since the
한편 도 8d와 같이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관(109)이 어덥터관(105)과 함께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완전히 들어가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어덥터관(105)의 후방쪽만이 실린더(101)와 상당한 유격을 가진상태로 끼움관(107)에 지지되어 있을 뿐 그 외에는 어느 구성요소에도 지지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어덥터관(105)과 주사바늘 고정관(109)의 결합체는 밀대(103)에 형성된 가압편(112)의 편심 가압력을 받게 됨은 물론 그 결합체 자체적인 편심 중량도 받게되므로 상기 어덥터관(105) 및 주사바늘 고정관(109)의 결합체는 끼움관(107)과의 지지점인 후방쪽 끝단을 기준으로 하여 중력방향으로 확실하게 기울어지게 되고, 이 경우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에 고정된 주사바늘(108)의 전방쪽 끝단만이 실린더(101)의 내경부에 접촉되므로 상기 주사바늘 고정관(109)와 주사바늘(108)은 실린더(101)를 수평상태로 볼 때 비스듬한 경사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the
이후 밀대(103)에 형성되어 있는 절단홈(111)이 실린더(101)의 후방쪽 바깥쪽에 근접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밀대(103)의 후방쪽을 길이방향과 직 교되는 방향으로 몇번 반복해서 누르게 되면 그 누르는 힘에 의해 밀대(103)의 절단홈(111)부분이 부러지면서 도 8e와 같이 절단되고, 상기 밀대(103)가 절단된 이후에는 실린더(101) 외부에 있는 밀대(103)를 상기 절단부분이 실린더(101) 쪽을 향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전방쪽에 나란하게 위치시킨 다음 결합관(102)를 통해 도 8f와 같이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상당부분을 끼워 넣으면 상기 실린더(101)의 일단인 전방쪽 개방부분이 폐쇄되므로 주사기의 사용후 폐기 과정에서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들어가 있던 주사바늘 고정관(109)의 주사바늘(108)이 상기 실린더(101) 외부로 빠져나오는 일이 없도록 없다.Thereafter, the cutting
따라서 주사바늘(108)은 어떠한 경우에도 실린더(101)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함에 따라 사용후 주사기를 폐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주사바늘(108)에 찔리는 일이 없음은 물론 폐기된 주사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폐기물을 처리하는 작업자가 주사바늘(108)에 찔리는 일도 없으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되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그러므로 본 발명 일회용 안전주사기는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관(109)을 실린더(101)와 기밀상태로 결합할 때 변형성이 쉬운 오링을 사용하지 않고 어덥터관(105)과 끼움관(107)을 이용하여 실린더(101)와의 실링을 완벽하게 이루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disposable safety syring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n easily deformable O-ring when the
첫째, 어덥터관(105)과 끼움관(107)은 외부 압력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성을 갖지 않는 부품임을 감안할 때 주사기의 조립을 위해 상기 어덥터관(105) 및 끼움 관(107)이 자동 조립라인을 통해 정렬되는 과정에서는 물론 상기 정렬된 어덥터관(105) 및 끼움관(107)이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쉽게 찌그러들거나 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어덥터관(105) 및 끼움관(107)이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에서 조립된 상태에서는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을 유지함에 따라 불량율이 그만큼 낮아짐은 물론 종래에서 처럼 조립라인에 별도의 복잡한 부가장치를 구비시키지 않아도 됨에 따라 비용부담이 줄어들게 되면서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First, the
둘째, 주사바늘 고정관(109)의 결합부분 실링을 위해 사용되는 어덥터관(105) 및 끼움관(107)은 조립전 단계에서 그 불량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불량상태의 부품이 사용될 확율이 낮고, 이에 따라 조립 완료된 주사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주사액이 새어나가지 않아 환자가 주사액을 투약받는 과정에서 불안감을 느끼거나 하지 않게 된다.Second, th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04/001241 WO2004103429A2 (en) | 2003-05-26 | 2004-05-25 | Disposable syringe |
ES04734772T ES2332513T3 (en) | 2003-05-26 | 2004-05-25 | DISPOSABLE SYRINGE. |
CA2526983A CA2526983C (en) | 2003-05-26 | 2004-05-25 | Disposable syringe |
CNB200480014621XA CN100448495C (en) | 2003-05-26 | 2004-05-25 | Disposable syringe |
DE602004022802T DE602004022802D1 (en) | 2003-05-26 | 2004-05-25 | DISPOSABLE SYRINGE |
AU2004241880A AU2004241880B2 (en) | 2003-05-26 | 2004-05-25 | Disposable syringe |
JP2006502724A JP4308249B2 (en) | 2003-05-26 | 2004-05-25 | Disposable syringe |
US10/499,181 US7686784B2 (en) | 2003-05-26 | 2004-05-25 | Disposable syringe |
BRPI0410658A BRPI0410658B8 (en) | 2003-05-26 | 2004-05-25 | disposable syringe |
EP04734772A EP1626761B1 (en) | 2003-05-26 | 2004-05-25 | Disposable syringe |
RU2005136445/14A RU2314130C2 (en) | 2003-05-26 | 2004-05-25 | Disposable syringe |
MXPA05012782A MXPA05012782A (en) | 2003-05-26 | 2004-05-25 | Disposable syringe. |
EGNA2005000759 EG24302A (en) | 2003-05-26 | 2005-11-23 | Disposable syrin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33400 | 2003-05-26 | ||
KR1020030033400 | 2003-05-26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5813U Division KR200350792Y1 (en) | 2003-05-26 | 2004-03-04 | disposable safety syrin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1898A KR20040101898A (en) | 2004-12-03 |
KR100566568B1 true KR100566568B1 (en) | 2006-04-04 |
Family
ID=368061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4356A KR100566568B1 (en) | 2003-05-26 | 2004-03-03 | disposable safety syringe |
KR20-2004-0005813U KR200350792Y1 (en) | 2003-05-26 | 2004-03-04 | disposable safety syringe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5813U KR200350792Y1 (en) | 2003-05-26 | 2004-03-04 | disposable safety syring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2) | KR100566568B1 (en) |
TN (1) | TNSN05301A1 (en) |
UA (1) | UA86766C2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01392A2 (en) * | 2009-03-02 | 2010-09-10 | Baik Woo I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KR101668683B1 (en) * | 2016-04-04 | 2016-10-24 | 백우인 | Disposable safety syringe |
WO2017176019A1 (en) * | 2016-04-04 | 2017-10-12 | 백우인 | Disposable safety syringe |
KR20170003976U (en) | 2017-10-26 | 2017-11-24 | (주)신아메드 | safety syringe |
KR20180110868A (en) * | 2017-03-30 | 2018-10-11 | 백우인 | Disposable safety syringe |
KR20220141027A (en) | 2021-04-12 | 2022-10-19 | 최용현 | Disposable syring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hub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2835Y1 (en) * | 2008-05-06 | 2008-12-17 | 최숙녀 | Safety syringe |
CN105771036A (en) * | 2016-03-29 | 2016-07-20 | 陆盘中 | Disposable locking safety auto-disable syringe |
KR102387319B1 (en) * | 2020-07-29 | 2022-04-22 | (주)픽스앤케어 | Medical syringe safety box and safety syringe equipped with the same |
-
2004
- 2004-03-03 KR KR1020040014356A patent/KR10056656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4-03-04 KR KR20-2004-0005813U patent/KR200350792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5-25 UA UAA200511112A patent/UA86766C2/en unknown
-
2005
- 2005-11-23 TN TNP2005000301A patent/TNSN05301A1/en unknow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01392A2 (en) * | 2009-03-02 | 2010-09-10 | Baik Woo I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WO2010101392A3 (en) * | 2009-03-02 | 2011-01-06 | Baik Woo I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KR101062007B1 (en) | 2009-03-02 | 2011-09-05 | 백우인 | Disposable safety syringe |
KR101668683B1 (en) * | 2016-04-04 | 2016-10-24 | 백우인 | Disposable safety syringe |
WO2017176019A1 (en) * | 2016-04-04 | 2017-10-12 | 백우인 | Disposable safety syringe |
KR20180110868A (en) * | 2017-03-30 | 2018-10-11 | 백우인 | Disposable safety syringe |
KR102019899B1 (en) | 2017-03-30 | 2019-09-09 | 백우인 | Disposable safety syringe |
KR20170003976U (en) | 2017-10-26 | 2017-11-24 | (주)신아메드 | safety syringe |
KR20220141027A (en) | 2021-04-12 | 2022-10-19 | 최용현 | Disposable syring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hub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1898A (en) | 2004-12-03 |
UA86766C2 (en) | 2009-05-25 |
TNSN05301A1 (en) | 2007-07-10 |
KR200350792Y1 (en) | 2004-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308249B2 (en) | Disposable syringe | |
KR100566568B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101044986B1 (en) | disposable syringe | |
KR101062007B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100506703B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100506705B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100547617B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100506701B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200323883Y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200320327Y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200327191Y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100473371B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200338196Y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100493406B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200338184Y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200323882Y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200317776Y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100506146B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200327275Y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200320342Y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100473369B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200311386Y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200314465Y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20040094199A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
KR100493405B1 (en) | disposable safety syri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