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과학
개복치(학명:Mola Mola, 영어: ocean sunfish)는 복어목 개복치과에 속하는 바닷 물고기이다. 온대 및 열대 해역의 대양에 분포하는데 한국의 동해, 서해, 남해에 나타나며 일본의 홋카이도 이남 지역에서 발견된다. 몸의 크기가 매우 크고 납작하고 넓으며 배지느러미가 없고 눈과 아가미가 작으며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가 매우 크고 특이하게 생겼다. 입은 새의 부리 모양으로 매우 단단하다. 복어목의 한 종으로써, 이들과 많은 점을 공유한다. 한때 복어속에 속했으나, 이제는 두 가지 종이 속하는 개복치속으로 분류되고 있다.
18세기에 린네는 개복치의 학명을 'Mola mola'라고 지었는데 이는 라틴어로 맷돌을 의미한다. 개복치는 경골어류 중에서는 가장 크며 가장 큰 뼈대를 가진 물고기이다. 기록 상으로는 몸무게 2.2톤 이상에 몸 길이는 3.3미터가 넘는 것도 있었다. 또한 가장 많은 알을 낳는 어류이기도 한데 한 번에 3억개의 알을 낳는다. 치어는 외관상으로 작은 복어와 비슷하기 때문에, 성어와는 매우 다르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 해조류를 먹지만 특히 해파리가 주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들 대부분은 영양가가 낮기 때문에 많은 양을 먹어 치워야 한다. 다 자란 개복치는 천적이 거의 없지만, 바다사자, 범고래, 상어 등에게는 여전히 취약하다. 한국, 일본, 대만등의 지역에서는 식용이며, 최근에는 비닐같은 표류물에 죽거나, 배와 부딪혀서 사고를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본의 아니게 어망에 걸리는 경우도 많다.
수학(數學, mathematics)은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다. 수학은 그 구조와 발전 과정에서 자연과학에 속하는 물리학을 비롯한 학문들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으나, 과학의 분야들과는 달리 자연계에서 관측되지 않는 개념들에 대해서까지 이론을 일반화 및 추상화시킬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수학자들은 그러한 개념들에 대해 추측을 하고, 적절하게 선택된 정의와 공리로부터의 엄밀한 연역을 통해 추측들의 진위를 파악하려 한다.
수학의 기본 개념들은 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고대 인도, 고대 중국 및 고대 그리스의 수학책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유클리드의 원론에서는 엄밀한 논증이 발견된다. 이런 발전은 그 뒤로 계속되어, 16세기의 르네상스에 이르러서는 수학적 발전과 과학적 발견들의 상호작용이 일어나 혁명적인 연구들이 진행되며 인류 문명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이는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오늘날 수학은 자연과학, 공학, 의학뿐만 아니라 경제학 등의 사회과학에서도 중요한 도구로서 사용된다. 수학을 이런 분야들에 적용한 응용수학은 그 결과로서 수학 자체의 발전을 이끌고 새로운 분야들을 낳았다.
|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