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징: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oePeu bot (토론 | 기여)
잔글 -ns:그림 +ns:파일
링고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사용자 19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파일:Jing hanging.jpg|thumb|200px|매달려있는 징]]
{{다른 뜻}}
[[파일:Jing.jpg|섬네일|징의 모습.]]
[[파일:Jing hanging.jpg|섬네일|200px|매달려있는 징.]]


'''징'''() 또는 '''금'''(金), '''금징'''(金), '''대금'''(大金)은 [[한국]]의 [[타악기]]이다.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다고 하나 언제 들여온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국악기]] 중 금부(金部)에 포함된다. [[놋쇠]]를 이용해 큰 [[그릇]] 모양으로 징을 만들어 끈을 매달아 [[손]]에 쥐고 채를 이용해 치거나 [[나무]]로 만든 틀에 묶고 친다. 채는 나무로 만든 손잡이에 끝부분을 헝겊으로 감아 만든다. 사물(四物)의 하나로 [[사물놀이]]에 쓰이며 군악(軍樂)이나 무악(巫樂), [[불교]][[음악]] 등에도 사용된다. [[종묘제례악]]의 정대업(定大業)에도 사용된다. 낮고 깊게 울리지만 부드러운 소리를 가졌다.
'''징'''[] 또는 '''금'''(金), '''금징'''(金-), '''대금'''(大金)은 [[한국]]의 [[타악기]]이다. [[한국]]에서 직접 만든 것이며, [[국악기]] 중 금부(金部)에 포함된다. [[놋쇠]]를 이용해 큰 [[그릇]] 모양으로 징을 만들어, 끈을 매달아 [[손]]에 쥐고 채를 이용해 치거나, [[나무]]로 만든 틀에 묶고 친다. 채는 나무로 만든 손잡이에 끝부분을 헝겊으로 감아 만다. 사물(四物)의 하나로 [[사물놀이]]에 사용되며, 군악(軍樂)이나 무악(巫樂), [[불교]][[음악]] 등에도 사용된다. [[종묘제례악]]의 정대업(定大業)에도 사용된다. 소리가 절에 있는 범종이랑 유사할 정도로 웅장하다.


크고 둥근 놋쇠판에 끈을 달아 부드러운 뭉치로 된 채로 친다. 징은 한편으로 라, 증라 혹은 동라로 불리는데, 지름이 6치 정도의 작은 것은 소라라 하고, 1자 정도 큰 것은 대라라 한다. 이것과 비슷하나 따로 대금(大金)이 있는데 이것은 더욱 커서 1자 2치 정도이다. 군악기(軍樂器)로 취타 혹은 군중신호로 치는 것은 금증(金鉦)·금라·금(金)이라 하고, 종묘제례악에 쓰이는 것은 대금이다. 불교음악에서는 라·무속음악과 농악에서는 그냥 징이라 한다. 징과 대금은 중국에서 상고시대부터 썼던 것으로 한국에서는 고려 때 썼던 기록이 있으나 그 이전에 썼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ref>{{글로벌2|제목=징|주소=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D%95%9C%EA%B5%AD%EC%9D%8C%EC%95%85/%ED%95%9C%EA%B5%AD%EC%9D%8C%EC%95%85/%ED%95%9C%EA%B5%AD%EC%9D%8C%EC%95%85%EC%9D%98_%EA%B8%B0%EC%B4%88%EC%A7%80%EC%8B%9D/%ED%95%9C%EA%B5%AD%EC%9D%98_%EC%95%85%EA%B8%B0#%EC%A7%95}}</ref>
{{한국의 전통 악기}}

{{토막글|한국}}
== 같이 보기 ==
{{토막글|음악}}
* [[공 (악기)]]

== 각주 ==
{{각주}}

{{한국의 악기}}
{{전거 통제}}
{{토막글|한국 문화|음악}}

[[분류:한국의 악기]]
[[분류:타악기]]
[[분류:타악기]]
[[분류:국악기]]
[[분류:몸울림악기]]
[[en:Jing (instrument)]]

2023년 5월 10일 (수) 10:53 기준 최신판

징의 모습.
매달려있는 징.

[鉦] 또는 (金), 금징(金-), 대금(大金)은 한국타악기이다. 한국에서 직접 만든 것이며, 국악기 중 금부(金部)에 포함된다. 놋쇠를 이용해 큰 그릇 모양으로 징을 만들어, 끈을 매달아 에 쥐고 채를 이용해 치거나, 나무로 만든 틀에 묶고 친다. 채는 나무로 만든 손잡이에 끝부분을 헝겊으로 감아 만다. 사물(四物)의 하나로 사물놀이에 사용되며, 군악(軍樂)이나 무악(巫樂), 불교음악 등에도 사용된다. 종묘제례악의 정대업(定大業)에도 사용된다. 소리가 절에 있는 범종이랑 유사할 정도로 웅장하다.

크고 둥근 놋쇠판에 끈을 달아 부드러운 뭉치로 된 채로 친다. 징은 한편으로 라, 증라 혹은 동라로 불리는데, 지름이 6치 정도의 작은 것은 소라라 하고, 1자 정도 큰 것은 대라라 한다. 이것과 비슷하나 따로 대금(大金)이 있는데 이것은 더욱 커서 1자 2치 정도이다. 군악기(軍樂器)로 취타 혹은 군중신호로 치는 것은 금증(金鉦)·금라·금(金)이라 하고, 종묘제례악에 쓰이는 것은 대금이다. 불교음악에서는 라·무속음악과 농악에서는 그냥 징이라 한다. 징과 대금은 중국에서 상고시대부터 썼던 것으로 한국에서는 고려 때 썼던 기록이 있으나 그 이전에 썼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