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721B1 - Safety device of transformer for neon - Google Patents
Safety device of transformer for ne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1721B1 KR100561721B1 KR1020030059535A KR20030059535A KR100561721B1 KR 100561721 B1 KR100561721 B1 KR 100561721B1 KR 1020030059535 A KR1020030059535 A KR 1020030059535A KR 20030059535 A KR20030059535 A KR 20030059535A KR 100561721 B1 KR100561721 B1 KR 1005617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former
- signal
- input
- voltag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transform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61—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ransmission of signals
- H02H1/0069—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ransmission of signals by means of light or heat ray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1/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switching-on in case an undesired electric working condition might result
- H02H11/0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switching-on in case an undesired electric working condition might result in case of inverted polarity or connection; with switching for obtaining correct conne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mechanical injury, e.g. rupture of line, breakage of earth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온용 트랜스포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a transformer for neon,
종래에는 본 발명과같은 트랜스포머의 안전장치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생산라인 상에서 트랜스포머가 생산될때 트랜스포머의 케이스가 정상적으로 접지되었는가를 파악할 수 없었고, 또한 트랜스포머를 현장에서 설치할때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전원의 극성이 정확하게 연결되었는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없음은 물론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접지되는 것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없어서 입력전원의 극성 반전이나 2차 코일의 접지 및 오픈(open)에 의해 고가의 트랜스포머가 파손되거나 주변회로가 손상을 입게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기식 네온 트랜스포머의 2차측 고압 코일이 어떤 원인에 의해서 접지, 오픈 되거나 또는 입력 측 극성(Hot/Neu)을 잘못 연결하는 경우 입력전원을 순간적으로 자동차단시켜 트랜스포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네온용 트랜스포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In the prior art, since the safety device of the transformer was not provided, it wa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ase of the transformer was properly grounded when the transformer was produced on the production line, and the polarity of the power supply on the primary side of the transformer when the transformer was installed in the field. In addition, it is not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ion is made correctly, and it is not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the grounding of the secondary coil of the transformer due to any reason, so that it is expensive due to the polarity inversion of the input power supply or the grounding and opening of the secondary coil. Transformers were damaged or peripheral circuits were frequently damag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ut off the input power momentarily when the secondary high voltage coil of the magnetic neon transformer is grounded, opened for some reason, or the input side polarity (Hot / Neu) is incorrectly connected. It relates to a safety device of the transformer for neon to prevent damage to the transformer.
트랜스포머,안전장치,극성반전검출부,접지신호검출,개방신호검출,전원차단 Transformer, safety device, polarity inversion detector, ground signal detection, open signal detection, power off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전원공급부를 보인 회로도.Figure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ower suppl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극성반전검출부를 보인 회로도.Figure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olarity inversion detection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접지신호 검출부를 보인 회로도.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ground signal detection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접지신호 증폭부를 보인 회로도.Figure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ground signal amplifi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바이패스/셋 콘트롤부를 보인 회로도.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bypass / set control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개방신호 검출부를 보인 회로도.8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open signal detection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트랜스포머, 2: 케이스,1: transformer, 2: case,
3: 릴레이스위치, 4: 전원공급부,3: relay switch, 4: power supply,
5: 극성반전 검출부, 6: 접지신호 검출부,5: polarity inversion detector, 6: ground signal detector,
7: 접지신호 증폭부, 8: 바이패스/셋 콘트롤부,7: ground signal amplifier, 8: bypass / set control,
9: 트립 홀드부, 10: 개방신호 검출부,9: trip hold part, 10: open signal detection part,
91: 릴레이구동부,91: relay drive unit,
본 발명은 네온용 트랜스포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기식 네온 트랜스포머의 2차측 고압 코일이 어떤 원인에 의해서 접지, 오픈되거나 또는 입력 측 극성(Hot/Neu)을 잘못 연결하는 경우 입력전원을 순간적으로 자동차단시켜 트랜스포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네온용 트랜스포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네온용 트랜스포머는 1차측으로 유기된 전압을 2차측에서 고전압으로 증폭시켜 부하측, 즉, 네온으로 공급하여 네온이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Generally, the transformer for neon refers to amplifying the voltage induced on the primary side to a high voltage on the secondary side to supply the load side, that is, neon to drive the neon.
이와같은 네온용 트랜스포머는 그 출력전압이 워낙 높기 때문에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접지 또는 오픈(open)되거나 1차측 코일로 입력되는 전원의 극성(Hot/Neu)이 반전되게되면 고전압이 유출되면서 주변회로 및 트랜스포머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된다.Since the output voltage of such neon transformer is very high, if the secondary coil of the transformer is grounded or opened due to some reason or the polarity (Hot / Neu) of the power input to the primary coil is reversed, the high voltage is The leakage of the peripheral circuit and the transformer itself causes a problem.
그러나, 종래에는 본 발명과같은 트랜스포머의 안전장치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생산라인 상에서 트랜스포머가 생산될때 트랜스포머의 케이스가 정상적으로 접지되었는가를 파악할 수 없었고, 또한 트랜스포머를 현장에서 설치할때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전원의 극성이 정확하게 연결되었는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없음은 물론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접지되는 것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없어서 입력전원의 극성 반전이나 2차 코일의 접지에 의해 고가의 트랜 스포머가 파손되거나 주변회로가 손상을 입게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safety device of the transformer was not provided, it wa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ase of the transformer was properly grounded when the transformer was produced on the production line. Also, when the transformer was installed in the field, the power supply to the primary side of the transformer was In addition, it is not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the polarity is correctly connected, and it is not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the grounding of the secondary coil of the transformer due to some reason. The phenomenon of damage or damage to the peripheral circuits was frequently occurring.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기식 네온 트랜스포머의 2차측 고압 코일이 어떤 원인에 의해서 접지 및 오픈되거나 또는 입력 측 극성(Hot/Neu)을 잘못 연결하는 경우 네온관이 파손되거나, 출력선이 네온관과 떨어져서 2차측이 오픈(open)되는 경우, 입력전원을 순간적으로 자동차단시켜 트랜스포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네온용 트랜스포머의 안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neon high voltage coil of the magnetic neon transformer, which is grounded or opened for some reason, or when the input side polarity (Hot / Neu) is incorrectly connected, the neon tube is broken, or an output line. When the secondary side is opened apart from the neon tub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device for a neon transformer that can cut off the input power momentarily to prevent damage to the transformer.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1 to 8.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케이스(2) 내부에 전원이 입력되는 1차코일(L1)과 고전압을 유기시켜 출력하는 2차코일(L2)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에 접지가 이루어져 있는 네온용 트랜스포머에 있어서,In the
상기 입력전원으로 접지신호생성용 전압과 극성반전신호 생성용 전압을 생성하는 제 1 및 제 2 전원부(41,42)와 상기 입력전원으로 구성요소들의 DC 구동전압을 생성시켜 공급하는 제 3 전원부(43)로 구성된 전원 공급부(4)와;First and
상기 트랜스포머(1)의 입력선(Hot,Neu)이 반전되었을때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 1 전원부(41)에서 공급된 전압을 이용하여 극성반전신호를 생성시켜 바이패스/ 셋 콘트롤부(8)와 트립홀드부(9)로 공급하는 극성반전 검출부(5)와;When the input line (Hot, Neu) of the
트랜스포머(1)의 오픈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소정의 오픈신호를 트립신호로서 트립홀드부(9)에 출력하는 오픈 신호 검출부(10)와;An open
상기 트랜스포머(1)의 2차코일(L2)이 접지되었을때 소정의 맥류성 전압으로 된 접지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접지신호검출부(6)와;A ground signal detector (6) for outputting a ground detection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pulse current voltage when the secondary coil (L2) of the transformer (1) is grounded;
상기 접지신호검출부(6)에서 출력된 접지신호를 증폭하여 트립홀드부(9)로 공급하는 접지신호 증폭부(7)와;A ground signal amplifying unit (7) for amplifying the ground signal output from the ground signal detecting unit (6) and supplying it to the trip holding unit (9);
트랜스포머(1)의 케이스(2)가 정상적으로 접지되었는가를 테스트하기 위한 바이패스스위치(81)를 구비하고 있으며, 극성반전신호의 입력여부 또는 바이패스 스위치(81)의 온동작여부에 따라 트립홀드부(9)의 비교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바이패스/셋 콘트롤부(8)와;A
상기 바이패스/셋 콘트롤부(8)로 부터 비교전압이 공급되지 않을때에는 극성반전신호, 오픈신호 또는 접지신호의 입력에 대해 신속히 반응하여 릴레이구동부(91)를 동작시키고, 비교전압이 공급될때에는 극성반전신호 또는 접지신호가 입력되더라도 릴레이구동부(91)를 구동시키지 않는 트립홀드부(9)와;When the comparison voltage is not supplied from the bypass /
상기 트립홀드부(9)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트랜스포머(1)의 입력측에 설치된 릴레이스위치(3)를 절환 작동시키는 릴레이구동부(91);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lay driving unit 91 for driving under the control of the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 안정장치는 트랜스포머(1)를 현장에 설치할때 1차코일(L1)로 입력되는 전원의 극성(Hot,Neu)이 반전되거나 2차측 고압 코일이 접지될때 극성반전 검출부(5)가 상기 전원의 극성이 반전된 것을 검출하여 그 극성반전검출신호를 바이패스/셋 콘트롤부(8)와 트립홀드부(9)로 공급하고, 상기 접지신호검출부(6)는 상기 트랜스포머(1)의 2차코일이 접지된 것을 검출하여 그 접지검출신호를 접지신호 증폭부(7)를 통해 트립홀드부(9)로 전송한다.The transformer stab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olarity
상기 바이패스/셋 콘트롤부(8)는 자체 구비되어있는 바이패스스위치(81)의 온동작여부 또는 극성반전검출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상기 트립홀드부(9)의 비교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트립홀드부(9)는 바이패스/셋 콘트롤부(8)로부터 비교전압이 입력되지 않을때에는 극성반전검출신호 또는 접지검출신호의 입력에 대해 릴레이구동부(91)를 신속히 구동시켜 트랜스포머(1)의 1차측 코일(L1) 입력단에 설치되어있는 릴레이스위치(3)가 절환되도록 하여 트랜스포머(1)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트랜스포머(1)의 파손을 방지하게된다.The bypass /
상기 구성되어있는 바이패스 스위치(81)는 트랜스포머(1)의 케이스(2)가 정상적으로 접지되었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제품의 정상여부를 판단할 때 사용되며, 사용자가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81)를 눌렀을때 트랜스포머(1)의 케이스(2)가 정상적으로 접지되었다면 트랜스포머(1)의 2차측 고압 코일(L2)을 강제 접지시키더라도 릴레이스위치(3)가 절환되지 않게된다.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전원공급부(4)를 도시한 것으로서, 트랜스포머(1)의 1차측 코일(L1)과 입력(Hot,Neu)을 공유하는 트랜스(T1)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 스(T1)의 2차측에 제 1 내지 제 3 전원부(41~43)가 구성된다.3 illustrates a
상기 제 1 전원부(41)와 제 2 전원부(42)는 브릿지 다이오드를 이용한 정류회로로서 구현되며, 제 1 전원부(41)는 극성반전검출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제 2 전원부(42)는 접지검출신호를 생성하기위한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제 3 전원부(43)는 레귤레이터와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구동전압 12V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극성반전 검출부(5)를 도시한 것으로서,4 shows a polarity
트랜스포머(1)의 입력선이 반전되었을때 케이스(2)의 접지단으로부터 AC 전원이 인가되는 저항(R16,R22)과, 상기 저항(R16,R22)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온동작하는 한쌍의 트랜지스터(Q4,Q5)와,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온동작시 제 1 전원부(41)에서 공급되는 전압으로 동작하여 그 2차측에서 극성반전신호가 생성되어 트립홀드부(9)와 바이패스/셋 콘트롤부(8)로 공급되도록 하는 포토커플러(Pt)로 구성된다.When the input line of the
상기와같이 구성된 극성반전 검출부(5)는 케이스(2)가 접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 입력인 Hot(Line)와 Neu(Ground)가 반전되면 그 순간 AC 전원이 Hot를 시작으로 저항(R16,R22) 및 케이스(2)를 통해서 접지선인 Neu로 60Hz의 AC 전류가 흐르게 된다.When the polarity
이에따라, 상기 저항(R22) 양단에 바이어스 전압이 형성되고, 상기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달링턴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4,Q5)가 온동작하므로서 제 1 전원부(41)에서 생성된 전압이 포토커플러(Pt)의 발광다이오드로 흐르게되며, 상기 발 광다이오드의 점등에 의해 2차측의 트랜지스터가 온동작하여 극성반전 검출신호가 트립홀드부(9)와 바이패스/셋 콘트롤부(8)로 공급되는 것이다.As a result, a bias voltage is formed across the resistor R22, and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first
상기 포토커플러(Pt)에서 출력된 극성반전 검출신호는 일종의 트리거신호로서 작용하게되어 트립홀드부(9)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트랜스포머(1)의 입력측에 설치되어 있는 릴레이스위치(3)가 절환되어 트랜스포머(1)로의 전원 공급이 신속히 차단되게 된다.The polarity inversion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hotocoupler (Pt) acts as a kind of trigger signal to operate the trip holding unit (9). Accordingly, the relay switch (3) installed at the input side of the transformer (1) is switched. The power supply to the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오픈신호 검출부(10)를 도시한 것으로서,8 illustrates an open
트랜스포머(1)의 누설코어에 권취되어 트랜스포머(1)의 오픈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코일(L10,L11)과;Sensor coils L10 and L11 wound around the leakage core of the
상기 센서코일(L10,L11)에서 감지된 오픈신호를 정류하여 출력하는 브릿지 다이오드(101)와;A
상기 브릿지다이오드(101)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OP-앰프(102)와;An OP-amplifier (102) for amplify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bridge diode (101);
상기 OP-앰프(102)의 출력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받아 비교하여 트랜스포머(1)가 정상동작중일 때는 0V 를 출력하고 트랜스포머(1)가 오픈상태일때 소정의 오픈신호를 트립신호로서 출력하는 비교부(103)로 구성된다.The output voltage of the OP-
이와같이 구성된 오픈신호 검출부(10)는 트랜스포머(1)가 동작할때 그 2차측 고압 코일에 전압이 유기될때 그에 비례하는 소정의 전압이 센서코일(L10,L11)에 유기되고, 상기 센서코일(L10,L11)에 유기된 전압은 브릿지다이오드(101)에 의해 정류된 후 OP-앰프(102)를 통해 증폭되어 비교부(103)로 공급된다.The open
이때, 상기 OP-앰프(102)의 출력은 비교부(103)의 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되므 로 상기 OP-앰프(102)의 출력이 일정치 이상인 전압이 나타나게되면 비교부(103)의 출력은 '0'가 되어 트립홀드부(9)로 아무런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된다.In this case, since the output of the OP-
하지만, 상기 트랜스포머(1)가 오픈상태가 되면 상기 센서코일(L10,L11)에는 아무런 신호가 감지되지 않게되고, 이에의해 브릿지다이오드(101)와 OP-앰프(102)의 출력 또한 '0'가 된다.However, when the
이때, 상기 비교부(103)는 반전입력단자로 '0'볼트의 전압이 입력됨과 동시에 약 10V 이상의 전압을 출력하게되는 것이며, 이 전압이 바로 오픈신호 즉, 트립신호로서 트립홀드부(9)로 공급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상기 오픈신호(트립신호)가 트립홀드부(9)로 공급됨에 따라 트립홀드부(9)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트랜스포머(1)의 입력측에 설치되어 있는 릴레이스위치(3)가 절환되어 트랜스포머(1)로의 전원 공급이 신속히 차단되게 된다.As the open signal (trip signal) is supplied to the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접지신호 검출부(6)를 도시한 것으로서,5 shows a ground
코어(네온 트랜스포머의 2차 측 고압 코일(L2)의 중간 탭(Tap)과 연결되어 있다)와 케이스(2) 사이에 존재하는 분포용량과 접지시 존재하는 누설자속(Leakage Flux)에 의해서 형성되는 접지신호(60㎐)를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Formed by the distribution capacity existing between the core (connected with the middle tap of the secondary high pressure coil L2 of the neon transformer) and the
정상동작 시는 제 2 전원부(42)의 (+)극에서 (-)극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코일 2차 측(Coil의 중간 탭(Tap)은 코어와 Common 되어있다)이 접지되는 순간(일종의 접지사고 순간) 누설자속(Leakage Flux)에 의해서 코어와 케이스(2) 사이에 AC 전류가 흐르게 된다.In normal operation, no current flows from the (+) pole of the
이 경우 누설자속으로 형성된 교류전류는 도 5 와같이 (+)극을 출발하여 저항(R5)과 케이스(2)를 통해서 (-)극으로 흐르는 가교 역할을 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alternating current formed by the leakage magnetic flux plays a role of cross-link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to the negative electrode through the resistor R5 and the
이때 저항(R5) 양단엔 60㎐의 맥류 성(脈流 性) 교류전압이 검출되며 여기서 검출된 접지신호는 접지신호 증폭부(7)에 의해서 증폭되고 정류되어 트립 홀드부(9)로 공급된다.At this time, a ripple AC voltage of 60 mA is detected across the resistor R5, and the detected ground signal is amplified and rectified by the
상기 저항(R5) 양단에서 발생되는 접지검출신호는 60Hz의 교류성분 접지신호 또는 펄스성 접지신호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60Hz의 교류성분 접지신호는 코일(L2)이 일정시간 동안 길게 접지될때 발생되는 신호이고, 상기 펄스성 접지신호는 코일(L2)이 순간적으로 접지되었을때 발생되는 신호이다.The ground detection signal generated at both ends of the resistor R5 is divided into an AC component ground signal or a pulsed ground signal of 60 Hz. The AC component ground signal of 60 Hz is a signal generated when the coil L2 is ground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ulsed ground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when the coil L2 is momentarily grounded.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접지신호 증폭부(7)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접지신호 검출부(6)의 저항(R5)을 통해 출력되는 교류성분 접지신호를 증폭 정류하는 제 1 증폭부(71)와, 상기 접지신호 검출부(6)의 저항(R5)을 통해 출력되는 펄스성분 접지신호를 증폭 정류하는 제 2 증폭부(72)로 구성된다.FIG. 6 illustrates a
상기한 제 1 증폭부(71)와 제 2 증폭부(7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러개의 OP-AMP로서 구성된다.The first amplifier 71 and the second amplifier 72 are configured as a plurality of OP-AMP as shown in the figure.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바이패스/셋 콘트롤부(8)를 도시한 것으로서,7 shows a bypass /
전원입력시 저항(R37,R43)과 콘덴서(C18)에 의해 설정된 시정수에 따라 발진하는 타이머IC(82)와, 상기 타이머IC(82)의 발진신호가 입력될때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83)와,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83)의 하이신호에 의해 온동작하여 트립홀드부(9)의 비교전압이 공급되도록 하는 트랜지스 터(Q6)와, 최초 전원입력시 온동작하여 상기 타이머IC(82)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트랜지스터(Q7)와, 셋(set)단자를 통해 극성반전검출신호가 입력될때 상기 트랜지스터(Q7)를 오프시켜 타이머IC(82)가 정상동작되도록 하는 트랜지스터(Q9)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동작하여 SCR(Q8)의 제어단으로 하이신호를 공급하는 바이패스 스위치(81)와, 제어단으로 하이신호가 입력될때 온동작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7)를 강제오프시키는 SCR(Q8)로 구성된다.The
상기 구성된 타이머IC(82)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83)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의 IC(KA556)로서 도시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Note that the configured
이와같이 구성된 바이패스/셋 콘트롤부(8)는 최초 전원 입력시 트랜지스터(Q7)가 온동작함에 따라 다이오드(D20)를 통해 저항(R43)과 콘덴서(C18)가 접지되므로 타이머IC(82)는 발진동작을 하지못하게되고, 결국 그 후단에 구성되어 있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83)와 트랜지스터(Q6) 또한 오프되어 트립 홀드부(9)로 비교전압을 공급하지 못하게되며, 이와같이 비교전압이 공급되지 않을때 트립 홀드부(9)는 극성반전 검출신호 또는 접지검출신호가 입력될때 그즉시 릴레이스위치(3)를 절환 동작시켜 트랜스포머(1)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In the bypass /
한편, 상기 바이패스/셋 콘트롤부(8)에는 트랜스포머(1)의 케이스(2)의 접지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바이패스 스위치(81)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 바이패스 스위치(81)를 사용자가 누르게되면 하이신호가 SCR(Q8)의 제어단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SCR(Q8)이 온동작하게되고, 이에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7)가 오프되어 결국 타이머IC(82)가 발진을 시작하게 된다.Meanwhile, the bypass /
상기 타이머IC(82)의 발진신호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83)에 트리거신호로 작용하게되어, 상기 바이브레이터(83)가 트랜지스터(Q6)로 하이신호를 출력하게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6)는 온동작하여 트립 홀드부(9)로 소정의 비교전압을 출력하게된다.The oscillation signal of the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81)의 온동작에 의해 타이머IC(82)에서 발진이 이루어지는 동안 트랜지스터(Q6)는 온상태를 유지하면서 계속해서 트립 홀드부(9)로 비교전압을 공급하게되고, 상기 트립 홀드부(9)는 비교전압이 공급되는 동안 트랜스포머(1)의 2차 고압 코일(L2)을 강제적으로 접지시켜도 릴레이 스위치(3)가 절환동작하지 않게된다.While the oscillation is generated in the
상기 설명과같은 바이패스 스위치(81)를 사용하는 목적은 케이스(2)의 접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인데, 케이스(2)가 정상적으로 접지된 상태에 있을때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81)를 누른 상태에선 트랜스포머(1)의 2차측 코일(L2)을 접지시키더라도 릴레이스위치(3)의 절환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되는 것이며, 이러한 동작을 이용하여 생산 과정에서 케이스(2)의 접지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하게되는 것이다.The purpose of using the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트랜스포머(1)의 입력측 전원 즉, Hot와 Neu의 극성이 반전되면, 극성반전 검출부(5)에서 출력된 극성반전 검출신호가 셋(set)단자를 통해 입력되고, 이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9)가 온동작하여 상기 SCR(Q8)을 오프시키게되며, 상기 SCR(Q8)이 오프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7)는 다시 온상태로 전환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olarity of the input power supply, that is, Hot and Neu, of the
상기 트랜지스터(Q7)가 온동작함에 따라 저항(R43)과 콘덴서(C18)가 접지되 면서 타이머IC(82)의 발진동작이 정지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Q6)가 오프되면서 트립 홀드부(9)로 비교전압을 출력하지 않게된다.As the transistor Q7 is turned on, the resistor R43 and the capacitor C18 are grounded, and the oscillation operation of the
상기와같이 트립 홀드부(9)로 비교전압이 공급되지 않을때에는 트랜스포머(1)의 2차코일이 접지될때 그즉시 릴레이 스위치(3)가 절환동작하여 트랜스포머(1)의 입력전원을 차단하게된다. When the comparison voltage is not supplied to the
한편, 도 2 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트립 홀드부(9)는,Meanwhile, referring to the drawing illustrated in FIG. 2, the
상기 접지검출신호,오픈신호 또는 극성 반전신호의 입력전압과 바이패스/셋 콘트롤부(8)를 통해 설정되는 비교전압을 상호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입력전압이 더 클경우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92)와;The input voltage of the ground detection signal, the open signal, or the polarity inversion signal is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voltage set through the bypass /
상기 비교부(92)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될때 온동작하여 릴레이 구동부(91)를 구동시키되, 비교부(92)로부터 한번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그 동작상태를 유지하는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다.When the high signal is output from the
이와같이 구성된 트립 홀드부(9)는 바이패스/셋 콘트롤부(8)로부터 비교전압이 입력되지 않을때 상기 비교부(92)로 접지검출신호 또는 극성반전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그 즉시 비교부(92)가 트랜지스터(Q3)로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3)는 온동작하여 릴레이구동부(91)를 구동시키므로서, 트랜스포머(1)의 입력측에 설치된 릴레이스위치(3)가 순간적으로 절환되어 트랜스포머(1)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The
한편, 상기 트랜지스터(Q3)는 비교부(92)로 부터 한번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그 상태를 지속하게되므로서 상기 릴레이스위치(3)의 절환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istor Q3 is maintained once the high signal is input from the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셋 콘트롤부(8)로부터 비교전압이 입력될때에는 접지검출신호 또는 극성반전 검출신호가 입력되더라도 비교부(92)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므로서 트랜지스터(Q3)와 릴레이구동부(91)가 모두 오프된 상태가되고, 이로인해 릴레이스위치(3)가 절환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When the comparison voltage is input from the bypass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자기식 네온 트랜스포머의 2차측 고압 코일이 어떤 원인에 의해서 접지되거나 또는 입력 측 극성(Hot/Neu)을 잘못 연결하는 경우 및 2차 고압측이 오픈(open)상태가 되는 경우 입력전원을 순간적으로 자동차단시켜 트랜스포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네온용 트랜스포머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ary high voltage coil of the magnetic neon transformer is grounded for some reason or the input polarity (Hot / Neu) is incorrectly connected, and the secondary high voltage side is op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providing a safety device for the neon transformer that can cut off the input power momentarily to prevent damage to the transforme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9535A KR100561721B1 (en) | 2003-08-27 | 2003-08-27 | Safety device of transformer for ne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9535A KR100561721B1 (en) | 2003-08-27 | 2003-08-27 | Safety device of transformer for ne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2916A KR20050022916A (en) | 2005-03-09 |
KR100561721B1 true KR100561721B1 (en) | 2006-03-15 |
Family
ID=3723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9535A KR100561721B1 (en) | 2003-08-27 | 2003-08-27 | Safety device of transformer for ne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1721B1 (en) |
-
2003
- 2003-08-27 KR KR1020030059535A patent/KR10056172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2916A (en) | 2005-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06540A (en) | Transformer isolated drive circuit | |
US7525441B2 (en) | Intelligent life test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leakage current protection device with indicating means | |
US7492559B2 (en) | Intelligent life test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leakage current protection | |
US6650086B1 (en) | Automatic detecting and switching vehicle charger | |
JPH08140260A (en) | Power supply | |
KR970703640A (en) | Switched-mode power supply | |
CN106208705A (en) | The open circuit of the auxiliary winding in detection switching type power supply connects | |
CN102263511B (en) | Current resonance power supply and image forming device | |
JP3338587B2 (en) | Earth leakage detector | |
JP3251486B2 (en) | Circuit breaker and its test equipment | |
US20090120911A1 (en) | Wire break detecting device for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 |
KR100561721B1 (en) | Safety device of transformer for neon | |
JP6685465B2 (en) | Electronic circuit breaker | |
US7679868B2 (en) | Power supply apparatus | |
KR20010051491A (en) | Standby power system having low power consumption for electrical application | |
KR20170129433A (en) | Power supply having shut-down function in event of short circuit | |
JP3230639B2 (en) | Ground fault detector | |
JP2000350460A (en) | Power supply unit | |
JP2529622B2 (en) | DC resistance welding equipment | |
JPS6397367A (en) | Welding point detecting method and its device | |
KR100310204B1 (en) | Circuit for removing residual magnetism of cathode ray tube according to degaussing coil | |
KR930004375Y1 (en) | Inverter protective circuit | |
JP200330371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magnetization | |
JP2009159745A (en) | Current detection circuit | |
JP3227680B2 (en) | AC adap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30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