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통일주체국민회의의 제2대 대의원들을 선출하기 위해 1978년 5월 18일에 실시된 선거이다.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 |||||||||||||||||||||||
| |||||||||||||||||||||||
| |||||||||||||||||||||||
|
결과
[편집]의석수 | 투표수(율) | 유효 투표수 | |
---|---|---|---|
서울 | 391 | 2,754,086 (67.8%) | 2,665,140 (96.8%) |
부산 | 145 | 942,148 (77.1%) | 919,727 (97.6%) |
경기 | 319 | 1,634,742 (78.2%) | 1,593,630 (97.5%) |
강원 | 151 | 764,857 (86.9%) | 746,432 (97.6%) |
충북 | 131 | 577,877 (87.0%) | 562,148 (97.3%) |
충남 | 235 | 1,068,658 (83.4%) | 1,038,174 (97.1%) |
전북 | 203 | 905,394 (84.9%) | 876,166 (96.8%) |
전남 | 312 | 1,402,831 (81.5%) | 1,356,531 (96.7%) |
경북 | 379 | 1,833,990 (84.4%) | 1,790,763 (97.6%) |
경남 | 290 | 1,255,860 (83.0%) | 1,223,490 (97.4%) |
제주 | 27 | 178,633 (86.9%) | 173,977 (97.4%) |
계 | 2,583 | 13,319,076 (78.9%) | 12,946,178 (97.2%) |
입후보 경쟁률은 2.16대 1로 6년 전보다 하락했다. 또한 초대 대의원 중 67%만이 재선에 도전했다. 다만 기업인 대의원들은 상당수가 재출마했다.[2]
조중훈 전경련 부회장, 김인득 한국스레트 사장, 구자경 럭키화학 사장, 김종희 한국화약 사장, 남궁련 극동해운 사장, 곽상훈 전 민의원의장, 강대진 영화감독, 김일환 전 교통부 장관, 김한수 한일합섬 사장, 이춘기 전 의원, 기세풍 전 의원, 박영수 전 부산시장, 이창근 전 강원도지사, 이기세 전 충청남도지사, 박윤종 전 광주시장, 김연주 전 남북적십자회담 수석대표, 배우 이대엽, 배우 이수련, 가수 김상규, 아나운서 강영숙 등이 출마 혹은 재출마해 당선되었다. 신중목 전 농림부 장관과 엄대섭 전 의원, 김윤기 전 건설부 장관 등은 낙선했다.
활동
[편집]제2대 국민회의 대의원들의 임기는 1978년 7월 11일 0시를 기해 개시되었으나, 개회 및 취임 선서는 7월 6일에야 이루어졌다.
제1차 회의: 제9대 대통령 선거 및 정부 보고
[편집]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는 1978년 7월 6일과 7일 이틀 간 제1차 회의를 열고 첫째 날인 6일 개회식과 대통령 선거를 진행하였으며, 둘째 날인 7일에는 박동진 외무부 장관과 이용희 통일원 장관으로부터 안보·외교 정세와 통일 정책에 대한 정부 측 보고를 청취하고 대의원 49명의 발의로 정부의 평화통일 노력을 지지하고 뒷받침한다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대의원 정원 2,583석 중 2석이 공석이 되어 당시 재적 대의원 수는 2,581명이었으며, 당선 요건은 1,291표였다. 대의원 507명의 추천으로 단독 입후보한 박정희 대통령은 2,577표를 득표해 제9대 대통령에 재선되었다.[3]
대통령 선거에 앞서 박정희 대통령은 국민회의 운영위원 50명을 지명하였는데, 초대 국민회의 내내 운영위원장을 맡은 곽상훈 대의원은 이번에도 운영위원 및 운영위원장에 임명되었다.[4][5]
후보 | 표수 | % | 비고 |
---|---|---|---|
박정희 | 2,577 | 99.8 | 당선 |
무효 | 1 | 0.0 | |
기권 | 3 | 0.1 | |
재적 | 2,581 | 100 |
지역별 결과
[편집]지역 | 박정희 | 무효 | 기권 | 재적 |
---|---|---|---|---|
서울 | 389 | 0 | 2 | 391 |
부산 | 145 | 0 | 0 | 145 |
경기 | 319 | 0 | 0 | 319 |
강원 | 151 | 0 | 0 | 151 |
충북 | 131 | 0 | 0 | 131 |
충남 | 234 | 0 | 0 | 234 |
전북 | 203 | 0 | 0 | 203 |
전남 | 312 | 0 | 0 | 312 |
경북 | 377 | 1 | 0 | 378 |
경남 | 289 | 0 | 1 | 290 |
제주 | 27 | 0 | 0 | 27 |
계 | 2,577 | 1 | 3 | 2,581 |
제2차 회의: 제3기 간선 국회의원 선거
[편집]1978년 12월 21일, 통일주체국민회의는 제10대 국회 전반기 유신정우회 의원들을 선출하였다. 2,581명 중 2,573명의 대의원이 출석하여 통과에 필요한 득표수는 출석 대의원의 과반인 1,287표였다. 서울에서 남궁연, 조덕현 등 2명, 전북에서 소계영, 강덕원 등 2명, 경북에서 김용환, 박용돌, 강영진 등 3명, 경남의 황상두 등 총 8명의 대의원이 불참했다.[6][7]
찬성 | 반대 | 무효 | 투표수 | 불참 | 재적 대의원수 | |
---|---|---|---|---|---|---|
서울 | 376 | 9 | 4 | 389 | 2 | 391 |
부산 | 143 | 1 | 1 | 145 | 0 | 145 |
경기 | 319 | 0 | 0 | 319 | 0 | 319 |
강원 | 149 | 2 | 0 | 151 | 0 | 151 |
충북 | 130 | 1 | 0 | 131 | 0 | 131 |
충남 | 229 | 4 | 1 | 234 | 0 | 234 |
전북 | 200 | 1 | 0 | 201 | 2 | 203 |
전남 | 310 | 1 | 1 | 312 | 0 | 312 |
경북 | 373 | 2 | 1 | 376 | 3 | 379 |
경남 | 284 | 2 | 2 | 288 | 1 | 289 |
제주 | 26 | 0 | 1 | 27 | 0 | 27 |
합계 | 2,539 | 23 | 11 | 2,573 | 8 | 2,581 |
제3차 회의: 제10대 대통령 보궐 선거
[편집]박정희 대통령의 사망으로 궐위된 제9대 대통령의 잔여 임기를 채우기 위한 대통령 보궐 선거가 1979년 12월 6일 실시되었다. 후보로는 대의원 827인의 추천을 받은 최규하 국무총리 및 대통령 권한대행이 단독으로 입후보하였다. 이 당시 재적 대의원 수는 2,560명으로, 당선 요건은 1,281표였다.[8]
후보 | 표수 | % | 비고 |
---|---|---|---|
최규하 | 2,465 | 96.3 | 당선 |
무효 | 84 | 3.3 | |
기권 | 11 | 0.4 | |
재적 | 2,560 | 100 |
제4차 회의: 제11대 대통령 보궐 선거
[편집]최규하 대통령의 하야로 궐위된 제10대 대통령의 잔여 임기를 채우기 위한 대통령 보궐 선거가 1980년 8월 27일 실시되었다. 후보로는 대의원 737인의 추천을 받은 전두환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장이 단독으로 입후보하였다. 이 당시 재적 대의원 수는 2,540명으로, 당선 요건은 1,271표였다.[9]
후보 | 표수 | % | 비고 |
---|---|---|---|
전두환 | 2,524 | 99.4 | 당선 |
무효 | 1 | 0.0 | |
기권 | 15 | 0.6 | |
재적 | 2,540 | 100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ezPDF WebViewer”. 2018년 4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9일에 확인함.
- ↑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23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대한뉴스 1192호
- ↑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19년 5월 17일에 확인함.
- ↑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19년 5월 17일에 확인함.
- ↑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19년 4월 19일에 확인함.
- ↑ “중앙일보”. 《'80년대엔 복지사회 기필코 이룩" 3기 유정의원 77명 선출》. 1978년 12월 21일. 2018년 10월9일에 확인함.
- ↑ “10대대통령에 최규하후보 당선|통일주체국민회의서”. 《중앙일보》. 1979년 12월 6일. 2018년 10월 10일에 확인함.
- ↑ “전두환 장군 11대 대통령 당선|9월1일 취임식 오늘부터 행무”. 《중앙일보》. 1980년 8월 27일. 2018년 10월 1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