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k
{\displaystyle k}
위의 대수이며, 자명환 이 아닌 아르틴 국소환
(
A
,
m
)
{\displaystyle (A,{\mathfrak {m}})}
이 주어졌다고 하자. 이는 벡터 공간 으로서 유한 차원이며, 이러한 환의 (유일한) 극대 아이디얼
m
{\displaystyle {\mathfrak {m}}}
의 모든 원소는 멱영원 이다. 특히, 이러한 환
A
{\displaystyle A}
는 항상 완비 국소환 이다. 이러한 가환환은 항상 다음과 같은 꼴로 나타내어진다.
A
=
k
[
x
1
,
x
2
,
…
,
x
m
]
/
(
x
1
n
1
,
x
2
n
2
,
…
,
x
m
n
m
,
p
1
,
p
2
,
…
,
p
r
)
{\displaystyle A=k[x_{1},x_{2},\dotsc ,x_{m}]/(x_{1}^{n_{1}},x_{2}^{n_{2}},\dotsc ,x_{m}^{n_{m}},p_{1},p_{2},\dotsc ,p_{r})}
p
1
,
…
,
p
r
∈
k
[
x
1
,
…
,
x
m
]
{\displaystyle p_{1},\dotsc ,p_{r}\in k[x_{1},\dotsc ,x_{m}]}
p
i
(
0
,
0
,
…
,
0
)
=
0
∈
k
∀
i
∈
{
1
,
…
,
r
}
{\displaystyle p_{i}(0,0,\dotsc ,0)=0\in k\qquad \forall i\in \{1,\dotsc ,r\}}
m
=
(
x
1
,
x
2
,
…
,
x
m
)
⊊
A
{\displaystyle {\mathfrak {m}}=(x_{1},x_{2},\dotsc ,x_{m})\subsetneq A}
또한,
A
{\displaystyle A}
의 스펙트럼
Spec
A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A}
은 위상 공간 으로서 한원소 공간 이다. 예를 들어, 체
k
{\displaystyle k}
가 주어졌을 때
k
[
x
]
/
(
x
2
)
{\displaystyle k[x]/(x^{2})}
는 이러한 꼴의 가환환이며, 극대 아이디얼 은
m
=
(
x
)
{\displaystyle {\mathfrak {m}}=(x)}
이다.
체
k
{\displaystyle k}
에 대하여, 범주
LocArt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ocArt} (k)}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LocArt
k
{\displaystyle \operatorname {LocArt} _{k}}
의 대상
i
:
k
→
A
{\displaystyle i\colon k\to A}
은
k
{\displaystyle k}
를 정의역 으로, 어떤 국소 아르틴 가환환
(
A
,
m
)
{\displaystyle (A,{\mathfrak {m}})}
을 공역 으로 하는 환 준동형 가운데,
k
→
A
→
A
/
m
{\displaystyle k\to A\to A/{\mathfrak {m}}}
가 환의 동형 사상 을 이루는 것이다.
LocArt
k
{\displaystyle \operatorname {LocArt} _{k}}
의 사상
(
A
,
m
A
,
i
A
)
→
(
B
,
m
B
,
i
B
)
{\displaystyle (A,{\mathfrak {m}}_{A},i_{A})\to (B,{\mathfrak {m}}_{B},i_{B})}
은 구조 사상과 호환되는 환 준동형
f
:
A
→
B
{\displaystyle f\colon A\to B}
이다. 즉,
f
∘
i
A
=
i
B
{\displaystyle f\circ i_{A}=i_{B}}
이어야 한다.
이 범주 에서,
(
k
,
m
k
=
(
0
)
,
id
k
)
{\displaystyle (k,{\mathfrak {m}}_{k}=(0),\operatorname {id} _{k})}
는 영 대상 을 이룬다. 이 범주에서, 두 대상
A
{\displaystyle A}
,
B
{\displaystyle B}
의 곱
A
×
LocArt
(
k
)
B
{\displaystyle A\times _{\operatorname {LocArt} (k)}B}
는 곱집합 과 다르며, 구체적으로
(
A
,
m
A
,
i
A
)
×
LocArt
(
k
)
(
B
,
m
B
,
i
B
)
=
{
(
a
,
b
)
∈
A
×
Set
B
:
i
A
−
1
(
a
+
m
A
)
=
i
B
−
1
(
b
+
m
B
)
}
{\displaystyle (A,{\mathfrak {m}}_{A},i_{A})\times _{\operatorname {LocArt} (k)}(B,{\mathfrak {m}}_{B},i_{B})=\{(a,b)\in A\times _{\operatorname {Set} }B\colon i_{A}^{-1}(a+{\mathfrak {m}}_{A})=i_{B}^{-1}(b+{\mathfrak {m}}_{B})\}}
이다. (여기서
×
Set
{\displaystyle \times _{\operatorname {Set} }}
은 곱집합 을 뜻한다.) 이 위의 가환환 구조는 가환환 의 직접곱
A
×
CRing
B
{\displaystyle A\times _{\operatorname {CRing} }B}
의 부분환 으로서 주어진다.
보다 일반적으로, 세 대상
A
,
B
,
C
{\displaystyle A,B,C}
및 사상
A
→
f
C
←
g
B
{\displaystyle A{\xrightarrow {f}}C{\xleftarrow {g}}B}
이 주어졌을 때, 올곱
A
×
C
B
=
{
(
a
,
b
)
∈
A
×
Set
B
:
f
(
a
)
=
g
(
b
)
}
{\displaystyle A\times _{C}B=\{(a,b)\in A\times _{\operatorname {Set} }B\colon f(a)=g(b)\}}
이 존재한다.[ 1] :209
이 범주에서, 대상
A
=
k
[
x
]
/
(
x
2
)
{\displaystyle A=k[x]/(x^{2})}
을 생각하자. 이 경우,
A
×
A
≅
k
[
x
,
y
]
/
(
x
2
,
y
2
,
x
y
)
{\displaystyle A\times A\cong k[x,y]/(x^{2},y^{2},xy)}
이다. 표준적인 환 준동형
A
×
A
→
A
{\displaystyle A\times A\to A}
(
a
+
b
x
+
c
y
)
↦
(
a
+
(
b
+
c
)
x
)
{\displaystyle (a+bx+cy)\mapsto (a+(b+c)x)}
을 통해, 이는 군 대상 을 이루며, 이는 아벨 군 대상이다.
두 국소 아르틴 가환환
(
A
,
m
)
{\displaystyle (A,{\mathfrak {m}})}
(
A
′
,
m
′
)
{\displaystyle (A',{\mathfrak {m}}')}
사이의 환 준동형
f
:
A
→
A
′
{\displaystyle f\colon A\to A'}
이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킨다면, 작은 농화 (-濃化, 영어 : small thickening )라고 한다.
전사 함수 이다.
ker
f
{\displaystyle \ker f}
는
A
′
{\displaystyle A'}
의 주 아이디얼 이다.
(
ker
f
)
m
′
=
0
{\displaystyle (\ker f){\mathfrak {m}}'=0}
이다.
이에 따라,
ker
f
{\displaystyle \ker f}
는 1차원
A
/
m
{\displaystyle A/{\mathfrak {m}}}
-벡터 공간 이다. 예를 들어, 체
k
{\displaystyle k}
및 양의 정수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k
[
x
]
/
(
x
n
+
1
)
→
k
[
x
]
/
(
x
n
)
{\displaystyle k[x]/(x^{n+1})\to k[x]/(x^{n})}
은 작은 농화이다.
두 국소 아르틴 가환환 사이의 모든 전사 환 준동형 은 (유한 개의) 작은 농화들의 합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체
k
{\displaystyle k}
가 주어졌을 때,
LocArt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ocArt} (k)}
에서 집합 과 함수 의 범주
Set
{\displaystyle \operatorname {Set} }
로 가는 함자
F
:
LocArt
(
k
)
→
Set
{\displaystyle F\colon \operatorname {LocArt} (k)\to \operatorname {Set} }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LocArt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ocArt} (k)}
속의 두 환 준동형
B
→
A
←
C
{\displaystyle B\to A\leftarrow C}
에 대하여, 올곱 의 보편 성질 에 의하여 함수
g
:
F
(
B
×
A
C
)
→
F
(
B
)
×
F
(
A
)
F
(
C
)
{\displaystyle g\colon F(B\times _{A}C)\to F(B)\times _{F(A)}F(C)}
가 표준적으로 존재한다.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가할 수 있다.
(H0) 집합
F
(
k
)
{\displaystyle F(k)}
는 한원소 집합 이다.
여기서
F
(
k
)
{\displaystyle F(k)}
의 유일한 원소는 변형하고픈 대상을 뜻한다.
(H1) 만약
C
→
A
{\displaystyle C\to A}
가 작은 농화라면,
g
{\displaystyle g}
가 전사 함수 이다.
(H2) 만약
A
=
k
{\displaystyle A=k}
이며,
C
=
k
[
x
]
/
(
x
2
)
{\displaystyle C=k[x]/(x^{2})}
라면,
g
{\displaystyle g}
가 전단사 함수 이다.
(H4) 만약
C
→
A
{\displaystyle C\to A}
가 작은 농화이며
B
→
A
{\displaystyle B\to A}
가 동형 사상 이라면,
g
{\displaystyle g}
가 전단사 함수 이다.
(H0), (H1), (H2)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함자
F
{\displaystyle F}
를 변형 함자 라고 한다. (만약 H0이 성립한다면, 이를 준변형 함자 영어 : pre-deformation functor 라고 한다.)
변형 함자
F
{\displaystyle F}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집합
F
(
k
[
x
]
/
(
x
2
)
)
{\displaystyle F(k[x]/(x^{2}))}
를 생각하자. 이 위에, 다음과 같은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α
v
=
F
(
σ
α
)
v
∀
α
∈
k
,
v
∈
F
(
k
[
x
]
/
(
x
2
)
)
{\displaystyle \alpha v=F(\sigma _{\alpha })v\qquad \forall \alpha \in k,\;v\in F(k[x]/(x^{2}))}
v
+
w
=
F
(
μ
)
g
−
1
(
v
,
w
)
{\displaystyle v+w=F(\mu )g^{-1}(v,w)}
여기서
σ
α
:
k
[
x
]
/
(
x
2
)
→
k
[
x
]
/
(
x
2
)
{\displaystyle \sigma _{\alpha }\colon k[x]/(x^{2})\to k[x]/(x^{2})}
σ
α
:
x
↦
α
x
{\displaystyle \sigma _{\alpha }\colon x\mapsto \alpha x}
는 국소 아르틴 가환환의 자기 사상 이며,
g
:
F
(
k
[
x
]
/
(
x
2
)
×
k
[
x
]
/
(
x
2
)
)
→
F
(
k
[
x
]
/
(
x
2
)
)
×
F
(
k
[
x
]
/
(
x
2
)
)
{\displaystyle g\colon F(k[x]/(x^{2})\times k[x]/(x^{2}))\to F(k[x]/(x^{2}))\times F(k[x]/(x^{2}))}
는 (H2) 공리에 따라 존재하는 전단사 함수 이며,
μ
:
k
[
x
]
/
(
x
2
)
×
k
[
x
]
/
(
x
2
)
→
k
[
x
]
/
(
x
2
)
{\displaystyle \mu \colon k[x]/(x^{2})\times k[x]/(x^{2})\to k[x]/(x^{2})}
는
k
[
x
]
/
(
x
2
)
{\displaystyle k[x]/(x^{2})}
위의 군 대상 구조이다.
이 경우, 벡터 공간
F
(
k
[
x
]
/
(
x
2
)
)
{\displaystyle F(k[x]/(x^{2}))}
를 변형 함자
F
{\displaystyle F}
의 접공간 (接空間, 영어 : tangent space )이라고 한다.
변형 함자
F
:
LocArt
(
k
)
→
Set
{\displaystyle F\colon \operatorname {LocArt} (k)\to \operatorname {Set} }
가 주어졌다고 하자.
ComplLocNoeth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mplLocNoeth} (k)}
가
k
{\displaystyle k}
-대수 가운데, 완비 국소환 이며 뇌터 가환환 인 것들의 범주라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완비 국소 뇌터
k
{\displaystyle k}
-대수
(
A
,
m
)
{\displaystyle (A,{\mathfrak {m}})}
에 대하여, 다음을 정의할 수 있다.
F
^
(
A
)
=
lim
←
n
→
∞
F
(
A
/
m
n
)
{\displaystyle {\hat {F}}(A)=\varprojlim _{n\to \infty }F(A/{\mathfrak {m}}^{n})}
여기서 유한한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에 대하여
A
/
m
n
{\displaystyle A/{\mathfrak {m}}^{n}}
이 국소 아르틴 가환환이므로, 우변은 잘 정의된다. 이는 함자
F
^
:
ComplLocNoeth
(
k
)
→
Set
{\displaystyle {\hat {F}}\colon \operatorname {ComplLocNoeth} (k)\to \operatorname {Set} }
를 정의한다.
이 경우,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F
^
{\displaystyle {\hat {F}}}
가 표현 가능 함자 이다.
(H4)가 성립하며, 접공간이 유한 차원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이다.
변형 함자의 개념은 1968년에 존 마이클 슐레싱어(영어 : John Michael Schlessinger )가 도입하였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