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기생거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생거세(parasitic castration)는 기생생물이 자기 이익을 위해 숙주생식능력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다. 기생의 여섯 가지 주요 전략(기생거세, 직접감염, 흡수감염, 매개감염, 포식기생, 미소포식) 중 하나다.

사쿨리나에게 기생하는 것처럼 유성생식 숙주의 성을 완전히 거세하는 경우도 있고, 따개비달팽이 같은 자웅동체 동물에게 기생한 기생충이 자웅동체 중 한 쪽 성만 거세하는 경우도 있다.

알려진 기생거세자 분류군

[편집]
기생생물 분류군 기생생물 생물종 숙주 분류군 숙주 생물종 비고
원생생물 정단복합체충 Mackinnonia tubificis 환형동물 지렁이아강 실지렁이(Tubifex tubifex) 생식선을 파괴.[1]
원생생물 기이포자충 Urosporidium charletti 촌충 Catenotaenia dendritica 기생충에게 기생하여 기생거세를 하는 중복기생거세자.(Hypercastrator)[1]
편형동물문 흡충 Bucephalus mytili 연체동물 이매패류 다양 생식선을 파괴, 숙주의 덩치가 커짐.[1]
편형동물문 촌충 다양 어류 잉어과 다양 생식선을 파괴, 행동 변화.[1]
절지동물문 등각목 Hemioniscus balani 절지동물문 만각목 다양한 따개비 원래 자웅동체인 따개비의 웅성기관은 남겨두고 자성기관만 거세.[2]
절지동물문 만각류 사쿨리나(Sacculina) 절지동물문 십각목 다양한 생식선 파괴. 행동 변화.[1]
절지동물문 부채벌레 절지동물문 또는 매미 다양한 종 수컷은 암컷화되고, 암컷은 자기 알이 아니라 부채벌레의 알을 낳게 됨.[3]
편형동물문 촌충 Flamingolepis liguloides 절지동물문 아르테미아 생식선 파괴. 행동 변화.[4]
절지동물문 꼬리치레개미(Crematogaster sjostedti) 식물계 휘파람가시나무(Acacia drepanolobium) 개미가 나무의 겹눈 분열조직을 제거하여 불임화시킴.[5][6]

각주

[편집]
  1. Kuris, Armand M. (1974). “Trophic interactions: similarity of parasitic castrators to parasitoids” (PDF). Quarterly Review of Biology 49 (2): 129–148. doi:10.1086/408018. 
  2. Blower, S. M.; J. Roughgarden (1988). “Parasitic castration: host species preferences, size-selectivity and spatial heterogeneity” (PDF). Oecologia 75 (4): 512–515. doi:10.1007/BF00776413.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14일에 확인함. 
  3. Zimmer, Carl (August 2000). “Do Parasites Rule the World?”. Discover. 2011년 2월 19일에 확인함. 
  4. Yong, Ed (January 2013). “Parasites Make Their Hosts Sociable So They Get Eaten”. National Geographic. 2013년 1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6일에 확인함. 
  5. M.L. Stanton; T.M. Palmer; T.P. Young; A. Evans; M.L. Turner (1999). “Sterilization and canopy modification of a swollen thorn acacia by a plant-ant”. Nature 401: 578–580. 
  6. Hall, S. R.; Becker, C.; Caceres, C. E. (2007년 5월 22일). “Parasitic castration: a perspective from a model of dynamic energy budgets”. 《Integrative and Comparative B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7 (2): 295–309. doi:10.1093/icb/icm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