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유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필
庾弼
사망1155년
성별남성
국적고려
직업문신

유필(庾弼, ? ~ 1155년)은 고려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무송(茂松)이다.

생애

[편집]

글재주와 행실로 명성이 있었으며[1], 후에 두 차례 과거의 시험관을 맡은 점으로 보아 본인도 과거에 급제하여 출사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1143년(인종 21) 금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만수절(萬壽節)을 하례하였고[2], 1147년(의종 원년) 지주사(知奏事)·이부시랑(吏部侍郎)에 임명되었다.[3]

이듬해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과거를 주관했고[4], 같은 해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1149년(의종 3) 비서감(秘書監), 1150년(의종 4)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에 차례로 임명되었다.

1151년(의종 5)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에 임명되었고, 최유청(崔惟淸)·문공원(文公元)과 함께 간관(諫官) 최자영(崔子英)·왕식(王軾)·김영부(金永夫)·박소(朴翛) 등을 데리고 대궐문에 엎드려, “정서(鄭敍)가 대령후(大寧侯)와 친교를 맺고 자기 집에 불러다가 잔치를 베풀고 논다하니 그 죄는 용서할 수 없습니다.”라고 주청하여, 왕이 정서를 유배보내도록 했다.

같은 해 참지정사(參知政事)·판병부사(判兵部事),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차례로 임명되었다.

1152년(의종 6) 수국사(修國史)를 겸직했고[3], 지공거(知貢擧)로서 또다시 과거를 주관했으며[4], 태자태사(太子太師)를 겸직했는데, 이는 권신 김존중(金存中)이 태자의 교육은 재상이 담당하도록 하여야 한다고 건의했기 때문이었다.

같은 해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수문전대학사(修文殿大學士)·판이부사(判吏部事)에 임명되었다가, 1155년(의종 9) 졸했다.[3]

사후에 공숙(恭肅)이란 시호를 받고 의종(毅宗)의 묘정에 배향되었다.[1]

성품

[편집]

천성이 강직하여 남에게 아첨하지 않았다고 한다.

일화

[편집]

왕이 내시(內侍) 정함(鄭諴)을 지후(祗候)로 임명했을 때, 유필은 굳이 반대하며 고신(告身)에 서명하지 않았는데, 왕이 여러 차례 설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왕명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유필이 죽을 때까지 정함은 그 관직을 받지 못했다고 한다.

가족 관계

[편집]
  • 조부 - 유고성(庾告成) :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5]
    • 아버지 - 유언경(庾彦卿) : 검교태자태사(檢校太子太師)[5]
      • 첫째 부인 - 안씨(安氏)[6]
        • 장남 - 유응규(庾應圭, 1131년 ~ 1175년) : 공부시랑(工部侍郞)·삼사부사(三司副使)·태자소첨사(太子少詹事)
      • 둘째 부인 - 상의봉어(常衣奉御) 장찬(張贊)의 딸[7]

각주

[편집]
  1. 『고려사 유응규전』
  2. 당시 관직은 미상이다.
  3. 『고려사 의종세가』
  4. 『고려사 선거지』
  5. 『유응규 묘지명』
  6. 『고려사 유석전』과 『유응규 묘지명』에 의하면 예종(睿宗)의 후궁의 딸이다.
  7. 『유자량 묘지명』
  8. 유필에게는 5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유필의 장남임이 확실한 유응규와 달리 유자량은 몇째 아들인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본 문서에서는 편의상 차남으로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