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창 (노래)
〈선창(船艙)〉은 1941년에 가수 고운봉이 오케레코드에서 발표한 한국의 트로트 곡이다.
극작가 겸 작사가였던 조명암이 가사를 쓰고, 천재 음악가로 유명한 김해송이 작곡했다. 가수 고운봉은 〈선창〉을 발표할 당시 데뷔한 지 2년이 된 신예급 가수였다. 고운봉은 이 노래를 히트시켜 가수로서의 입지를 굳혔고, 〈선창〉은 고운봉의 대표작으로 남았다.
그러나 광복 후 조명암은 좌익 활동을 하다가 월북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고위직을 거쳤고, 김해송 또한 한국 전쟁 중 행방이 묘연해져 월북설과 납북설이 동시에 떠돌면서 두 사람의 이름은 오랫동안 대한민국에서 언급할 수 없었다. 이 노래는 작사자와 작곡자의 이름을 다른 사람으로 바꾸어 금지곡이 되지 않았다. 제6공화국 수립 이후 월북 예술인이 해금되면서 원래의 작사가와 작곡가를 밝힐 수 있었으며, 그동안 작자로 알려졌던 이들이 소송을 걸어왔으나 결국 원작자가 드러난 일화가 있다.[1]
"울려고 내가 왔던가 웃으려고 왔던가"라는 도입부의 가사가 잘 알려져 있다. 김화랑이 연출한 1960년 영화 《울려고 내가 왔던가》는 이 유명한 가사에서 제목을 따왔다[2]. 이어지는 가사 내용은 비 오는 날 선창가를 거닐며 헤어진 사람과의 행복했던 추억을 되새기는 것이다. 이별의 아픔을 절묘하게 묘사하여 큰 사랑을 받았다.
대한민국에서는 국민적 애창 가요로 남아 있으며[3], 일제 강점기 동안 발표되어 널리 알려진 곡이라 북조선에서도 '계몽기 가요'로 분류되어 계속 불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2000년 고운봉의 고향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온천에 노래 가사를 새긴 노래비가 세워졌다.
가사<ref>21년 5월3일 가요무대에서 선창이 나왔는데 3절까지 나온것이다. 확인바람</ref>
[편집]1. 울~려고 내가 왔던가 웃~으려고 왔던가
비~린내 나는 부둣가엔 이슬 맺은 백일홍
그~대와 둘~이서 꽃씨를 심던 그날도
지~금은 어디로 갔나 찬비만 내린다
2. 울~려고 내가 왔던가 웃~으려고 왔던가
울~어본다고 다시 오랴 사나이의 첫 순정
그~대와 둘~이서 희망에 울던 항구를
웃~으며 돌아가련다 물새야 울어라
참고자료
[편집]- 박성서 (2006년 12월 1일). “길따라 노래비따라 [016] '선창'에서 '마포 종점'까지 - '고운봉가요제' VS 명칭 바뀐 '조명암가요제'”. 한국가요작가협회보.
|제목=
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이준희 (2003년 10월 13일). “일제 침략전쟁에 동원된 유행가- ‘군국가요’ 다시 보기 (19) - <선창>을 부른 고운봉(1920-2001)”. 오마이뉴스. 2008년 2월 24일에 확인함.
- 이용우 (2005년 5월 25일). ““음악에는 만능선수” 김해송”. 한겨레. 200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4일에 확인함.
- “민족의 엘레지 - 50년대까지의 대표가요 특선”. 가요114. 2007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4일에 확인함.
각주
[편집]- ↑ 김남중 기자 (2003년 8월 31일). “[이 사람이 사는 이야기] 국내 유일 한국가요사박물관 김점도씨”. 국민일보. 2008년 2월 24일에 확인함.
|제목=
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씨네21 - 울려고 내가 왔던가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 ↑ “인물-떠오른 별, 사라진 별”. 한겨레 (연합뉴스 인용). 2001년 12월 10일. 2008년 2월 24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임을출 기자 (2005년 6월 9일). “금강산, 아직도 안 가보셨어요?”. 한겨레21. 2006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함보현 기자 (2008년 2월 18일). “北, 일제시대 대중가요 되살리기”. 연합뉴스. 2008년 2월 24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 글은 노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