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거세
보이기
기생거세(parasitic castration)는 기생생물이 자기 이익을 위해 숙주의 생식능력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다. 기생의 여섯 가지 주요 전략(기생거세, 직접감염, 흡수감염, 매개감염, 포식기생, 미소포식) 중 하나다.
사쿨리나가 게에게 기생하는 것처럼 유성생식 숙주의 성을 완전히 거세하는 경우도 있고, 따개비나 달팽이 같은 자웅동체 동물에게 기생한 기생충이 자웅동체 중 한 쪽 성만 거세하는 경우도 있다.
알려진 기생거세자 분류군
[편집]기생생물 분류군 | 기생생물 생물종 | 숙주 분류군 | 숙주 생물종 | 비고 |
---|---|---|---|---|
원생생물 정단복합체충 | Mackinnonia tubificis | 환형동물 지렁이아강 | 실지렁이(Tubifex tubifex) | 생식선을 파괴.[1] |
원생생물 기이포자충 | Urosporidium charletti | 촌충 | Catenotaenia dendritica | 기생충에게 기생하여 기생거세를 하는 중복기생거세자.(Hypercastrator)[1] |
편형동물문 흡충 | Bucephalus mytili | 연체동물 이매패류 | 다양 | 생식선을 파괴, 숙주의 덩치가 커짐.[1] |
편형동물문 촌충 | 다양 | 어류 잉어과 | 다양 | 생식선을 파괴, 행동 변화.[1] |
절지동물문 등각목 | Hemioniscus balani | 절지동물문 만각목 | 다양한 따개비 | 원래 자웅동체인 따개비의 웅성기관은 남겨두고 자성기관만 거세.[2] |
절지동물문 만각류 | 사쿨리나(Sacculina) | 절지동물문 십각목 | 다양한 게 | 생식선 파괴. 행동 변화.[1] |
절지동물문 | 부채벌레 | 절지동물문 벌 또는 매미 | 다양한 종 | 수컷은 암컷화되고, 암컷은 자기 알이 아니라 부채벌레의 알을 낳게 됨.[3] |
편형동물문 촌충 | Flamingolepis liguloides | 절지동물문 | 아르테미아 | 생식선 파괴. 행동 변화.[4] |
절지동물문 | 꼬리치레개미(Crematogaster sjostedti) | 식물계 | 휘파람가시나무(Acacia drepanolobium) | 개미가 나무의 겹눈 분열조직을 제거하여 불임화시킴.[5][6] |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Kuris, Armand M. (1974). “Trophic interactions: similarity of parasitic castrators to parasitoids” (PDF). Quarterly Review of Biology 49 (2): 129–148. doi:10.1086/408018.
- ↑ Blower, S. M.; J. Roughgarden (1988). “Parasitic castration: host species preferences, size-selectivity and spatial heterogeneity” (PDF). Oecologia 75 (4): 512–515. doi:10.1007/BF00776413.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Zimmer, Carl (August 2000). “Do Parasites Rule the World?”. Discover. 2011년 2월 19일에 확인함.
- ↑ Yong, Ed (January 2013). “Parasites Make Their Hosts Sociable So They Get Eaten”. National Geographic. 2013년 1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6일에 확인함.
- ↑ M.L. Stanton; T.M. Palmer; T.P. Young; A. Evans; M.L. Turner (1999). “Sterilization and canopy modification of a swollen thorn acacia by a plant-ant”. Nature 401: 578–580.
- ↑ Hall, S. R.; Becker, C.; Caceres, C. E. (2007년 5월 22일). “Parasitic castration: a perspective from a model of dynamic energy budgets”. 《Integrative and Comparative B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7 (2): 295–309. doi:10.1093/icb/icm057.
이 글은 생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