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파리온
히파리온 | |
---|---|
화석 범위: 마이오세 후기 | |
히파리온 화석 표본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말목 |
과: | 말과 |
속: | 히파리온속 |
종: | 히파리온 |
학명 | |
Hipparion | |
(De Christol, 1832) |
히파리온(Hipparion)은 약 1천만에서 5백만 년 전에 살았던 멸종된 말과에 속하는 발가락이 세 개인 중형 말이다.[1][2] 이전에는 대부분의 히파리온아족을 포함했지만, 이제는 마이오세 후기에 걸쳐 유라시아에서 온 히파리온아족으로 더 좁게 정의된다.[2] 히파리온은 주로 풀을 먹으며 사바나 생물군계에서 살았다.[2][3] 히파리온은 코르모히파리온에서 진화하여 기후 냉각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 수치 감소와 같은 환경 변화로 인해 멸종했다.[4]
형태학
[편집]사지
[편집]히파리온은 일반적으로 현대 말의 작은 버전과 비슷했지만, 삼족보행어 또는 세발가락이었다. 히파리온은 발굽 외에도 각 사지에 두 개의 흔적이 있는 바깥 발가락을 가지고 있었다.[2] 일부 종에서는 이 바깥 발가락이 기능적이었다.[5]
크기
[편집]히파리온은 일반적으로 어깨 높이가 약 1.4m로 중간 크기였다.[6][7] 히파리온의 추정 체중은 종에 따라 다르지만 약 135kg에서 200kg 사이이다.[2]
두개골
[편집]히파리온은 앞 어금니와 어금니에 대해 고관 치아를 가지고 있었으며, 치관 높이는 약 60mm였다. 히파리온은 상부 어금니에 고립된 교두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교두라 불리는 치아의 끝이 교두라 불리는 치아 볏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2] 히파리온은 또한 안와 앞쪽 머리 높이에 위치한 얼굴 포사 또는 두개골의 깊은 함몰이 특징이다.[8][9]
생태학
[편집]서식지 및 먹이
[편집]히파리온은 숲에서 초원으로 이루어진 구세계 사바나 생물 군계(OWSB)에 살았다.[2] 히파리온은 주로 풀로 구성된 혼합 사료를 먹었다. 이 사료는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관찰한 히파리온의 치아 에나멜에 긁힌 자국과 구덩이의 미세한 마모 패턴의 화석 증거로 나타난다.[3]
수명
[편집]히파리온은 약 3세에 골격 성숙과 성적 성숙을 이루었다. 히파리온 개체의 화석은 사망 시 최대 10세까지 존재한다.[7]
진화 및 멸종
[편집]진화
[편집]히파리온은 약 11.4~11.0 Ma의 마이오세 후기 동안 코르모히파리온 종에서 진화했을 가능성이 크다.[2] 이 종은 북아메리카에서 유라시아와 아프리카로 왔다. 히파리온과 현대 말의 마지막 공통 조상은 메리키푸스였다.[10]
멸종
[편집]구세계에서 히파리온은 다른 많은 마이오세 척추동물과 마찬가지로 남북 경사면에서 개체 감소와 멸종을 경험했다. 이러한 추세는 지구 냉각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 수치 감소로 인한 환경 변화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4]
각주
[편집]- ↑ Cirilli, Omar; Pandolfi, Luca; Alba, David M.; Madurell-Malapeira, Joan; Bukhsianidze, Maia; Kordos, Laszlo; Lordkipanidze, David; Rook, Lorenzo; Bernor, Raymond L. (2023년 4월 15일). “The last Plio-Pleistocene hipparions of Western Eurasia. A review with remarks on their taxonomy, paleobiogeography and evolution”. 《Quaternary Science Reviews》 306: 107976. Bibcode:2023QSRv..30607976C. doi:10.1016/j.quascirev.2023.107976. ISSN 0277-3791.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Bernor, Raymond L.; Kaya, Ferhat; Kaakinen, Anu; Saarinen, Juha; Fortelius, Mikael (October 2021). “Old world hipparion evolution, biogeography, climatology and ecology”. 《Earth-Science Reviews》 (영어) 221: 103784. Bibcode:2021ESRv..22103784B. doi:10.1016/j.earscirev.2021.103784.
- ↑ 가 나 MacFadden, Bruce J. (2000). “Cenozoic Mammalian Herbivores of the Americas: Reconstructing Ancient Diets and Terrestrial Communities” (PDF).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31: 33–59. Bibcode:2000AnRES..31...33M. doi:10.1146/annurev.ecolsys.31.1.33 – JSTOR 경유.
- ↑ 가 나 van der Made, Jan; Boulaghraief, Kamel; Chelli-Cheheb, Razika; Cáceres, Isabel; Harichane, Zoheir; Sahnouni, Mohamed (2022년 1월 28일). “The last North African hipparions – hipparion decline and extinction follows a common pattern”. 《Neues Jahrbuch für Geologie und Paläontologie》 303 (1): 39–87. doi:10.1127/njgpa/2022/1037 – Schweizerbart Science Publishers 경유.
- ↑ Williams, Wendy (2015). 《The Horse》. Toronto, Canada: Harper Collins. 117쪽. ISBN 9781443417860.
- ↑ Palmer, D., 편집. (1999).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and Prehistoric Animals》. London: Marshall Editions. 257쪽. ISBN 1-84028-152-9.
- ↑ 가 나 Martinez-Maza, Cayetana; Alberdi, Maria Teresa; Nieto-Diaz, Manuel; Prado, José Luis (2014년 8월 6일). “Life-History Traits of the Miocene Hipparion concudense (Spain) Inferred from Bone Histological Structure”. 《PLOS ONE》 9 (8): e103708. Bibcode:2014PLoSO...9j3708M. doi:10.1371/journal.pone.0103708. ISSN 1932-6203. PMC 4123897. PMID 25098950.
- ↑ Bernor, Raymond L.; Kovar-Eder, Johanna; Lipscomb, Diana; Rögl, Fred; Sen, Sevket; Tobien, Heinz (1988년 12월 14일). “Systematic, stratigraphic, and paleoenvironmental contexts of first-appearing Hipparion in the Vienna Basin, Austri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영어) 8 (4): 427–452. Bibcode:1988JVPal...8..427B. doi:10.1080/02724634.1988.10011729. ISSN 0272-4634.
- ↑ Carroll, Robert L. (1988). 《Vertebrate Paleontology and Evolution》. W. H. Freeman and Company. 535쪽. ISBN 0-716-71822-7.
- ↑ Cantalapiedra, J. L.; Prado, J. L.; Hernández Fernández, M.; Alberdi, M. T. (2017년 2월 10일). “Decoupled ecomorphological evolution and diversification in Neogene-Quaternary horses”. 《Science》 (영어) 355 (6325): 627–630. Bibcode:2017Sci...355..627C. doi:10.1126/science.aag1772. ISSN 0036-8075. PMID 28183978.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히파리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