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꿀벌의 우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꿀벌의 우화 ( The Fable of the Bees or Private Vices, Public Benefits ) 1714년네덜란드 태생의 영국 철학가인 버나드 맨더빌이 쓴 책이다. 이 책은 풍자적 시인 '투덜대는 벌집'이란 제목으로 1705년에 익명으로 출판되었다. 이 책에서 맨더빌은 벌들이 사는 집단은 벌들이 정직과 미덕으로 살도록 결정할 때까지 번성하게 된다고 묘사한다. 즉, 벌들이 개인적인 이익을 위한 욕망을 포기하면, 그 벌집의 경제는 붕괴하며 몇 몇 남은 벌들만 단순하고 덕스러운 삶을 살게 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맨더빌이 말하는 사회의 발전은 개인이 악을 행할 때 발생된다는 것이다. 이 책으로 인해, 도덕론자들의 반발을 샀으나, 후에 애덤 스미스등에게 영향을 미쳐 자본주의 경제학에 기초를 낳게 된다.

다양한 반응

[편집]

이 서적이 처음으로 출간되자마자, 그 당시 기독교인들에게는 큰 충격을 가져다 주었다. 비판자들 중에는 조지 버클리윌리엄 로우가 있으며 프랜시스 허치슨은 논평할 가치조차 없을 정도로 형편없다고 했으며 맨더빌의 사치에 관한 개념이 동의할 수 없다고 하였다. 애덤 스미스는 그의 저서 도덕 감정론에서 맨더빌이 탐욕을 이기심의 한 부분으로 잘못 이해했다고 평가하며, 이기심과 탐욕은 별도로 취급해야 한다고 그의 저서 국부론에서 논술하였다.

해석

[편집]

맨더빌의 주장과 기독교 세계관의 충돌은 과연 기독교적 사회가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즉, 맨더빌에 의하면 기독교는 전 세계에서 소수가 존재해야만 세계의 번영이 지속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맨더빌은 기독교인들에게로부터 많은 공격을 받았다.

비판

[편집]

맨더빌이 비유한 벌집은 개인주의자들의 모임이라는 지적이다. 반면에 실제로는 대부분의 동물은 집단적인 공동체적 사회를 이룬다. 즉, 사무엘 버틀러가 말했듯이 닭은 알을 더 낳으려고 하듯이 벌들도 유전적으로 모여 산다는 것이다. 벌집은 보다 사회주의 국가에 가까운 모델로, 개인주의적 인간을 묘사할 수 없다.[1]

번역서적

[편집]
  1. Fleming, Thomas (2011년 8월 2일). “Bernard Mandeville - Chronicles” (미국 영어). 2022년 6월 2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