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관 개존증
보이기
동맥간 개존증 | |
---|---|
동맥관 개존증이 있는 심장의 단면 | |
진료과 | 심장학, 소아청소년과 |
동맥관 개존증(動脈管開存症, patent ductus arteriosus, PDA)은 출생 이후에 동맥관이 닫히지 못하는 질병이다.
역사
[편집]로버트 E. 그로스, MD는 1938년 보스턴 아동병원(Children's Hospital Boston)의 8세 소녀를 대상으로 한 동맥관 개존증에 대한 최초의 성공적인 완화를 수행하였다.[1]
증상
[편집]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진단
[편집]동맥관 개존증은 비침습적 기법을 사용하여 진단된다.
병인
[편집]동맥관 개존증은 특발성이다. 알려진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 조산
- 선천성 풍진 증후군
- 염색체 이상 (예: 다운증후군)
- 로이 디에츠 증후군과 같은 유전병 (다른 심장병에도 존재함)
예방
[편집]모든 미숙아에게 생애 첫 날에 인도메타신을 주사하면 동맥관 개존증 및 해당 질병과 관련된 합병증의 발전의 위험을 감소시켜 준다는 일부 증거가 있다. 미숙한 유아에 대한 인도메타신 치료 또한 외과 수술의 필요를 줄여줄 수 있다.[3]
치료
[편집]부정적인 증상이 없는 신생아의 경우 간단히 외래 환자로서 감시될 수 있지만, 증상이 있을 경우 수술 및 비수술 방식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4]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fa.hms.harvard.edu Archived 2016년 9월 13일 - 웨이백 머신, Robert E. Gross, Harvard Medical School Office for Faculty Affairs.
- ↑ MedlinePlus > Patent ductus arteriosus Update Date: 21 December 2009
- ↑ Fowlie, PW; Davis PG; McGuire W (2010년 5월 19일). “Prophylactic intravenous indomethacin for preventing mortality and morbidity in preterm infants (Review)”.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7): CD000174. doi:10.1002/14651858.CD000174.pub2. PMID 20614421.
- ↑ Zahaka, KG and Patel, CR. "Congenital defects'". Fanaroff, AA and Martin, RJ (eds.). Neonatal-perinatal medicine: Diseases of the fetus and infant. 7th ed. (2002):1120-1139. St. Louis: Mosby.
외부 링크
[편집]
- Patent Ductus Arteriosus information from Seattle Children's Hospital Heart Center
이 글은 질병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