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420B1 - Heat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Heating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56420B1 KR100256420B1 KR1019970073691A KR19970073691A KR100256420B1 KR 100256420 B1 KR100256420 B1 KR 100256420B1 KR 1019970073691 A KR1019970073691 A KR 1019970073691A KR 19970073691 A KR19970073691 A KR 19970073691A KR 100256420 B1 KR100256420 B1 KR 1002564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data
- maintenance
- accumulated data
- ti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trol For Bath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급탕기나 난방기, 조리기 등의 소위 가열장치에 있어서, 업자가 점검이나 유지관리를 행하는 경우에 유용한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이들 유지관리정보의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종래에는 급탕기나 난방기 등의 가열장치에 있어서, 사용개시시로부터의 가열누적시간이나·사용횟수 등 장치의 사용이력(使用履歷)에 관한 누적데이타를 불휘발성의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기억된 데이터가 소정의 값이 되었을 때 특정 구성부품의 교환시기를 알려주거나 가열장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등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개소 64-38542호 공보에는 공기조화기의 누적운전시간의 기록값에 따라 유지관리요구표시등을 점등하여 사용자가 정해진 부품의 교환등의 유지관리를 행하고, 부품교환후 리셋스위치를 조작하여 운전시간의 적산값을 초기값으로 되돌리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개평 4-62318호 공보에는 연소기기의 누적연소시간 또는 누적연소횟수에 따라 내용한계값(耐用限界値)을 알아서 부품교환 등의 유지관리를 행하여 재사용하는 경우에 누적데이타를 리셋하여 초기값으로 되돌리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in a heating device such as a hot water heater or a heater, accumulated data relating to the history of use of the device, such as the cumulative heating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from the start of use, are stored in a nonvolatile storage means. It is known to notify the replacement time of a specific component when the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or to disable the heating devic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4-38542 illuminates a maintenance request indicator in accordance with the recorded value of the air conditioner's cumulative operation time, and the user performs maintenance such as replacement of a predetermined part. The technique of operating and returning the integrated value of an operation time to an initial value is described. In additio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4-62318 discloses accumulated data by resetting the cumulative data in case of reusing parts such as maintenance of parts replacement, etc., based on the cumulative combustion time or cumulative combustion times of the combustion equipment. Techniques for reverting to values are disclosed.
더욱이, 이와 같은 가열장치의 주요구성부품을 교환한 경우 교환한 부품의 코드등을 외부에서 기억수단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그 뒤의 유지관리에 도움이 되도록 기여한 것도 알려져 있다.Furthermore, when the main components of such a heating device are replaced, it is also known that the codes of the replaced parts can be input to the storage means from the outsid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subsequent maintenanc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가열장치의 사용자에게 한 두 부품의 교환시기 등을 알려주는 것 이어서 유지관리에 활용할 정보로서는 충분하지 못한 것이었다. 교환부품의 코드 등을 기억시키는 방법으로는 유지관리시에 과거에 교환한 부품의 인식은 가능하지만 교환부품의 누적사용시간에 관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다음번 교환시기의 판단조차 할 수 없어서 유효하게 활용하지 못했다. 부품마다 누적사용시간을 계측하여 기억시켜 두고, 부품이 교환한 후 해당부품의 누적데이타만을 리셋시켜 초기값으로 되돌리도록 하는 것도 안출되었지만, 업자의 유지관리시에 교환할 필요가 있는 가열장치의 구성부품은 다수이므로 이와같은 방법으로는 기억정보가 많아져서 용량이 큰 기억수단이 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계측수단, 제어수단도 복수가 되어 비용면에서도 실용적이지 못하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was not enough to inform the user of the heating apparatus when to replace one or two parts, and so on, for information to be used for maintenance. In order to remember the codes of the replacement part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arts replaced in the past during maintenance, but it is not information about the cumulative usage time of the replacement parts. I couldn't. Although the cumulative usage time is measured and stored for each part, it is also proposed to reset only the cumulative data of the corresponding parts after the parts are replaced, and to return them to the initial values. Since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arts, such a method increases the storage information and requires a large storage means, and at the same time, there are a plurality of measuring means and control means, which are not practical in terms of cos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업자가 가열장치의 점검, 보수, 수리 등을 행할 때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유지관리정보로서, 부품을 교환한 후 교환부품마다의 사용이력을 나타내는 누적데이타와, 보수점검이나 수리한 경우에는 그 후에 가열장치의 사용이력을 나타내는 누적데이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한 간편한 유지관리정보처리장치를 구비한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tenance information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by a contractor to perform inspection, maintenance, repair, etc. of a heating device, and indicates the usage history for each replacement part after replacing the par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ing apparatus having a simple maintenan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the accumulated data and the accumulated data indicating the history of use of the heating apparatus thereafter in the case of maintenance inspection or repair.
제1도는 본 발명의 가열장치의 이례를 도시한 급탕장치의 시스템구성도.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t water supply device showing an example of the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급탕장치의 콘트롤러 및 조작기의 블록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and the manipulator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of FIG.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조작기의 일례를 도시한 외관도.3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anipulator shown in FIG. 2;
제4도는 제2도에 도시한 기억장치의 기억데이타를 설명하기 위한 도.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torage data of the memory device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28 : 통수로 3,4 : 연소부1,2,28:
5 : 급탕전 7 : 가스버너5: hot water supply 7: gas burner
8 : 연소송풍기 10,11 : 가스제어밸브8:
15,17 : 수량센서 19,23 : 탕온센서15,17:
30 : 콘트롤러 31 : 조작기(조작수단)30: controller 31: manipulator (operation means)
33 : 제어회로부 32 : 표시부33: control circuit part 32: display part
35 : 기억수단 38 : 스위치부35: storage means 38: switch unit
39 : 표시수단39: display mea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치의 사용개시시로부터의 사용이력에 관한 누적데이타를 계측하는 계측수단과, 상기 계측수단의 누적데이타를 갱신하여 기억하는 불휘발성의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의 누적데이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열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을 교환했을 때 교환부품을 특정하는 정보의 입력과 해당 입력시에 있어서는 상기 누적데이타를 상기 교환부품을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교환부품을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해당 교환부품의 교환후의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호출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조작수단을 구비하는 유지보수정보처리장치를 구비한 가열장치를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cumulative data on the usage history from the start of the use of the device, nonvolatile storage means for updating and storing the accumulated data of the measuring means, and the storage A heating apparatus having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cumulative data of a means, comprising: input of information for specifying a replacement part when a part constituting the sequencing device is replaced, and at the time of the input, the accumulated data is converted into the replacement part; And holding means for storing in said storage means together with the specifying information, and calling up information on the data after replacement of said replacement part together with information for specifying said replacement part from said storage means. And a heating device having a maintenan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개시로부터의 가열장치의 사용이력에 관한 누적데이타가 갱신되어 지면서 불휘발성의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가열장치에 있어서, 그 구성부품을 교환한 때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교환부품을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교환시점의 누적데이타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킨다. 그후 보수점검시에는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교환부품을 특정하는 정보와, 부품교환시점의 누적데이타와, 보수점검시에 있어서의 사용개시시간부터의 누적데이타로부터, 교환부품마다 교환후의 누적데이타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시킨다. 교환부품의 특정정보에 기초하여 사용개시시부터의 누적데이타와 교환시의 누적데이타를 대비하여 교환부품마다의 누적데이타를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열장치 구성부품마다의 사용이력에 관한 누적데이타를 각기 계측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각각의 누적데이타를 기억시켜 교환할 때 리셋하는 복잡한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표시수단으로부터 읽어 알 수 있으므로 교환부품의 적절한 보수점검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교환한 부품마다의 다음번 교환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등, 이후의 보수관리시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유지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heating apparatus which is stored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ans while the accumulated data on the usage history of the heating apparatus from the start of use is updated, the replacement component is replaced by the operation means when the component is replaced. The accumulating data at the time of exchange is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specifying. Subsequently, at the time of maintenance inspection, from the information specifying the replacement parts stored in the storage means by the operation means, the accumulated data at the time of replacing parts, and the accumulated data from the start time of use at the time of maintenance inspection, the replacement parts are replaced. The display device displays information on the accumulated data after each exchange. Based on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replacement parts, the cumulative data for each replacement part can be known in preparation for the cumulative data from the beginning of use and the cumulative data at the time of replacement. As a result, a means for measuring the cumulative data relating to the usage history of each heating device component is provided, and the cumulative data can be read from the display means without using a complicated system for storing and resetting each accumulated data. Proper maintenance inspection of the replacement parts can be performed, and maintenance information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in subsequent maintenance management can be provided, such as estimating the next replacement time for each replacement part.
본 발명에서는 상기 누적데이타의 연산을 행하는 연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기억수단으로부터 교환부품을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호출되어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교환부품의 교환후 누적데이타에 관한 정보는, 해당 호출시점의 사용개시시부터의 누적데이타와 상기 교환부품을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기억된 교환시의 누적데이타로부터 상기 연산수단에 따라 구해진 상기 교환부품의 교환 이후의 누적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표시수단에는 교환부품마다 교환후의 누적데이타가 직접 표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alculation means for calculating the cumulative data is provided,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cumulative data after replacement of the replacement part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is called by the operation means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specifying the replacement parts from the storage means. And cumulative data after the replacement of the replacement part obtained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means from the accumulated data at the time of use of the call point and the cumulative data at the time of exchange stored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specifying the replacement part. . According to this, the display means directly displays the accumulated data after replacement for each replacement par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계측수단은 다른 종류의 누적데이타를 계측하는 복수의 계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불휘발성 기억수단은 상기 복수의 계측수단에 의한 각 누적데이타를 갱신하여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작수단은 교환부품을 특정하는 정보의 입력을 지시했을 때 해당 입력시 상기 복수의 누적데이타를 상기 교환부품을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자동적으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different kinds of cumulative data, and the nonvolatile memory means includes memory means for updating and storing each accumulated data by the plurality of measuring means. Wherein the operation means includes a switch for automatically storing the plurality of accumulated data in the storage means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specifying the replacement part when the input indicates the input of the information specifying the replacement part. It features.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열장치의 주요 구성부의 누적사용시간이나 누적사용횟수 등의 사용이력에 관한 다른 데이터를 복수의 누적데이타로서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하고, 상기 조작수단을 이용하여 교환부품을 특정하는 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입력할 때 소정의 스위치를 작동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교환시점의 상기 복수의 누적데이타를 교환부품을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킨다. 이에 따라 기억수단에 복수의 누적데이타를 기억시키는 조작이 간편해지고, 복수의 누적데이타를 교환부품을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기억되어, 기억수단의 정보를 활용할 때 교환부품의 특성에 대하여 최적의 누적데이타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other data relating to the usage history such as the cumulative usage time and the cumulative usage frequency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heating apparatus ar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s a plurality of cumulative data, and the replacement parts are stored using the operation means. When the information to be specified is input into the storage means, by operating a predetermined switch, the plurality of accumulated data at the time of exchange are automatically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ogether with information specifying the replacement parts. This facilitates the operation of storing a plurality of accumulated data in the storage means, and stores the plurality of cumulative data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replacement parts, and optimizes the cumulative data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lacement parts when utilizing the information of the storage means. Can be selected and used.
상기 본 발명의 조작수단은 가열장치의 보수점검 또는 수리를 행한 때, 보수 점검 또는 수리를 특정하는 정보의 입력시에 상기 누적데이타를 보수점검 또는 수리를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보수점검 또는 수리를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상기 입력시의 누적데이타와 표시시점의 사용개시시부터의 누적데이타로부터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보수점검 또는 수리 이후의 누적데이타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조작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cumulative data in the storage means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specifying the maintenance check or the repair when the maintenance inspection or repair of the heating device is performed, and the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maintenance check or the repair is inputted. The display means causes the display means to display the cumulative data at the input and the cumulative data after the maintenance check or repair obtained by the calculation means from the cumulative data from the start of use of the display time together with information specifying maintenance check or rep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means.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품의 교환을 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보수점검 또는 수리의 정보를 기억시킬 수 있고, 보수점검 또는 수리를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보수점검 또는 수리를 행했던 이후의 누적데이타를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회의 보수점검 이후 가열장치의 사용이력에 관한 누적데이타를 알 수 있으며, 보수 점검에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parts are not replaced, maintenance inspection or repair information can be stored, and cumulative data after maintenance inspection or repair can be displayed along with information specifying maintenance inspection or repair.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know the cumulative data on the history of use of the heating apparatus after the last maintenance check, and can be used for maintenance check.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조작수단은 가열장치의 사용조건을 설정 지시하기 위한 조작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관리정보처리장치를 조작하는 모드와 가열장치의 사용조건을 설정하는 모드를 바꾸는 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유지관리정보처리전용의 조작수단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가열장치의 사용조건을 설정 지시하기 위한 소위 리모트콘트롤러 등의 조작기를 겸용할 수 있다.The opera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ipulator for instructing setting conditions of use of the heating apparatus, and has a switch for changing a mode for operating the maintenan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mode for setting the use conditions of the heating apparatus. It features. According to this, even if it does not use the operation means dedicated to maintenance information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use a control unit such as a so-called remote controller for setting and instructing the use condition of the heating apparatus.
다음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연소장치의 일례로서 급탕장치를 도시한 시스템구성도이고, 제2도는 기억장치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조작부의 블록구성도이다. 제3도는 조작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외관도이고, 제4도는 유지관리 기억장치의 기억장소의 기억정보내용을 설명하는 도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Nex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as an example of a combustion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nd FIG. 2 is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and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storage device. FIG. 3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anipulator,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contents of storage information of a storage location of the maintenance storage device.
본 실시형태의 연소장치는 복수의 연소부를 구비하는 복합급탕장치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주급탕로, (2)는 욕조(A)에 뜨거운 물을 채우기 위한 부급탕로, (3)은 급탕용 연소부, (4)는 욕조용 연소부이다. (30)은 급탕용 및 욕조용 양 연소부(3), (4)의 운전제어를 행하는 콘트롤러이고, (31)은 급탕장치의 각종 운전메뉴등을 사용자가 콘트롤러(30)에 대하여 설정지시하기 위한 조작자이다.(32)는 설정 출탕온도 등 급탕장치의 각종운전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표시기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지관리정보처리장치는 콘트롤러(30)내에 배설되는 기억수단(35)과 제어회로부(33) 및 상기 기억수단(35)의 조작수단으로서 기능을 하는 조작기(31)로 구성된다.The combust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mplex hot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parts. In FIG. 1, (1) is a main water supply furnace, (2) a subwater supply furnace for filling hot water in the bathtub A, (3) a combustion part for a hot water supply, and (4) a combustion part for a bathtub. . Numeral 30 denotes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both the hot water and bath
주급탕로(1)는 그 상류측이 상수도관에 접속되고, 하류단부는 부엌이나 세면장의 급탕전(5)에 접속되어 있다. 급탕용 연소부(3)는 주급탕로(1)의 도중개소에 설치되는 급탕용 열교환기(6)와 그것을 가열하는 급탕용 가스버너(7), 급탕용연소 송풍기(8), 가스버너로 연결된 가스관(9), 가스를 제어하는 전자밸브(10), 가스비례밸브(11)를 구비하고 있다. (12)는 가스버너(7)의 착화 및 실화를 검출하는 프레임로드, (13)은 가스버너(7)의 점화를 행하기 위한 점화기이다.The main hot
또한, 주급탕로(1)의 급탕용 열교환기(6)의 상류측에는 주급탕로(1)를 흐르는 수량을 검출하는 제1 수량센서(17)가 설치되고, 급탕용 열교환기(6)의 하류측에는 급탕을 조정하기 위한 탕량 서보(servo ; 18)와 급탕용 열교환기(6)로부터 유출하는 뜨거운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출탕온도센서(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20)은 주급탕로(1)의 급탕용 열교환기(6)의 상류부와 하류부를 접속하는 바이패스로(21)에 설치되는 바이패스전자밸브(20)이다. 부급탕로(2)는 출탕온도센서(19)의 위치에서 주 급탕로(1)로부터 분지되고, 개폐밸브(14), 제2수량센서(15), 호퍼(hopper ;22), 역류방지밸브(16), 셋방향밸브(26) 및 욕조(A) 내의 뜨거운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로(28)를 차례로 통하여 욕조(A)에 접속되어 있다.Further, on the upstream side of the hot water
순환로(28)는 셋방향밸브(26)로부터 각기 도출된 왕로(往路 ;28a) 및 복로 (復路 ; 28b)를 구비하고, 이들 왕로(28a) 및 복로(28b)는 욕조(A)의 측벽부에 형성된 급탕구에 순환금구(循環金具 ; 29)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욕조용 연소부(4)는 왕로(28a)의 도중개소에 설치되고, 욕조용 열교환기(6')를 구비하며 순환로(28)를 흐르는 물이 욕조용 열교환기(6')에 의해 가열되도록 되어 진다. 또한, 욕조용연소부(4)는 도시하지 않은 가스버너, 연소송풍기, 가스관, 가스제어밸브 등 급탕용 연소부(3)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순환로(28)의 왕로(28a)에는 세방향밸브(26)와 욕조용 열교환기(6')의 사이에 순환펌프(27)와 순환로(28)의 통수를 검지하는 수류스위치(24)와, 욕조(A)의 탕온도를 검출하는 욕조용 탕온도센서(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로(28b)에는 욕조(A)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25)가 설치되어 있다.The circulation path 28 has a path 28a and a
제2도에는 콘트롤러(30) 및 조작기(31)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하였다. 콘트롤러(30)는 CPU, RAM, ROM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는 제어회로(3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회로(33)는 상기 제1수량센서(17), 출탕온도센서(19), 제2수량센서(15), 수류스위치(24), 욕조용 탕온도센서(23) 및 수위센서(25)의 출력, 또는 조작기(31)에 의한 설정지시데이타 등을 입력데이타로서 ROM 에 격납된 프로그램 등에 따라서 급탕용 연소부(3) 및 욕조용 연소부(4)의 가스제어밸브(10),(11), 연소송풍기(8), 점화기(13)를 제어하고, 더욱이 탕량 서보(18), 바이패스밸브(20), 개폐밸브(14), 순환펌프(27), 표시기(32)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각종 연산처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급탕장치의 사용이력에 관한 누적데이타의 계측 및 유지관리정보처리장치의 유지관리정보입력 및 표시와 같은 처리제어를 행한다.2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콘트롤러(30)는 제어회로부(33)와 접속하는 서환(書換)가능한 불휘발성의 기억수단(EEPROM ; 35)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수단(35)은 상기 누적데이타 및 유지관리정보의 기억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리모트콘트롤러로서의 기능을 하는 조작기(31)는 콘트롤러(30)의 통신회로(34)와 접속하는 통신회로(36)와 CPU(37), 스위치부(38), 표시부(39)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설정충탕온도나 욕조(A)의 설정수위 등 또는 예약운전, 예약시간 등 각종 운전메뉴를 통신회로(34),(36)를 통하여 콘트롤러(30)의 설정지시를 행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스위치조작에 의해 유지관리정보처리장치의 상기 기억수단(35)의 데이터 입력 및 데이터 호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모드의 변환이 가능한 것이다.The
상기와 같은 조작기(31)는 예를 들면 욕실에 한 개, 부엌 등의 급탕전이 있는 장소에 한 개라고 하는 것처럼 한 개의 급탕장치에 급탕전이 복수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기억수단(35)의 입력 및 데이터의 호출에 사용하는 조작수단으로 사용모드 변환이 가능한 것이 주조작기(31)에만 구비하면 되고 전체의 조작기에 구비할 필요는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표시부(39)는 설정출탕온도, 욕조(A)의 설정수위, 욕조(A)의 설정탕온도를 표시함과 함께 사용모드를 변환한 경우는 상기 기억수단(35)에 데이터를 입력할 때의 입력데이타의 표시와, 조작기(31)의 스위치에 의해 호출한 기억수단(35)의 데이터의 표시에 사용되는 표시수단이다. 콘트롤러(30)의 표시부(32)역시 거의 같은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The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복합급탕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주급탕로(1)에 접속하는 급탕전(5)을 개전(開栓)하면, 제1수량센서(17)의 출력에 따라 제어회로부(33)에 개전한 상태가 인식된다. 제어회로부(33)는 급탕용 연소부(3)를 작동하여 주급탕로(1)내의 유수를 가열한다. 이때 제어회로부(33)는 제1수량센서(17), 출탕온도센서(19)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조작기(31)에 따라 설정된 설정출탕온도에 일치하도록 급탕용 연소기(3)의 가열량을 제어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omplex hot wat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hen the user opens the
또한, 사용자가 조작기(31)에 의해 욕조의 자동물채움운전을 설정지시하면 제어회로(33)는 그 설정지시에 기초하여 부급탕로(2)의 개폐밸브(14)를 열어 주급탕로(1)로부터 부급탕로(2)로의 통수를 시작하고, 또한 급탕용 연소부(3)를 작동시켜 부급탕로(2)에 흐르는 물을 주급탕로(1)에 대하여 설정출탕온도가 되도록 가열제어를 행한다. 부급탕로(2)로 흐르는 뜨거운 물은 순환로(28)의 왕로(28a) 및 복로(28b) 양로를 통하여 욕조(A)에 급탕된다. 이때 제어회로(33)는 개폐밸브(14)를 적당하게 조절하여 수위센서(25)의 출력에 따라 욕조(A)내의 수위를 감시하면서 설정수위로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탕량을 단계적으로 검지한다.Further, when the user instructs the automatic water filling operation of the bathtub by the
그래서, 제2수량센서(15)의 출력에 따라 파악되는 욕조(A)로의 급탕량의 적산값이 설정수위에 필요한 탕량이 되도록 개폐밸브(14)를 제어한다.Thus, the opening / closing
사용자가 조작기(31)에 의해 자동끓임 운전을 설정지시하면 제어회로부(33)는 상기 설정지시에 기초하여 개폐밸브(14)를 닫은 상태에서 순환펌프(27)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욕조용 연소부(4)를 작동시키고, 욕조(A)내의 뜨거운 물을 순환로(28)로 순화시키면서 욕조용 연소부(4)에서 가열한다. 이 경우 제어회로부(33)는 욕조용 탕온도센서(23)가 검출하는 욕조(A)내의 탕온도가 조작기(31)에 따라 설정된 설정온도로 되도록 욕조용 연소부(4)의 가열량을 제어한다.When the user instructs the automatic boiling operation by the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관리정보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유지관리처리장치는 제어회로부(33)와 상기 제어회로부(33)에 접속하는 기억수단(35) 및 조작기(31)의 사용모드를 유지관리모드로 변환하는 조작수단(31)로 구성된다. 기억수단(31)은 급탕장치의 주요구성부의 사용개시시부터의 사용시간, 사용횟수 등의 사용이력에 관한 누적데이타를 기억한다.Next, the maintenan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FIG. 2, the maintenanc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n operation means 31 for converting the use mode of the storage means 35 and the
본 실시형태의 급탕장치에는 다음 표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탕용 연소부(3)와 욕조용 연소부(4)의 각각의 연소시간 및 운전횟수에 따른 누적데이타를 특정하는 정보로서의 코드인 모니터번호를 붙여 설정되어 있다.In the hot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a monitor number which is a code as information for specifying cumulative data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ime and the number of operation of the hot
[표 1]TABLE 1
이들 누적데이타의 종류는 유지관리정보처리장치를 부설하는 가열장치의 필요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단위역시 예를들면 100시간을 1로 하는 등 기억수단의 메모리용량에 따라서 적당하게 정할 수 있다.These kinds of cumulative data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heating apparatus in which the maintenan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s installed. The unit of data can also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mory capacity of the storage means, such as 100 hours.
급탕용 연소부(3) 및 욕조용 연소부(4)의 누적연소시간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는 제어회로부(33)내에 연소시간의 적산값을 카운트 업(count up)할 시간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프레임로드 또는 가스제어밸브의 신호에 따라 연소중인 것을 검지하며 연소시간을 계측하여 적산값을 기억수단(35)에 기억시킨다.The cumulative combustion time of the hot
운전횟수는 급탕전(5)의 개전에 따라 제1수량센서(17)의 출력이 오조작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정정시간 동안 출력이 계속되어야만 1회운전으로 인식하고, 횟수를 누적하여 기억한다. 욕조의 경우는 제2수량센서의 출력 또는 조작기(31)의 운전지시신호에 따라 같게 운전횟수를 계측할 수 있다.The operation frequency is recognized as one operation only when the output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output of the first
더욱이, 기억수단(35)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관리정보를 구성할 수 있는 데이터를 소정의 패키지데이타로서 기억보지하는 기억장소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means 35 is provided with a storage place for storing and storing, as predetermined package data, data that can constitute maintenance information as shown in FIG.
기억수단(35)으로의 데이터입력 또는 데이터의 표시를 지시하는 조작수단(31)은 일반적으로는 사용자가 급탕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조건의 설정지시를 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작기(31)의 사용모드를 유지관리모드로 변경하여 사용한다.The operation means 31 which instructs the data input to the storage means 35 or the display of the data is generally used in a mode of operation of the
물론, 급탕장치의 보수점검을 행하는 전문업자가 필요에 따라 콘트롤러(30)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업자전용의 조작기기를 조작수단으로 해도 좋다.As a matter of course, an operating device dedicated to a supplier used by a specialist who performs maintenance inspection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connected to the
제3도는 조작기(31)의 일례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조작기(31)는 스위치부(38)와 표시부(39)를 구비한다. 스위치부(38)에는 급탕 및 욕조의 출탕온도를 설정할 때 사용하는 두 개의 「미지근하게」,「뜨겁게」스위치(41,42), 자동운전을 지시하기 위한 「전자동」스위치(43), 운전을 지시하는 「운전」스위치(44), 예약운전을 지시하는 「예약운전」스위치(45), 예약운전을 지시한 경우에 예약시간을 설정하는 「예약설정」스위치(46) 및 시각의 수정시에 새용하는 「시계설정」스위치(47)를 구비하고, 더욱이 시간을 설정할 때에 사용하는 「시」,「분」스위치(48),(49)를 구비한다.3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표시부(39)에는 적어도 급탕설정온도표시부(A)와 욕조설정온도표시부(B) 및 설정시간표시부(C)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조작기(31)를 이용하여 업자가 유지관리 정보처리장치에 접근하는 경우 일반적인 사용자가 통상 사용하지 않는 비밀스위치를 설정해두고 이와 같은 스위치조작에 따라 조작기(31)를 유지관리정보기억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유지관리모드로 바꾸어 조작수단(31)으로 한다.The
예를들면 「운전」과 「미지근하게」두개의 스위치(44),(41)를 동시에 누르는 것에 따라 조작기(31)를 콘트롤러(30)의 설정지시모드로부터 유지관리모드로 바꾼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조작기(31)의 스위치부(38)의 각 스위치(41)∼(49)는 기억수단(35)의 입력정보를 표시시키거나 입력을 지시하는 스위치가 되고, 또 기억수단(35)의 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특정하는 정보를 표시시켜 데이터표시를 지시하는 스위치가 된다. 표시부(39)는 예를들면 급탕설정온도표시부(A)가 누적데이타를 설정하는 모니터번호의 표시부(A)로, 욕조설정온도표시부(B)는 교환품을 특정하는 정보로서의 부품코드의 표시부(B)로, 더욱이 설정시간표시부(C)는 누적데이타의 표시부(C)로 바뀐다.For example, the
교환부품의 입력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 급탕장치를 수리한 때에 교환한 구성부품을 특정하는 정보로서 교환할 가능성이 있는 급탕장치의 구성부품에 대하여 아래의 표와 같이 코드를 설정해 놓는다.In order to easily input replacement parts, codes are set as shown in the table below for the components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may be replaced as information specifying the replaced components when the hot water supply device is repaired.
[표 2]TABLE 2
시간설정용 「시」스위치(48)는 부품코드표시스위치(48)로 상기 스위치(48)를 누를 때마다 부품코드표시부(B)에 부품코드를 00,01,02,03으로 차례로 표시한다. 급탕장치를 수리한 때에 업자가 급탕용 송풍기모터를 교환한 경우 부품코드표시부(B)에 부품코드표시스위치(48)에 의해 코드 01을 표시시킨다. 이 상태에서 확정하기 위한 스위치인 「시계설정」스위치(47)를 누르면 기억수단(35)의 기억장소에 교환부품의 코드 01과 확정스위치(47)를 조작한 시점에 기억수단(35)이 기억하고 있는 사용개시시간으로부터의 누적데이타의 전체가 기억수단(35)에 기억된다. 교환부품이 다수이고 예를들면 (30)의 부품코드를 설정하도록 한 경우는 시간설정용 「분」스위치(49)를 누를 때마다 부품코드숫자가 큰 쪽으로부터 30, 29, 28과 같이 역순으로 표시시키도록 하여 부품코드의 설정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The time setting " hour " switch 48 sequentially displays the part code in the part code display section B as 00,01,02,03 every time the switch 48 is pressed by the part code display switch 48. If the supplier replaces the hot water blower motor when the hot water supply device is repaired, the
부품코드 00은 보수점검·수리를 특정하는 코드이다. 부품교환을 행하지 않고 보수점검 및 수리만을 완료한 경우는 부품코드표시부(B)에 00을 표시시키고 확정스위치(47)를 누르면 기억수단(35)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스위치 조작시점의 사용개시시로부터의 누적데이타가 기억된다.The
또한, 부품코드를 표시하여 확정스위치(47)를 조작하는 경우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교환부와 관련성이 있는 누적데이타만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타용 송풍기모터를 교환한 때의 입력누적데이타는 모니터번호 01, 02,03,04의 누적데이타만으로 좋고, 모니터번호 03 의 욕조용 연소부의 연소누적시간은 직접관련성이 없으므로 이 누적데이타를 기억시킬 필요는 없다. 이것들은 교환할 부품마다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의 조작수단(31)에 의한 입력조작에 따라 제4도에 도시한 유지관리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는 모두 기억수단(35)에 기억된다.In addition, the data input when the part code is displayed to operate the confirmation switch 47 can input only the cumulative data related to the exchange unit. For example, the cumulative input data for replacing the blower blower motor is only the cumulative data of
보수점검시 업자가 조작자(31)를 유지보수모드로 바꾼 후 모니터번호표시스위치인 「뜨겁게」스위치(42)를 누르면 모니터번호표시부(A)에 급탕연소부(3)의 누적연소시간을 특정하는 모니터번호 01 로 표시되고, 누적데이터표시부(C)에 01에 해당하는 급탕연소부의 사용개시시간으로부터의 누적연소시간이 표시된다. 모니터번호표시스위치(42)를 누를 때마다 모니터번호는 02, 03, 04, 01 로 차례로 변경되고, 그때마다 모니터번호에 해당하는 사용개시시로부터의 누적데이타가 차례로 표시된다.During maintenance inspection, when the operator changes the
모니터번호표시스위치(42)에 의해 사용개시시로부터의 누적데이타를 표시시키는 경우는 부품코드표시부(B)는 기억수단(35)에 입력되어 있는 부품코드를 표시한다. 교환부품이 없는 상황에 대해서는 부품코드표시부에는 00으로 표시되고, 이미 몇 개의 부품을 교환하고 있는 상황의 경우는 부품코드표시부(B)에 교환시의 누적데이타의 수치가 가장 작은 부품코드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업자가 부품코드 호출스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예약운전」스위치(45)를 누르면 모니터번호표시부(A)에 표시된 모니터번호에 특정되는 해당 교환부품의 교환시의 누적데이타와 부품코드호출스위치(45) 작동시에 대한 사용개시시부터의 누적데이타로부터 제어회로부 (33)의 연산수단이 연산을 행하여 구한 부품교환 이후의 누적데이타를 누적데이타 표시부(C)에 표시한다.When the cumulative data from the start of use is displayed by the monitor
더욱이 부품코드호출스위치(45)를 누를 때마다 교환시 누적데이타의 수치가 작은 순으로 즉, 부품교환이 행해진 순서로 부품코드가 기억수단(35)으로부터 부품 코드표시부(B)에 호출되고, 부품코드와 함께 부품교환 이후의 누적데이타가 누적데이타표시부(C)에 표시된다. 부품코드호출스위치(45)에 의해 표시된 부품코드의 누적데이타를 선택하는 경우는 이 상태에서 모니터번호표시스위치(42)에 의해 모니터번호표시부(A)의 표시를 바꾸는 것에 따라 표시된 모니터표시부에 해당하는 부품교환 이후의 누적데이타를 누적데이타표시부(C)에 표시시킬 수 있다. 부품코드호출스위치(45)에 의해 부품코드표시부(B)에 00을 호출한 경우는 보수점검시의 누적데이타수치의 가장 큰 즉, 전회 보수점검시의 누적데이타와 표시시점의 사용개시시부터의 누적데이타로부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한 전회의 보수점검 이후의 누적데이타를 누적데이타표시부(C)에 표시한다.Furthermore, each time the part code call switch 45 is pressed, the part code is called from the storage means 35 to the part code display section B in the order of the numerical value of the accumulated data at the time of replacement being small, that is, the order in which the parts are replaced. The cumulative data after parts replacement is displayed on the cumulative data display section C together with the code. When the cumulative data of the part codes displayed by the part code call switch 45 is selected, the monitor number display part A is changed by the monitor
또한, 보수점검시의 누적데이타의 호출스위치를 특별히 설정해 두고, 그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보수점검시에 대한 누적데이타의 이력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specifically set a call switch for cumulative data at the time of maintenance check, and to make it possible to view the history of the accumulated data at the time of maintenance check by operating the switch.
조작기(31)의 「예약설정」스위치(46)를 누적데이타호출스위치(46)로 설정하고, 모니터번호표시부(A)와 부품코드표시부(B)에 표시된 모니터번호와 부품코드에 해당하는 누적데이타를 스위치(46)에서 표시시켜도 좋다. 또 누적데이타표시부를 두 개 병렬하여 설치하여, 한쪽의 표시부에 사용개시시로부터의 누적데이타를 표시시키고 다른쪽의 표시부에 부품코드와 함께 기억했던 누적데이타를 표시시켜 부품교환 이후의 누적데이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eservation setting"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5262 | 1997-01-29 | ||
JP01526297A JP3544445B2 (en) | 1997-01-29 | 1997-01-29 | Heating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0223A KR19980070223A (en) | 1998-10-26 |
KR100256420B1 true KR100256420B1 (en) | 2000-06-01 |
Family
ID=1188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73691A KR100256420B1 (en) | 1997-01-29 | 1997-12-24 | Heating equipment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3544445B2 (en) |
KR (1) | KR100256420B1 (en) |
TW (1) | TW363120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333276A (en) | 2006-06-14 | 2007-12-27 | Rinnai Corp | Relay device |
-
1997
- 1997-01-29 JP JP01526297A patent/JP3544445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12-24 KR KR1019970073691A patent/KR10025642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
- 1998-01-14 TW TW087100422A patent/TW363120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0223A (en) | 1998-10-26 |
JP3544445B2 (en) | 2004-07-21 |
JPH10213348A (en) | 1998-08-11 |
TW363120B (en) | 1999-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B2240640A (en) | An automatic control for water-heating apparatus | |
KR100189152B1 (en) | Automatic supplying method and system with micom | |
KR100256420B1 (en) | Heating equipment | |
JP3655154B2 (en) | Failure diagnosis support device for water heater | |
JP4557411B2 (en) | Fluid flow measurement system | |
JP2568377Y2 (en) | Combustion device life prediction device | |
JP2000193314A (en) | Hot water supply apparatus for bath | |
JP3777763B2 (en) | Failure diagnosis device for water heater | |
JP3579518B2 (en) | Monitor signal output device | |
JP3876697B2 (en) | Water heater | |
JPH11148662A (en) | Secondary gas pressure adjustor for water heater | |
KR100282467B1 (en) | Controller and setting method of controller for gas boiler | |
JP3846015B2 (en) | Gas proportional valve adjustment device for water heater | |
JP3767656B2 (en) | Fault diagnosis system for water heater | |
JPH02136646A (en) | Hot water supply apparatus | |
KR940004174B1 (en) |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hot water supply equipment | |
JP3687637B2 (en) | Combustion equipment | |
JP3798131B2 (en) | Abnormality diagnosis device for combustion equipment | |
KR930011051B1 (en) | Controller for gas boiler | |
JPH02106653A (en) | Water level setting method for bath boiler having hot water feeding function | |
JP3369126B2 (en) | Display of gas equipment | |
JPH05256446A (en) | Combustion control device | |
JPH0119162B2 (en) | ||
JPH07310953A (en) | Combustion apparatus | |
JPS60207847A (en) | Instantaneous water he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